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구약의 회개 >
-슈브(shub)를 중심으로-

조용현<<< 한국성서학연구소전임연구원

구약성경은‘회개’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히브리어에 있어서도 사실상 회개를 가리키는 특별한 단어를 가지고 있지도 않다.
‘후회하다, 뉘우치다’라는 뜻의 마아스(maas)와 니함(niham)이 있지만 이 단어들은 대부분 하나님의 후회에 사용되며(욥 42:6; 민 23:19; 삼상 15:11; 렘 4:28), 사람의 회개를 나타내는 데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사람의 참회 행동에 관한 구약성경의 대부분의 표현들은‘돌아오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동사 슈브(shub)에 포함되고 슈브로 요약된다. 따라서 구약 성경에 나타난 회개를 신학적으로 체계화하여 살펴보기보다는 회개를 의
미하는 슈브가 나타내는 회개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1.슈브의 어원 및 기본적 의미

슈브의 어원은 아카드어 샤부(shabu)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 뜻은‘흔들리다(sway)’,‘어지럽다(become dizzy)’이다. 여기서 비롯된 히브리어 슈브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로 그 기본적인 의미는 원래 있었던 곳으로 움직이는 것, 즉‘돌아오다’,‘되돌아오다’이며 이것이 발전하여 신학적으로는‘하나님께로 되돌아가는 것’, 즉 회개를 의미하게 된다. 슈브와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로 수르(sur)와 파나(phanah)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물리적인 방향 전환을 의미할 뿐 회개와는 관련이 없으며, 앞서 언급한 마아스와 니함도 사람의 회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별히 니함은 주로 니팔 형태로 사용되면서 회개보다는 감정의 변화를 의미한다.

 

2. 슈브의 용례

슈브는 구약성경에서 열두 번째로 가장 자주 사용된 동사로서 총 1,060 회 언급된다. 주로 칼(Qal, 기본형) 형태(683회)와 히필(Hiphil, 사역형) 형태(360회)로 사용되며 예레미야에 가장 자주 나오며(112회), 다음으로 시 편(72회), 창세기(68회), 에스겔(63회), 역대상(62회), 열왕기상(62회), 열왕 기하(55회), 이사야(51회) 순이다. 칼 형태 중에서 회개의 의미로는 129회 사용되었다. 한편, 회개와 관련된 히필 형태는 11회만 사용되어 구약성경 에서 회개를 의미하는 것은 거의 슈브의 칼 형태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3. 구약에서 슈브의 의미

슈브가 의미하는 회개는 특별히 예언서와 역사서에서 강조된다.

예언서에서 회개의 목적은 원래 상태를 다시 회복하는 것, 즉 하나님 과의 원래 관계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돌아감은 단순히 옛날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새롭게 시작하기 위 해 원 출발점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아모스에서 슈브는 주로 사람들의 회 개를 뜻하는 전문적인 용어로 사용된다(암 4:6-11). 호세아에서는 결혼에 비유되어 하나님을 불성실한 백성이 돌아가고자 하는 이혼 당한 남편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회개를 원하지 않았기에 심판을 받아 다 시 애굽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한다(호 11:1-11. 참고 5:4). 예레미야는 이 러한 호세아의 결혼 비유를 발전시킨다(렘 3:1. 참고 8:4-7; 14:2; 15:15). 이 사야 또한 회개를 언급하고 있으며(사 30:15), 특이한 점은 그의 첫 번째 아들의 이름을 스알야숩(Shear-Jashub]. 남은 자가 돌아오리라)이라고 했다. 포로기 전의 예언자들은 확실히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 즉 회개가 가능하 다고 여겼고 거기에 큰 소망을 두었다.

한편, 역사서, 그중에서도 신명기 역사서(여호수아-열왕기하)와 역대기도 회개를 강조한다. 그런데 예언서와의 차이점은 회개의 가능성에 대 한 생각이다. 포로기 전의 예언서에서도 회개하면 재앙, 즉 하나님의 징 벌을피할수있다고했지만, 신명기역사서는피할수있다고생각했던 재앙이 이미 도래하여 피할 수 없지만 여전히 회개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다. 또한, 역대기에서는 예언서에서 긍정적인 권고로 언급된‘하나님께로 돌아오라’는 명령과 함께 부정적인 권고, 즉‘악으로부터 돌이킬 것’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는 예레미야와 에스겔에서도 나타나는데 단순히 하 나님께로 돌아오라는 추상적인 회개보다 더 구체적이고 시급한 회개를 의 미한다.

 

4. 슈브의 신학적 의미

할러데이는 슈브의 164회 용례들이 계약 용법으로 사용되었다고 주장 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회개라는 큰 주제 아래 하나님께로 돌아가 는 신학적인 개념으로 간주한다. 이렇게 슈브는 회개라는 신학적인 개념 에 있어서 중심적인 단어이다.
슈브가 의미하는 회개의 신학적인 개념에 있어서 기본적인 전제는 방 향의 전환이다. 이러한 방향 전환에서 중요한 점은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과정이다. 하나님께로 돌아간다는 회개의 과정은 예레미야 3장 22-4장 2 절에서 명확히 묘사되는데 그것은 회개의 참된 예전, 하나님의 주되심을 인정하는 것(3:22), 자기 잘못을 인정하는 것(3:23),“제(저희)가 죄를 지었 습니다”라고 말로 자백하는 것(3:25), 부끄러움을 인정하는 것(3:25), 새로 운 행동을 하기로 맹세하고 지키는 것(4:1-2)이다.

그런데 돌이키는 것은 사람뿐 아니라 하나님에게도 적용되어 회개한 사람을 받아 주시는 하나님을 묘사하기도 한다. 즉, 하나님께서는 용서를 구하는 자에게 자신의 진노를 돌이킬 것임을 약속하신다(호 14:4). 아모스 에서는 이와는 반대의 의미인‘돌이키지 아니하리니’(WNb,yvia} alO o)라는 표 현을 사용하며 회개를 촉구하고 있다.

확실히 구약성경에는 명확한 회개의 개념과 체계화된 회개의 교리가 나오지 않는다. 그렇지만 구약성경은 슈브를 통해 기본적으로‘돌아오다’ 를 의미하며 돌아오기 전에 했던 악행, 폭력, 우상숭배 및 죄 등으로부터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것을 다루는 구절들에 나타나 회개와 연결되고 있 다. 더 나아가 예언자들은 슈브를 사용하여 하나님께 대한 그릇된 태도에 서 돌이켜, 인간의 전 존재를 다하여 하나님께로 향할 것을 요청했는데 이런 개념이 구약성경에서 주로 말하는 회개라고 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
Botterweck, G. J. and H. Ringgren (eds.) tr. by Willis, J. 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15 vol. Michigan: Eerdmans, 2006.
Jenni, E. and C. Westermann (eds.) tr. by Biddle, M. Theological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3 vol. Peabody, Mass.: Hendrickson Publishers, 1997.
Koehler, L. and W. Baumgartner (eds.) tr. & ed. under the supervision of Richardson, M. E. J.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2 vol. Study Edition. Leiden: Brill, 2001. VanGemeren, W.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4 vol. Grand Rapids, Mich.: Zondervan Pub. House, 1996. Waltke, B. K. and G. L. Archer and R. L. Harris.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2 vol. Chicago: Moody Press, 1980.
:: 조용현 연세대학교(B.A.)를 나와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Th.M.)에서 공부했다. 지금은 본 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있다.

 

 


<  신약의 회개  >

-메타노이아(metanoia)를 중심으로-

장성민<<< 한국성서학연구소전임연구원

신약성경에서 회개를 나타내는 용어는 크게 에피스트레포(epistrepo)와 메타노에오(metanoeo) 로대별될수있다. 칠십인역에서는이두용어가구별되어사용되고있 지만, 신약에서는 두 용어가 거의 의미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 칠십인역이 회개를 뜻하는‘슈브’(shub)를 주로 에피스트레포(epistrepo)로 번역 한 것과는 달리 신약성경은 칠십인역의 용례를 따르지 않고 슈브의 의미 를 표현하기 위해서 메타노에오(metanoeo)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metavnoia(메타노에오(metanoeo))의 의미를 중심으로 신약에 나타난 회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메타노이아의 어원 및 기본적 의미

기본적으로 보다 동적인‘돌아섬’을 뜻하는 에피스트레포(epistrepo)(to turn around) 와는 달리 메타노이어(metavnoia)(메타노에오(metanoeo))는 이 말이 전치사 metav(after, with, around 등)와 명사 nou'"(mind, intellect, insight 등)의 합성어라는 점에서 확인되듯이,‘생각이나 태도의 변화’혹은‘다른 관점을 취하다’를 뜻한 다. 이러한 변화는 느낌이나 감정, 혹은 의지나 생각에 영향을 끼치며 단순히 이지적인 사유의 결과에 따른 생각의 변화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코이네 헬라어에서 이 말은 주로 단순히‘생각의 변화’라는 의미 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메타노에오(metanoeo)는 칠십인역에서 회개를 뜻하는‘슈브’ (shub)가 아니라 주로‘무엇인가를 후회하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동사‘니 함’(niham)을 번역하기 위해서 14회 사용되었다.

 

2. 메타노이아(메타노에오)의 용례

신약성경에서 메타노이어(metavnoia)(회개)와 메타노에오(metanoeo)(회개하다)는 주로 공관복 음서에 나타난다. 메타노이아(metavnoia)는 마가복음에 1회, 마태복음에 2회, 누가복 음에 5회 나타나며, 같은 누가저작인 사도행전에 6회 나타난다. 동사형태 인 메타노에오(metanoeo)는 마가복음에 2회, 마태복음에 5회, 그리고 누가복음에 9 회 나타나며 사도행전에서는 5회 나타난다. 오히려 서신서에는 이 용어들 이 자주 나타나지 않는데, 바울은 메타노이아(metavnoia)를 3회, 메타노에오(metanoeo)를 1회 사 용하고 있다. 바울 서신을 제외한 다른 서신서들에서는 오직 명사형인 메타노이아(metavnoia)의 형태만 나타나는데, 목회서신에서는 이 단어가 오직 한 번 등장하며, 히브리서에서는 3회 베드로후서에서 2회 나타난다. 특이한 점 은 요한문서에서 메타노이아(metavnoia)가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하지 만 동사 형태인 메타노에오(metanoeo)가 계시록에서 비교적 자주(11회) 등장한다.

 

3. 신약에서 메타노이아의 의미

공관복음에서 총 8회 나타나는 메타노이아(metavnoia) 중에서 5회가 세례 요한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요한의 설교에서 이 단어는 핵심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요한의 설교에서‘회개’는 무엇보다 죄로부터 돌이키는 것을 의 미한다(막 1:4 이하). 그러나 이는 단순히 죄로부터 돌아서는 것이 아니라 삶의 변화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요한은 설교의 말미에서 “그러므로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마 3:8 병행)고 권고한다.

특이한 점은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에서 회개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 우 적다는 것이다. 그러나 누가복음 10장 13절과 11장 32절 그리고 13장 3절과 5절은 예수가 분명 회개를 선포했음을 보여 준다. 공관복음의 회개 선포가‘심판에 대한 경고’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긍정적인 의 미에서 회개는 예수의 말씀과 사역들에 대해 헌신을 요구한다(눅 10:13; 11:32 병행). 따라서 회개는 반드시 하나님 나라의 선포라는 맥락에서 이 해되어야 한다(막 1:15). 즉 예수가 선포한 회개는 소극적인‘돌아섬’이 아 니라 적극적으로 하나님의 나라라는 이미 도래하고 있는‘구원’안에서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무엇보다 누가에게 있어서 회개는 죄의 용서(행 2:38; 3:19; 5:31; 8:22 등) 혹은 세례 및 구원(혹은 성령, 행 2:38; 11:18 등) 을 받아들이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누가에 따르면 회개는 용 서의 전제이자 구원을 받아들이는 데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

바울 서신에서는 유대 전통을 따라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내하심이 인간 을 metanoia(메타노에오(metanoeo))에 이르게 하지만(롬 2:4), 반대로‘회개하지 않는 마음’(ajmetanovhto" kardiav , 롬 2:5)은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고 언급한다. 고린도후서 7장 9절 이하와 12장 21절에서는 metanoia (메타노에오(metanoeo))가‘마음의 변화’라는 다소 약화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바울에게 있어서 회개를 통해 요구되는 삶은 주로‘믿음’이라는 개념에 복속되어 있기 때문에,‘회개’가 명시적으로 부각되어 있지 않다 는 점이 곧 바울이 회개를 중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 외의 다른 서신들에서 메타노이아(metavnoia)는 올바른 가르침과 행실로 돌아섬(딤 후 2:25), 죽은 행실로부터 돌아섬(히 6:1), 신성모독으로부터 돌아섬(벧후 3:3 이하 단락) 등의 의미로 사용되며, 특히 베드로후서에서는 회개가 점 도 없고 흠도 없는 경건한 삶의 실현과 연결되어 있다.

 

4. 메타노이아의 신학적 의미

신약성경이 칠십인역의 용례를 따르지 않고 슈브의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메타노에오(metanoeo)를 채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신약성경 기자들이 구약에 나타난 슈브가 함의하고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념을 강조하기보다 오히려생각이나의지, 즉nou'"를강조하고있음을보여준다고할수있 다. 그러나 용어를 변화시킨 것이 단순히 슈브의 의미를 개념화시킨 것은 아니다. 사실 메타노이아(metavnoia)(메타노에오(metanoeo))를 주로 마음이나 생각의 변화로 이 해하는 경향은 신약성경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실제로 신약성경에 나 타나는 용례들에 기초하여 생각할 때 이 용어는 어원적이거나 문자적인 의미를 넘어서서 전인이 무엇인가로부터 돌아서서 새로운 삶이나 순종으 로나아가는것을뜻한다고이해할수있다. 따라서신약성경은이말을 단순히‘회개’(repent)라는 뜻으로만 사용하지 않고 그 의미를 심화시켜 하나님을 향한 영적이고 윤리적인 태도의 온전한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서사용하고있다고할수있다. 신약성경의회개는순수하게외적인돌 아섬이나 단순한 내적인 생각의 변화가 아니라 양자 모두를 포괄하는‘진 정한 돌아섬’을 의미하는 것이다.

 

■ 참고 문헌 ■
Balz, Horst and Schneider, Gerhard (ed.)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II, Michigan: Eerdmanns Publishing Company. 1991. s. v.
“메타노이아(metavnoia)”by H. Merklein. Baur, W. F. Arndt, F. W. Gingrich, and F. W. Danker,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s. v.“메타노에오(metanoeo)”.
Brown, Coli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vol 1. Michigan: Zondervan Pub. House, 1986. s. v.“메타노이아(metavnoia)”by J. Goetzmann.
Kittel, G and Friedrich, G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IV, Michigan: Eerdmanns Publishing Company. 1967. s. v.“noevw ktl)”by J. Behm.
Moulton, J. H and Milligan, G.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Hendrickson Publisher 1930. s. v.“메타노에오(metanoeo)”.
:: 장성민 경북대학교(B.A.)를 나와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Th.M.)에서 공부했다. 지금은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박사과정 신약학 전공 중에 있으며 본 연구 소 전임연구원으로 있다.

2007년 여름 성서마당에서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31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7017
    read more
  3. No Image

    [교회사] "오직 믿음"은 어디에서 왔을까?

    솔라 피데(Sola fide=오직 믿음), 솔라 그라치아(sola gratia=오직 은혜),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오직 성경) Sola fide=Faith alone(sola=오직, fide=믿음). 마르틴 루터(1483~1546)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를 갈라놓은 근본적 차이점은 루터에 의하...
    Date2017.02.16 By갈렙 Views734
    Read More
  4. No Image

    [성경] "오직 믿음"이라는 말의 "오직"이라는 말은 헬라어성경에는 없다

    "오직 믿음"의 "오직"은 신약성경 "헬라어 본문"에는 없다. 루터가 종교 개혁을 할 때 다음 세 가지를 강조하였다. 1. 쏠라 피데(Sola Fide: 오직 믿음) 2. 쏠라 그라치아(Sola Gratia: 오직 은혜) 3. 쏠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오직 성경) 그런데 우리...
    Date2017.02.17 By갈렙 Views1387
    Read More
  5. No Image

    [교회사] 5개의 "오직"

    [Five Solas] Sola Scriptura (오직 성경) Solus Christus (오직 그리스도) Sola Gratia (오직 은혜) Sola Fide (오직 믿음) Soli Deo Gloria (오직 하나님께 영광) .. 다섯 솔라(Five Solas)는, 종교 개혁 때 처음으로 대두된 기독교의 다섯 가지 표어로, 라...
    Date2017.02.17 By갈렙 Views553
    Read More
  6. No Image

    [교회사] 마르틴루터의 종교 개혁 3대논문

    마르틴루터의 종교 개혁 3대논문 1.들어가는 말 이 논문은 종교 개혁자 말틴 루터(1483-1546)가 심혈을 기울여 쓴 매우 의의 있는 글 가운데 하나이며 그의 생애중 가장 중요한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다. 특히 이내용은 16세기 초기의 그리스도계를 개혁...
    Date2017.02.17 By갈렙 Views749
    Read More
  7. No Image

    [교회사]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마르틴 루터가 명실공히 종교개혁의 선두주자로 나타났을 때 유럽은 여러모로 루터에게 유리한 형편에 놓여있었다. 당시 유럽의 중심은 신성로마제국, 프랑스, 영국, 스페인 그리고 이탈리아였다. 다시 말하자면 전 유럽의 막대한 권력...
    Date2017.02.17 By갈렙 Views720
    Read More
  8. No Image

    [교회사] 루터의 신학(원종천교수)

    루터의 신학 원종천 교수 루터 당시의 신학과 현 시대의 신학과의 차이와 그 이유를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루터 글 자체를 읽어야 한다. 1차 자료가 중요하다... 주제: 사도신경, 주기도문 - 요리문답에 관한 설교들 1528(루터저작선 265-302) *역사신학은...
    Date2017.02.17 By갈렙 Views622
    Read More
  9. No Image

    [신학] 바울의 구원론의 이해

    제목: 바울의 구원론의 이해 바울의 구원론의 기본사상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인간은 처참한 죄인이라 는 사실이고, 또 하나는 인간의 구원은 인간의 힘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실입니다. 바울은 예 수 그리스도에 의한 구원이 얼마나 놀라운 것인...
    Date2017.02.17 By갈렙 Views659
    Read More
  10. No Image

    [신학] 마르틴 루터의 구원론에 대한 소고

    마르틴 루터의 구원론에 대한 소고 (A Brief Study on Martin Luther's Doctrine of Salvation) 서론 1. 마르틴 루터의 고민 가. 중세교회의 구원론 나. 개신교회와 중세교회의 구원론의 비교 다. 개신교회의 칭의론과 성화론의 비교 2. 마르틴 루터의 깨달음(...
    Date2017.02.17 By갈렙 Views700
    Read More
  11. No Image

    [신학] 루터의 시편 강해(서론)

    루터의 시편 서문 및 해설 김헌수 (대전: 성은교회 목사) 루터의 시편 서문 (1528/1545)1) 우리의 거룩한 조상들은 시편을 성경의 다른 책들보다 소중히 여기고 사랑하였습니다. 시편 자체가 책의 주인이신 분께 충분한 찬양을 돌리고 있지만, 우리도 우리 입...
    Date2017.02.19 By갈렙 Views879
    Read More
  12. No Image

    [율법] 구약성경에 나오는 613가지의 율법 목록

    구약성경 613개 율법 목록 구약 성서에는 얼마나 많은 계명이 나오고 있는가? 이에 대해 아무도 정확하게 답할 수가 없다. 분류하기에 따라서 천차만별이 될 것이다. 유대 전승에 따르면, 구약 성서 중에서도 율법서라 불리는 토라(오경)에는 613개의 계명이 ...
    Date2017.02.23 By갈렙 Views752
    Read More
  13. No Image

    [헬라어] 디포넌트동사(~omai)란?

    ◈ 디포넌트 동사란? ◆ 디포넌트(deponentia) 동사 : 혼동태(混動態) 라고도 부르며, 어원은 라틴어 deponere (버리다) 에서 유래되었다. 내부에 갖고 있는 사연은 중간태와 수동태이지만 의미는 능동적이다. 즉, 수동적인 의미를 버리고 능동적인 의미로 해석...
    Date2017.02.25 By갈렙 Views2488
    Read More
  14. No Image

    [역사] 성경 연대표 (아담~근/현대까지)

    성경 연대표 (아담~근/현대) 年 度 시대 구분(B.C) 시 대 일 지 성경 구절 4112 족장 시대 아담 탄생 창세기 5 : 1~ 31 3982 셋 출생 창세기 11 : 10~32 3877 에노스 출생 역대상 1장 3787 게난 출생 3717 마할랄렐 출생 3652 야렛 출생 3490 에녹 출생 3425 ...
    Date2017.02.27 By갈렙 Views1019
    Read More
  15. No Image

    [도표] 성경핵심주요도표자료

    기독교 성경 핵심 자료와 도표(1) 자료올린기간 2012.08.08-2014.6.15 더 많은 자료는 카페에서 직접확인 하세요.이곳에 자료는 극히 일부 입니다 원본보기 http://cafe.daum.net/cgsbong/3sxH/1440 성경의 절기와 달력 성경의 상징적인 숫자 예수님의 기적들...
    Date2017.02.27 By갈렙 Views3256
    Read More
  16. No Image

    [용어] 회개에 대한 구약(슈브)과 신약(메타노에오)의 용어

    < 구약의 회개 > -슈브(shub)를 중심으로- 조용현<<< 한국성서학연구소전임연구원 구약성경은‘회개’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히브리어에 있어서도 사실상 회개를 가리키는 특별한 단어를 가지고 있지도 않다. ‘후회하다, 뉘우치다’라는 뜻의 마...
    Date2017.02.27 By갈렙 Views1523
    Read More
  17. No Image

    회의론자들도 동의하는 예수 부활의 9가지 사실

    회의론자들도 동의하는 예수 부활의 9가지 사실 By 재경일보 노승현 기자 입력 2016.03.26 03:03 PM 부활 예수께서 죽음 후에 무덤에서 걸어나오신 것이 분명한 사실이라면, 그가 자신에 대해 말했던 모든 것들, 특히 내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했던, 내...
    Date2017.03.27 By갈렙 Views357
    Read More
  18. No Image

    예수님에 관한 구약의 예언들

    *예수님에 대한 구약의 예언들 (주제) 예수님의 탄생,고난,재림에 대한 구약의 예언들 (목표) .예수님에 관한 구약의 예언들을 살펴본다. .구약의 예언들이 신약에서 어떻게 성취되었는지 알아본다. .아직 성취되지 않은 예수님에 관한 예언들을 찿아본다. (내...
    Date2017.04.21 By갈렙 Views1112
    Read More
  19. No Image

    [용어] 상, 보상, 삯, 상급이란 무엇인가?

    1. 천국에 상급이 있는가? 변 종 길 (고려신학대학원 신약학) 요즈음 천국에 상급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심지어 신실한 성도들조차도 과연 천국에 상급이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이런 의문은 우리가 가...
    Date2017.04.21 By갈렙 Views590
    Read More
  20. No Image

    성경에 나오는 '생명책'은 무엇을 가리키며, 어떻게 하면 얻을 수 있을까?

    생명책 1. 구약성경에 나오는 생명책 시69:28 그들을 생명책에서 지우사 의인들과 함께 기록되지 말게 하소서 출32:32 그러나 이제 그들의 죄를 사하시옵소서 그렇지 아니하시오면 원하건대 주께서 기록하신 책에서 내 이름을 지워 버려 주옵소서 단12:1 그 때...
    Date2017.05.06 By갈렙 Views599
    Read More
  21. No Image

    요한계시록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

    요한계시록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입니다. http://blog.naver.com/lim9217 http://blog.naver.com/lim9217/220991530584
    Date2017.05.12 By갈렙 Views295
    Read More
  22. No Image

    [성경] 의인의 반대는 죄인이 아니라 악인이다

    의인과 악인(78구절) [창18:23]아브라함이 가까이 나아가 이르되 주께서 의인을 악인과 함께 멸하려 하시나이까 [창18:25]주께서 이같이 하사 의인을 악인과 함께 죽이심은 부당하오며 의인과 악인을 같이 하심도 부당하니이다 세상을 심판하시는 이가 정의를 ...
    Date2017.05.20 By갈렙 Views7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