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강해(63) 노아의 세 아들들의 족보가 들려주는 인류역사의 이야기(창10:1~20)_2022-10-17(월)

by 갈렙 posted Oct 16,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o7qAdMHrVXs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63) 노아의 세 아들들의 족보가 들려주는 인류역사의 이야기(창10:1~20)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o7qAdMHrVXs

 

1. 노아의 홍수 이후 사람들은 어떻게 흩어져서 살게 되었는가?

  노아의 홍수 이후 사람들은 노아의 가족 이외에는 아무도 없었다. 노아의 홍수 때에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 그러니가 약 70억의 인구가 함께 다 죽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노아는 홍수 이후에도 자식을 낳지 않고 살았다. 그러므로 온 인류는 홍수 이전에 낳았던 세 명의 자식들 곧 셈과 함과 야벳에 의해서 퍼져나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전 인류는 셈 족속과 함 족속 그리고 야벳 족속의 후예들인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동이족)은 셈 족속으로서 욕단족의 후예라고 알려져 있다. 창세기 10장에는 이러한 족속의 수가 기록되어 있는데, 셈 족속에는 26개 족속이 있었고, 함 족속에는 30개의 족속이 있었다. 그리고 야벳 족속에는 14개의 족속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창10:1~32). 도합 70개의 족속이 있었던 것이다.  

 

2. 노아의 홍수 이후 70개의 족속은 어떤 족속으로 구별할 수 있는가?

  노아의 홍수 이후 셈과 함과 야벳에게서 나온 족속은 모두 70개의 족속으로서, 각기 전 세계 구석구석으로 퍼져 나갔다. 그럼, 70개 족속은 어떤 족속인가? 여기, 셈과 함과 야벳으로 인하여 지구상에 퍼져나간 모든 족속의 이름과 숫자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셈 족속(26개 족속) - 엘람, 앗수르, 아르박삿, 룻, 아람, 우스, 훌, 게델, 마스, 셀라, 에벨, 벨렉, 욕단, 알모닷, 셀렙, 하살마웻, 예라, 하도람, 우살, 디글라, 오발, 아비마엘, 스바, 오빌, 하윌라, 요밥

  둘째, 함 족속(30개 족속) - 구스, 미스라임, 붓, 가나안, 니므롯, 스바, 하윌라, 삽다, 라아마, 삽드가, 스바, 드단, 루딤, 아나밈, 루하빔, 납두힘, 바드루심, 기슬루힘, 갑도림, 시돈, 헷, 여부스, 아모리, 기르가스, 히위, 알기, 신, 아르왓, 스말, 하맛

  셋째, 야벳 족속(14 족속) - 고멜, 마곡, 마대, 야완, 두발, 메섹, 디라스, 아스그나스, 리밧, 도갈마, 엘리사, 달시스, 깃딤, 도다님

 

3. 노아의 세 아들들에 의하여 태어났던 70개 족속의 이름의 특징은 무엇인가?

  노아의 세 아들들에 대한 족속을 살펴보면, 몇 가지 특징들이 보인다. 그것은 두 가지다. 첫째, 오늘날의 세계 모든 족속(민족)이 다 노아 한 사람으로 인해 생겨났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모든 인류는 다 노아의 핏줄이자 후손이라고 보시면 된다. 둘째, 노아의 후손들의 이름은 세계의 족속(민족)의 이름과 도시의 이름 그리고 나라(국가)의 이름이 되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블레셋과 가나안 족속, 엘람족 등은 자기 족속(민족)의 이름이 되었다. 그리고 가사, 시돈, 달리스, 오빌 등은 도시(성읍)의 이름이 되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한 국가(나라)의 이름이 되기도 하였는데, 그러한 이름에는 구스(이디오피아), 미스라임(애굽), 붓(리디야),  앗수르, 아람 등이 있다. 

 

4. 노아의 70개의 족속들 가운데 가장 특이한 사람은 누구인가?

  노아의 70명의 족속들의 이름 가운데 가장 특이한 사람은 구스의 다섯째 아들인 '니므롯'이 아니겠나 싶다(창10:8~12). 왜냐하면 셈과 함과 야벳의 후예들은 각기 자기들이 살 곳을 정하여 거기에서 살았는데, 니므롯은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한 채 계속해서 성(도시)을 개척해 나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무려 7개의 큰 성읍을 개척했다. 그 성읍의 이름은 '니느웨, 르호보딜, 갈라, 바벨, 에렉, 앗갓, 갈레'다. 나중에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그중에 '니느웨'는 사람들 중에 처음으로 하나님에 대한 반역을 시도하여 하나님을 버리고 인간의 세상을 만든 장본인이었다. 그리고 '니므롯'은 한 곳에 정착해서 사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다른 곳을 개척해 나아갔다. 그래서 니므롯은 여러 성읍들을 얻게 되었는데, 모두가 다 피 튀기며 싸워서 쟁취한 성읍들이다. 또한 그가 개척할 땅을 보면, 그 땅의 대부분이 셈의 노른자위 땅들이었다는 것이다. 

 

5. 노아 후손들의 족보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교훈이 있다면 무엇인가?

  그렇다면 이러한 노아 후손들의 족보가 들려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그것은 여섯 가지다. 첫째, 모든 민족이 한 혈통에서 나왔다고 성경 기록이 아주 정확하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는 사실이다(행17:16). 둘째, 비록 타락된 본성을 가진 사람들이라 할지라도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생육하고 번성하고 땅에 충만하도록 복을 주셨다는 것이다(창9:1,7). 셋째, 노아의 자손들의 이름 자체가 도시(성읍)의 이름으로 쓰이거나 나라(국가)와 족속(민족)의 이름이 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악인들의 일부가 세상적으로 볼 때에는 하나님을 섬기고 사는 이들보다 더 번성할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인류 역사의 기록은 오직 메시야를 낳아 줄 민족 중심으로 기록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섯째, 마지막으로 최고의 권모와 술수를 자랑하던 불신자에 의해서 경건한 하나님의 자손들이 해를 입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2022년 10월 17일(월)

정병진목사


Articles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