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세이연> 보고서 잘못이다(4) 
김길성 교수, 예수 그리스도가 여호와다라고 하면 양태론인가? 아니다
2018년 11월 05일 (월) 14:15:11 교회와신앙  [email protected]

 

김길성 교수의 답변(총신대 신대원 조직신학 교수, 부총장, 신대원장)

   
▲ 김길성 교수

I. 들어가는 글

이 글은 질의서 내용(제목: ‘예수 그리스도가 여호와다’라고 하면 양태론인가?)에 대한 답변이다. 2018년 10월 18일자 질의서에 담긴 논제와 관련하여, 성경적 고찰, 성경신학적 고찰, 및 교리적 고찰을 통하여 질의서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성경적 고찰

신구약 성경이 이 논제와 관련하여 무엇이라고 말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 논제와 관련하여, 구약성경에서 사용된 ‘여호와’ 명칭이 신약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적용된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사 40:3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여 이르되 너희는 광야에서 여호와의 길을 예비하라 사막에서 우리 하나님의 대로를 평탄하게 하라

고 말씀하고 있다. 이곳에 나오는 ‘여호와’ 명칭은 구약성경의 이스라엘 민족에게는 익숙한 명칭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명칭은 신약성경 마 3:3에 인용된 인용문에서는 ‘주’로 표현되고 있다.

그는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자라 일렀으되

광야에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어 이르되 너희는 주의 길을 준비하라 그가 오실 길을 곧게 하라

라는 선지자의 예언의 말씀에서, 마 3:3의 ‘주’는 구약성경에서 사40:3에서 말씀하신 ‘여호와’이시며, 또한 이 경우에 ‘주’는 마 3:1에 세례 요한의 전파와 연결되며, 세례 요한이 전파하는 내용인 오실 메시아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고 있다(마 3:11 참조). 그러므로 사 40:3에 언급된 ‘여호와’는 신약성경에서 ‘주’로 표현되고 있으며, 동시에 이 ‘주’ 명칭은 신약성경의 문맥에서 세례 요한이 증언하고 있는 오실 메시아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말씀하고 있다는 것이 자연스런 해석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신약성경 롬 9:32, 33은 구약성경(사 28:16)을 인용하여 우리의 믿음의 주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있다.

어찌 그러하냐 이는 그들이 믿음을 의지하지 않고 행위를 의지함이라 부딪칠 돌에 부딪쳤느니라

기록된 바

보라 내가 걸림돌과 거치는 바위를 시온에 두노니 그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하지 아니하리라

함과 같으니라

고 말씀하고 있다. 구약성경에서 사 28:16은 “그러므로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이르시되”하고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구절은 보다 분명한 구절인 사 8:14에서 말씀한 대로, “만군의 여호와 그를 너희가 거룩하다 하고 그를 너희가 두려워하며 무서워할 자로 삼으라 그가 성소가 되시리라 그러나 이스라엘의 두 집에는 걸림돌과 걸려 넘어지는 반석이 되실 것이며 예루살렘 주민에게는 함정과 올무가 되시리니”라고 말씀하고 있다. 구약성경에서 사용된 ‘만군의 여호와’는 신약성경의 인용(롬 9:32, 33)에서 믿음의 주이신 ‘그’이신 예수 그리스도에게 적용되고 있음이 분명하다. 위의 예들은 구약성경에서 사용된 ‘여호와’ 명칭이 신약성경에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고 있으며, 예수 그리스도에게 적용되고 있다고 하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III. 성경신학적 고찰

또한 구약성경에서 사용된 ‘여호와’(YHWH, Kyrios, 또는 야훼) 명칭이 신약성경에서 흔히(전부는 아님) 예수 그리스도에게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은 성경신학 학자들도 증언하고 있다.

1. 보스(Geerhardus Vos): 메이천의 스승이요 워필드의 동료인 성경신학자 보스는 세례 요한과 관련된 계시를 설명하면서, 세례 요한을 그리스도의 선구자로 말하고, 눅 1:17, 76에 나오는 ‘그’ 또는 ‘이 아이’(세례요한)는 예수님의 사역을 준비하는 길을 예비하는 역할을 한 세례 요한에게 해당하고, 세례 요한이 증거 하는 ‘주’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며, 동시에 구약성경의 ‘여호와’로 이해되어져야한다고 제시하고 있다(G. Vos, Biblical Theology, Old and New Testaments (1948; Grand Rapids: Eerdmans, 1980), 311).

2. 래드(George Eldon Ladd): 미국의 저명한 신약신학자 래드는 신약성경, 특히 바울서신에서 예수님에 대한 가장 특징적이고 현저한 명칭은 ‘주’(Kyrios)라고 말하고, Kyrios(퀴리오스)는 신약성경에 ‘주’가 예수님에 대한 특징적인 명칭으로 사용되기 전부터, 구약성경의 헬라어역인 70인역에서, 구약성경에 사용된 히브리어 Yhwh(여호와, 또는 야훼로도 표시)의 헬라어 역으로 Kyrios(퀴리오스, 주)가 이미 사용되어왔으며, 구약성경에서 Yhwh(여호와, 또는 야훼로도 표시)는 하나님에 대한 언약 명칭으로 사용되었다고 제시하고 있다(G. E. Ladd,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74), 415-416).

3. 거쓰리(Donald Guthrie): 영국의 저명한 신약신학자 거쓰리는 신약시대 Kyrios(퀴리오스, 주)라는 말은 당시 세상에서 존경의 칭호이었으며, 윗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하는 공손함의 칭호였다고 말한다. 특히, 로마의 황제 또는 이교의 신을 언급할 때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 말은 이방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신약성경에서 사용된 Kyrios(주)는 구약성경에 사용된 히브리어 Yhwh(Adonai, 아도나이)의 역으로 사용되었고, 이는 여호와(또는 야훼)를 대신하는 명칭이었으며, 이 칭호가 예수님께 흔히 적용되었다고 제시하고 있다(D. Guthrie, New Testament Theology (Leichester, England: Inter-Varsity Press, 1981), 291-301).

IV. 교리적 고찰

1. 박형룡 박사: 박형룡 박사는 그의 『교의신학 신론』에서 성자의 신성을 논하면서, “성자에게 신적 명칭을 적용하여 「여호와」, 「하나님」이라 칭한다[렘 23:5, 6; 욜 2:32 (행 2:21 비교); 사 9:6; 40:3; 딤전 3:16].”고 제시하고 있다(박형룡, 『박형룡박사저작전집 II, 교의신학 신론』 (서울: 기독교교육연구원, 1977), 226).

2. 칼빈(John Calvin): 종교개혁자 칼빈은 그의 『기독교 강요』에서 성삼위일체론을 다루면서, 사 8:14이하에 언급된 “이스라엘의 두 집에는 걸림돌과 걸려 넘어지는 반석이 되실 것이며”라는 말씀은, 신약성경에서 바울은 이 예언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다고 선포하고 있으며(롬 9:32-33), 그러므로 바울은 그리스도가 만군의 여호와라고 선포하고 있다고 칼빈은 제시하고 있다(Inst. 1. 13, 11).

또한 칼빈은 행 28:25-26에서 사도바울이 한 말 중에 “성령이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너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것이 옳도다” 하고, 구약성경 사 6:9이하를 인용하고 있는데, 사도행전에 언급된 구약의 예언(사 6:9이하)을 말씀하신 이는 “성령”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대하여, 구약성경 본문인 사 6:9에서는 “여호와께서 이르시되”라고 시작하고 있다. 이 경우에 구약성경 본문에서 이사야 선지자는 말씀하시는 분은 ‘여호와’이시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로써 예언의 조성자가 진실로 여호와시라는 것을 말씀할 뿐만 아니라, 구약의 여호와 명칭이 신약에서 제3위이신 성령께 적용되는 예를 칼빈은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Inst. 1. 13. 15).

3. 벌코프(Louis Berkhof): 벌코프는 그의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에서 그리스도의 명칭을 다루면서, “‘주’라는 이름은 70인역에서 하나님께 적용되었는데, (1) 여호와와 동격어로, (2) 아도나이의 번역으로, (3) 인간적 경칭을 하나님께 적용시킨 것으로(주로 아돈, 수 3:11; 시 97:5) 쓰인다.”고 말하고, 이 명칭이 신약성경에서 그리스도께 사용되는 경우, 삼중적 의미가 있음을 말하고, “권위의 최고 함축어로서, 승귀된 인격을 표현하여 사실상 ”하나님“과 동의어(막 12:36, 37; 눅 2:11; 3:4; 행 2:36; 고전 12:3; 빌 2:11)”로 사용된다고 제시하고 있다(벌코프, 『벌코프 조직신학』, 합본 (고양: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00), 541-544; 영문은 312-315 참조).

4. 그루뎀(Wayne Grudem): 그루뎀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다루는 자리에서 그리스도에게 사용된 ‘주’(Kyrios)라는 명칭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당시에 윗사람에게 공손한 말투로 이 명칭이 사용되기도 했었다고 제시하기도 하지만(마 :27; 21:30; 27:63; 요 4:11 등), 또한 이 용어(Kyrios, 주)는 구약성경의 헬라어역인 Yhwh(여호와, 또는 야훼로도 쓰임)의 역어로 흔히 사용되었다고 제시하고 있다. 구약성경에서 여호와 또는 하나님 자신으로만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신약성경에서 ‘주’가 그리스도께 사용되고 있는 예가 많이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Wayne Grudem, Bible Doctrine (Leicester, England: Inter-Varsity Press, 1999), 236-237).

V. 나가는 글

위에서 이미 제시하듯이, 본 논제와 관련하여 성경적 고찰, 성경신학적 고찰, 및 교리적 고찰을 통하여 본 논제를 검토한 결과, 질의서 내용(제목: ‘예수 그리스도가 여호와다’라고 하면 양태론인가?)에 대한 답변은 부정적이며, 아니다 라고 말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이 논쟁의 발단이 어디에서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다만 주어진 질의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검토한 결과, 어느 누구가 ‘예수 그리스도가 여호와다’라고 말하거나 기술했다고 해서 그 사람을 양태론으로 말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일자: 주후 2018년 10월 22일
김길성 교수(총신대 신대원 조직신학, 부총장, 신대원장)

<관련기사>

<미주 세이연> 보고서 잘못이다(1)

http://www.ame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73

<미주 세이연> 보고서 잘못이다(2)

http://www.ame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75

<미주 세이연> 보고서 잘못이다(3)

http://www.ame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85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42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7022
    read more
  3. No Image

    [교회사] 해방전 북한 교회 2천69곳/기독총연 자료집서 밝혀

    해방전 북한 교회 2천69곳/기독총연 자료집서 밝혀 해방전 북한지역에 있던 교회수는 모두 2천69개였으며 교회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평안북도(3백36개)였고며 도시중에는 평양(2백72개)에 제일 많았다. 교단별로는 장로교가 1천3백53개로 가장 많았고 감리교...
    Date2018.05.06 By갈렙 Views346
    Read More
  4. No Image

    [노아홍수] 인디언과 노아 홍수 이야기

    인디언과 노아 홍수 이야기 - 디트로이트지역에서 발견한 인디언의 돌판 노아 대홍수에 대한 질문은 2가지다. 1. 물층의 온실효과로 지구 온도가 올라갈 것이다 2. 대홍수가 있었다면 히말라야 9000m의 산을 덮을 수 있는 물은 어디서 오고 어디로 빠졌는가? ...
    Date2021.03.25 By갈렙 Views346
    Read More
  5. No Image

    성경연대표

    성경연대기 표 연도 이스라엘 인물(선지자) 애굽 메소포타미아(바빌론) 앗수르/기타 성서의발견1947목동이쿰란공체의동굴에서 고대필사본발견1949년약200개동굴조사- 11개의동굴에서에스더를제외한 구약전체 100여개의필사본발견 (기원전150년기록으로밝혀짐) ...
    Date2022.05.28 By갈렙 Views346
    Read More
  6. [양태론] 예수 그리스도가 여호와다라고 하면 양태론인가? 아니다_김길성교수(총신대 조직신학교수, 신대원장)

    <미주 세이연> 보고서 잘못이다(4) 김길성 교수, 예수 그리스도가 여호와다라고 하면 양태론인가? 아니다 2018년 11월 05일 (월) 14:15:11 교회와신앙 [email protected] 김길성 교수의 답변(총신대 신대원 조직신학 교수, 부총장, 신대원장) ▲ 김길성 교...
    Date2018.12.03 By갈렙 Views347
    Read More
  7. No Image

    [교리] 루터의 삼위일체

    루터의 삼위일체 삼위일체 논쟁 2009.06.24. 12:03 복사 http://blog.naver.com/kaistq/150051689295 서 론 삼위일체론과 관련해서는 대체로 고대교회의 논쟁을 통해 교회가 확정되었고 그 후에는 그저 고대 교회의 논의를 답습하는 선에 그치다가 20세기 들어...
    Date2017.06.22 By갈렙 Views348
    Read More
  8. No Image

    잘못된 환난전 휴거설은 언제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나?

    잘못된 환난전 휴거설은 언제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나? “세대론”은 폴리캅(Polycarp) 시대로부터 기독교 문헌 속에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분명한 것은 초대교회가 세워진 이후 1800년 동안 교회에서 전혀 가르쳐진 적이 없었으며 크리스텐돔(Christendom...
    Date2021.03.02 By갈렙 Views348
    Read More
  9. 바벨탑은 인류문명의 불꽃인가, 반역의 상징인가?

    1권5호BC 6000-BC 5000 "또 말하되 '자 성과 대를 쌓아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 면에 흩어짐을 면하자 하였더니(창 11:4) ―――― 성경으로 여는 세계사 신문 ―――― 오늘의 세계표정 바벨탑을 통한 인간의 반역 이 다시 시작되고...... ...
    Date2021.04.11 By갈렙 Views348
    Read More
  10. No Image

    [귀신] 다음의 일들이 계속해서 반복해서 일어나고 오래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면 귀신의 역사를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귀신의 역사 첫째, 불치병과 희귀병이나 이름모를 질병에 걸림. 둘째, 가정 파탄이나 이혼, 가정폭력이나 잦은 부부싸움. 셋째, 가난하게 됨, 계속된 사업실패나 돈이 마구 새어나감. 넷째, 문제아나 반항아, 폭력을 휘두르는 자녀가 됨. 다섯째, 각종 중독에 ...
    Date2019.07.06 By갈렙 Views350
    Read More
  11. 현대 이스라엘 사람들의 결혼식은 어떻게 진행될까?

    현대 이스라엘의 결혼 현대 이스라엘은 유대교 유대인은 유대교 유대인과 기독교인은 기독교인과 그리고 모슬렘은 모슬렘하고만 결혼이 허락이 된다. 만약, 이 규례와 어긋나게 결혼하려면, 가까운 외국, 사이프러스 와 같은 외국에 나가서 혼인을 치루면 가능...
    Date2022.09.04 By갈렙 Views350
    Read More
  12. No Image

    [교리] 그리스도의 신분

    그리스도의 신분(신분) 우리는 가끔 "신분"과 "상태"라는 말을 상호 교차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우리가 그리스도의 신분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율법과 율법 앞에 선 그리스도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보다 특수한 의미로 "신분"이란 말을 사용한다. 그리스도...
    Date2017.05.30 By갈렙 Views354
    Read More
  13. No Image

    회의론자들도 동의하는 예수 부활의 9가지 사실

    회의론자들도 동의하는 예수 부활의 9가지 사실 By 재경일보 노승현 기자 입력 2016.03.26 03:03 PM 부활 예수께서 죽음 후에 무덤에서 걸어나오신 것이 분명한 사실이라면, 그가 자신에 대해 말했던 모든 것들, 특히 내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했던, 내...
    Date2017.03.27 By갈렙 Views357
    Read More
  14. No Image

    [선교] 언더우드 미국북장로교선교사(목사)(1859~1916)

    언더우드 선교사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元杜尤, 1859-1916)는 1859년 7월 19일 영국 런던에서 아버지 존(John Underwood)과 어머니 엘리자벧(Elisabeth Grant Marie)의 6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1881년 뉴욕대학을 졸업하여 문학사학위를 받고 ...
    Date2017.11.10 By갈렙 Views357
    Read More
  15. [역사] 한미상호방위조약(1953.10.01)과 변영태 외무부장관

    한미상호방위조약 [韓美相互防衛條約 ] 한미방위조약 비준서 교환1953년 10월 1일 한국과 미국간에 상호 방위를 목적으로 체결된 조약. 유형 사건 시대 현대 성격 조약 발생·시작 일시 1953년 10월 1일, 1954년 11월 18일(발효) 목차 정의 내용 정의 1953년 10...
    Date2017.11.10 By갈렙 Views358
    Read More
  16. No Image

    개역한글판 성경의 관주 검토

    [개역한글판」 성경의 관주 검토 글: 전무용* 1. 머리말 그동안 간간이 성경의 독자들로부터 한글 성경의 관주에 대한 문의가 대한성서공회로 들어왔다. 주로 누가 만든 것이며 언제 만든 것인가 하는 문의와, 관주의 내용에 대한 문의였다. 한글 관주는 「영어 ...
    Date2020.12.05 By갈렙 Views358
    Read More
  17. No Image

    [인물] 장 깡뱅(존 칼빈)(1509~1564)의 생애와 사상

    23. 존 캘빈(요한 캘빈,Jean Calvin,1509~1564) S영의 중세교회사 2014. 9. 23. 10:12 https://blog.naver.com/elnala/220130031516 23. 존 캘빈(요한 캘빈,Jean Calvin,1509~1564) (1) 캘빈의 이력 1509년7월10일, 프랑스 피가르디 지방 북부 교회도시 노용에...
    Date2020.05.14 By갈렙 Views359
    Read More
  18. No Image

    [참고] 건전가정의례준칙[ 健全家庭儀禮準則 ]_제사는 어떻게 지내야 하는가?

    건전가정의례준칙[ 健全家庭儀禮準則 ] 요약가정의례의 의식 절차를 엄숙하고 간소하게 행하게 하기 위하여 제정된 규칙. 성년례(成年禮)·혼례(婚禮)·상례(喪禮)·제례(祭禮)·수연례(壽宴禮) 등 가정의례에서 모든 국민이 참뜻을 구현할 수 있도록, 그 의식절차...
    Date2020.10.02 By갈렙 Views361
    Read More
  19. [천주교] 대사(大赦, Indulgentia) = 면벌 혹은 대사부 교리

    ◈ 대사(大赦, Indulgentia) 대사(大赦, Indulgentia) 또는 면벌(免罰), 대사부(大赦符)는 라틴어로 ‘은혜’ 또는 ‘관대한 용서’라는 말로, 흔히 면죄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역으로 인한 논란에 따라 기존에 통용되던 용어 '면죄부'를 대신하여 면벌...
    Date2019.10.14 By갈렙 Views361
    Read More
  20. 아담의 성품 속에 사는 일곱 족속들 feat.가나안 일곱 족속의 의미_윤제시카목사

    아담의 성품 속에 사는 일곱 족속들 feat.가나안 일곱 족속의 의미 블리스찬 ・ 2021. 6. 29. 17:00 간음한 여인들아 세상과 벗된 것이 하나님과 원수 됨을 알지 못하느냐 그런즉 누구든지 세상과 벗이 되고자 하는 자는 스스로 하나님과 원수 되는 것이니라 ...
    Date2023.03.03 By갈렙 Views361
    Read More
  21. No Image

    [상식] 미국헌법 전문(1787년)

    미국 헌법 전문(全文) 지역 아메리카 > 미국 분야 정치 목차 미국 헌법 전문 제1조(입법부) 제2조(행정부) 제3조(사법부) 제4조(연방제) 제5조(헌법수정절차) 제6조(국가의 최고의 법) 제7조(비준) 영국에 반기를 든 북아메리카의 13개의 식민지는 1776년 독립...
    Date2018.05.14 By갈렙 Views362
    Read More
  22. No Image

    구약시대에는 귀신들이 없었는가?

    구약시대에 귀신의 존재유무에 관하여 구약성경에도 귀신들이라는 용어가 한글성경에 딱 3번 나오기는 합니다. 신32:17 그들은 하나님께 제사하지 아니하고 귀신들(쉐드임:바벨론의 세두=초월적인 신적 존재)에게 하였으니 곧 그들이 알지 못하던 신들(엘로힘)...
    Date2018.01.30 By갈렙 Views3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