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노에어(회개하다)와 에피스트레포(돌이키다)의 차이 분석

by 갈렙 posted Aug 27,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μετανοέωπιστρέφω의 차이 분석

 

이 두 단어의 관계는 **'내면의 변화'****'외면의 행동'**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μετανοέω (메타노에오): 내면의 변화 (Change of Mind)

  • 분석: '바꾸다'(μετά) + '마음, 생각'(νος)의 합성어입니다. 문자 그대로 **"마음을 바꾸다", "생각을 바꾸다"**라는 뜻입니다.
  • 뉘앙스: 이 단어는 죄에 대한 슬픔이나 후회를 넘어, 가치관과 세계관, 삶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내면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죄를 향하던 마음의 방향을 완전히 틀어 하나님을 향하도록 하는 정신적, 의지적 결단입니다. 이것은 회개의 보이지 않는 뿌리이자 핵심 동력입니다.

2. ἐπιστρέφω (에피스트레포): 외면의 변화 (Change of Direction)

  • 분석: '~를 향하여'(ἐπί) + '돌리다'(στρέφω)의 합성어입니다. 문자 그대로 **"~를 향하여 돌아서다"**라는 뜻입니다.
  • 뉘앙스: 이 단어는 μετανοέω를 통해 일어난 내면의 변화가 겉으로 드러나는 가시적이고 실제적인 행동을 강조합니다. 죄와 우상, 세상을 등지고 떠나, 하나님께로 삶의 발걸음을 실제로 옮기는 방향 전환의 그림입니다. 이것은 회개의 눈에 보이는 열매이자 증거입니다.

요약: 참된 회개는 μετανοέω(마음의 변화)로 시작하여 πιστρέφω(삶의 방향 전환)로 완성됩니다. 마음의 변화 없는 행동의 전환은 위선이며, 행동의 전환으로 이어지지 않는 마음의 변화는 미완성입니다.

 

직역 단어 제안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두 단어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번역할 것을 제안합니다.

  • (메타노에오): "회개하다"
  • 이유: 이 단어는 저희가 이미 원칙으로 정한 바 있습니다. 한국어 '회개(悔改)''뉘우치고() 고친다()'는 뜻으로, '마음을 바꾸는' 내면적 결단을 매우 잘 표현하는, 신학적으로 가장 정확하고 보편적인 번역어입니다.

πιστρέφω (에피스트레포): "돌아서다" / "돌아오다" / "돌아오게 하다"

  • 이유: '돌아서다' 또는 '돌아오다''방향 전환'이라는 이 단어의 핵심 그림을 가장 문자적으로 잘 보여줍니다. '회개하다'와 명확히 구분되면서도, 죄로부터 '돌아서서' 하나님께로 '돌아온다'는 회개의 전체 과정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제안:
  1. (능동/중간태): "돌아서다" (, 세상 등으로부터)
  1. (능동/중간태): "돌아오다" (하나님께로)
  2. (타동사): "돌아오게 하다" (다른 사람을)

번역 원칙 추가 제안

이 내용을 저희의 공식 원칙 목록에 다음과 같이 추가하고자 합니다.

  • πιστρέφω (에피스트레포) vs. μετανοέω (메타노에오):
  • :'회개하다' 로 번역하여 '내면의 마음 변화'를 나타낸다.
  • πιστρέφω:1: '돌아서다', 2: '돌아오다', 3: '돌아오게 하다' 로 번역하여 '외면의 방향 전환'을 나타낸다.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