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유월절에 대한 교회사) 안증회의 거짓조작 | 자유게시판
전체공개 2004.08.27. 12:3

 

 
 

 

안증회는 초대교회가 유월절을 지켰는데, 325년 니케야회의부터 강제로 유월절이 폐지되고 부활절을 지키게 되었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물론 새빨간 거짓말이다.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교회사에 관심이 없다. 그것을 이용하여 안증회는 교회사까지 조작하고 있는 것이다. 누구든지 기독교서점에 가서 교회사에 관한 책을 찾아보면 안증회의 조작이 곧 밝혀지게 된다.

본인은 교회사를 약 10권 정도를 참고하고 이 글을 만든다. 물론 책 이름과 페이지 수를 정확히 표기하니 의문이 있으면 언제든지 참고하기 바란다.

 

안증회 교인의 주장을 이곳에 올린다. 정말 가증스럽다....

 

## 한가지 알려드릴께요. 교부시대 당시에는 부활절이라는 말이 없었습니다. 위에서 제시한 부활절이라는 단어를 교회사를 통해서 찾아보세요. 힌트입니다. 뭐라고 되어있는지 살펴보시면 됩니다. ##

 

초대교회는 부활절을 “파스카”라고 불렀다. “파스카”란 말은 유월절이라고 하는 “페사흐”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그 이유는 부활절이 유월절 기간에 속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대교회가 말한 파스카는 유월절을 지킨는 것이 아니었고, 그 파스카는 부활절을 의미하였다. 동방교회에서는 유월절이 곧 부활절이었기 때문이다.

위의 안증회 교인의 글을 읽어보면..... 안증회는 그 교회사를 모르고 조작한 것이 아니라, 알면서도 고의로 조작시켰음이 드러난다.

그는 교회사에서 부활절이 파스카라는 단어로 불렸음을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 문헌을 보자.

 

# 초대교회에서는 부활절을 파스카(Pascha)라고 불렀다. 이는 구약의 유월절(Passover)을 뜻하는 “페사흐”에서 나온 말이다. 이는 초대교인들이 예수그리스도가 영원한 유월절 양으로 우리를 위하여 구속희생을 당한 사실에 근거하여 구약의 유월절을 예수의 부활기념일로 변용시켜 기념한데서 유래한 말이다(데일리가정성경, 교회절기일람, 165쪽)

 

이제 그들의 조작이 드러나게 된다....

안증회교인은 유세비우스의 교회사를 인용하면서 초대교회가 유월절을 지켰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역시 새빨간 거짓말로서 부분적인 인용만 하고 있다.

첫째 그는 294페이지라고 하였는데, 262페이지이다. 그저 뻬끼기 때문에 페이지도 정확하지 않다.

이제 안증회가 인용한 유세비우스의 교회사라는 책의 유월절에 대해서 올려 본다.

안증회 교인은 물론 이 글을 생략하고 있었다.

 

“이 무렵 유월절을 지키는 일에 관해 여러 가지 견해가 있었으므로, 상당한 논란이 일어났다. 보다 옛 전승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었던 아시아의 교회에서는 정월14일을 주님의 유월절로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날은 유대인들에게 양을 잡으라는 명령이 내려졌던 날이다. 그날이 무슨 요일이든지, 그들은 그 날에 금식을 끝내야 했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는 유월절을 이런 식으로 지키지 않았다. 그들은 사도들의 전승에 따라 오늘까지 보급되고 있는 관습을 따랐으므로, 금식은 반드시 주님께서 부활하신 날에 끝내야 했다. 이 문제를 두고 감독들의 대회 및 소집회들이 개최되었다. 그들은 만장일치로 하나의 교회의 명령을 작성하여 모든 교회에게 전했다. 즉 주님의 부활의 신비는 다른 날이나 주일날에 축하되어야 하며, 반드시 이날에 유월절 금식을 끝내야 한다는 것이다”(유세비우스의 교회사, 261-262쪽)

 

얼핏 보면 동방교회가 유월절을 지킨 것처럼 잘못 이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잘 읽어보면 유월절을 지킨 것이 아니라, 부활절을 유월절로 지켰다는 내용이며, 그 명백한 증거를 곧 보여 주겠다.

위 글은 동방교회만이 부활절을 유월절에 지켜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리고 서방교회는 사도들의 전승에 따라 오늘까지 보급되는 관습(부활절을 주일에 지키는 것)을 지켰다는 것이다. 그들은 금요일에 금식을 했으며 주일은 부활날이므로 금식하지 않았다.

그런데 왜 위 본문은 동방교회는 유월절을 지켰다고 기록되어 있을까?

안증회의 조작이 이제 밝혀지게 된다.

 

261쪽을 보면, 제23장 “유월절에 관한 문제”라는 제목이 있는데, 유월절이라는 단어에 (6) 이라는 색인이 붙어 있다.

그 색인을 찾아보면....(509-510쪽, 5권 6번)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유월절이라는 단어는 출애굽기 12:27에 기록된 것을 번역한 것이다. 히브리어에서 파생된 단어인 pasca 라는 희랍어는 유대인의 명절을 나타내는 명사로서, 초대교회에서는 유월절에 있었던 주님의 부활을 축하하는 절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제 안증회의 엉터리 조작이 그대로 드러난다.

초대교회에서는 유월절을 지킨 것이 아니다. 비록 그들이 파스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그것은 유월절이 아니라 부활절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바로 아래의 문헌과 똑같은 내용인 것이다.

 

# 한편 부활절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새로운 출애굽, 즉 이스라엘 사람들이 애굽에서 해방되었던 사건에서 예시되었던 것처럼 그리스도께서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겨진 것을 기념하는 축제가 되었다. 소아시아 교회들은 히브리 달력을 따라 니산월 14일 즉 전통적인 유월절에 그 절기를 지키는 본래의 관습을 오랫동안 유지하였던 같다. 그러나 결국에는 유월절 절기를 기독교의 주간에 맞추어 지키는 팔레스타인과 알렉산드리아 그리고 로마 교회의 관습이 우세하게 되었고, 부활절은 첫날의 축제가 되었다.(기독교회사, 윌리스턴 워커 121쪽)

 

초대교회는 유월절을 지킨 것이 아니다.

단지 동방교회의 개종한 유대인들을 중심으로 부활절을 유월절 절기에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던 것뿐이다.

물론 유대인들은 유월절을 지켰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은 부활절을 지켰다.

 

# 그러다가 AD 325년 이러한 교회의 논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니케야회의가 열리게 되었다. 이 회의에서 부활절은 언제나 유월절 기간이어야 한다는 동로마 교회의 주장 반드시 주일이어야 한다는 서로마교회의 주장을 다 수용시킨 절충안을 내 놓았다. 그 결과 부활절은 춘분 다음에 오는 일요일로 지키되 특정 일요일일 필요는 없다고 정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도 완전한 해결점이 되지는 못하였다..... 유래: 초대교회의 성도들은 그들의 종교력으로 1월인 니산월14일, 즉 유월절에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였다. 이렇게 유월절이 부활절로 변용되어 기념된 것은 예수의 부활이 유월절기에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출애굽시 어린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르게 하심으로 당신의 택한 백성을 구원하신 하나님의 구속사역과 유월절 어린양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 사역이 그 의미에 있어서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데일리가정성경, 교회절기열람, 165쪽) 

 

심지어 안증회 자신들이 초대교회가 유월절을 지켰다는 증거로 인용한 간추린교회라는 책은 그대로 인용된 것이 아니라, 조작되어 있었다.

즉 그들은 교회사를 뻔히 알면서도 고의로 조작하여 놓고, 태연하게 책이름과 페이지까지 인용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소집동기

부활절 일자문제(동방은 유월절을 지키고, 서방은 주일을 중시했다)

② 아리우스(Arius)설 때문에 교회가 분열될까 염려하여

결의

부활절은 주일에 지키기로.

④교회 정치에 관한 규정 제20조를 제정함

(간추린 교회사 64-67쪽)

 

## 이 부활절초대 설교자들의 전도활동의 원동력이었으며 동시에 설교의 핵심이 되었다. 2세기 후기에는 이 부활절을 언제 지키느냐가 논쟁이 되었다. 하나님의 섭리에 따라 세상의 구원이 유대의 절기인 유월절과 연결된 후에, 이것은 기독교에 의해서 새로운 의미를 가지고 지켜지게 되었다. 즉 오늘날까지 이 부활절은 달력으로는 유대교의 유월절과 연결되어있다. 서아시아에서는 부활절을 유대교의 유월절인 Nisan 유대인들의 월력을 지키고 있다. 이에 따라 매 달은 초승달로 시작된다. 이에 따라 유대인들은 새해를 Nisan월로 시작하고 있다. 이 Nisan월 14일 즉 보름달이 떠오르는 날에 이들은 유월절을 지키고 있다. 월 14일에 시작하였다. 에반해 로마에서는 Nisan월 14일이 지난 후 주일을 부활절로 지켰다. 동방교회에서는 유대인들이 유월절 날을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부활절이 음력으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부활절은 주중의 날에 관계없이 3일 후에 지켜졌다. 이들은 성금요일을 Nisan월 14일이라 믿었다. 이에 따르면 한 예로서 성금요일(Nisan월 14일)이 당해 화요일로 되면 부활절은 목요일에 지켜졌다. 이런 견해를 지지하는 자들은 "Quartodecimans(열 넷째 날장이)"라 불리었다. 이에 반해 서방에서는 부활절이 언제나 일요일 즉 부활일에 지켜져야 하며 십자가 처형은 언제나 금요일에 기념되어야 한다고 여기어졌다. 서방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주중(週中)의 날이 중요하였고, 동방교회에는 달(月)이 중요시되었다.

이 분쟁은 325년 니케아 회의에서 해결되었다. 여기서는 달과 주중의 날이 다 인정되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부활절을 춘분 다음 첫 만월 후 첫째 주일에 지키기로 하였다. 부활절은 언제나 유월절 때에 온다는 것과 또 언제나 주일에 온다함을 양측에 확증시켜주었다. 그러나 춘분을 정하는 데에도 난점이 생김에 따라 3월 18일부터 25일 사이의 여러 날자가 사용되어 상이한 부활절을 지켜왔다. A. J. Wegman, Liturgie in der Geschichte des Christentums, 74-76. Josef Andreas Jungmann, Der Gottesdienst der Kirche, 201; Edward T. Horn, 교회력, 161-162.

 

그렇다면 초대교회에서는 성찬식을 일년에 한번 유월절에 거행하였을까?

초대교회 교인들은 유월절에 성찬식을 한 것이 아니었으며 주일마다 가졌다.0
                   

# 주일마다 가졌던 성찬식과는 달리 세례식은 일반적으로 일년에 한 번(많아야 두 번) 거행되었다. (기독교회사, 윌리스턴 워커, 124쪽)

 

# 초대교회에서 성찬식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에 대하여는 이미 어느 정도 설명을 하였다. 성찬식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1세기 말엽에 생겨났으며, 아마도 본래는 "빵을 떼는 것“을 지칭하였던 그 의식을 가르키는 말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그 용어는 일차적으로 그리고 아주 고유한 의미로 교회의 제식의 음식으로 사용되는 빵과 포도주에 대해서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를 의미하였다.(기독교회사, 윌리스턴 워커, 126쪽)

 

# 이 음식을 성찬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 성찬을 아무나 취할 수 없고, 오직 우리가 가르치는 것이 참되다고 믿는 사람들..... 거룩하게 된 그 음식물은 바로 성육하신 예수님의 살이요, 피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예식 후에 우리는 항상 이와 같은 것들을 서로 기억하도록 합니다. 더 많이 가진 사람들은 부족한 사람들을 돕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항상 모입니다. 우리가 받은 모든 것을 인하여 우리는 인류의 주께 그의 아들 에수 그리스도의 성령을 통하여 송축을 올립니다. 그리고 일요일이라고 부르는 날마다 도시에 사는 사람이나 시골에 사는 사람이나 한 곳에 모입니다. 그리고 사도들의 글이나 선지자들의 글을 시간이 허락하는대로 오래 읽습니다. 독경자가 읽기를 마칠 때에 사회자는 강론을 통해서 그 고상한 교훈들을 모방하도록 권면합니다. 그다음에 우리는 모두 함께 일어서서 기도를 올립니다. 그리고 이미 위에서 말한대로 기도가 끝나면 빵과 물탄 술을 가져오고, 그리고 사회자가 높이 들고 그 거룩해진 음식물을 나누어 주어 모두 받게하고 참석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집사들이 가져다 줍니다.....” (쇼트웰의 순교자저스틴의 성서강해, L.C.C. 66절 286page, 저스틴의 제1변증서)

 

안증회는 저스틴의 변증서가 초대교회가 아니라, 교부시대에 접어 들면서 조금씩 변개된 것이라고 변명을 하였다.

안증회는 저스틴의 변증서가 언제 기록된 것인가를 찾아보라.

AD 150년대에 기록된 것이다.

 

이제 안증회는 그만 조작하는 것이 어떤가? 성찬식에 관한 문헌적인 자료는 1세기 말부터 발견되어진다.

성찬식은 용어는 1세기 말엽(즉 AD 90년경)부터 발견 되어진다

성찬식이라는 단어의 최초의 문헌적인 기록은 이그나시우스의 “에베소인들에게 보내는 편지”에 나오며 “디다케”(12사도의 교훈)에서도 발견되어진다.

 

하나님의 성찬(God's Eucharist)을 거행하고 그를 찬양하기 위해 더욱 자주 모이도록 힘씁시다.”(History of Antioch in Syria. 에베소인들에게 보내는 편지. 초대교회의 형성, 성광문화사 65쪽)

                                      

성찬을 헬라어로는 Eucharist라고 하는데, 그 단어는 라틴어의 eucharistia에서 온 것으로, 헬라어 유카리스티아(eucharistia)에서 유래된다.

그 원래의 의미는 “감사하게 생각하다, 감사를 드리다”는 뜻인데, 주 예수께서 최후의 만찬 때 떡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기 전에 감사하셨다(giving thanks)는 것에 관련되어 있다.

성경에서는 “축사하시다, 사례하시다”라는 단어로 번역된 “유카리스테오”이다.

 

## "지켜온 가장 오래된 절기는 부활절과 일요일예배였다. 부활절 축하는 오순절까지 연속하였고, 터툴리안은 이 기간에 무릎을 꿇지 않고 예배하는 습관을 언급하였다. 일요일은 매 주간에 오는 부활절이었고 그리고 일요일은 유대인의 안식일과 신중하게 구별하였다. 터털리안은 일요일에 휴업하게 만들려는 경건한 노력의 시작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나, 콘스탄틴 대왕 때까지는 이 날에 의무적으로 일을 하지 못하게 한 일은 없었다. 이날의 특징은 예배하는 것이고 그 예배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성만찬의 거행이었다"(대한기독교서회, 교회사 초대편 p. 139)

 

## 부활절 축제에 대한 최초의 문자기록은 부활절의 정확한 날짜를 결정하려는 "부활절 논쟁"에 나타나는데, 이는 A.D.154년 서머나(Smyrna)의 감독 폴리갑(Polycarp)과 로마의 감독 안티크투스(Anticetus)사이의 서신으로부터 시작되었다(Euseb. Hist. V 23-25). 그러므로, 이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부활절 축제가 기독교회 전체에 걸쳐 일반적으로 지켜지게 되었음에 틀림없다.(참고문헌 kcm.co.kr 성서대백과. 기독지혜사)

 

안증회의 카페를 가보면 폴리갑과 안트크투스가 처음 유월절에 대해서 논쟁을 하였다고 선전을 하고 있다. 그들은 이렇게 교회사를 조작하고 있는 것이다.

성경도 조작하여 해석하는 그들에게 교회사를 조작하는 것이 무엇이 대수이겠는가?

하나님마저 안상홍으로 조작하는 그들이 무슨 일인들 조작을 못하겠는가?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38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7021
    read more
  3. [원어] 애굽땅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해내신 것이 여호와[주]가 아니라 예수님이었다고 하는 증거(약1:5)

    그동안 네슬-알란트 27판까지는 야고보 1:5에서, 애굽땅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해내신 분을 주(퀴리오스)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28판부터는 예수님이라고 정정했습니다. 놀랍습니다. 한 분 하나님에 대한 증거가 원어적으로도 나오는 곳이 있군요. [인용] h...
    Date2019.01.21 By갈렙 Views305
    Read More
  4. [원어] 헬라어 단어와 사전보기(그리스한글사전, 한글그리스사전)

    https://hellas.bab2min.pe.kr/ 살아있는 헬라어 헬라어 입력기 & 발음변환기 베타코드 변환기 알파벳과 발음 알파벳 모음의 발음 자음의 발음 모음의 생략 악센트 접어와 악센트 문법 명사와 성, 수, 격 격의 쓰임 관사 곡용 형용사 헬라어 사전 그-한 사전 ...
    Date2018.03.26 By갈렙 Views592
    Read More
  5. No Image

    [원어] 헬라어 원어 기초 공부하기

    Date2016.02.02 By갈렙 Views1732
    Read More
  6. No Image

    [원어] 헬라어와 히브리어의 시상(시제)

    헬라어 성경의 Tense時와 Voice態 1.발자취로 해석해야됨 Arorist 부정과거; ~해왔다 Pluperfect과거완료; ~했었다 2. 삶으로 해석해야됨 Present 현재; ~하고 있다 Perfect현재완료; ~했다 3. 갈길로 해석해야됨 Future미래; ~할 것이다 Imperfect미완료; ~하...
    Date2017.10.24 By갈렙 Views825
    Read More
  7. No Image

    [원어] 히브리어 강좌 3일만에 끝내기_총신대 박철현교수

    박철현 교수 히브리어 강좌모음 제 6/7차 3일만에 끝내는 히브리어의 뼈대 사랑과생각 2014. 1. 11. 22:38 https://blog.naver.com/godinus123/30183048383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교재 구입 문의는 [email protected] / 다음 블로그(http://blog.daum.net/j...
    Date2019.04.12 By갈렙 Views958
    Read More
  8. No Image

    [원어] 히브리어 배우기

    1. 박철현 교수 - 3일만에 배우는 히브리어 강좌 ( 1-2 주차, 총 6주 ) http://blog.naver.com/godinus123/30179568164 2. [스크랩] 히브리어 문법교안 pdf http://blog.daum.net/kim2580s/191 3. 원어사랑연구회 http://cafe.daum.net/i7logos/ImM0
    Date2018.02.10 By갈렙 Views724
    Read More
  9. No Image

    [원어] 히브리어 헬라어 66권성경 원어 분석 사이트

    https://www.stepbible.org/
    Date2019.01.28 By갈렙 Views591
    Read More
  10. No Image

    [원어] 히브리어로 죄란 무엇을 가리키는가?

    성경에서 말하는 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더 넓은 개념입니다. 1. 선과 정의로 부터 멀어져도 죄입니다. - 하탓트 2. 하나님을 거스르는 것도 죄입니다. - 페샤 3. 악한 의도, 악한 생각을 하고 악한 상태가 되는 것도 죄입니다. - 아원 4. 도덕적 영적 ...
    Date2018.02.10 By갈렙 Views688
    Read More
  11. No Image

    [위경] 도마복음 전문

    성경공부를 위한 참고자료로 초기기독교 시대 문서인 도마복음서를 올려 놓습니다.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자료를 그대로 올립니다. 잘못되거나 부정확한 번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 설명은 위키백과에 있는 글입니다. 아무튼 등장하는 말들과 복음서에 나타...
    Date2019.08.04 By갈렙 Views4792
    Read More
  12. No Image

    [위경] 욥의 유언(Testament of Job)

    Testament of Job the blameless, the sacrifice, the conqueror in many contests.Book of Job, called Jobab, his life and the transcript of his Testament.Translated by M. R. James -Revised English by Jeremy Kapp- Chapter 1 1 On the day he became...
    Date2017.01.03 By갈렙 Views969
    Read More
  13. No Image

    [유대교] 유대인들은 지금도 회당에서 이사야서 53장을 읽지 않는다.

    유대인들은 왜 이사야서 53장을 읽지 않을까? 김 종식 http://segibak.or.kr/index.php?document_srl=135787 2013.01.28 02:02:05 (*.101.221.174) 유대인에게 "유대인들은 왜 이사야서 53장을 읽지 않습니까?"라고 질문하면 몹시 화를 내거나 흥분한다. 그렇...
    Date2018.04.09 By갈렙 Views733
    Read More
  14. No Image

    [율법] 구약성경에 나오는 613가지의 율법 목록

    구약성경 613개 율법 목록 구약 성서에는 얼마나 많은 계명이 나오고 있는가? 이에 대해 아무도 정확하게 답할 수가 없다. 분류하기에 따라서 천차만별이 될 것이다. 유대 전승에 따르면, 구약 성서 중에서도 율법서라 불리는 토라(오경)에는 613개의 계명이 ...
    Date2017.02.23 By갈렙 Views755
    Read More
  15. [이단] 사이비 신천지의 독성(간단요약-중국어한국어버전)

    바른신앙이만희(신천지) 사이비 ‘신천지’의 독성 기독교포털뉴스 | kportalnws.co.kr 승인 2019.10.29 06:06:34 종교사기 집단으로 비판 받고 있는 신천지가 중국에서 이미 2014년도에 5만여명을 넘어섰다는 주장이 제기 됐다. 기독교포털뉴스(www.kportalnews...
    Date2019.11.18 By갈렙 Views313
    Read More
  16. No Image

    [이단] 신천지 이만희의 정체_이영호목사

    신천지 이만희의 정체 이영호목사 게시일 2006.10.10 https://cafe.naver.com/areobago/135 1. 안양 신천지 중앙교회 이만희의 정체 1885년 한국에 복음이 들어온 이래 국내 이단 발생사를 약술해보면 1) 전북 부안, 정읍, 임실, 태인을 중심으로 일어난 최중...
    Date2020.02.22 By갈렙 Views885
    Read More
  17. [이단] 신천지(이만희)에 대한 폭로 영상들

    신천지 종합자료 Views 13583 Votes 0 2018.02.03 23:23:56 예레미야 *.153.217.201 http://researchheresy.com/2448 [사이비종교 신천지 OUT!] 박태선 천부교와 유재열 장막성전의 짝퉁 아류 이만희의 사이비종교 신천지 https://www.youtube.com/watch?v=8LH...
    Date2020.02.21 By갈렙 Views242
    Read More
  18. [이단] 안상홍증인회의 유월절 조작

    !!!! (유월절에 대한 교회사) 안증회의 거짓조작 | 자유게시판 2004.08.27. 12:3 dsmedic(dsme****) https://cafe.naver.com/anyquestion/261 안증회는 초대교회가 유월절을 지켰는데, 325년 니케야회의부터 강제로 유월절이 폐지되고 부활절을 지키게 되었다...
    Date2019.08.08 By갈렙 Views433
    Read More
  19. [이단] 안식교의 엘렌 지 화이트의 거짓말

    HOME 진리와 함께 미션신조 양서번역 참고자료 말세적 현상 기독교 교리 은혜의 찬송곡 www.voamonline.com 안식교의 엘렌 화이트(Ellen G. White)와 그녀의 주장들 2015. 5. 11 엘렌 화이트는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예언자이며 시대적 선지자라고 하였다 안식...
    Date2018.12.23 By갈렙 Views850
    Read More
  20. No Image

    [이단] 여호와증인들이 절대 답변하지 못하는 것들 10가지

    <여호와의 증인에게 물을 수 있는 10가지의 강력한 질문> www.gospeltoall.com 아래는 여호와의 증인들이 성경을 잘못 해석하고 있는 10가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질문 1: 여호와의 증인이 신권 조직이라면 왜 종말에 대한 예언이 모두 틀렸는지요? 하나님께 ...
    Date2017.08.31 By갈렙 Views487
    Read More
  21. [이단] 이단의 미혹이 판치는 새 학기 대학가

    이단의 미혹이 판치는 새 학기 대학가 부산장신대학교 탁지일 교수탁지일 교수 승인2016.03.04l수정2016.03.04 11:25l1332호 크게 작게 메일 인쇄 신고 ▲ 부산장신대 탁지일 교수캠퍼스는 이단들과의 영적 전쟁터이다. 대학가 곳곳에서 이단들이 미혹의 덫을 ...
    Date2016.03.09 By갈렙 Views1789
    Read More
  22. No Image

    [이단] 하나님의 교회(안상홍증인회) 대책 모임 까페

    [이단] 하나님의 교회(안상홍증인회) 대책 모임 까페입니다. https://cafe.naver.com/tkdghd/7833
    Date2018.12.03 By갈렙 Views2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