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5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title.jpg

 

이스라엘은 북방 강대국 앗수르와 바벨론, 남방 강대국 애굽 사이에 낀 약소 국가였습니다. 남 유다의 제 16대 왕 요시야 당시는 세계 최강국이던 앗수르가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바벨론이 신흥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었습니다.

 

1. 므깃도 전투와 갈그미스 전투
애굽은 앗수르를 도와 바벨론의 남하를 막기 위하여 갈그미스에서 바벨론과 싸우려고 하였습니다. 애굽 왕 느고는 갈그미스로 가기 위해 팔레스타인 지역을 통과해야 했는데, 이때 반 앗수르 입장이었던 요시야 왕은 북진하는 애굽과 전쟁을 하게 되었습니다.

애굽 왕 느고는 사자를 보내어 화친을 요청하며, 이 일은 하나님의 명령이고 자신이 싸우려는 대상은 요시야 왕이 아님을 분명히 했습니다(대하 35:21). 그러나 요시야 왕은 듣지 않고 변장까지 하면서 전쟁터에 남기를 고집하였습니다(대하 35:21-22). 전쟁터에서 애굽의 궁수가 쏜 화살에 중상을 입은 요시야는 예루살렘에 돌아와 죽고 말았습니다(대하 35:23).

요시야는 종교 개혁을 통해 영적 내리막길로 곤두박질하던 남 유다에 일시적으로나마 제동을 걸었지만, 요시야가 죽은 이후 남 유다의 국운이 갑자기 쇠약해지고 순식간에 멸망의 길로 치닫게 되었습니다.  


이후 애굽과 바벨론이 맞서는데, 이것이 갈그미스 전투(주전 605년)입니다. 이 전투에서 승리한 바벨론은 당시 근동 지방을 장악하였고, 애굽은 다시 일어나지 못했습니다(왕하 24:7).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은 갈그미스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아프리카 대륙과 근동 아시아 지역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인 남 유다 왕국마저 정복하기 위하여 예루살렘을 공격하였고, 3차에 걸쳐 유다 왕과 백성들을 바벨론으로 끌고 갔습니다.

3차에 걸친 바벨론 포로의 과정은 성전 파괴의 과정과 다름없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바벨론을 들어서 가장 아끼는 성전을 파괴하심으로써 이스라엘을 철저하게 징계하셨습니다(왕상 9:7-9).

 

 

Tissot_The_Flight_of_the_Prisoners.jpg

 

Flight of The Prisoners 19세기 프랑스의 화가 티소(James Tissot)가 그린

불타는 예루살렘과성전, 그리고 바벨론 군대에 포로로 끌려가는 유다 백성들

 

 

 

2. 바벨론 제 1차 포로
1) 포로 시기 – 주전 605년 / 여호야김 제 3(혹은 4)년, 느부갓네살 원년
이때는 여호야김 왕 제 3년(단 1:1)이었습니다. 그런데 예레미야 46:2은 이때를 여호야김 4년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두 기록에 1년 차이가 나는 이유는 열왕기하 23:34을 통해 해명할 수 있습니다. 열왕기 기자는 여호야김이 그의 동생 여호아하스를 대신하여 왕이 되었다고 기록하지 않고, 여호야김이 그의 아버지 요시야를 대신하여 왕이 되었다고 기록하였습니다. 역사적으로는 요시야(주전 640-609b년), 여호아하스(주전 609b-608년), 여호야김(주전 608-597년) 순으로 왕이 되었지만(왕하 23:3-0, 34, 대하 36:1-4), 요시야 다음에 바로 여호야김이 왕이 된 것처럼 기술한 것은, 3개월의 짧은 통치 기간 동안 악을 일삼았던 여호아하스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왕하 23:31-32).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제 1차 바벨론 포로로 끌려간 주전 605년은 여호야김 제 4년이 되는 것입니다.

 

2) 포로 대상과 당시 상황
제 1차 바벨론 포로 때에는 다니엘을 포함한 왕족과 귀족들이 끌려갔습니다(단 1:3). 여호야김은 처음 3년은 바벨론을 섬기다가 다시 애굽과 동맹하여 반(反)바벨론 정책을 펼쳤고(왕하 24:1), 주전 602년 쇠사슬로 결박당하여 바벨론으로 끌려갔으며 성전 기구들을 약탈당하였습니다(왕하 24:2, 단 1:1-2, 5:2).

 

3. 바벨론 제 2차 포로
1) 포로 시기 – 주전 597년 / 여호야긴 즉위년, 느부갓네살 8년
여호야긴은 주전 597년에 즉위하여 3개월 10일을 통치하고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갔습니다(왕하 24:8-12, 대하 36:9-10). 바벨론 역대기에 따르면, 티쉬리월(7월)로 시작되는 달력을 기준할 때 여호야긴이 왕이 딘 것은 주전 597년 불월(8월)이며, 3개월 10일이 지나 왕위에서 쫓겨난 것은 주전 597년 아달월(12월) 2일입니다. 바벨론이 예루살렘을 포위한 후 얼마 동안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왕하 24:10-11) 느부갓네살 왕이 예루살렘 성에 이르러 주전 597년 아달월(12월) 2일에 마침내 예루살렘 성을 점령한 것입니다. 이때 왕위에서 쫓겨난 여호야긴은 주전 597년* 니산월(1월) 10일에 바벨론으로 끌려가게 됩니다(대하 36:10). * 남유다 통치 연도는 티쉬리월 기준이므로 해가 바뀌지 않음.

 

2) 포로 대상과 당시 상황
바벨론은 여호와 전의 모든 보물과 왕궁 보물을 집어내었으며 또 이스라엘 왕 솔로몬이 만든 것 곧 여호와의 전의 금기명을 다 훼파하였습니다(왕하 24:10-13, 대하 36:10).
그리고 여호야긴 왕과 왕의 모친과 왕의 아내들과 내시와 나라의 권세 있는 자들이 포로로 끌려갔습니다(왕하 24:12, 15). 이때 용사 7천 명을 포함하여 방백과 백성 총 1만명, 그리고 공장과 대장장이 1천 명이 끌려갔는데, 그들은 모두 강장하여 싸움에 능한 자였습니다(왕하 24:14-16). 반란의 구심점이 될 소지가 있는 최고 지도자들과 탁월한 인물들을 모두 뽑아서 끌고 감으로 ‘빈천한 자’ 외에는 그 땅에 남은 자가 없도록 하여 남 유다를 철저히 무력화 시킨 것입니다. 여기에는 에스겔 선지자와 에스더의 사촌 모르드개의 조상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겔 1:1-3, 에 2:5-6).
 
4. 바벨론 제 3차 포로
1) 포로 시기 – 주전 586년 / 시드기야 11년, 느부갓네살 19년
시드기야는 바벨론에게 항복하라는 예레미야 선지자의 권면(렘 27:12)을 듣지 않고 반(反)바벨론 정책을 고집하였고(왕하 24:20, 렘 27:12-13, 37:2), 바벨론은 시드기야 제 9년 10월 10일부터 예루살렘을 포위하였습니다(왕하 25:1, 렘 39:1, 52:4). 시드기야가 애굽에 원군을 요청하여 바벨론 군대가 떠났다가 애굽 군대가 즉각 퇴각하자 다시 바벨론 군대가 예루살렘을 침공하여(렘 37:5, 11, 겔 17:15) 시드기야 11년까지 약 30개월 동안(티쉬리 기준 달력) 예루살렘 성을 에워쌌습니다(왕하 25:1-2, 대하 36:11-20, 렘 37:7-10, 겔 17:12-21). 마침내 주전 586년 시드기야 제 11년 4월 9일에 예루살렘 성이 함락되고 말았습니다(왕하 25:1-3, 렘 39:1-2, 52:4-6).

 

2) 포로 대상과 당시 상황
예루살렘이 포위되어 있는 동안 기근이 극심하여 자녀를 잡아먹을 정도로 비극적 참상이 빚어졌는데(애 2:20, 4:10, 사 9:20, 겔 5:10), 이는 모세의 예언대로(레 26:28-29, 신 28:53-57)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한 결과였습니다. 결국 BC 586년, 남 유다는 바벨론에 의해 완전히 멸망하였고, 예루살렘 성이 함락된 4월 9일은 유다인들에게 바벨론 유수 기간 내내 금식과 애통의 날로 지켜졌습니다(슥 7:5, 8:19).

성이 함락되던 때 시드기야는 밤에 도망하다가 갈대아 군대에게 잡혀 하맛 땅 립나로 끌려가 바벨론 왕에게 신문을 당하였습니다. 바벨론 왕은 시드기야의 목전에서 그 아들들을 죽이고, 시드기야의 두 눈을 빼고 사슬로 결박하여 바벨론으로 끌어다가 죽는 날까지 옥에 가두었습니다(왕하 25:4-7, 렘 39:4-7, 52:7-11).


예루살렘이 함락된 지 한 달 만인 5월 10일에 바벨론 시위대장관 느부사라단이 와서 여호와의 전과 왕궁과 예루살렘의 모든 집을 귀인의 집까지 불사르고 사면 성벽을 헐었습니다(왕하 25:8-12, 대하 36:18-19, 렘 39:8-10, 52:12-16). 그리고 성전의 두 놋기둥(야긴과 보아스)과 받침들과 놋바다를 깨뜨려 그 놋을 바벨론으로 가져갔고, 또 가마들, 부삽들, 불집게들, 숟가락들과 섬길 때에 쓰는 모든 놋그릇을 다 가져갔으며, 또 금물의 금과 은물의 은을 가져갔고, 솔로몬이 여호와의 전을 위하여 만든 두 기둥과 한 바다와 그 받침들을 취하였습니다(왕하 25:13-17, 대하 36:18-19, 렘 52:17-23).

그리고 대제사장 스라야와 부제사장 스바냐와 전 문지기 세 사람을 잡고, 군사를 거느린 장관(내시) 하나와 왕의 시종 칠 인(혹은 다섯 사람)과 군대장관의 서기관 하나와 국민 육십 명을 잡아갔으며, 립나에서 그들을 쳐 죽였습니다(왕하 25:18-21, 렘 52:24-27).

한편, 예레미야 52:28-30에는 바벨론에 항복하지 않고 끝까지 항거하다 소규모로 잡혀간 자들이 총 4,600명이 있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제 이스라엘 민족은 포로로 끌려간 자와 고국 땅에 남겨진 자, 그리고 재난을 피하여 주변국으로 도망친 자 등으로 나뉘어, 민족 전체가 갈기갈기 찢기고 그 존재가 점점 사라지는 최악의 비극적 상황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선민 유다 백성이 하나님 없는 이방 나라 바벨론으로 포로 되어 끌려간 것은 하나님의 진노로 말미암은 최대의 비극이요 수치였습니다. 이는 우상을 숭배하고 안식일과 안식년을 지키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고 그 거룩하신 뜻을 멸시한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징계와 진노의 표현이었습니다(대하 36:21, 참고-렘 34:8-16). 

그러나 절대로 망하지 않을 것만 같던 바벨론이 하나님의 주권 역사로 메대와 바사의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게 하시고(참고-렘 50:3, 9, 41-46장, 51장) 이스라엘 백성이 귀환하도록 하셨습니다(대하 36:22-23, 스 1:1-4).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38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7021
    read more
  3. No Image

    [언어] 히브리어 알파벳

    Date2016.11.24 By갈렙 Views739
    Read More
  4. No Image

    [에디오피아 유대인] 이스라엘, 에티오피아 유대인 8천명 이민 허용_2011-11-26

    미디어속 해외종교1(31호):이스라엘, 에티오피아 유대인 8천명 이민 허용 등 2010.11.26. 14:11 http://wrn2991.blog.me/50100297672 이스라엘, 에티오피아 유대인 8천명 이민 허용 솔로몬 왕과 시바의 여왕이 동침해 낳은 메네릭의 후손으로 전해지는 에디오...
    Date2016.06.10 By갈렙 Views1579
    Read More
  5. No Image

    [역사] 예수님의 12제자의 순교일지

    (Photo : ⓒ크리스천 포털 제공)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가 기록한 열두 제자 순교 일지 (Photo : ⓒ크리스천 포털 제공)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가 기록한 열두 제자 순교 일지 (Photo : ⓒ크리스천 포털 제공)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가 기록한 열두 제자 순...
    Date2016.01.05 By갈렙 Views2644
    Read More
  6. [역사] "예수님의 부활은 역사적 사실이다"_기독공보

    "예수님의 부활은 역사적 사실이다" 7월13일 영화 '예수는 역사다' 개봉 표현모 기자 승인2017.07.04l 수정2017.07.04 10:55l3098호 크게 작게 메일 인쇄 신고 사실만 믿을 수 있다는 무신론자가 신의 부재를 증명하기 위해 역사를 파헤치기 시작하면서 발견해...
    Date2017.08.27 By갈렙 Views265
    Read More
  7. No Image

    [역사] 남북왕들 중에서 가장 악한 왕이었던 므낫세와 아합왕

    북이스라엘과 남유다의 가장 사악한 왕, 아합과 므낫세 이스라엘의 왕조사의 초점은 다윗 집안에 맞추어져 있다. 그러기에 솔로몬이 죽고 나서 다윗 집안이 통치하던 통일 왕국 이스라엘이 남유다와 북이스라엘로 나누어졌을지라도 성경의 초점은 남유다에 맞...
    Date2016.08.13 By갈렙 Views1132
    Read More
  8. No Image

    [역사] 남왕국 왕들의 간략한 역사

    남왕국 왕들의 간략한 역사 1.르호보암(B.C.931-913, 왕상 14:21-31, 대하10-12장 ): 분열왕국의 첫번째 왕으로 41 세에 왕이 되어 17년 간 통치하였으나 우상숭배를 하였고 애굽 시삭의 침략으로 성전의 모든 보물을 빼앗김 . 관련 선지자 : 스마야, 잇도 2....
    Date2016.08.13 By갈렙 Views732
    Read More
  9. No Image

    [역사] 남유다와 북이스라엘 왕들에 대한 비교평가

    남유다와 북이스라엘의 왕들에 대한 평가 인간 왕을 요구했던 이스라엘은 사울, 다윗, 솔로몬 이후에 분열 왕국을 맞이했다. 족장과 출애굽과 여호수아와 사사 시대의 열두 지파 체제는 왕조 시대에 와서 무너졌으며, 솔로몬이 죽은 후 이스라엘의 통일 왕국이...
    Date2016.08.13 By갈렙 Views2336
    Read More
  10. No Image

    [역사] 남유다의 20명의 왕들의 역사

    ◆남(南) 유다(왕상14~15장.왕하8~25장.대하~36장) B.C.586년, 20대 시드기야왕 때 바벨론 느부갓네살 왕에게 멸망 ①르호보암-②아비야-③아사-④여호사밧-⑤여호람-⑥아하시야-⑦아달랴 여왕-⑧요아스-⑨아마샤-⑩아사랴,웃시야-⑪요담-⑫아하스-⑬히스기야-⑭므낫세-⑮아몬-...
    Date2016.08.13 By갈렙 Views1856
    Read More
  11. [역사] 남유다의 멸망과 바벨론의 1창 2차 3차 4차 포로의 역사

    이스라엘은 북방 강대국 앗수르와 바벨론, 남방 강대국 애굽 사이에 낀 약소 국가였습니다. 남 유다의 제 16대 왕 요시야 당시는 세계 최강국이던 앗수르가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바벨론이 신흥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었습니다. 1. 므깃도 전투와 갈그미스 전투...
    Date2019.10.03 By갈렙 Views9525
    Read More
  12. [역사] 남유다인들을 2차와 3차에 걸쳐 귀환시켜주고 성과 성전을 재건하도록 허락한 바사(페르시아)제국 아닥사스사왕

    롱기마누스 아르타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 2018. 4. 18. 23:56 번역보기 아르타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는 할아버지인 다리우스 1세 황제의 통치시기에 황태자인 크세르크세스(아하수에로)의 셋째 아들로태어났다. 다른 창작물에서는 아하수에로에게 폐위되...
    Date2018.07.10 By갈렙 Views713
    Read More
  13. [역사] 노아의 세 아들인 셈과 함과 야벳의 후손들에 대한 역사

    노아의 세 아들에 의해 70개 종족이 온 세상에 퍼져 나갔다 각 나라의 창건자들은 노아의 손자들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이름을 따서 국명을 지었다 아들 종족 손자 후손 야벳 14 고멜, 마곡, 마대, 야완, 두발, 메섹, 디라스 아스그나스, 디밧, 도갈마, 엘리사...
    Date2021.03.25 By갈렙 Views469
    Read More
  14. No Image

    [역사] 루터의 95개조 반박문(English)

    M. Luther's 95 Theses Out of love for the truth and the desire to bring it to light, the following propositions will be discussed at Wittenberg, under the presidency of the Reverend Father Martin Luther, Master of Arts and of Sacred Theology...
    Date2017.02.12 By갈렙 Views620
    Read More
  15. No Image

    [역사] 루터의 95개조 반박문(라틴어)

    Disputatio pro declaratione virtutis indulgentiarum 1 Disputatio pro declaratione virtutis indulgentiarum Martinus Luther Disputatio pro declaratione virtutis indulgentiarum 95 Theses 31 octobris 1517 Amore et studio elucidande veritatis hec...
    Date2017.02.12 By갈렙 Views836
    Read More
  16. [역사] 바벨론의 2대왕이자 남유다를 3차 침공하여 멸망시킨 느부갓네살왕

    이방의 하나님의 종, 네브카드네자르(느브갓네살) 2018. 4. 28. 13:14 번역보기 구약성경에 나오는 이방의 왕들 중에서 가장 유명한 왕이 아닌가 싶다. 갈대아 왕조의 창건자인 '나보폴라살'의 큰 아들로 팔레스타인 지방을 평정했으며, 솔로몬 성전을 훼파하...
    Date2018.07.10 By갈렙 Views1455
    Read More
  17. [역사] 바벨론제국의 최후와 제7대 마지막왕이었던 벨사살의 죽음

    바벨론의 최후와 벨사살 2018. 5. 7. 15:20 기원전 562년 네브카드네자르(느부갓네살)왕이 죽고 난 후, 키루스 대왕에게 함락되기까지 신바빌로니아는 21년동안 대혼란을 겪는다. 네브카드네자르 사 후, 그의 아들 에윌므로닥이 순조롭게 왕 위를 승계하지만 2...
    Date2018.07.10 By갈렙 Views1847
    Read More
  18. No Image

    [역사] 북이스라엘과 남유다 왕들

    1. 북이스라엘(사마리아 성읍)의 왕들 ㆍ1.여로보암 : 22년, 우상숭배 ㆍ2.나답 : 2년, 우상숭배 ㆍ3.바아사 : 모반으로 왕, 24년, 우상숭배 ㆍ4.엘라 : 2년, 우상숭배 ㆍ5.시므리 : 모반으로 왕, 7일, 우상숭배 ㆍ6.오므리 : 모반으로 왕, 12년, 우상숭배, 사...
    Date2016.08.13 By갈렙 Views2744
    Read More
  19. No Image

    [역사] 북이스라엘의 19명의 왕들의 역사

    ◆ 北 이스라엘의 역사(왕상12장~22장, 왕하1장~17장) 세겜과 사마리아를 중심으로 한 북이스라엘은 유다에 비해 영토가 넓고 비옥했으며 군사력에 있어 남유다를 훨씬 능가했다. 다만 옛 지파 동맹의 중심에 위치하였으나 가나안 원주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
    Date2016.08.13 By갈렙 Views1875
    Read More
  20. No Image

    [역사] 성경 연대표 (아담~근/현대까지)

    성경 연대표 (아담~근/현대) 年 度 시대 구분(B.C) 시 대 일 지 성경 구절 4112 족장 시대 아담 탄생 창세기 5 : 1~ 31 3982 셋 출생 창세기 11 : 10~32 3877 에노스 출생 역대상 1장 3787 게난 출생 3717 마할랄렐 출생 3652 야렛 출생 3490 에녹 출생 3425 ...
    Date2017.02.27 By갈렙 Views1022
    Read More
  21. [역사] 성경 외의 역사서가 이야기하는 예수님 그리고 신약 성경

    성경 외의 역사서가 이야기하는 예수님 그리고 신약 성경 3월 2, 2017 | Posted by Fingerofthomas | 성경 외의 역사서가 얘기하는 예수님 그리고 신약 성경 많은 사람들이 성경을 증거하기 위해서 성경을 사용하면 안된다고 얘기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성경은...
    Date2018.08.11 By갈렙 Views390
    Read More
  22. No Image

    [역사] 신구약 중간사 및 간략한 연대표(B.C.400~A.D.4)

    신·구약 중간사 간략한 연대표 ◆ 성경의 마지막 선지자인 말라기의 예언 활동 이후에 신약시대 이전까지의 그 자세한 내용은 성경에는 기록이 없다. 일반적으로 구약과 신약의 중간인 400년 간을 소위 중간사라고 말하는데 이 기간에도 하나님의 역사는 계속되...
    Date2016.10.25 By갈렙 Views14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