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시대에 있었던 한국교회의 신사참배결의는 어떻게 해서 이루어졌는가?

by 갈렙 posted May 0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신사참배 결의와 반대 운동

 

 

일제는 3.1 운동이 지난 후에 무단정책에서 문화정책으로 전환하면서 어느 정도 언론의 자유와 비판의 자유를 주었지만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 전쟁을 일으키면서 한국교회를 일본적 기독교로 이끌고 가기 위해서 단행했던 것이 신사참배 강요였다.

 

 중일 전쟁을 일으켰던 일제는 한국에서 가장 저항 세력이 강한 장로교 총회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하였다. 감리교회는 양주삼 감독이 신사참배는 이본의 국민의식이기 때문에 모든 교회가 신사참배를 하도록 권유를 내렸다.

그러나 장로교회는 만만치 않았다. 그래서 일본기독교대회 대회장 도미다 목사가 서울과 평양을 왕래하면서 신사참배는 종교화 무관하며 일본의 국민 의식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평양에 있는 기독교회 대표자들은 일본인 오다나라찌(한국명 전영복) 목사를 총청하여 숭실대학 강당에서 일본 신사참배에 대한 강연을 듣고 이는 십계명을 어기는 처사라고 강력하게 한국교회가 반대해야 한다는 내용을 듣게 됐다. 이러한 강연을 들었지만 이미 평양노회에서는 신사 참배를 결의하자는 헌의안이 총회에 상정됐으며 지방 몇몇 노회에서도 상정해 놓고 있었다.


1938년 9월(제27회) 평양 서문밖 교회에서는 모이는 총회에 목사 86명 선교사 22명 장로 85명 계193명이 모인 가운데 이문주 총회장의 신앙생활의 3대요소 라는 제목으로 개회 설교를 하였다. 이어 총회 임원 투표가 실시되자 총회장에 홍택기 목사 부회장 김길창 목사 등이 당선됐다. 이날 총회는 개회 첫날부터 분위기가 이상하였다.

 

둘째날 오전에는 홍택기 총회장의 사회로 개회됐다. 일본인 평남 도지사 이시다가 축사를 하였으며, 이어서 일본 기독교회를 대표해서 아끼쯔기 미야다 목사 등이 축사를 하였다. 새로 선출된 홍택기 총회장은 평양 평서 안주 노회에서 상정한 신사챔배 결의 및 성명서 바표의 제안 건을 채용하기로 가결하였다.


“아등은 신사는 종교가 아니오 기독교의 교리에 위반하지 않는 본의를 이해하고 신사참배가 애국적국가의식임을 자각하며 도 이에 신사참배를 솔선 려행하여 추이 국민정신총동원에 참가하여 비사시국 하에서 총후 황국신민으로써 적성을 다하기로 함”

이러한 성명서를 책택할 때 선교사들은 강한 어조로 아니오 라고 반대의사를 표시했지만 옆자리에 앉아 있던 고등계 형사들의 제지로 그 뜻은 무산됐다.  
 
이때 선교사들은 전원퇴장을 하였으며 부회장 김길창 목사의 인솔로 각 노회 대표자들이 평양 신사에 가서 신사참배를 하고 다시 회무가 진행됐다. 이로서 제 27회 총회는 장로교 역사상 씻을 수 없는 오점을 남기고 말았다.

 

그러나 신사참배를 강력하게 반대 운동을 전개했던 일부 목사들을 사전에 예비검속 하는 등 철저하게 차단을 하였다. 이 무렵 4개 선교부에서 운영해 오던 장로회신학교는 졸업반 학생만 통신으로 교육을 시키고 졸업생 배출하였으며 선교사들은 신학교를 폐교하고 철수를 하였다. 이미 이러한 선교사들이 설립했던 대부분의 미션학교들은 신사참배를 강요하기 때문에 1년 전에 자진 폐교를 단행하였다.

 

평양노회가 신사참배에 앞장섰으며, 신사참배를 거부한 주기철 목사를 파면하고, 산정현교회를 폐쇄시키는 범죄를 저질렀다. 주기철 목사의 가족을 추방하고, 해방이후 까지도 유가족을 외면하고 박대했다 

 

여기에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들은 즉시 호남 지방에 있는 모든 노회와 단절하고 독자적으로 선교 운동을 전개했지만 일제의 감시로 더 이상 버틸 수 없어서 다른 선교 부의 선교사들과 함께 철수를 하였다. 비록 총회가 신사참배를 결의를 하였지만 끝까지 신사참배 반대 운동을 전개했던 이북에서는 주기철 목사를 비롯해서 많은 목사 장로들이 이남에서는 박연세 목사 등 많은 목사 장로들이 반대하다가 옥고를 치루었다. 옥에 끌려간 반대자들은 2천여 명이 넘었으며 이중 순교한 사람들도 50여명이나 됐다.
 

이 자료는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trength37&logNo=100055373174에서 발췌한 자료임.



[참고] '신사참배' 앞장선 친일목사들


신사참배 강요는 일제가 일어 상용, 창씨개명 등에 이어 황국신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한 것이다. 일본의 전래 민간신앙인 신도(神道)는 자연이나 조상, 영웅, 역대 천황 등 여러 신을 섬기는 다신(多神) 종교인데, 메이지시대 이후로 천황제와 함께 군국주의 침략정책의 이데올로기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1876년 개항과 더불어 일본의 정치·군사·경제·문화적 침략이 시작되면서 신도(神道)도 함께 한반도에 상륙했다. 한일병탄 이전에는 주로 조선에 거류 중인 일본인들에게 국한됐으나 이후 총독부가 신사(神社)를 세워 보급에 박차를 가하면서 서서히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1925년 총독부는 남산 중턱에 조선신궁을 건립하면서 사립학교 학생들을 시작으로 신사참배를 강요하였으나 기독교계의 반발로 일단 물러섰다.

그 때까지만 해도 기독교계는 신앙상의 이유로 신사참배를 거부하면서 총독부의 양해를 구하였다. 그러나 1935년 11월 평양 기독교계 사립학교장들의 신사참배 거부사건을 계기로 총독부가 강경책으로 나오자 기독교계는 용인파와 반대파로 분열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 무렵 신사참배를 거부한 일부 학교는 총독부에 의해 폐교되었으며 학교 문을 닫지 않은 학교들은 신사참배를 실시해야만 했다. 총독부는 어용 기독교 지도자들을 앞 세워서 ‘신사참배는 우상숭배가 아니라 국민의례이며 조상숭배의 미덕’이라고 강변하면서 반대자들을 핍박하였다.

총독부의 황국신민화정책에 따라 남산 중턱에 있던 조선신궁을 참배하는 학생들


이런 강압 분위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기독교계는 결국 총독부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1935년 12월 안식교단에서 신사참배를 결의하였고 뒤이어 성결교단도 이 대열에 합류하였다. 또 천주교는 1936년 5월 교황청의 훈령을 받고 신사참배를 시행하였다. 참고로 교황청 포교성은 1936년 5월 25일 “신사는 황실 존경과 애국용사 존경을 나타내는 애국심의 발로이며 자발적인 것”이라는 성명을 통해 신사참배를 용인했다.

한국교회의 장자 교단임을 자처해온 장로교는 1938년 9월 10일 평양 서문밖교회에서 제27회 총회를 열어 신사참배를 공식 결의했다. 이날 총회장 홍택기는 신사참배 반대자들을 감옥에 가두어 총회장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으며, 또 반대는 묻지도 않고 만장일치로 신사참배를 결의한 후 아래와 같은 내용의 성명서를 채택했다.

“우리들은 신사가 기독교시에 위반되지 않는 본지(本旨)를 이해하고 신사참배가 대국적으로 보아 국가의 의식인 것을 자각하고 이에 신사참배를 선서함. 신사참배를 솔선하여 이행하며 더 나아가 국민정신총동원운동에 참가하여 시국 하의 총후 황국신민으로서의 적성(赤誠)을 다하기를 기함.”

이날 부총회장 김길창(金吉昌) 목사는 23명의 노회장들을 데리고 평양신사에 가서 시범적으로 신사참배를 하였다. 또 같은 달 감리교도 총리사 양주삼(梁柱三)의 명의로 신사참배를 결의하였다. 이로써 조선내 모든 기독교 교단과 교파가 신사참배에 동참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신사참배 인식 운동'과 '신사참배 권유운동'을 적극 전개하였다.

신사참배를 결정한 조선예수교장로회 임원들. 앞줄 중앙이 홍택기, 그 오른쪽은 김길창 목사(출처-<한국교회 친일파 전통>)


1938년 12월 12일 감리교의 양주삼·김종우, 성결교의 이명식, 장로교의 홍택기·김길창 등 지도급 교역자 5명으로 구성된 ‘신궁참배단’은 일본으로 건너가 이세(伊勢)신궁 등을 참배하였으며, 일부 목사들은 부산 송도 앞바다에서 일본 천조대신(天照大神)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기도 했다. 또 장로교는 이듬해 1939년 제28회 총회에서 국민정신총동원조선예수교장로회연맹을 결성하였으며, 일본의 침략전쟁 전승 기도운동과 시국강연회·모금운동을 벌였으며, 헌금을 모아 '조선장로호'라는 비행기를 헌납하기도 했다.

1936년 조선 전역에 ‘1면(面) 1신사(神社)’ 정책을 시행하면서 총독부는 신사 건립에 박차를 가했다. 1945년 6월 현재 조선 내 신궁(神宮)은 2개소, 신사는 77개소, 면 단위에 건립된 소규모의 신사는 무려 1,062개소에 달했다. 이밖에도 각급학교에는 호안덴(奉安殿)을, 또 각 가정에는 가미다나(神棚)를 보급해 모든 조선인들이 집 안팎에서 아침저녁으로 참배토록 강제하였다. 이로써 신사참배에 동원된 인원은 조선신궁 참배자만도 1940년에 약 215만 9000명, 1942년에는 약 264만 8000명에 이르렀다.

한편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대해 모든 교역자들이 순응한 것은 아니었다. 더러는 총독부 당국자를 찾아가 청원운동’을 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굴복한 교회를 비판하면서 순교를 각오하고 신사참배 거부운동을 펴기도 했다. 주요인물로는 평남의 주기철, 평북의 이기선, 경남의 한상동·주남선, 전남의 손양원, 함남의 이계실 등이며, 만주 지역에서는 박의흠·김형락·김윤섭 등이 활약하였다.

일제는 이들을 치안유지법·보안법·불경죄 등을 적용하여 중죄인으로 다뤘는데 신사참배 거부로 인해 투옥된 이는 대략 2천여 명에 달했고, 주기철 목사 등 순교자만도 50여 명에 달했다. 이밖에 교회 2백여 곳이 폐쇄되기도 했다. 신사참배 거부운동은 기독교 신앙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일제의 황민화정책에 정면으로 맞서 싸웠다는 점에서 민족사적으로도 큰 의의를 갖고 있다.

신사참배는 기독교뿐 아니라 불교·천도교 등 다른 종교에도 적용됐었으나 상대적으로 마찰은 적었다. 반면 기독교는 교계 전체가 동참했던 만큼 갈등과 후유증이 컸다. 신사참배에 앞장섰던 일부 교계 지도자들은 해방 후 배척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기독교계는 신사참배에 동참한 사실에 대해 한동안 침묵하다가 한경직 목사의 참회 이후 몇몇 교단에서 뒤늦게 참회를 발표했다.

한경직 목사


영락교회 한경직(1902~2000) 목사는 1992년 6월 18일 템플턴상 수상 축하행사 때 인사말을 통해 "반세기 전에 지은 신사참배의 죄를 참회한다"고 회개한 바 있다. 또 2006년에는 소장파 목회자들이 결성한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가 “일제 강점기에 신사참배한 일과 독재정권 시절에 권력층과 야합해 정의를 뒤엎기도 한 죄악에 대해 마음을 찢으며 참회한다” 내용의 반성문을 발표한 바 있다.

교단 차원에서는 2006년 1월 기독교대한복음교회가 교단 중 처음으로 교단의 친일 행적을 사죄했다. 이어 2007년에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가 3·1절을 기념해 신사참배 행위에 대한 죄책고백 선언문을 발표했으며, 한국기독교장로회는 같은 해 9월 총회 때 신사참배 행위를 사과했다. 또 2009년 예장 합동과 통합, 기장, 합신 등 4개 장로교단은 교단 분열 60년 만에 처음 제주 연합예배로 모여 신사참배 참회기도를 드린 바 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