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칼빈의 삼위일체  삼위일체 논쟁  

2009.06.25. 12:14

복사 http://blog.naver.com/kaistq/150051742728

 

 

      

서  론

 

20세기를 ‘삼위일체 르네상스’라고 말하는 것은, 한때 삼위일체가 중요한 신학적 주제였으나 그 후 오랫동안 삼위일체에 대한 관심이 없었거나 부족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종교개혁자들도 “삼위일체를 이미 정리된 교리로 생각하여, 니케아 신조에서 표현되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술들 속에서 체계화된 삼위일체의 본질적인 내용을 재고하려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자들 중에서 삼위일체 교리에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인 사람은 단연 칼빈이었다. 많은 신학자들은 삼위일체에 대한 칼빈의 교리는 주로 세르베투스와 같은 이단들에 대한 반박을 위한 것이었고, 새롭다고 할 만한 특별한 것을 담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 단순히 고대 교회의 삼위일체론을 답습하여 반복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몇몇 중요한 점들에서 삼위일체론에 결정적 공헌을 했다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

 

Ⅰ. 칼빈의 삼위일체의 공헌

 

1. 삼위일체론적 신학구조

 

칼빈 신학의 중심교리는 학자마다 다르다. 트릴취는 칼빈은 하나님의 예정, 하나님의 의지, 하나님의 영광 들을 강조한 하나님 중심적 신학자로 보고, 니젤은 칼케돈의 양성 곧 그리스도론에 놓여있다고 보고, 워필드는 비롯한 신학자들은 그를 성령의 신학자로 보고, 밀너는 성령의 상호관계로 보고, 파티는 그리스도와 연합으로 본다.

그러나 대부분 학자들은 칼빈에게 있어 하나의 중심교리는 없다는 데 대체로 합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의 신학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의 사건을 다루고 있는 큰 원칙에 대해서는 의의가 없다. 칼빈 신학의 집대성인 『기독교 강요』최종 판은 4권의 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1권은 창조자이신 하나님을, 2권은 구속자이신 그리스도를, 3권은 성령을, 그리고 4권은 교회를 다루고 있다. 그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점에서 창조를, 구속을, 성화를, 교회를 볼 때에라야 제대로 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칼빈은 "하나님께서는 스스로를 한 분이라고 말씀하시는 동시에 명백하게 자신이 삼위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한다면 우리의 머리에는 하나님이라는 공허한 이름만 떠돌 뿐 참 된 하나님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2. 성서에 기초한 삼위일체론

 

칼빈은 삼위일체론은 구약과 신약의 증언에 대한 교회의 주석으로서 “교회에 속한 교의”라고 말한 바르트의 견해나, 삼위일체 교리는 복음을 왜곡에서 지키려고 했던 노력에서 나온 “방어적 교리”라고 말한 브루너의 주장에 결코 만족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는 성서에 근거한 삼위일체를 주장하려 하였다. 그가 모든 진리를 성서의 근거 위에 세우고자 열망했다면, 그는 성서에 나오지 않은 동일본질, 위격, 삼위일체와 같은 용어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했는가? 한편으로 칼빈은 생각과 말의 규범이 성서에 나오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정해진 한계 안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칼빈은 성서가 주장하는 바를 성서에 나오지 않은 단어들로 설명하는 것 조차도 정죄해 버리는 편협한 성서주의를 벗어나고 있다. “성서가 증거하며 성서가 보증하는 바를 설명하는 데 지나지 않은 용어들을 부인한다는 것은 얼마나 사악한 일인가?” 칼빈은 “만일 성부, 성자, 성령이 한 분 하나님이면서도 성자는 성부가 아니고, 성령은 성자가 아니며, 서로 어떤 특성에 의해 구별된다는 믿음에 일치한다면”삼위일체를 옹호하는 전문용어들을 “아예 쓰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삼위일체의 유비를 인간의 기억, 이해, 의지로 설명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기며, 삼위일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인간이나 자연의 유비에서 흔적을 발견하려고 할 것이 아니라, 성서의 증언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3. 관계의 삼위일체론 

 

칼빈의 삼위일체론의 특징은 일체성보다 삼위성에 있다. 세 위격의 독자성에 중심을 두었던 칼빈은 세 위격 모두 완전한 하나님임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서방뿐 아니라 동방에서도 날리 사용되고 있던 '위격'이라는 말 대신에 '실재'라는 용어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각 위격이 스스로 존재하는 신적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 것이다. “성부는 일의 시초가 되시고 만물의 기초와 원천이 되시며, 성자는 지혜요 모사요 만물을 질서 있게 배열하시는 분이시며, 성령은 그와 같은 모든 행동의 능력과 효력을 주장하시는 분이다.” 이처럼 삼위가 서로에 대해 구별되는 독립적인 존재라면, 삼위는 어떻게 하나가 되는 것인가라는 의문이 당연히 제기된다. 칼빈에게 삼위는 각각이 구별된 하나님이지만, 서로가 상호 내주의 관계를 통해 하나로 연합되어 있다. 성부는 창조자요, 성자는 구속자요, 성령은 성화를 가져다 주는 분이라는 식의 전통적인 신성 분업 이론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은 창조자요, 구속자요, 동시에 성화를 가져다 주는 자였다.“ 질서를 가진 상호관계 안에 있는 세 구별되는 위격들” 이것이 칼빈의 삼위일체론의 요체이다. “하나님은 본질에서는 단일하나. 이 단일성은 경륜의 신비를 통하여 삼위로 나타나셨다. 신분이 아니라 지위에 있어서 삼위이고, 본질이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 삼위이며, 능력이 아니라 현현에 있어서 삼위이다.” 또한 그는 필리오케라는 서방의 전통을 따른다. 성부가 신성의 원천이고, 성부가 성자를 낳았고, 성부와 성자에게서 성령이 발출되었다는 서방의 전통적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하나의 나누어질 수 없는 신성 안에서 상호 내주하는 인격적 관계들 혹은 실재들 이라는 칼빈의 사상은 삼위일체론에 있어서 그의 가장 중요한 공헌이다. 칼빈은 아우구스티누스의 말을 인용한다. “그리스도는 자신에 대하여는 하나님이라고 불리며, 성부와의 관계에서 생각될 때는 성자라고 불린다” 그는 또한 나지안 주스의 그레고리오스의 말을 인용한다. “나는 삼위의 광채에 둘러싸이지 않은 채 한 분을 생각할 수 없다. 또한 즉시 한 분께 돌아오지 않은 채 세 분을 구분할 수 없다”

 

4. 구원을 위한 삼위일체론

 

칼빈에게 있어서 삼위일체 교리는 사색을 위한 이론이 아니라 구원과 직접적으로 관계된 것으로 보았다. 그가 세르베투스와 같은 반(反) 삼위일체론자들과 그토록 치열하게 논쟁한 이유도 삼위일체론에 대한 잘못된 이해가 구원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1553년10월 27일 세르베투스는 화형을 당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여,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시여, 제게 자비를 베푸소서!”라고 기도하였다. 이것은 세르베투스의 신앙고백인 동시에 오류의 고백이기도 했다. 그는 그리스도를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했지만, 끝내 “하나님의 영원한 아들”이라고 말하지는 않았다. 세르베투스는 아들의 영원성, 다시 말하면 아들의 신성을 거부한 것이다. 이것은 칼빈에게는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이단적 사상이었다. 결국 형용사의 위치로 인해 종교개혁의 역사에서 오랫동안 오점으로 남을 화형이 일어난 것이다. 만일 그리스도가 존재와 능력에서 하나님과 동일한 분이 아니라면 그의 구원사역들은 신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며 그 효력도 없어지게 될 것이다. 위격의 관점에서는 성부와 다르지만 존재와 신성에 있어서는 동일하다고 믿었다. 곧 그리스도는 한 분이신 영원한 하나님이시다. 이것이 칼빈이 서방의 전통인 필리오케를 수용하는 근본적 이유일 것이다. 성령이 성부에 이어 성자에게도 나온다는 것은 곧 성자가 하나님이라는 뜻이다. 칼빈은 자신이 세르베투스와 같은 이단들에 대항하여 싸우는 것은 단지 논쟁 자체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구원을 갈망하는 사람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결  론

 

삼위일체에 대한 칼빈의 공헌은 자신의 신학 전체를 삼위일체론 적으로 구성했다는 점, 삼위일체교리를 성서적 토대 위에 세우고자 했던 점, 삼위의 독자성을 강조하면서도 상호관계를 통한 통일성을 강조한 점, 삼위일체를 사변적 이론이 아니라 구원의 교리로 정립하고자 했던 점이다. 그는 고대 교회의 삼위일체 교리의 전통을 부인하거나 전혀 새로운 것을 수립하지는 않았다. 단지 고대의 삼위일체론 에서 미약했던 것을 새롭게 재조명하여 강조했거나 중세세기를 지나면서 곁길로 벗어난 논의를 원래의 목적으로 돌려놓았음을 의미한다.

[출처] 칼빈의 삼위일체|작성자 kaistq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00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6997
    read more
  3. No Image

    [신학] 신학펀치 48강을 일목오연하게 요약한 글

    신학펀치 48강을 일목오연하게 요약한 글입니다. http://blog.naver.com/leibinq
    Date2017.05.26 By갈렙 Views400
    Read More
  4. No Image

    시편의 구분_최건수교수

    최건수교수의 성경연구 Tuesday, December 31, 2013 시편 (Psalms) 성경공부 시편 (Psalms) 성경공부 성경본문: 시편 1:1-6 1. 시편 서론(序論) ■ 시편의 이름 히브리 성경에서는 “테힐림(םילהת)”이라고 불렀으며 그 뜻은 “찬양의 노래들”이란 의미입니다. 70...
    Date2017.05.26 By갈렙 Views877
    Read More
  5. No Image

    시편의 구분과 유형_로마카톨릭에서

    시편 구분과 유형 2010.10.10 16:18 시편은 미사 기도문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성무일도에도 많이 사용합니다. 기도문으로 아주 좋습니다. 유형별로 익혀서 나의 기도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1) 구분 34개 장(이 시들을 [고아]라고 부른다)을 제외하고는 모든 ...
    Date2017.05.26 By갈렙 Views863
    Read More
  6. [지도와 도표와 사진] 성서강의용_출애굽 여정 바울의 전도여행 이스라엘 지도 등

    http://www.culturalbible.com/?page_id=1353 성경 강의용 지도와 도표 다윗과 솔로몬 시대 지도 (한글) 다윗과 솔로몬 시대 지도 (영문) 출애굽경로(한글) 로마시대지도2 빌립의 전도여행 출애굽경로(영문) 엘리아 카피돌리나 타작마당 베드로의 전도여행지 ...
    Date2017.05.29 By갈렙 Views2478
    Read More
  7. No Image

    [교리] 기독론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연구

    기독론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연구 기독론 2006.07.31. 09:17 http://blog.naver.com/shincdhmch/130006974135 예수그리스도의 신성 연구 I. 주제에 관한 개관(Chapter Outline&Introduction) 예수님의 신성(神性)은 역사적으로 발생한 기독론쟁(Christolo...
    Date2017.05.30 By갈렙 Views675
    Read More
  8. No Image

    [교리] 그리스도의 신분

    그리스도의 신분(신분) 우리는 가끔 "신분"과 "상태"라는 말을 상호 교차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우리가 그리스도의 신분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율법과 율법 앞에 선 그리스도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보다 특수한 의미로 "신분"이란 말을 사용한다. 그리스도...
    Date2017.05.30 By갈렙 Views352
    Read More
  9. [교단] 국제 연합오순절 교회에 대하여

    국제 연합오순절 교회에 대하여 esus 2014-02-17 05:09:30 | 조회: 6244 국제 연합오순절 교회에 대하여 국제 연합오순절 교회의 뿌리는 2000년 전 예루살렘 교회에 있다. 영원전부터 계획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가 탄생된 날은 오순절날이었다. 그 날, 인...
    Date2017.06.01 By갈렙 Views926
    Read More
  10. No Image

    [총회헌법] 안수집사 및 권사 임직에 관한 총회헌법 규정

    <총회헌법> 제8장 집사 및 권사 제50조 집사의 직무 집사는 교회의 택함을 받고 제직회의 회원이 되며, 교회를 봉사하고 헌금을 수납하며, 구제에 관한 일을 담당한다. 제51조 집사의 자격 집사는 단정하고 일구이언을 하지 아니하며 깨끗한 양심에 믿음의 비...
    Date2017.06.10 By갈렙 Views859
    Read More
  11. No Image

    [교회사] 서머나교회의 지도자 폴리갑

    서머나교회의 지도자 폴리갑 폴리갑(Polycarp, AD 69~156?,168?) 로마제국의 4차 박해 시기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시대에 기독교인이라고 고백한 많은 진실한 성도들은 잔인한 고문과 형벌을 당했는데, 폴리갑(Polycarp, AD 69~156?,168?)...
    Date2017.06.11 By갈렙 Views591
    Read More
  12. No Image

    [성경] 히브리어성경_맛소라 사본

    히브리어 표준 구약성경 사본 - 맛소라 사본 고대 유대인들은 모음 없이 자음만으로 글을 썼으며, 구약 성경의 내용을 거의 암기하여 그것을 구전으로 후대에 전해주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히브리어는 점차 잊혀지게 되었고, 대신 아람어가 통용되었다....
    Date2017.06.11 By갈렙 Views1344
    Read More
  13. [도표]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소아시아 일곱교회 비교

    Date2017.06.13 By갈렙 Views2685
    Read More
  14. [그림] 삼위일체를 설명하는 그림들입니다.

    삼위일체를 설명하기 위해 그린 그림들입니다.
    Date2017.06.15 By갈렙 Views562
    Read More
  15. No Image

    [신학] 신학사상과 성경해석에 있어서 '오리겐'과 '제롬'의 관계

    신학사상과 성경해석에 있어서 '오리겐'과 '제롬'의 관계 강대훈 / 총신대 신대원 1-1 Ⅰ. 시작하는 말 오리겐(185-254)과 제롬(347-379년)은 백 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살았다. 그러나 제롬에게 있어서 오리겐은 결코 멀리 존재했던 인물이 아니었다. 제롬은 ...
    Date2017.06.15 By갈렙 Views690
    Read More
  16. No Image

    [신학] 삼위일체이단 사상 '양자론'과 '양태론'에 대하여

    삼위일체이단 사상 '양자론'과 '양태론'에 대하여 교회사에서 중요하게, 그리고 오랫동안 논쟁되어온 두 가지가 있는데 이 두 가지는 모두 다 삼위일체론에서의 이단설입니다. 첫째는, 삼위일체론에서 그리스도와 관련한 '양자론' 이고 둘째는, 삼위일체론에서...
    Date2017.06.16 By갈렙 Views895
    Read More
  17. No Image

    [교회사] 제롬은 누구인가?

    제롬(Jerome, Eusebius Hieronymus, 347?-420)은 서방교회에서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한 자로, 초대교회에서 가장 유명한 성경 주석자로, 그리고 학문을 겸비한 자로 잘 알려져 있는 자이다. 그는 서방교회의 교부들 중 가장 탁월한 자로서 347년 아드리아해 상...
    Date2017.06.16 By갈렙 Views410
    Read More
  18. No Image

    [성화] 삼위일체를 설명하는 그림 중에서 성모까지 포함된 삼위일체

    프랑스국립박물관연합(RMN) 에티엔 슈발리에 기도서 : 성인들의 대도 (代禱), 삼위일체 장 푸케 [Le Livre d'Heures d'Etienne Chevalier : Les Suffrages des Saints, la Trinité ] 이미지 크게보기 에티엔 슈발리에 기도서 : 성인들의 대도 (代禱), 삼위일체...
    Date2017.06.18 By갈렙 Views404
    Read More
  19. [교리] 천주교에서 말하는 삼위일체 하나님

    ♧ 하느님께 대한 우리의 신앙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하느님은 한 분이시나, 성부, 성자, 성령 세 위(位)이심을 말해 준다. 1. 신앙의 신비로서의 삼위일체 삼위일체의 신비는 곧 하느님 자신에 관한 신비이다. 삼위일체를 믿는다는 것은 하느님이 한 분이심을 ...
    Date2017.06.18 By갈렙 Views454
    Read More
  20. [교리] 타종교에서의 삼위일체

    「크리스천 센추리」지 1998년 5월 20-27일자에는 한 교역자의 말이 인용되어 있다. 그런데 그 교역자는 삼위일체가 “예수의 가르침이라기보다는 교회의 가르침” 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이것이 놀라운 이유는 무엇입니까? 오늘날 대다수의 그리스도교의 중심교...
    Date2017.06.18 By갈렙 Views252
    Read More
  21. No Image

    [교리]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의 삼위일체론 삼위일체 논쟁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의 삼위일체론 삼위일체 논쟁 2009.06.26. 12:28 복사 http://blog.naver.com/kaistq/150051794835 서 론 종교개혁 이후 교회는 각각 자기 교파의 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정통주의 신학을 발전시켰다. 보통 1559년부터 1622년까지...
    Date2017.06.22 By갈렙 Views402
    Read More
  22. No Image

    [교리] 칼빈의 삼위일체

    칼빈의 삼위일체 삼위일체 논쟁 2009.06.25. 12:14 복사 http://blog.naver.com/kaistq/150051742728 서 론 20세기를 ‘삼위일체 르네상스’라고 말하는 것은, 한때 삼위일체가 중요한 신학적 주제였으나 그 후 오랫동안 삼위일체에 대한 관심이 없었거나 부족했...
    Date2017.06.22 By갈렙 Views4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