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6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이스라엘 통합왕국(首都: 사마리아)은 사울(B.C1020~B.C1000), 다윗(B.C1000~B.C961), 솔로몬(B.C961~B.C922)까지이며, 이후 분열(分裂)왕국은 南유다(B.C922~B.C587, 335년간), 北이스라엘(B.C922~B.C721, 201년간)이다.

 

  분열 왕국의 역사는 히브리 성서 열왕기서의 나머지 부분(열왕기상 12:21∼열왕기하 25장)에 주로 나온다. 남유다 왕조의 20명의 왕들과 북이스라엘 왕조의 19명의 왕들, 총 39명의 왕(다윗과 솔로몬을 합치면 이스라엘의 왕은 총 41명이 된다.)에 관한 동시대의 역사를 교차적으로 쓰고 있다. 개별적인 왕들에 대한 보도는 일정한 표현과 형식들로 표준화하여 작성되어 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공시적 연대기를 사용하고 있다. 공시적 연대기란, 왕의 통치 기간 옆에 기록되는 연대가 '~왕 ~년' 또는 '~세에 왕이 된 ~' 등의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열왕기상 15:9, 25, 33 등).

이러한 역사 서술 방법은 고대 근동의 여러 나라들이 역사를 서술하는 방법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그들의 연대기와 비교하며 읽을 경우 이스라엘의 분열 왕국 시대의 연대기를 확정짓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남북의 통치 햇수 계산법은 서로 달라, 사실적인 연대 구분이 매우 어렵다. 북이스라엘의 경우, 봄, 니산월을 새해의 시작으로 보았고, 또 왕이 죽었을 때 그가 사망한 해를 그의 마지막 통치의 해로 계산하였다. 정상적으로 같은 해 새 왕이 즉위하면서 같은 해의 남은 기간을 첫 번 통치의 해로 계산하였다.

반대로, 남유다에서는 아시리아의 계산법을 따라 가을, 티슈리 월을 새해로 지켰으며, 새로운 계승자가 왕위에 올랐던 그 해의 나머지 기간을 햇수로 셈하지 않고, 그 왕이 만 1년을 다스리게 되는 해부터 계산에 넣었다.

둘째, 왕들의 행적과 진술(陳述)에 대한 평가는 왕의 치적이 얼마나 크고 중요하였는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왕이 예루살렘 성전 밖에서 수행되었던 예배를 허용하였느냐, 아니냐에 따라 철저히 내려졌다.

 

  이러한 신명기 사가의 신학은 기원전 7세기 남유다의 16대 요시야 왕에 의해 확정된 것으로써 모든 역사를 그러한 시각에서 평가하기 시작하면서 내려진 결과였다. 이러한 원칙에 따르면, 북이스라엘의 모든 왕들은 유죄 판결을 받게 된다. 신명기 사가는 북이스라엘에 대한 기록에 불과 140여 절밖에 할애하지 않았으며, 이는 솔로몬의 40년 통치에만 162절을 할애한 것과 비교되는 것이다. 그 밖에 남유다의 왕들 중에서도 상당수가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13대 히스기야와 16대 요시야 왕만은 무조건 인정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왕의 기록에 대한 결어(結語) 공식은 사용된 자료의 출처를 밝히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다. 유다 왕들에게는 '유다 왕의 실록'이, 이스라엘 왕들에게는 '이스라엘 왕의 실록'이 그것이다. 동일한 원칙에서 '솔로몬의 실록'도 언급된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기록들이 남아 있지 않음은 매우 유감스럽다.

 

 

●같은 왕 이름(남,북): ?유다 5대왕(여호람,요람)=이스라엘 9대왕(여호람,요람)/ ?유다 6대왕(아하시야)=이스라엘 8대왕(아하시야)/ ?유다 8대왕(요아스)=이스라엘 12대왕(요아스,여호아스)/ ?유다 17대왕(여호아하스)=이스라엘 11대왕(여호아하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file 관리자 2014.10.16 17001
공지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file 관리자 2014.10.15 16997
353 [역사] 종교개혁의 샛별 존 위클리프(1325~1384) file 갈렙 2017.12.14 247
352 [역사] 임진왜란은 천주교의 복음전파역사였다 file 갈렙 2017.11.12 862
351 [역사] 일제시대(1921년) 2%의 기독교와 (1995년) 26%의 기독교 file 갈렙 2017.01.05 810
» [역사] 이스라엘의 남북왕조의 역사 갈렙 2016.08.13 1663
349 [역사] 이스라엘의 12지파 연구 갈렙 2016.08.14 1596
348 [역사] 이스라엘 민족의 애굽생활 400년 file 갈렙 2018.08.15 1084
347 [역사] 이스라엘 남북왕조사(남북열왕조의 연대기) file 갈렙 2019.09.28 1427
346 [역사] 유대인을 로마에서 추방한(A.D.49) 글라우디오 황제(재위 A.D.41~54) file 갈렙 2022.12.08 697
345 [역사] 예수에 대한 역사적 기록들 - 요세푸스의 유대고대사 18권 중 관련내용 갈렙 2017.09.01 847
344 [역사] 예수님의 이야기는 신화인가 역사인가? 갈렙 2017.09.02 318
343 [역사] 예수님 당시의 로마 황제, 유대 왕, 유대 총독 file 갈렙 2016.12.17 1069
342 [역사] 예루살렘 성전의 변천사 file 갈렙 2017.11.29 3269
341 [역사] 야곱의 출생일자_김명현교수 갈렙 2019.12.25 1160
340 [역사] 신구약 중간사 및 간략한 연대표(B.C.400~A.D.4) file 갈렙 2016.10.25 1474
339 [역사] 성경 외의 역사서가 이야기하는 예수님 그리고 신약 성경 file 갈렙 2018.08.11 388
338 [역사] 성경 연대표 (아담~근/현대까지) 갈렙 2017.02.27 1010
337 [역사] 북이스라엘의 19명의 왕들의 역사 갈렙 2016.08.13 1865
336 [역사] 북이스라엘과 남유다 왕들 갈렙 2016.08.13 2740
335 [역사] 바벨론제국의 최후와 제7대 마지막왕이었던 벨사살의 죽음 file 갈렙 2018.07.10 1829
334 [역사] 바벨론의 2대왕이자 남유다를 3차 침공하여 멸망시킨 느부갓네살왕 file 갈렙 2018.07.10 1448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