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19 20:42

저주란 무엇인가?

조회 수 3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켈랄라 qelalah

저주, 악담, 독설


켈랄라(명여)는 칼랄($7043)에서 유래했으며, '저주, 악담, 독설 curse'을 의미한다. 칼랄라의 주요 강조점은 복되고 의로운 상태의 부재(또는 전도)와 더 낮은 상태에로의 격하에 있다. 켈랄라가 표현되는 그 관용 문구에도 강조점이 주어진다. 이 단어는 다음과 같은 단어들과 구분되어야 한다. 먼저 알라는 일반적으로 맹세를 뜻하며 맹세의 넓은 범주에 속하는 그 일부로서의 저주를 의미한다. 아라르는 복의 부재인 죽음의 상태를 묘사한다(신 27:16). 그리고 하람은 파괴에의, 또는 거룩한 용도에의 전심전력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카바브는 어떤 대상에 대해 실제적으로 저주를 발설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주로 발람에 관한 이야기와 욥기에서 사용됨).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33 회 나온다.



아라르 arar

저주하다 curse


아라르(동사)는 기본어근이며, '저주하다 curse'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저주하다'로 번역하는 단어는 아라르($779), 칼랄($7043), 알라($421), 카바브($6895), 나카브($5344), 자암($2194) 등이다. 이 단어들을 모두 '저주하다 curse'로 묶는다는 것은 지나치게 피상적이다. 브릭토(Brichto)는 이런 단어들의 차이점을 연구했다. 구약성경에서 아라르는 63회 나오며, 칼, 니팔, 피엘, 호팔형으로 사용되었다.


아라르는 기본적 의미로 '(마력으로) 제지하다, (주문으로) 묶다'라는 의미를 지닌다(참조: Speiser). 따라서 이 단어는 '멀리하다, 가까이 못오게 하다, 금지하다'라는 의미도 지닌다. 아카디아어 아라루(덫으로 잡다 snare, 묶다 bind)와 명사 이르리투(올가미 noose, 투석기 sling)에 근거하여, 스파이서(Speiser)의 뒤를 이은 트릭토(Brichto)는 아라르가 '(주문으로) 묶다 bind(with a spell), 장애물로 에워싸다 hem in with obstacles, 저항하기에 무력하게 하다 render powerless to resist'를 의미한다는 해석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창 3:14에서 ""네가 모든 짐승보다 더욱 저주를 받는다""라는 말은 '네가 모든 짐승으로부터 멀리함을 당한다(또는 파문 당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혐오의 대상이 된다는 의미로 보는 것이 좋다. 창 3:17에서 ""땅이 너로 인하여 저주를 받는다""라는 말은 '너 때문에 땅이 정죄된다'. 곧 땅이 장애물로 에워싸여 인간에게 풍요가 금지되는 것을 의미한다(창 3:18을 참고하라). 마찬가지로, 가인에게 하신 하나님의 말씀, ""네가 땅에서 저주를 받으리니""는 '가인이 흙으로부터 파문 당했다'. 더 정확히 말해서 '그는 흙의 생산성(풍요)를 즐기는 것을 금지 당했다'를 의미한다. 수 9:23, 삿 21:18, 삼상 26:19, 왕하 9:36[적절한 매장으로부터 금지 당함], 말 2:2 등에서도 유사한 의미를 나타낸다. 우리는 모압왕 발락이 발람을 고용하여 이스라엘을 ""저주하게"" 했다는 구절을 상기해 볼 수 있다(민 22:6 이하). 발락왕은 이 마술사가 이스라엘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모압왕에게 숫적으로 우세한 적을 대파할 필요한 기회를 줄 어떤 말을 해주거나 주문을 외워주기를 원했다. 물론 이것이 자동적으로 효력을 발하지는 못했다. 카우프만(Kaufmann)에 의하면, '이스라엘인들의 사상은, 그들의 자율적이고 신비한 힘(metadivine potency)에서 마술적 행동을 제거하여 그 행동들을 하나님의 뜻을 나타내는 매개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한다(Y. Kaufmann, Religion of Israel, 84).


아라르가 나오는 '저주'의 말씀들 대부분이 다음의 세 가지 일반적인 범주들 중 하나에 속한다는 것을 고찰해 볼 수 있다. (1) 형벌 선언(창 3:14, 창 3:17), (2) 위협적인 발언(렘 11:3, 렘 17:5, 말 1:14), (3) 율법 선언(신 27:15-26, 신 28:16-19). 이 모든 저주의 말씀들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반한 사람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이 흥미 있다. 신 27:15-26을 가지고 설명해 볼 때, 우상 숭배(신 27:15), 부모에 대한 불경(신 27:16), 이웃을 속이는 것(신 27:17, 신 27:24), 불리한 상황에 있는 사람을 속이는 것(신 27:18-19), 성적 탈선(신 27:20, 신 27:21, 신 27:22, 신 27:23), 뇌물(신 27:25), 그리고 율법을 지키지 않는 것(신 27:26), 이 모든 것이 저주의 선고를 초래한다. 저주의 공식 문구가 고대 세계 전역에 걸쳐 존재했다는 사실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고대 세계의 저주 공식 문구와 구약성경의 저주 공식 문구의 차이는 헨샴(Fensham)의 글에서 인용한 다음의 인용문에 적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조약 저주의 기계적인 마술적 실행은... 예언 문서의 자아 신학적 접근법과 날카롭게 대조된다. 주님의 자아가 저주의 위협 및 실행, 처벌의 초점이다... 고대 근동의 저주들 곧 구약성경 외의 저주들은 개인 재산에 대한 범죄에 대해 행해진 것이다... 그러나 한분 하나님에 대한 의무와 이웃에 대한 사랑에 관한 도덕적, 윤리적 의무는 손대지 않는다'(173-74).(V. P. Hamilton) (참조: Speiser; Blank; Hamilt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file 관리자 2014.10.16 17003
공지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file 관리자 2014.10.15 16997
793 로마제국의 연대표 갈렙 2015.08.27 2970
792 로마황제 연대표 file 갈렙 2015.08.27 4750
791 예수님은 실존인물이었을까에 대한 역사적 고고학적 자료들 file 갈렙 2015.08.28 2482
790 신약성경의 기록을 믿을 수없다면서 탐사를 시작한 영국의 윌리암 람세이, 그는 결국 무엇을 발견했을까? file 갈렙 2015.08.28 2525
789 법궤는 어디에 있을까? 그리고 법궤 위 속죄소 위에는 뭐가 뿌려져 있을까? 갈렙 2015.08.28 1866
788 이스라엘의 역사 한 눈으로 보기 file 갈렙 2015.08.29 3357
787 빌라도의 보고서 갈렙 2015.08.29 1764
786 유다의 로마총독 명단 갈렙 2015.08.29 2049
785 예수는 과연 실존 인물이었을까요? 갈렙 2015.09.07 2201
784 신약성경의 기록은 과연 믿을만한 것일까요? 갈렙 2015.09.07 2084
783 이슬람국가 기독교인들에게 강압적 11계명 발표 갈렙 2015.09.10 1712
782 (잘못된) 환난전 휴거설은 언제 누구로부터 시작되었을까? 갈렙 2015.09.10 2476
781 헬라어 문법 알아보기 갈렙 2015.09.18 5597
780 부활에 관하여(성경주석정리) 갈렙 2015.09.24 3093
779 [종말론] 후천년설 전천년설 무천년설을 비교해보자. file 갈렙 2015.10.02 6541
778 적그리스도(바다에서 올라오는 짐승)는 누구를 가리키는 것일까? file 갈렙 2015.10.10 2668
777 제266대 프란치스코교황(예수회신부)의 최근 행보 file 갈렙 2015.10.10 2057
776 요한계시록 13장의 첫번째 짐승에 대한 역대 해석들 갈렙 2015.10.11 2238
775 종말론 연구의 대가 아이작 뉴턴은 누구인가? file 갈렙 2015.10.11 2850
774 최삼경 목사 삼신론에 대한 교계의 반응 file 갈렙 2015.10.20 223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