1. 알파벳
1) 자음
문 자 | a | b | g | d | e | z | h | q | i | k | l | m | n | x | o | p | r | s(") | t | u | f | c | y | w |
발 음 | a | b | g | d | e | z | e | th | i | k | l | m | n | ks | o | p | r | s | t | u | ph | ch | ps | o |
아 | ㅂ | ㄱ | ㄷ | 에 | ㅈ | 에- | ˚ㄷ | 이 | ㅋ | ㄹㄹ | ㅁ | ㄴ | ㅋㅅ | 오 | ㅍ | ㄹ | ㅅ | ㅌ | 위 | ˚ㅍ | ˚ㅋ | ㅍㅅ | 오- |
2) 모음 | |||||||||
단 | 장 | 이중모음 | |||||||
a | a | ou | 우 | ||||||
e | h | eu | 유 | ||||||
i | i | ui | 위 | ||||||
o | w | ||||||||
u | u |
※ 모음에 && 가 첨가되면 ’ㅎ‘을 첨가하여 발음한다. -
- i&eron (히에론)
※ g가 k, c, x, 앞에 올 때는 “ng"이 된다.
- egcriw은 ”엥크리오-“로 읽는다. g가 ”o“로 발음.
※ 2중 자음 - x, y,
- sarx (사르크스), yuch (프쉬케-)
3) 연습문제
※ 다음 헬라어의 발음을 써넣어라
① ba ② ne ③ kon ④ baram ⑤ cw ⑥ sara ⑦ i*ginda
⑧ oueu ⑨ a*la ⑩ a*mhn ⑪ a&gomanda ⑫ shggag
2. 명사변화(Ⅰ)
1. 명사는 성, 수, 격을 갖는다.
1) 성(genders) : 남성(m), 여성(f), 중성(n)
2) 수(numbers) : 단수(s), 복수(p)
3) 격(cases) : 주격(N), 속격(G), 여격(D), 목적격(A), 호격(V)
2. 격은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1) 주격 - 주어 또는 주격보어 (~은, 는, 이, 가)
2) 소유격 - 소유 (~의, of)
3) 여격 - 간접목적 (~에게, to, for)
4) 목적격 - 직접목적 (~을,를)
5) 호격 - (~야, ~이여)
3. 단어의 어미로 성 구분.
1) 남성 : _ o" 여성 : _ a, _h 중성 : _ on
2) 사전에는 관사의 성으로 명사의 성 결정.
4. 변화표
성 | 남성 | 여성 | 중성 | ||||
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o" | oi | a | h | ai | on | a |
소유격 | ou | wn | a" | h" | wn | ou | wn |
여격 | w/ | oi" | a/ | h/ | ai" | w/ | oi" |
목적격 | on | ou" | an | hn | a" | on | a |
성 | 남성 | 여성 | 중성 | |||
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주 | logo" 말씀이 | logoi 말씀들이 | w@ra 시간이 | w@rai 시간들이 | dw'ron 선물이 | dw'ra 선물들이 |
소 | logou 말씀의 | logwn 말씀들의 | w@ra" 시간의 | w@rw'n 시간들의 | dwrou 선물의 | dw'rwn 선물들의 |
여 | logw/ 말씀에게 | logoi" 말씀들에게 | w@ra/ 시간에게 | w@rai" 시간들에게 | dwrw/ 선물에게/ | dwroi" 선물들에게 |
목 | logon 말씀을 | logou" 말씀들을 | w@ran 시간을 | w@ra" 시간들을 | dw'ron 선물을 | dwra 선물들을 |
5. 다음 명사를 분해하라. ( 명사의 기본형, 뜻, 성, 수, 격, 해석의 순서로 )
예 : logou" - logo", 말씀, 남, 단, 주, 말씀이
① anqrwpon - anqrwpo", 사람,
② apostolw/ - apostolo", 사도,
③ kardiai" - kardia, 마음,
④ ekklhsia" - ekklhsia, 교회,
⑤ qanaton - qanato", 죽음,
⑥ yuca" - yuch, 목숨,
⑦ zwhn - zwh, 생명,
⑧ doxan - doxa, 영광,
⑨ kadiai" - kardia, 마음,
⑩ logou" - logo", 말씀,
⑪ nomon - nomo", 율법,
⑫ alhqeiai" - alhqeia, 진리,
⑬ i&eroi" - i&eron, 성전,
⑭ apostolwn - apostolo", 사도,
⑮ entola" - entolh, 계명,
3. 형용사, 관사
1) 형용사의 변화는 명사변화(Ⅰ)과 꼬리가 똑같다. 그러므로 명사와 성, 수, 격이 일치한다.
ton dikion anqrwpon - 그 의로운 사람을, tai" dikaiai" anqrwpai", 그 의로운 사람들에게
2) 형용사 용법 - 형용사의 쓰임새.
- 형용적 용법 : 형용사 앞에 관사가 있을 경우
o& logo" o& agaqo", o& agaqo" logo" (그 좋은 말씀)
- 서술적 용법 :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는 경우
agaqo" o& logo", o& logo" agaqo" (그 말씀은 좋다)
- 독립적 용법 : 명사가 없는 경우
agaqo" (한 선한 남자는), o& agaqo" (그 선한 남자는)
3) 정관사는 1,2 변화명사 꼬리만 기억하고 있으면, 변화표를 만들 수 있다. 남성, 단수, 주격의 o"에서 "가 빠진 대신 쉼표로 보상하여 o&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속격, 여격, 목적격은 명사변화(Ⅰ)의 꼬리 앞에 t가 붙는다.
수 | 단수 | 복수 | ||||
성 격 | 남 | 여 | 중 | 남 | 여 | 중 |
주 | o& | h& | to | oi& | ai& | ta |
소 | tou | th" | tou | twn | twn | twn |
여 | tw/ | th/ | tw/ | toi" | tai" | toi" |
목 | ton | thn | to | tou" | ta" | ta |
4. 대명사
1. 인칭대명사
1) 인칭대명사 변화
수 | 인칭 격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남 | 여 | 중 | ||||
단 수 | 주 | egw | su | auto" | auth | auto |
소 | emou (mou) | sou' (sou) | autou | auth" | autou | |
여 | emoi (moi) | soiv (soi) | autw/ | auth/ | autw/ | |
목 | eme (me) | sev (se) | auton | authn | auto | |
복 수 | 주 | h&mei" | u&mei" | autoi | autai | auta |
소 | h&mwn | u&mwn | autwn | autwn | autwn | |
여 | h&min | u&min | autoi" | autai" | autoi" | |
목 | h&ma" | u&ma" | autou" | auta" | auta |
2) 용법
①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여 씀. ② 대명사가 어떤 명사를 대신하여 쓰일 때 그 명사를 선행사라 함.
③ 대명사는 선행사와 성과 수가 일치한다. 격은 자유롭다
blepw ton maqhthn kai didaskw auton.
④ 주격은 강조적으로 사용한다.(동사 자체에 주어가 있으므로)
⑤ 소유를 표현할 때에는 보통형. o& logo" mou. - 나의 그 말
⑥ 전치사의 목적으로 보통 인칭대명사의 강조형을 사용. ap * emou - 나로부터
3) auto"의 특별용법
① 정관사+명사+auto" - (auto" 앞에 정관사가 없다) - 서술적 용법, 그 자신, 그 자체
- o& anhr auto", auto" o& anhr 그 남자 자신
② 정관사+auto"+명사 - (auto" 앞에 정관사가 있다) - 형용적 용법, 바로, 같은, 동일한
- o& auto" anhr, 그 동일한 남자, 바로 그 남자
③ 인칭대명사나 동사와 함께 쓰일 때에는 강조로 사용.
- auto" legei 그 자신이 말한다.
4) 소유형용사
emo", hv, ovn | 나의 | so", hv, ovn | 너의 |
i&dio", a, on | 그의, 그 자신의 | h&metero", a, on | 우리들의 |
u&metero", a, on | 너희들의 |
2. 재귀대명사
1인칭(myself) | 2인칭(yourself) | 3인칭(him-, her-, itself) | |||||
남 | 여 | 남 | 여 | 남 | 여 | 중 | |
S.G(단소) | emautou | m | seautou | m | e&autou | m | ou |
D( 여) | emautw/ | h/ | seautw/ | h/ | e&autw/ | h/ | w/ |
A( 목) | emauton | hn | seauton | hn | e&auton | hn | ov |
P.G(복소) | e&autwn | wn | e&autwn | wn | e&autwn | wn | w'n |
D( 여) | e&autoi" | ai" | e&autoi" | ai" | e&autoi" | ai" | oi'" |
A( 목) | e&autou" | a" | e&autou" | a" | e&autou" | a" | av |
1) em + autou === emauto", se + autou = seautou e + autou = e&autou
2) 주격은 auto"가 사용 3) 복수는 1, 2, 3 인칭이 모두 같다.
3. 지시대명사
남 | 여 | 중 | 1) 정관사와 같이 소유격, 여격, 목적격에 “t”가 들어 있다. 2) 밑줄친 부분은 발음상 그렇게 변한 것. | |
S.N(단소) | ou%to" | au@th | tou'to | |
G(단소) | touvtou | tauvth" | touvtou | |
D( 여) | touvtw/ | tauvth/ | touvtw/ | |
A( 목) | tou'ton | tauvthn | tou'to | |
P.N(복주) | ou%toi | au%tai | tau'ta | |
G( 소) | touvtwn | touvtwn | touvtwn | |
D( 여) | touvtoi" | tauvtai" | touvtoi" | |
A( 목) | touvtou" | tauvta" | ta'uta |
1. 서술적 - ou%to" o& logo" 이말씀은 2. 독립적 - ou%toi 이 남자들이
4. 관계대명사
남 | 여 | 중 | 1) 접속사 + 대명사 2) 선행사와 성, 수 일치 격은 관계절에 요구되는 격을 취함. 3) 관계대명사는 선사의 격에 끌리기도 한다. 이것은 선행사 소유격이나 여격이고 관계대명사가 관계절에서 동사의 목적어로 목적격이 될 때에 그렇다. 4) 관계대명사가 선행사를 포함하기도 한다. | |
S.N(단소) | o@" | h@ | o@ | |
G(단소) | ou% | h%" | ou% | |
D( 여) | w%/ | h%/ | w%/ | |
A( 목) | o@n | h@n | o@ | |
P.N(복주) | oi@ | ai@ | a@ | |
G( 소) | w%n | w%n | w%n | |
D( 여) | oi%" | ai%" | oi%" | |
A( 목) | ou@" | a@" | a@ |
5. 전치사 , 속격
1. 명사나 대명사의 기능과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 그 앞에 전치사를 붙인다.
apo + 소 ~로부터,ek + 소 ~로부터, 밖으로
en + 여 ~안에 ei" + 목 ~안으로
dia + 소 ~통하여 dia + 목 ~ 때문에
meta + 소 ~함께 meta + 목 ~후에
2. 모음으로 끝나는 전치사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서 그 모음이 탈락된다. ( &) 앞에서는 마지막 자음 p, t 가 f, q로 변한다. 또 모음 앞에서 k는 x로 변한다.
meta u&mwn → met * u&mwn → meq * u&mwn ek emou → ex emou
3. 전치사구 - 관사와 함께 형용사처럼 사용
1) 수식적 용법 → oi& maqhtai oi& en th/ ekklhsia
= oi& en th/ ekklhsia/ maqhtai 그 교회 안에 있는 제자들이
2) 독립적 용법 → oi& en th/ ekklhsia/ 그 교회 안에 있는 사람들(남자들)
4. 속격의 용법
1) 수식적 용법 → o& anqrwpo" o& tou kuriou 그 주님의 사람, 그 주님께 속한 사람
2) 독립적 용법 → o& tou kuriou 그 주님의 사람, 제자, o& tou Zebedaiou 세베대의 아들
6. 동사변화(Ⅰ)
1. 개요 - 동사는 시, 태, 법, 인칭, 수의 변화를 갖는다.
1) 법
직설법 - 단순한 사실이나 진술 또는 질문을 나타내는 확실성의 법
가정법 - 비실재적인 것을 추측하는 개연성의 법
희구법 - 실재성을 기대하거나 소원하는 가능성의 법
명령법 - 명령이나 간구를 나타내는 의지의 법
부정사 - 동사적 명사
분 사 - 동사적 형용사
2) 태 - 주어와 동사의 동작관계를 설명
능동태 - 주어가 행동하는 경우
수동태 - 주어가 행위를 받는 경우
중간태 - 주어가 행동한 결과가 자기 자신에게 미치는 경우
3) 시제
(1) 1 시상 - 현재, 현재완료, 미래, 미래완료
(2) 2 시상 - 미완료과거, 부정과거, 과거완료
- 현재 : 주로 현재의 진행이나 반복, 계속 등을 나타내는 선적인 시상
- 미래 : 앞으로 일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사건, 미래의 진행 또는 계속될 동작이나 상태를 말하는 시상
- 현재완료 : 어떤 동작이 과거에 이미 완료되었으나 그 결과가 현재에 남아있는 시상
- 미래완료 : 신약에는 없다
- 미완료과거 : 동작이나 행위가 과거에 완료되지 않는 사건, 과거진행
- 부정과거 : 동작의 단순발생만 의미. 그 동작이 현재에 미치는 결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시상.
- 과거완료 : 과거시점 그 이전에 일어난 동작이 과거의 그 시점에 완료, 결과가 남아있는 시상.
※ 동작의 성격에 따른 구분
1) 동작의 계속이나 반복의 개념 - 현재에서는 현재, 과거에서는 미완료 과거, 미래에서는 미래
- 직설법 이외에서는 시간 개념이없어지고 행동의 계속이나 반복을 강조
2) 동작의 완료 - 과거에서는 과거완료, 현재에서는 현재완료, 미래에서는 미래완료시상
- 동작의 결과가 꼭 언급되어 있어야 한다.
3) 不定的인 동작 - 부정과거, 단순한 동작의 발생만을 의미, 그 동작의 현재 결과에 대하여는 하등의 언급도 아니하는 경우에 쓰이는 시상. 직설법 이외에서는 시간개념없이 단순한 동작의 발생만 의미
2. 어미의 변화
1) 1 시상 - 현재, 현.완, 미래, 미.완 | 2) 2 시상 - 미완료과거, 부정과거, 과.완 | |||||||||
능동태 | 수동태(중간태) | 능동태 | 수동태(중간태) | |||||||
인칭 | 단 | 복 | 단 | 복 | 인칭 | 단 | 복 | 단 | 복 | |
1 2 3 | w ei" ei | omen ete ousi | omai h/ etai | omeqa esqe ontai | 1 2 3 | on e" e | omen ete on | omhn ou eto | omeqa esqe onto |
제 2시상에는 접두모음이 붙는다. 자음에서는 e 가, 모음은 장음화 시킨다.
3) 시상 접미어
미래 능동태(중간태) - s 미래수동태 - qhs
부정과거 능동태(중간태) - sa 부정과거수동태 - qh
※ 접두모음이 없으면 1시상, 있으면 2시상,
1시상일 경우는 현재와 미래로 나눌 수 있는데, 시상접미어 s나 qhs 가 있으면 미래, 없으면 현재이다. 2시상일 경우는 미완료과거와 부정과거로 나눌 수 있는데, 부정과거 일때에는 시상접미어 sa나 qh가 있다.
4) 동사변화(Ⅰ) 변화표
1 시상 | 2시상 | |||||||
현재 | 미래 | 미완료 | 부정과거 | |||||
단 | 복 | 단 | 복 | 단 | 복 | 단 | 복 | |
능 | w ei" ei | omen ete ousi | sw sei" sei | somen sete sousi | on e" e | omen ete on | sa sa" se | samen sate san |
중 | omai h/ etai | omeqa esqe ontai | somai sh/ setai | someqa sesqe sontai | omhn ou eto | omeqa esqe onto | samhn sw sato | sameqa sasqe santo |
수 | qhsomai qhsh/ qhsetai | qhsomeqa qhsesqe qhsontai | qhn qh" qh | qhmen qhte qhsan |
※ 주의점
1) 디포넌트 동사 - 모양은 수동태나 중간태인데, 뜻은 능동태인 동사.
ercomai - 가다, 오다 poreuomai - 가다 arcomai - 시작하다
ginomai - 되다, 존재하다. apokrinomai - 대답하다 decomai - 받다, 영접하다.
2) 합성동사 - 전치사 + 동사 =→ 의미는 그대로, 강조적으로 발전, 혹은 전혀 다른 뜻
eisercomai - 들어가다. epiginwskw - 철저히 알다. apokrivnomai - 대답하다
3) 미완료에서 접두모음 붙이는 법
① 자음으로 시작하는 동사는 e를, 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는 장음화시킨다.
a, e → h o → w
luw(현) → eluon(미완료) akouw → hkouon egeirw → hgeiron
airw → hiron → h/ron ercomai → hrcomhn (디포넌트) 나는 가고 있었다.
② 합성동사의 접두모음은 전치사와 동사 사이에 들어간다.
prosferw → proseferon ekballw → ekeballon → exeballon
4) 미래에서 시상접미어 붙이는 법
① s 앞 다음 자음이 올 때
p, b, f + s → y k, g, c + s → x t, d, q, z + s → s 앞에서 탈락
② qhs 앞에 자음이 올 때
p, b, f + q → fq k, g, c + q → cq t, d, q, z + q → sq
③ 미래는 불규칙형이 많다. 이것은 암기
bainw(가다)→bhsomai(디포), ginomai(되다)→genhsomai, ginwskw(알다)→gnwsomai
ercomai(가다)→eleusomai, lambanw→lhmyomai(디포), blepw, o&raw →oyomai
④ 미래수동태에서 자주 쓰이는 동사
akouw(듣다)→akousqhsomai(들려질 것이다), ballw(던지다)→blhqhsomai
ekeirw(일으키다)→egerqhsomai(일으켜질 것이다), kalew(부르다)→klhqhsomai
lambanw(취하다)→lhmfqhsomai, o&raw(보다)→ofqhsomai
5) 부정과거 - 규칙(제1부정과거), 불규칙(제2부정과거)
① 제1부정과거는 어미가 변한다
pisteuw(믿다)→episteusa qerateuw(치료하다)→eqerapeusa
kataluw(파괴하다)→katelusa grafw(쓰다)→egrafsa→egraya
diwkw(박해하다)→ediwksa→ediwxa swzw(구원하다)→eswzsa→eswsa
aitew(구하다)→eaitesa→hitesa→h/tesa agapaw(사랑하다)→hgaphsa
khrussw(전파하.다)→ekhruxa kalew(부르다)→ekalesa
qelw(원하다)→eqelhsa anoigw(열다)→anew/xa
② 제2부정과거는 어간이 변하고, 어미는 미완료의 변화를 따른다.
현재 | 어근 | 2과, 능 | 비고 |
ballw | bal- | ebalon | |
blepw(o&raw) | id- | eidon | |
givnomai | gen- | egenomhn | 디포 |
ercomai | elq- | hlqon | |
lambanw | lab- | elabon | |
leipw | lip- | elipon | |
legw | eip- | eipon | 불규칙 |
piptw | pes | epeson |
③ 과거 수동태 - 제1부정과거는 능동태, 수동태 어미가 같으나 제2부정과거는 다르다.
ballw의 능동태 어미는 bal-, 수동태 어미는 blh-, 능동태는 ebalon, 수동태는 eblhqhn
현재 | 수동태 | 능동태 | 비고 |
swzw | eswqhn | eswsa | 1부정과거 |
pempw | epemfqhn | epemya | 1 |
peiqw | epeisqhn | epeisa | 1 |
lambanw | elhmfqhn | elabon | 2부정과거 |
blepw | wfqhn | eidon | 2 |
④ 제2부정과거 수동태 - 1, 2 부정과거는 모두 수동태에 qh가 들어 있다. 그러므로 능동태처럼 1, 2를 구분하지 않지 않고 부정과거 수동태라고 한다. 그러나 qh에서 q가 빠진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를 제2부정과거 수동태라고 한다.
fainw(나타내다)→efanhn(나타내졌다)speirw(씨를 뿌리다)→esparhn(뿌려졌다)
stellw(보내다)→estalhn(보내졌다)trefw(기르다)→etrafhn(길러졌다)
cairw(기뻐하다)→ecarhn(기뻐해졌다) ※ 어간이 e, ei, ai 등의 경우에는 a로 변한다.
⑤ 부정과거의 요약
현재 | 부정과거 능동태 | 부정과거 수동태 | ||
1과. 능 | 2과 능 | 과.수 | 2과. 수 | |
luw ballw grafw | elusa(능동태 어간) egraya | ebalon(능동태어근) | eluqhn(수동태어간) eblhqhn(수동태어근) | egrafhn |
luw의 경우 능동태, 수동태 어간이 같으나 불규칙 동사 ballw는 능동태, 수동태 어근이 다르다.
7. 명사변화(Ⅱ) - 제3변화 명사
① 기본어미 변화
남, 여 | 중 | 1) 제3변화 명사는 단수 주격과 소유격을 함께 기억. 2) 사전표기법 cari", carito", h&, 은혜 3) cari"의 어간은 carit carit+">carit">cari", carito", cariti, caritn>carin →t와n 자음이 부딪치므로 t가 탈락. carite", caritwn, caritsi→carisi, carita" | ||
단j수 | 주 소 여 목 | ", - o", ew" i a, n | - o" i - | |
복 수 | 주 소 여 목 | e", ei" wn si a" | a wn si a |
② 변화표
단어 격 | cari"(여, 은혜) (carit-) | elpi"(여, 소망) (elpid-) | nux(여, 밤) (nukt-) | arcwn(남, 관원) (arcont-) |
S.N G D A | cari" carito" cariti carin | elpi" elpido" elpidi elpida | nux nukto" nukti nukta | arcwn arconto" arconti arconta" |
P.N G D A | carite" caritwn carisi carita" | elpide" elpidwn elpisi elpida" | nukte" nuktwn nuxi nukta" | arconte" arcontwn arcousi arconta" |
③ 중성변화
swma(중, 신체) (swmat-) | ovnoma(중, 이름) (onomat-) | |
S.N G D A | swma swmato" swmati swma | onoma onomato" onomati onoma |
P.N G D A | swmata swmatwn swmasi swmata | onomata onomatwn onomasi onomata |
④ 의문대명사와 부정대명사 ( ti", ti )
★ 의문대명사 → who, which, what? 부정대명사 → someone, something a certain
남. 여 | 중 | |
S.N G D A | tiv" tivno" tivni tivna | tiv tivno" tivni tiv |
P.N G D A | tivne" tivnwn tivsi tivna" | tivna tivwn tivsi tivna |
남. 여 | 중 | |
S.N G D A | ti" tinov" tiniv tinav | ti tinov" tiniv ti |
P.N G D A | tinev" tinw'n tisiv tinav" | tinav tiw'n tisiv tinav |
★ 용법
1) 의문대명사는 의문문에, 부정대명사는 정해지지 않은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① tiv" ei ; 너는 누구냐
② tiv" estin o& anqrwpo" ou%to" ; 이사람은 누구냐
③ tiv poihsw ; 내가 무엇을 할까요
④ eipen ti" autw/ ; 어떤 사람이 그에게 말했다.
2) 의문형용사, 부정형용사로도 사용된다.
① tivna karpon ecete ; 어떤 열매를 너희들은 가지고 있느냐
② anqrwpo" ti". 어떤 사람
③ “ti”(의문대명사, 중, 단, 대)는 “왜, 어찌하여”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ti ouk episteusate autw/ ; 왜 너희들은 그를 믿지 않았느냐
④ 간접질문은 직접질문의 법과 시상을 그대로 쓴다.
tiv" ei; 너는 누구냐 → hrwthsen auton tiv" estin. 그는 그에게 그가 누구인지를 물었다.
pou menei"; 너는 어디에 머물고 있느냐
→ eipon autoi" pou menei. 그는 그들에게 그가 어디에서 머물고 있느냐고 말했다.
8. 분사
1) 변화표 (1) 현재
능동태. 분사(현, 능, 분) |
수동태 분사(현, 수, 분) | ||||||
남 |
여 |
중 |
남 |
여 |
중 | ||
단주 |
wn |
ousa |
lu'on |
단주 |
omeno" |
omenh |
omenon |
소 |
onto" |
oush" |
onto" |
소 |
ou |
h" |
ou |
여 |
onti |
oush/ |
onti |
여 |
w/ |
h/ |
w/ |
목 |
onta |
ousan |
lu'on |
목 |
on |
hn |
on |
복주 |
onte" |
ousai |
onta |
복주 |
oi |
ai |
a |
소 |
ontwn |
ouswn |
ontwn |
소 |
wn |
wn |
wn |
여 |
ousi |
ousai" |
ousi |
여 |
oi" |
ai" |
oi" |
목 |
onta" |
ousa" |
onta |
목 |
ou" |
a" |
a |
(2) 부정과거
제 1 부정과거. 능동태, 분사(어간lu-) |
제 1 부정과거, 중간태, 분사(lu-) | ||||||
남 |
여 |
중 |
남 |
여 |
중 | ||
단주 |
sa" |
sasa |
san |
단주 |
sameno" |
samenh |
samenon |
소 |
santo" |
sash" |
santo" |
소 |
ou |
h" |
ou |
여 |
santi |
sash/ |
santi |
여 |
w/ |
h/ |
w/ |
목 |
santa |
sasan |
san |
목 |
on |
hn |
on |
복주 |
sante" |
sasai |
santa |
복주 |
oi |
ai |
a |
소 |
santwn |
saswn |
santwn |
소 |
wn |
wn |
wn |
여 |
sasi |
sasai" |
sasi |
여 |
oi" |
ai" |
oi" |
목 |
santa" |
sasa" |
santa |
목 |
ou" |
a" |
a |
제 2 부정과거. 능동태, 분사 |
제 2 부정과거, 중간태, 분사 | ||||||
남 |
여 |
중 |
남 |
여 |
중 | ||
단주 |
idwn |
idousa |
idon |
단주 |
idomeno" |
idomenh |
idomenon |
소 |
idonto" |
idoush" |
idonto" |
소 |
ou |
h" |
ou |
여 |
idonti |
idoush/ |
idonti |
여 |
w/ |
h/ |
w/ |
목 |
idonta |
isousan |
idon |
목 |
on |
hn |
on |
복주 |
idonte" |
idousai |
idonta |
복주 |
oi |
ai |
a |
소 |
idontwn |
idouswn |
idontwn |
소 |
wn |
wn |
wn |
여 |
idousi |
idousai" |
idousi |
여 |
oi" |
ai" |
oi" |
목 |
idonta" |
idousa" |
idonta |
목 |
ou" |
a" |
a |
어미는 현재, 능동태, 수동태, 분사와 같다. 어간이 제 2 부정과거 어간. |
※ 부정과거 수동태 분사
규칙동사(luw) |
불규칙 동사(blepw) | ||||||
남 |
여 |
중 |
남 |
여 |
중 | ||
단주 |
qei" |
qeisa |
qen |
단주 |
ofqei" |
ofqeisa |
ofqen |
소 |
qento" |
h" |
qento" |
소 |
ofqento" |
h" |
ofqento" |
여 |
qenti |
h/ |
qenti |
여 |
qenti |
h/ |
ofqenti |
목 |
qenta |
an |
qen |
목 |
qenta |
an |
ofqen |
복주 |
qente" |
ai |
qenta |
복주 |
ofqente" |
ai |
ofqenta |
소 |
qentwn |
wn |
qentwn |
소 |
qentwn |
wn |
ofqentwn |
여 |
qeisi |
ai" |
qeisi |
여 |
qeisi |
ai" |
qeisi |
목 |
qenta" |
a" |
qenta" |
목 |
qenta" |
a" |
qenta |
규칙동사의 어근은 lu-, 불규칙동사의 어근은 of-. qei", qeisa, qen 붙임. qe가 부정과거 수동태분사의 시상접미어, 직설법에서는 qh |
※ 제 2 부정과거 수동태 분사
직설법과 마찬가지로 qe가 들어가 있는 수동태분사는 1, 2 구별없이 모두 부정과거 수동태라고 한다. 그러나 q가 빠진 경우를 제2부정과거수동태분사라고 한다.
남 |
여 |
중 | |
단주 |
grafei" |
grafeisa |
grafen |
소 |
grafento" |
h" |
grafento" |
여 |
grafenti |
h/ |
grafenti |
목 |
grafenta |
an |
grafen |
복주 |
grafente" |
ai |
grafenta |
소 |
grafentwn |
wn |
grafentwn |
여 |
grafeisi |
ai" |
grafeisi |
목 |
grafenta" |
a" |
grafenta" |
※ 연습문제 - 다음을 분해하시오.
예제:agonte" - 현, 능, 분, 남, 복, 주
baptizonta |
blhqentwn |
||
mentonta" |
khrucqen |
||
pisteuoush/ |
onte" |
||
sw'zon |
egeironto" |
||
didaskomenoi |
egeronto" |
||
grafomena |
elqonti |
||
poreuomenoi" |
agagonta" |
||
swsanto" |
genomeno" |
||
diwxante" |
egerqeisi |
||
labonta |
poreuqei" |
||
idousai |
dexamena" |
2) 분사의 시상 - 주동사의 시간과 관련
․현재분사 - 주동사와 같은 시간에 일어난 동작.
“~하면서, ~할때에, ~하는”으로 해석.
․과거분사 - 주동사보다 시간적으로 앞선 동작.
“~한 후에, ~하고나서, ~했던”으로 해석.
3) 분사의 용법 - 형용사와 동일. 형용적, 서술적, 독립적
(1) 형용적 용법 - 분사 앞에 관사가 있음
① o& legwn tauta apostolo" = o& apostolo" o& legwn tauta.
이것들을 말하고 있는 사도
② o& legwn thn alhqeian apostolo" blepei tou" a&giou".
그진리를 말하고 있는 사도가 그 성도들을 보고 있다.
③ eidon tou" apostolou" legonta" tauta.
나는 이것들을 말하고 있는 그 사도들을 보았다.
④ ai& ekklhsiai ai& diwkomenai u&po twn arcontwn pisteuousin ei" ton kurion.
그 관원들에 의해 박해받고 있는 그 교회들이 주님을 믿고 있다.
⑤ o& maqhth" o& akousa" tauta en tw/ i&erw/ hlqen ei" ton oikon.
성전 안에서도 이것들을 들었던 그 제자들이 그 집으로 들어갔다.
(2) 서술적 용법 - 분사 앞에 관사가 없다. 분사구문이라고 한다.
o& apostolo" legwn (eipwn)tauta blepei ton kurion.
그 사도가 이것들을 말하면서 (말한 후에)그 주님을 본다.
☞ o& apostolo" legei tauta. + o& apostolo" blepei ton kurion.
분사문장 주문장(blepei는 주동사)
☞ o& apostolo"는 legwn과 blepei의 주어.
※ 분사구문(서술적 용법)에서 중요한 두 가지 사항 ※
A. 분사구문에서 분사의 주어를 찾는 방법.
(1) 분사와 동일한 성, 수, 격을 갖는 명사, 대명사가 분사의 주어가 되는 경우.
① blepomen ton apostolon legonta (eiponta)tauta en tw/ i&erw/.
그 사도가 그 성전 안에서 이것들을 말하고 있을 때(말한 후에)우리는 그 사도를 본다.
cf)blepomen ton apostolon legonte"(eiponte")tauta en tw/ i&erw/.
우리가 그 성전안에서 이것들을 말하고 있을 때(말한 후에), 그 사도를 본다.
② proshlqomen tw/ apostolw/ legonti(eiponti)tauta en tw/ i&erw/.
그 사도가 그 성전 안에서 이것들을 말하고 있을 때,(말한 후에)그사도에게 나아갔다.
③ didaskomenw/ u&po tou apostolou proshlqon autw/ oi& douloi.
그가 그 사도에 의해 가르침을 받고 있을 때, 그종들이 그에게 나아갔다.
④ legwn tauta aphlqen. 이것들을 말하면서 그는 가버렸다.
eipwn tauta aphlqen. 이것들을 말한 후에 그는 가버렸다.
⑤ ekblhqenta ta daimonia u&po tou kuriou aphlqen ei" thn qalassan.
그 귀신들이 주님에 의해 쫓김을 받은 후에 그들이 그 호수 안으로 들어갔다.
⑥ egerqenti ek nekrwn proshlqon autw/.
그가 죽은자들로부터 일으킴을 받은 후 그들은 그에게 나아갔다.
(2) 분사의 주어로서 명사나 대명사의 속격을 사용하는 경우.(분사도 속격의 형태로 나온다.) 이때 분사문장은 주문장과는 하등의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이와 같은 문장을 속격독립구문이라고 한다.
① legonto" autou tauta oi& maqhtai aphlqon.
그가 이것들을 말하고 있을 때 그 제자들이 가버렸다.
② eipontwn tauta twn apostolwn oi& maqhtai aphlqon.
그 사도들이 이것들을 말한 후에 그 제자들이 가버렸다.
③ twn maqhtwn didacqentwn u&po tou kuriou exhlqon ei" thn erhmon oi&& douloi.
그 제자들이 주님에 의해 가르침을 받은 후 그 종들이 그 광야로 나갔다.
B. 분사의 부사적 용법
분사가 서술적 용법으로 쓰일 때 분사문장은 대개 부사의 역할을 한다. 이때 분사는 문맥에 따라 앞서 말한 시간(~때, ~하면서, ~후에)외에도 이유,(~ 때문에), 조건(~한다면), 양보(~할지라도), 수단, 목적, 결과, 방법, 태도, 명령, 부대상황 등의 의미.
① tuflo" wn ou blepei thn basileian qeou. - 이유
그는 소경이기 때문에 그는 하나님의 나라를 보지 못한다.
② idwmen ei ercetai Hleia" swswn auton. - 목적
idwmen은 o&raw(내가 보다)의 현, 능, 가, 1, 복, 권고의 가정법, 1인칭 복수는 권고할 때 쓰임.
엘리야가 그를구원하기 위하여 오는 지 보자
③ apokteinomenoi u&po tou ponhrou khruxomen to euaggelion.
그 악한 자에 의해 죽임을 당할지라도 우리는 그 복음을 전할 것이다.
C. 독립분사구문 - 분사가 관사만 가지고 독립적으로 쓰임
① o& posteuwn - 그 믿고 있는 남자 h& pisteuousa - 그 믿고 있는 여자
② o& pisteusa" - 그 믿었던 남자 h& pisteusasa - 그 믿었던 여자
③ o& pisteuwn ei" ton egeironta tou" nekrou" swzetai.
그 죽은 자들을 일으킨 자를 믿는 사람은 구원을 받는다.
④ o& adelfo" th" legoush" tauta doulo" estin.
이것들을 말하고 있는 그 여자의 그 형제는 종이다.
⑤ to swzon tou" anqrwpou" to qelhma tou qeou estin.
그 사람들을 구원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다.
⑥ ta blepomena ou menei ei" ton aiwna.
보여지고 있는 것들이 영원히 머물지는 않는다. 존재하지는 않는다.
⑦ o& akousa" tauta aphlqen.
이것들을 들었던 사람은 가버렸다.
⑧ eidon tou" eiponta" tauta.
그들은 이것들을 말했던 자들을 보았다.
※ 다음을 해석하시오.
oi& |
aggeloi |
oi& |
pesonte" ∣ |
ek |
tou |
ouranou ∣ |
ponhroi ∣ |
hsan. | |
남 복 주. pesonte"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분사. 분사앞에 관사가 있으므로 형용적 용법. piptw 떨어지다 의 2부과. 능. 분. 남. 복. 주 그 떨어진 천사들이 |
ek + 소 = ~로부터 그 하늘로부터
|
형용사 - 악한 형용사 앞에 관사가 없으므로 서술적 용법. 악하다 |
eimi동사의 미완료 3인칭 복수. 였었다. 했었다. |
해석 : 그 하늘로부터 떨어진 그 천사들은 악했었다.
1. au&th estin h& ekklhsia h& pisteuousa ei" ton kurion.
☞ pisteuousa 는 pisteuw 믿다. 신뢰하다.의 현, 능, 분, 여, 단, 주
2. ou&to" estin o& arto" o& ek tou ouranou katabainwn.
3. zwn gar o& logo" qeou. (히 4:12) zaw 살다.
9. 동사변화(Ⅱ) - 가정법, 부정사, 명령법, 완료시상,
1. 가정법 - 비실재적인 것을 추측하는 개연성의 법으로 명령, 권면, 협의, 소원, 목적, 금지, 강한부정, 미확정 등을 표현한다. 현재, 부정과거만 다룸.
1) 변화표
구분 |
현재 |
제1부정과거 |
제2부정과거 |
eimi 현재 | |||||||||
능동태 |
중=수 |
능동태 |
중간태 |
수동태 |
능동태 |
중간태 |
수동태 | ||||||
단 |
1 2 3 |
w h/" h/ |
wmai h/ htai |
lusw sh/" sh/ |
swmai sh/ shtai |
qw qh/" qh/ |
w h/" h/ |
wmai h/ htai |
qw qh//" qh/ |
w' h//'" h/' | |||
복 |
1 2 3 |
wmen hte wsi |
wmeqa hsqe wntai |
swmen shte swsi |
swmeqa shsqe swntai |
qwmen qhte qwsi |
wmen hte wsi |
wmeqa hsqe wntai |
qwmen qhte qwsi |
w'men h'te w'si | |||
능동태는 eimi의 어미와 같다. 현능직의 어미의 모음을 장음화. |
능(중) - s+현,능(중),가. 수 - q+현,능,가 |
능,중간태는 현, 능(중),가와 수동태는 1aor. 수.가와 같다. 어근이 변함. |
2) 시상
가정법에서의 시상은 시간이 아니라 동작의 방식을 표현한다. 부정과거 가정법은 동작자체, 일회적 동작을, 현재가정법은 동작의 반복, 계속, 진행을 나타낸다.
i&na luvw - 풀기 위하여(내가 계속하여 풀기 위하여)
i&na luvsw - 풀기 위하여(내가 1회적으로 풀기 위하여)
pisteuwmen ei" auton - 우리가 그분을 (계속해서) 믿읍시다.
pisteuswmen ei" auton - 우리가 그분을 (지금, 1회적) 믿읍시다.
3) 용법
① 권고 - 가정법 1인칭 복수
pisteuswmen ei" ton kurion. - 우리가 주님을 (지금, 1회적) 믿읍시다.
agaphtoi, agapwmen allhlou". -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합시다.
② 목적 - i&na(w&po", w&")+ 가정법
ercomeqa i&na idwmen auton. - 우리가 그를 보기 위해 온다.
pisteuomen i&na mh a&martanwmen. - 우리가 죄짓지 않기 위해서 믿는다.
③ 미래조건문⇒ ean+가정법. 현재조건문⇒ ei+직설법현재. 과거조건문⇒ei+직설법과거
ean eiselqwmen ei" ton oikon oyomeqa ton kurion. (미래조건)
우리가 만약 그 집으로 들어간다면 우리는 주님을 볼 것이다.
ei didaskete tou" adelfou" pistoi este didaskaloi. (현재조건)
만일 너희가 그 형제들을 가르친다면, 너희들은 신실한 교사이다.
ei eidete tauta en tai" h&merai" kakai", oyesqe ta auta
kai nun kai ton aiwna. (과거조건)
너희가 그 악한 날에 이것들을 보았다면, 너희들은 지금도 그리고 또 영원히 그것들을 볼 것이다.
④ 강한 부정의 가정법 ⇒ 2중부정 ou mh + 가정법
ou mh eiselqhte ei" thn basileian twn ouranwn.
너희들은 결코 하늘나라에 들어가지 못한다.
ton ercomenon pro" eme ou mh ekbalw exw.
내가 오는 자는 내가 결코 내어쫓지 아니하리라.
⑤ 금지 또는 부정적 소원의 가정법⇒가정법 부정과거 2인칭 - 사전에 주의할 경우, 동작을 시작할 때 이것을 금지시키는 경우에 사용.
mh labhte ta dwra. 그 선물들을 취하지 말라
⑥ 사실과 반대되는 조건문에는 ei+제2시상(미완료, 부정과거)의 직설법
ei+미완료과거 :계속적인 행동표시
ei+부정과거 :1회적 행동표시, ei+과거완료 :완료된 행동표시
kurie, ei h" w&de ouk an apeqanen o& adelfo" mou.
주여, 만약 당신이 여기(w&de) 계속 계셨다면, 나의 형제들가 죽지않았을 것입니다.
ei eti anqrwpou" hreskon, Cristou doulo" ouk an hmhn.
만약 내가 여전히 사람들을 기쁘게 한다면, 나는 그리스도의 종이 아니다.
⑦ e&w"(까지) 용법
e&w"+an+가정법 : 미래의 가상적 동작을 말할 때
e&w"+ou&+직설법 : 과거의 실제적인 사건을 말할 때
emeinen e&w" ou& hlqon. 내가 오기까지 그는 머물렀다.
meinate e&w" an elqw. 내가 오기까지 너희는 머물라.
2. 부정사(동사에서 전용된 명사) 동사적 특성과 명사적 특성을 가짐.
동사적 특성 - 주어, 목적어, 부사적 수식어를 가지며, 시상과 태의 변화가 있다.
명사적 특성 - 동사의 주어, 주격보어, 목적어 등으로 사용.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임. 또한 명사나 형용사를 수식하는 수식어 역할을 한다.
1) 변화표
구분 |
현재 |
부정과거 | |
1 |
2 | ||
능동 |
luein |
lusai |
lipei'n |
중간 |
luesqai |
lusasqai |
lipesqai |
수동 |
luqhnai |
grafhnai |
- eimi의 부정사는 einai.
- 현재시상은 동작의 반복, 계속의 뜻이 있고, 부정과거는 동작의 발생의 뜻.
- 부정사의 부정어는 mh.
2) 용법
(1) 부정사의 명사적 역할
① 동사의 주어로
kalon esti to apoqanein u&per twn adelfwn.
그 형제들을 위하여 죽는 것은 선한 일이다.
dei gar tauta genesqai prwton.
왜냐하면 이것들이 먼저 있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② 동사의 목적어
kurie, qelomen ton Ihsoun idein.
주여, 우리가 예수를 보기를 원하나이다.
③ 동사의 주격보어로
o& a&giasmo" u&mwn apecesqai apo th" porneia"
너희의 거룩은 음란으로부터 피하는 것이다.(떠나가는 것이다)
④ 동사의 목적격 보어로
h& adelfh mou monon me kateleipen diakonein.
나의 동생이 나 혼자 봉사하도록 내버려두고 있었다.
⑤ 전치사의 목적어로
ei" to + 부정사 ~위하여, ~하도록(목적). ei" to lusai 풀기 위하여
ei" to + 부정사 그결과 ~이다.(결과)
en tw// + 부정사 ~하는 동안, ~ 할 때
dia to + 부정사 ~ 때문에, ~으로 인하여
pro" to + 부정사 ~ 하기 위하여
pro tou + 부정사 ~ 하기 전에
meta to + 부정사 ~ 한 후에
prin (prin h&) + 부정사 ~ 하기 전에
⑥ 수식어로(명사, 형용사 수식)
exousian edexamhn ekballein ta kaka pneumata. (명사수식)
나는 그 악한 영을 쫓아내는 권세를 받았다.
ouk eimi i&kano" lusai. (형용사수식)
나는 풀기에 합당하지 않다.
(2) 동사적 역할
① 부정사는 주어를 가질 수 있다.(부정사의 주어는 목적격)
en tw/ didaskein u&ma".
내가 너희를 가르칠 때
meta to apoluqhnai ton oclon aphlqen o& kirio".
그군중이 해산된 후에 주님이 떠나셨다.
dia de to legesqai touto u&po twn oclwn aphlqen o& apostolo".
그러나 그 군중들에 의해서 이것이 말해지고 있기 때문에 그 사도는 가버렸다.
tauta de eipon u&min ei" to mh genesqai u&ma" doulou" th" a&martia".
그러나 너희가 죄의 종들이 되지 않토록 이것들을 말했다.
② 부정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있다.
qelw idein u&ma", i&na labhte dwron agaqon, ei" to genesqai u&ma" maqhta" pistou".
나는 너희들을 보기를 원한다. 좋은 선물을 취하도록, 그래서 너희가 신실한 제자들이 되도록.
③ 부정사는 부사적 수식어로 쓰인다.
kai hlqomen proskuhsai autw/. 그리고 우리는 그를 경배하기 위해서 왔다.(목적)
egw episteusa ei" ton kurion tou gnwsai thn alhqeian.(결과)
나 자신이 주님을 믿었다. (그리고 그 결과) 진리를 알았다.
☞ 부정사 또는 tou + 부정사는 문맥에 따라 목적 또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 w&ste+부정사는 결과를 나타낸다.
ege episteusa ei" ton kurion w&ste me swqhnai.
나 자신은 주님을 믿었다. 그 결과 나는 구원받았다.
eqerapeusen autou" w&ste ton oclon qaumasai.
그가 그들을 고쳐주었다. 그 결과 그 군중들이 놀랐다.
3) 부정사는 간접화법을 나타낼 때가 있다.
legousi se ei'nai profhthn. 그들은 당신이 한 선지자라고 말한다.
legousi ton ui&on tou anqrwpou einai Ihsoun Criston.
그들은 인자가 예수 그리스도라고 말한다.
10. 명령법
1) 변화표
구분 |
현재 |
부정과거 |
제2부정과거 |
eimi 현재 | |||||||||
능동태 |
중=수 |
능동태 |
중간태 |
수동태 |
능동태 |
중간태 |
수동태 | ||||||
2 |
단 |
w |
ou |
son |
sai |
qhti |
e |
ou |
fhti |
i&sqi | |||
복 |
ete |
esqe |
sate |
sasqe |
qhte |
ete |
esqe |
fhte |
este | ||||
3 |
단 |
evtw |
evsqw |
satw |
sasqw |
qhtw |
etw |
esqw |
fhtw |
estw | |||
복 |
evtwsan |
evvsqwsan |
satwsan |
sasqwsan |
qhtwsan |
etwsan |
esqwsan |
fhtwsan |
estwsan | ||||
현재어간에서 형성 |
능.중 - 부정과거 어간 수동 - 부정과거 수동태 어간 직설법×, 접두모음이 없다. |
능.중-2aor어간에 현명어미 수-1aor에서 q만 없다 |
2) 시상 ⇒ 현재명령법 - 반복, 계속, 진행. ⇒ 부정과거 명령법 - 동작의 발생.
lu'e 네가 풀어라 (계속)
lu'son 네가 풀어라. (순간적인 동작)
3) 용법
① 명령
agapate tou" ecqrou" u&mwn. 너희 형제들을 사랑하라.
o& ecwn wta akouetw. 귀 있는 자는 들어라
② 간구
pater a&gie, thrhson autou" en tw/ onomati sou.
거룩하신 아버지여, 당신의 이름으로 그들을 지키소서
③ 금지
mh + 명령법 현재, mh + 가정법 부정과거를 사용하여 금지.
가정법 부정과거는 동작의 시발을 금지, 명령법 현재형은 이미 시작하고 있는 동작을 계속금지.
mhketi a&martavne. 더 이상 죄짓지 말라 (계속지어온 죄를 중지하라)
mh auta grayh//". 그것들을 기록하지 말라.(기록하려는 동작의 시발을 금지)
④ 허락
ei o& apisto" cwrizetai, cwrizesqw.
믿지않는 자가 떠난다면 떠나게 허락하라.
⑤ 조건
lusate ton naon touton, kai en trisin h&merai" egerw' auton.
너희가 이 성전을 헌다면 사흘 안에 이것을 일으킬 것이다.
⑥ 양보
orgizesqe kai mh a&martanete. 너희가 화를 낼지라도 죄를 짓지 말라
⑦ 미래직설법이 명령의 의미로 사용되는 일이 많다.(금지의 경우 그렇다)
ou foneusei". 살인하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