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바벨론의 종교

바벨로니아 사람들이 섬기는 신들 중에 최고신은 마르둑(Marduk)이었다. 마르둑을 히브리어로 기록하면 므로닥이라고 한다. 폭풍과 창조의 신 엔릴(Ennlil)의 기능과 공적을 물려받았다는 마르둑 신은 바벨로니아의 민족신이었다.
 
또한 바벨로니아의 신들 중에는 벨로스(Belos)라는 신이 있었는데 이는 벨(Bel)이라 불리기도 하고 그리스식으로는 제우스(Zeus)라 불려지는 신이었다.
 
일반적으로 신화가 발달한 나라는 그리스와 로마이지만 그 기원은 거의가 다 바벨론에서 출발한 것들이다. 바벨론이나 그리스의 신화들은 사실 신화(神話)라기 보다는 인화(人話)라고 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이 말하는 신들 중 상당수가 사람을 신격화 한 것이기 때문이다.
 
바벨로니아 사람들의 신들 중에는 여신(女神)도 있었다. 그중에서 유명한 여신(女神)은 밀릿타(Milita)라는 여신인데 이 여신을 앗수르 사람들은 이쉬타르(Ishtar)라고 했고 페니키아 사람들은 아스다롯(Ashtaroth)이라고 불렀으며 로마 사람들은 비너스(Venus)라고 불렀다. 이 여신은 온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그리스 사람들은 이를 아프로디테( Aphrodite)라고 불렀다. 에베소에서는 이 여신을 아르테미스(Atremis)즉 아데미 여신이라 불렀다.
 
바벨로니아 여인들은 일생에 한 번은 반드시 밀릿타(Milita)여신의 신전에서 남편이 아닌 다른 남자와 육체적인 관계를 가져야만 되는 풍속을 가지고 있었다. 바벨로니아의 모든 여인들이 일생에 단 한 번이지만 이러한 망칙한 종교 행위를 가지게 했는데 그 기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여인들은 신전에 앉아 자기를 지명하는 남자가 나타나 자신의 무릎에 은화를 던지며 "밀릿타(Milita)여신의 이름으로 !"라고 하는 음성이 들릴 때까지 앉아서 기다리게 되어 있었다. 아름다운 여인들에게는 금방 남자가 나타나지만 그렇지 못한 여자들 중에는 이렇게 앉아서 4년간이나 기다린 경우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아름다운 여자는 곧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지만 불행하게도 외모가 아름답지 못한 경우는 그야말로 혹독한 형벌이었다.
 
이러한 풍속을 소개하는 헤로도토스(Herodotus)도 바벨론의 풍속들 중에 아주 고약한 풍속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밀릿타(Milita)신을 아프로디테(Aphrodite)라는 이름으로 그리스에서 섬길 때는 그런 풍속은 없어지고 대신 신전에 바쳐진 여자 사제(司祭)들이 있었다고 한다.


니므롯, 세미라미스, 담무스의 신격화


우리가 일반적인 역사에서 다루는 밀릿타(Milita) 여신의 기원을 유대인 백과사전(The Jewish Encyclopedia)에서는 니므롯(NImrod)의 아내는 세미라미스(Semiramis)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요세프스도 니므롯을 "모든 백성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배반하게 한 자"라고 기록하고 있다.

구약 성경에서는 "구스가 또 니므롯을 낳았으니 그는 세상에 처음 영걸이라 그가 여호와 앞에서 특이한 사냥군이 되었으므로 속담에 이르기를 아무는 여호와 앞에 니므롯 같은 특이한 사냥군이로다 하더라"(창10:8-9) 홍수 후에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너희는 생육하고 번성하며 땅에 편만하여 그 중에서 번성하라 하셨더라"(창9:7) 
 
사람들이 온 세계로 편만하게 흩어져서 땅을 관리하라고 말씀하셨는데 니므롯은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흩어 보내시는 목적은 세력을 꺾어 통치하기 쉽게하려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청년들을 선동하여 흩어지지 말자고 주장했다. 니므롯은 백성들을 선동하여 하나님을 거역하게 했고 바벨탑을 쌓았다. 메소포타미아의 시날 평지에 건설된 바벨탑과 함께 바벨론은 하나님을 반역하게 된 기원이 되는 곳이었다. 그 이후로 성경에서 악령을 숭배하는 도시의 대명사가 되었다.(창11:2)
 
니므롯의 아내는 세미라미스(Semiramis)였다. 그녀는 남편 니므롯이 죽고 나자 남편의 시체를 조각조각 나누어서 각 지방으로 보내었다. (삿19:29 ,삼상 11:7 참조)  세미라미스는 그 후 사생자를 낳았는데 그녀는 이를 자기 남편 니므롯의 환생(還生)한 것이라고 하면서 그 이름을 담무즈(Tammuz)라 하였고 그를 태양신이라고 했다. 그녀는 이 담무즈가 바로 여인의 후손 곧 구세주(창 3:15)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녀는 마침내 자기의 몸에서 난 자기 아들 담무즈와 결혼을 했다. 그리하여 그녀는 마침내 신의 아내요 신의 어머니가 된 것이다. 사람들은 담무즈를 신(神)으로 섬기게 되었고 세미라미스를 신의 어머니 곧 여신(女神)으로 섬기게 된 것이다. 이 여인은 음녀(淫女)요 여신의 기원이며 어머니 신 아들 신, 남신 여신의 기원이 된 것이다. 바벨탑을 쌓다가 흩어지면서도 어머니 신과 아들 신을 섬기는 것에는 익숙해 있었던 것이다.

세계에 퍼져 있는 모자 숭배
온 세상에 어머니 신과 아들 신 곧 여신과 남신의 사상이 일반화된 것이다.
1,바벨론에서는 여신을 세미라미스(Semiramis)하였고 남신을 담무즈(Tammuz)라 하였던 것이다. 
2,중국에서는 어머니 신 곧 여신을 성모(聖母)를 싱무라 하였다. 
3,독일 지방에서는 아기를 안고 있는 처녀 신을 헤르타(Hertha)라 하였다. 
4,스칸디나비아 지방에서는 아기를 안고 있는 여신을 디사(Disa)라 하였다. 
5,에투리아 지방에서는 아기를 안고 있는 여신을 누트리아(Nutria)라고 했다. 
6,드루이드 교에서는 여신을 비르가 파티튜라(Virga-Patitura)라고 했다. 
7,인도 지방에서는 어머니 신을 인드라니(Indrani)라고 했다. 
8,인도의 다른 지방에서는 여신을 데바키(Devaki) ,아들을 크리쉬나(Chrishina)라고 불렀다. 
9,슈메르인들은 여신을 나나(Nana)라고 불렀다. 
9,로마에서는 여신을 비너스(Venus)라 하였고 아들 신을 쥬피터(Jupeter)라 한다. 
10,소아시아 지방에서는 여신을 키벨레(Cybele)라 하고 아들은 데이오스(Deoius)라고 했다. 
11,가나안 지방에서는 여신 아스다롯(Ashtharot)을 섬겼다. 
12,에베소 지방에서는 여신을 아데미(Ardemis)라고 하였다. 혹은 다이아나(Diana)라고 했다. 
13,고린도 지방에서는 여신을 아프로디테(Aphrodite)라고 하였다. 
14,애굽에서는 여신을 아이시스(Isis)라 하였고 그 여신의 아들은 호루스(Horus)라고 불렀다.
이렇게 여신 혹은 어머니 신과 아들 신을 섬기는 것이 익숙한 세상에서 성모 마리아와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섬기게 하는 것이 카톨릭의 착상이다.
 

1931년, 카톨릭에서는 마리아를 하나님의 어머니로 확정

처음에는 마리아에 대한 교리가 없었다. 그러나 AD. 431 년 에베소 회의(The Council of Ephesus)에서 마리아가 하나님의 어머니냐 그리스도의 어머니냐 하는 논쟁이 있었지만 확정을 지우지 못하고 지나오다가 최근에 와서 완전히 마리아는 하나님의 어머니라고 확정을 지웠다. (1931년 데오토코스 논쟁 종결 확정) 1854년에는 교황 비오 9세가 마리아 무원죄 잉태설(Immaculate Conception)을 발표하였다. 그 기념 축제일이 12월 8일이다.  그 이후로 천주교에서는 마리아가 은총의 중재자라고 확정지었다. (1917) 그러나 성경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은총의 중재자는 한 분 곧 예수 그리스도뿐이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딤전 2:5) 마리아에게 기도하는 것이 예수님께 기도하는 것 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하는 생각은 그야말로 기상천외하고도 기발한 것이었다.
 
유명한 카톨릭 저술가 알폰수스 리큐오리(Alphonsus Riquuori)는 그리스도께 기도하는 것 보다 마리아에게 기도하는 것이 얼마나 더 효과적인가 하는 이론을 써서 교황 그레고리 14세로부터 성인으로 시성(諡聖)되었고 교황비오 9세는 리큐오리를 카톨릭 교회의 박사로 선언하였다.

출처: 
http://cafe.daum.net/perfectlove7/7eqk/360?docid=4070047236&q=%B9%D9%BA%A7%B7%D0%C0%C7%20%C1%BE%B1%B3
 

1950년에는 마리아 부활 승천설을 발표하였다.
1951년 교황 비오 12세는 마리아의 몸이 썩지 않고 하늘로 올리어졌다고 발표하였다.

비오 12세는 1950년 11월 1일 회칙 《지극히 자애로우신 하느님(Munificentissimus Deus)》을 통해 성모 승천을 다음과 같은 말로서 믿을 교리로 반포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복되신 사도 베드로와 바오로 그리고 성좌의 고유한 권위에 따라, 원죄에 물들지 않고 평생 동정이신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께서 지상의 생애를 마치신 다음, 영혼과 육신이 함께 천상의 영광으로 들어올림을 받으셨다는 교의를 하느님께서 계시하신 대로 공언하고 선언하며 분명히 정의하는 바이다."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A%B5%90%ED%99%A9_%EB%B9%84%EC%98%A4_12%EC%84%B8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42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7023
    read more
  3. 반석킹제임스성경 7판 한영대역본의 휴대폰용 및 컴퓨터용 성경 프로그램 파일자료를 공개

    반석킹제임스성경 7판 한영대역본의 휴대폰용 및 컴퓨터용 성경 프로그램 파일자료를 공개합니다. 반석 ・ 2023. 11. 26. 21:52 반석킹제임스성경 7판 한영대역본의 휴대폰용 및 컴퓨터용 성경 프로그램 파일 자료를 공개합니다. 한 구절 내에 한글과 영여KJV...
    Date2024.01.23 By갈렙 Views60
    Read More
  4. No Image

    박원순 시장 "퀴어 퍼레이드, 직권취소 못한다"_2015-06-18 기독일보 이동윤기자

    박원순 시장 "퀴어 퍼레이드, 직권취소 못한다" [기독일보] 이동윤 기자 [email protected] 입력 2015.06.18 16:07 | 수정 2015.06.18 16:52 18일 한기총 예방한 박원순 시장, 퀴어 퍼레이드 묵인…사실상 허용 입장 밝혀 ▲18일 한기총에서 박원순 시장과 이영...
    Date2015.06.19 By갈렙 Views1825
    Read More
  5. No Image

    박근혜대통령의 중동순방후 할랄식품의 장려를 보면서_이만석 한국이란인교회 담임목사

    [이만석 이슬람 칼럼] 박대통령 중동 4개국 순방 후폭풍을 보면서 [기독일보] 편집부 기자 [email protected] 입력 2015.04.13 06:35 | 수정 2015.05.04 08:58 이만석 선교사ㅣ한국이란인교회 담임목사 [기독일보] 2015년 3월 초 박근혜 대통령이 중동 4개국...
    Date2015.06.19 By갈렙 Views2336
    Read More
  6. 바울의 전도여행을 자세히 배워보자

    사도바울의 발자취를 따라서 - 사도바울의 전도 여행 경로 (사도행전 중심으로) Idrealist for world ・ 2020. 11. 10. 14:25 어느새 터키에 온지도 3년이 넘었다. 이곳에서 여행을 다녀보면 어디를 가나 고대 유적지를 쉽게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Date2022.01.15 By갈렙 Views4734
    Read More
  7. 바울의 연대기_신약성경총론(조병수)

    신약성경 총론, 합동신학대학원 출판부, 조병수, 제8장 바울의 연대기(207-216쪽)를 요약정리한 것입니다. 신약성경총론 저자 조병수 출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발매 2006.03.06. 사도 바울의 출생 1. 사도 바울은 베냐민 지파에 속한 사람으로서 정통 유대인...
    Date2024.01.01 By갈렙 Views43
    Read More
  8. No Image

    바울의 묵시록에 등장하는 욥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48. 욥 그가 나에게 말하기를 마쳤을 때에 내가 보니 멀리서부터 미소를 짓고 오는 아름다운 사람을 보았다. 그의 천사들이 찬양하는 것을 보았다. 내가 내 옆에 있는 천사에게 물었다. “의인마다 동반자로서 한 천사를 갖게 됩니까?” 그가 나에게 이르기를 “...
    Date2016.07.22 By갈렙 Views728
    Read More
  9. No Image

    바울의 묵시록에 등장하는 노아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49. 노 아 그가 아직 말하고 있을 때에 더 멀리서 다른 한 사람이 외치면서 오고 있었다. “복 있을진저. 바울이여! 나는 당신이 주 하나님으로부터 사랑받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당신을 만나는 나도 복이 있습니다.” 나는 천사들에게 물었다. “이 분은 누구입...
    Date2016.07.22 By갈렙 Views726
    Read More
  10. No Image

    바울의 묵시록(전문)1

    바울의 묵시록 (전문) 바울의 묵시록이 정경은 아니지만 그리고 事實與否를 떠나서 지금까지 천국과 지옥의 증언들과 동일한 내용입니다.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만났을 때 다른 사람은 보지 못한 사실을 상기해 보십시오. 보는 눈, 듣는 귀...
    Date2016.07.22 By갈렙 Views2021
    Read More
  11. No Image

    바울의 두란노사역으로부터 배우는 12가지 놀라운 영적인 비밀

    바울의 두란노사역으로부터 배우는 12가지 놀라운 영적인 비밀 1. 시작은 작아도 그것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하면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 2. 얼마나 준비된 지도자인가에 따라 사역의 결실은 어느 정도 결정된다. 3. 한 지역에서 사역에 대한 어느 정도...
    Date2019.08.28 By갈렙 Views267
    Read More
  12. 바벨탑은 인류문명의 불꽃인가, 반역의 상징인가?

    1권5호BC 6000-BC 5000 "또 말하되 '자 성과 대를 쌓아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 면에 흩어짐을 면하자 하였더니(창 11:4) ―――― 성경으로 여는 세계사 신문 ―――― 오늘의 세계표정 바벨탑을 통한 인간의 반역 이 다시 시작되고...... ...
    Date2021.04.11 By갈렙 Views348
    Read More
  13. 바벨탑과 도시

    바벨 탑. 성서에 의하면, 바벨 탑은 거대한 건축물이었다. (창세 11:1-9) 흥미롭게도, 고고학자들은 고대 바벨론(바빌론)의 폐허와 그 주변에서 여러 개의 지구라트, 즉 피라미드형으로 된 계단식 신전 탑들의 유적을 밝혀 냈다. 그 유적 중에는 바벨론의 성벽...
    Date2021.04.09 By갈렙 Views788
    Read More
  14. 바벨탑과 니므롯_김희보(총신대 신대원 교수)

    바벨탑과 니므롯 김희보(총신대 신대원 교수) <창세기 10-11장 참조> 니므롯은 인류 역사의 첫 영걸로서 첫 제국을 건설한 첫 임금이기도 하다. 그가 건설한 첫 나라는 바벨론의 앗수르를 합친 큰 제국이었다(창10:10-12). 또 그는 니느웨의 큰 성을 건축한 사...
    Date2021.04.11 By갈렙 Views339
    Read More
  15. No Image

    바벨론의 종교와 모자숭배 사상이 어떻게 가톨릭에 숨어 들어갔을까?

    바벨론의 종교 바벨로니아 사람들이 섬기는 신들 중에 최고신은 마르둑(Marduk)이었다. 마르둑을 히브리어로 기록하면 므로닥이라고 한다. 폭풍과 창조의 신 엔릴(Ennlil)의 기능과 공적을 물려받았다는 마르둑 신은 바벨로니아의 민족신이었다. 또한 바벨로니...
    Date2014.10.17 By갈렙 Views10822
    Read More
  16. 바벨론 종교의 창건자 세미라미스와 담무스는?

    바벨론 종교의 창건자 세미라미스와 담무스는? 아기 예수로 위장한 담무즈를 안고 있으며, 성모 마리아로 위장한 세미라미스 입니다. 세미라미스에 대한 사전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름다움과 총명으로 유명한 Assyria의 전설상의 여왕: Ninus의 왕비...
    Date2021.04.12 By갈렙 Views571
    Read More
  17. No Image

    바벨론 다큐멘터리(EBS) 4부작

    Date2014.10.17 By갈렙 Views10384
    Read More
  18. No Image

    바로 알고 바로 믿자 가톨릭의 연옥교리는 비성경적 이단설이다_조영업박사

    바로 알고 바로 믿자 가톨릭의 연옥교리는 비성경적 이단설이다 2019. 6. 27. 16:45 https://blog.naver.com/nashin621/221572167775 가톨릭의 연옥교리는 비성경적 이단설이다 어떻게 구원을 금식·구제·기도·선행·헌금 등 공로와 돈으로 살 수 있는가 연옥설 ...
    Date2019.10.12 By갈렙 Views257
    Read More
  19. No Image

    바나바의 서신

    바나바의 서신 하이용고 | 2012.08.01 15:47 바나바의 서신 제1장 우리를 사랑하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안에, 그리고 평화 안에 나의 자녀 여러분이 늘 행복하길 빕니다. 하느님의 위대하고 탁월한 법에 관해서 여러분이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
    Date2015.08.22 By갈렙 Views2059
    Read More
  20.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것은?_김세윤 박사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것은?바울 르네상스 중심에 있는 김세윤 교수 [인터뷰]2014년 06월 04일 (수) 22:09:49양재영 ( 메일보내기 )( newsnjoy ) 새관점 학파와 옛관점 학파의 논쟁, 야곱 타우베스, 알랭 바디우, 조르조 아감벤과 같은 신학 밖에서의 사도바...
    Date2015.10.29 By갈렙 Views1884
    Read More
  21. 민주개혁과 북한교회의 좌우분열해방공간의 겪은 북한교회의 분열과 아픔

    민주개혁과 북한교회의 좌우분열해방공간의 겪은 북한교회의 분열과 아픔 (2) 한상봉 ( [email protected] ) 승인 2008.11.29 00:55 | 최종수정 2008.11.29 00:55 민족사 안에서 흔적을 남긴 해방 이후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적 측면을 오는 8.15일 광...
    Date2018.05.05 By갈렙 Views328
    Read More
  22. No Image

    미국의 인디언 학살

    미국의 인디언 대학살! 2015.12.02 19:40 신나 카테고리 우리의역사바로알기 댓글4 나치의 6백만 유태인 학살에는 분노하면서 미국(영국이주자)의 1억 원주민 학살에는 관대한 건 왜일까? 1519년 유럽인들이 멕시코에 도착했을 때 2500만명의 원주민이 있었으...
    Date2018.02.18 By갈렙 Views5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