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7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성철의 사탄숭배와 유언에 담긴 한(恨)

          

2011.08.08. 20:02
 http://cafe.daum.net/bkt6707.net/mK1i/420 


성철스님은 조계종 종정으로 있던 1987년 "부처님 오신날" 법어에서 "사단이여! 어서 오십시요, 나는 당신을 존경하며 예배합니다. 당신은 본래로 부처님입니다."라고 신앙고백을 했다.

조선일보 - 1987.4.23 7면

경향신문 - 1987.4.23 9면

대한불교 조계종 종정사서실 [큰빛총서 1] - 서울사시연 1994년 p. 56-59

 

"사탄이여! 어서 오십시오!

나는 당신을 존경하며 예배 합니다. 당신은 본래로 거룩한 부처님입니다.

사탄과 부처란 허망한 거짓이름일뿐 본 모습은 추호도 다름이 없습니다.

사람들은 당신을 미워하고 싫어하지만 그것은 당신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당신을 부처인줄 알때에 착한 생각, 악한 생각, 미운 마음, 고운 마음 모두 사라지고 거룩한 부처의 모습만 뚜렷이 보게 됩니다...(생략)"


아래는 "좋은 씨와 맑은 물"이라는 책에서 발췌함


부록 6번에 있는 "석가모니는 이렇게 말씀 하셨습니다.

불경 나마다경(38:8)에 보면 다음과 같은 석가모니의 예언적인 말씀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何時爺蘇來 하시야소래   吾道無油之 오도무유지  燈也 등야

이 말은 놀랍게도

"언젠가 예수께서 오시면 내가 깨달은 도는 기름없는 등과 같이 쓸모가 없다"라는 뜻입니다.

이것은 실제로 불경에 있는 내용으로, 석가가 입멸하기 전 최후로 한 설법에 나오는 말입니다.

이처럼 석가모니는 마지막에는 자신이 깨닫고 가르쳐왔던 불교의 모든 교리를 부정하고 갔습니다.

 
****************************************************************************

왜 성철 스님은 천추의 한을 품고 떠났나?!(불교사이트에서)

작성자 : 궁금한 불자

 

이 글은 본인의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

도서출판 [삶과 꿈]-왜 성철 스님은 천추의 한을 안고 떠났나? 에 있습니다.

초인적인 극기수행과 용맹 정진을 통해 큰 깨달음을 얻어 성불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성철 스님.

그러나 그는 마지막 임종직전에 "한평생 남녀무리를 진리가 아닌 것을 진리라고 속인 죄가 너무 커 지옥에 떨어진다" 고 회한으로 몸부림치며 천추의 한을 토로했다.

과연 그가 도달한 깨달음의 실체는 무엇인가?


<성철스님의 열반송>

- 근거 (조선일보 1993.11.15 15면),동아일보(1993.11.5 31면)

경향신문 1993.11.5 9면, 중앙일보 1993.11.5 23면

(한자를 이 글로 표현을 못하겠군요...한 자는 생략.음만 따옵니다.)

 

생평기광 남녀군 - 일평생 남녀무리를 속여 미치게 했으니

미천과업 과수미 - 그 죄업이 하늘에 미쳐 수미신보다 더 크다

활염아비 한만단 - 산 채로 불의 아비지옥으로 떨어지니 한이 만갈래나 된다

일륜토홍 괘벽산 - 한덩이 붉은 해가 푸른 산에 걸렸구나

 

또한 성철 스님 운명전 석가는 큰 도적이라는 시를 남겼다.

[성철의 운명전 참 깨달음의시]

석가는 원래 큰도적이요 달마는 작은 도적이다

西天(서천)에 속이고 東土(동토)에 기만하였네 도적이여 도적이여 !

저 한없이 어리석은 남여를 속이고 눈을 뜨고 당당하게 지옥으로 들어가네

한마디 말이 끊어지니 일천성의 소리가 사라지고 한 칼을 휘두르니 만리에 송장이 즐비하다

알든지 모르든지 상신실명을 면치 못하리니 말해보라 이 무슨 도리인가

작약꽃에 보살의 얼굴이 열리고 종녀잎에 夜叉의 머리가 나타난다

목위의 무쇠간은 무게가 일곱근이요 발밑의 지옥은 괴로움이 끝없도다

석가와 미타는 뜨거운 구리 쇳물을 마시고 가섬과 아난은 무쇠를 먹는다

몸을 날려 백옥 난간을 쳐부수고 손을 휘둘러 황금 줄을 끊어버린다

산이 우뚝우뚝 솟음이여 물은 느릿느릿 흐르며 잣나무 빽빽함이여 바람이 씽씽분다

사나운 용이 힘차게 나니 푸른 바다가 넓고 사자가 고함지르니 조각 달이 높이 솟았네

알겠느냐 1 2 3 4 5 6 7 이여 두견새 우는곳에 꽃이 어지럽게 흩어졌네 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시는 성철의 운명전 시사저널 담당기자가 취재해 온 것이며

이 시는 추상적인 시가 아니라 운명 전 영계를 직접보고 그리고 지옥의 석가와 달마와 가섬과 아난이 지옥에서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고 쓴 시이다.

영계에서 직접 보지 않고는 자기가 평생 섬겼던 석가를 도적이라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불교에서 극락 간다는 말은 원래 성경 시편 43편 4절에 기록되어 있으며, "나의 극락의 하나님께 이르리이다 하였다.

극락은 천국의 낙원을 말하는 것으로 예수 믿고 죄사함을 받은 자들이 가는 곳이며

석가와 달마도 극락을 가지 못하고 지옥으로 떨어져 괴로워하고 있는 모습을 성철이 영계 속에서 직접보고 시로 옮긴 것이다


출처 :예수가좋다오 원문보기   글쓴이 : (일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file 관리자 2014.10.16 17042
공지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file 관리자 2014.10.15 17022
233 바울의 묵시록에 등장하는 노아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갈렙 2016.07.22 726
232 하나님의 비공유적 (절대적) 속성이란 무엇인가? 갈렙 2016.07.14 1724
231 하나님의 공유적(보편적) 속성이란 무엇인가? 갈렙 2016.07.14 1898
230 동방의 의인 욥은 얼마나 부자였을까? 갈렙 2016.07.09 1985
229 용(gragon)은 가상의 존재인가 실재하는가? file 갈렙 2016.07.07 1563
228 인류 최초의 시조인 아담은 언제 창조되었을까? file 갈렙 2016.07.07 1570
227 리워야단(악어)과 베헤못(하마)의 실체는 무엇일까? file 갈렙 2016.07.07 3380
226 [이슬람] 산 채로 목 따는 '할랄' 도축... 대통령은 알까?_2016-06-24 file 갈렙 2016.06.25 1419
225 [명칭] 나사렛 사람이라는 뜻은 무엇인가? 갈렙 2016.06.14 2235
224 [시바여왕]  시바여왕의 미스터리 file 갈렙 2016.06.10 1752
223 [에디오피아 유대인] 이스라엘, 에티오피아 유대인 8천명 이민 허용_2011-11-26 file 갈렙 2016.06.10 1579
222 [동성애축제] 퀴어축제 상대로 가처분 소송 낸 김진 씨 인터뷰("불의를 보고도 지나치거나 침묵하는 것은 惡...한 단계씩 압박 수위를 높여 나갈 것") file 갈렙 2016.06.09 1376
221 [동성결혼] 법원, 국내 첫 동성혼 재판서 '동성간 혼인' 불인정(종합) file 갈렙 2016.05.25 1325
220 [교리] 삼위일체와 기독론 교리의 형성 과정_교회와 교리사(서철원교수 저) 갈렙 2016.05.24 2874
219 [역사] 종교개혁자 루터가 가지고 있었던 유대인들에 대한 증오심 갈렙 2016.05.20 1493
218 [사전] 인명사전 (1) 갈렙 2016.05.17 1246
217 [글자] 히브리어 알파벳 문자(그래픽) file 갈렙 2016.05.14 1336
216 [용어사용] "삼가 고인의 명복(冥福)을 빕니다"라는 말은 불교용어 갈렙 2016.05.11 2126
215 [이슬람] 동성애를 허용하고 이슬람을 허용하는 되어지는 결과들(영국의 실제적인 예) file 갈렙 2016.04.22 1481
214 [축사] 자가 축사 방법(자기 스스로 귀신을 내쫓아내는 방법) 갈렙 2016.04.22 4103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