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전가된 의를 통해 얻는 칭의(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됨)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는 길 외에 천국에 이르는 길은 없다

 

존 번연

 

번역 김세창

 

칭의(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됨, 의롭다고 인정받음)는 성경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때로는 칭의가 사람을 대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때로는 행위를 대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또한 사람과 행위 모두에 대해서 칭의가 사용되기도 한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칭의는 하나님과 관련된 칭의와 사람과 관련된 칭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하나님과 관련된 칭의는, 사람이 하나님의 거룩한 율법의 승인으로, 하나님 앞에서 깨끗하고, 용서받고, 자유로우며, 구원받은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사람과 관련된 칭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의로운 비난의 근거로부터 벗어나 깨끗하고, 용서받은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칭의는 또한 행위와 관련해서도 사용된다. 이 경우, 칭의는 참된 믿음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여겨지는 행위나, 어떤 일시적인 법을 이행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믿음에서 흘러나온 행위는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하심 안에서, 그리고 그분의 완전하심을 통해서 하나님 앞에서 행해진 것이므로 의롭다고 인정받는다(벧전 2:5, 13:15, 8:1-4).

 

일시적인 법을 이행하는 행위는, 예후가 아합의 집에 심판을 집행한 경우이다.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네가 내 눈에 있는 올바른 것을 집행하되 내 마음에 있는 모든 것에 따라 아합의 집에 행하였은즉 잘 행하였도다.”라고 말씀하셨다. 이러한 행위의 경우, 하나님은 행위자의 인격을 고려하시기도 하고, 고려하지 않으시기도 한다. 하나님이 예후의 행위를 의롭다고 하실 때 예후 안에 있는 어떤 선한 것을 근거로 말씀하신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예후는 여전히 여로보암의 죄에 밀착하여,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의 법 안에서 걷는 데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왕하 10:29,31).

 

또한 이제부터 나는, 사람이 그의 행위가 정죄받은 상태에 있을 때조차 자신은 의롭다는 인정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줄 수도 있고, 사람이 그의 행위가 의롭다고 인정받을 때조차 사람 자신은 정죄 받은 상태에 있을 수 있음을 보여 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을 설명하는 데 시간을 쓰지는 않겠다. 왜냐하면, 칭의를 설명하는 나의 의도는, 칭의로 말미암아 사람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율법의 저주와 정죄, 그리고 죄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고, 용서를 받은 상태가 되어 영원한 구원(?)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점을 더욱 분명히 하기 위해, 나는 다음 명제를 제시한다.

 

명제

 

죄인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율법의 저주에서 벗어나 의롭다고 인정받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오래 전에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에 의해 행해졌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분의 인격에 속해 있는 의가 전가되는 방법뿐(?)이다.

 

이 명제에 사용된 용어들은 어렵지 않다. 도움을 주기 위해 한 두 마디 설명을 덧붙이고자 한다. 첫째, 죄인에 대해. 여기서 죄인은 율법을 범한 자이다. 이는 죄가 율법을 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요일 3:4). 둘째, 율법의 저주에 대해. 율법의 저주라 함은 죄인에게 선언된 율법의 선고, 판결, 정죄를 의미한다(3:10). 셋째, 의롭게 하는 의에 대해.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계실 때 행하신 일과 당하신 고난 안에 있는 의이다. 넷째, 여전히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 있는 의에 대하여. 비록 그 의로 말미암은 은택이 그분에게 속한 자들에게 주어지지만, 행위와 관련하여 이 의는 여전히 그분에게 속한 것이다. 다섯 째, 이 의가 우리에게 전가됨에 대해. 이 의가 우리에게 전가된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은혜의 행위를 통해 이 의를 우리의 것이 되게 하신다는 뜻이다. 이 의를 통해 우리는 율법의 저주에서 벗어나 안전하게 된다. 또한 내가 의롭게 될 수 있는 다른 길이 전혀 없다고 말할 때 그 의미는 의롭게 되기 위해 모든 율법의 행위뿐만 아니라 율법까지도 버린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 명제에 사용된 용어들을 설명하였다.

 

첫째와 둘째 용어 설명에서 언급한 죄와 저주가 무엇인가 하는 것은 무신론자나 절망적인 이단이 아니라면 누구라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나머지 네 가지에 대해서 좀 더 설명하고자 한다.

 

셋째, 의롭게 하는 의는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계실 때 행하신 일과 당하신 고통을 말한다. 이것은 너무나 분명하다. 성경이 그분의 순종, 그분이 율법에 순종하신 것을 통해 우리가 의롭게 되었다고 말씀하기 때문이다(5:19). 그러므로 바로 우리를 의롭게 하시려고 그리스도께서 율법의 끝마침(, the end)이 되셨다고 한다. “그리스도는 의를 위해 율법의 끝마침이 되셨도다”(10:4). 율법의 끝마침은 무엇인가? 물론, 율법의 요구하는 바요 요구사항이다. 그러면 율법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 그것도 완전한 의(3:10)이다. 완전한 의는 왜 필요한가? 이 완전한 의를 힘입어 근심하는 영혼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흠 없이 설 수 있기 때문이다(1:5). 완전한 의는 오직 그리스도의 행하신 일들과 받으신 고통들 안에 놓여 있다. 이는 그분의 순종으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들이 의롭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의와 관련하여 그리스도는 율법의 끝마침이 되신다. 그분의 순종 안에서 발견되는 이 의는 우리를 의롭게 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그래서 성경은 그분의 순종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의롭게 된다고 말씀하며, 또한 그분의 피를 통해 씻겨 지고, 정결케 되고, 의롭게 된다고 말씀하는 것이다(9:14, 5:18,19).

 

넷째, 우리가 이 의를 힘입어 하나님 앞에서 의로운 자로 서게 될 때도, 이 의는 여전히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 있고, 그분과 함께 있다. 왜냐하면, 성경은 우리가 의롭게 되었다고 말씀하실 때, 그분 안에서 의롭게 되었다고 말씀하기 때문이다. 성경은 말씀하신다. “주님 안에서 모든 이스라엘의 씨가 의롭게 되었도다.” 참으로 사람이 말하기를, 주님 안에서 내가 의를 얻게 되었도다”(45:24, 25). “하지만 너희는 그분에게서 나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고, 그리스도는 하나님에게서 나서 우리에게 의가 되셨도다”(고전 1:30).

 

명심하라. 우리가 그 의의 은택에 참여하게 되었을 지라도, 그 의가 여전히 그분 안에 있고 우리 안에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마치 병아리들을 덮고, 보호하며, 따뜻하게 품어주는 날개와 깃털이 여전히 암탉에게 속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나의 수고를 통해 나의 자녀들이 음식과 옷을 얻지만, 그 수고는 여전히 나의 수고이지 자녀들의 수고가 아닌 것과 같다 그러므로 우리가 저주에서 벗어나 하나님 앞에서 의로운 상태로 설 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의는 여전히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지, 우리 안에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죄들이 그리스도께 지워지더라도 그 죄들은 여전히 인격적인 면에서 우리 자신의 것이지 그리스도의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분의 의가 우리에게 주어지더라도 그 의는 인격적인 면에서 그분 자신의 것이지 우리의 것이 아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 , “죄를 알지도 못하신 그분이 우리로 인해 죄가 되심은 우리가 그분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라”(고후 5:21) 하심과 같다.

 

다섯 째, 그러므로 의롭게 하는 효력은 오직 전가(by imputation)를 통해, 또는 하나님께서 그 의를 우리의 것이라고 여기심을 통해 발생한다(?). 이것은 우리의 죄들로 인해 그리스도께서 죄인, 아니 죄가 되신 것이 하나님께서 그 죄들을 그리스도의 것으로 여기셨기 때문인 것과 같다.

 

이것을 아는 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만약 어떤 사람이 이것을 분명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면, 그가 건전한 믿음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그런 사람은 시험을 받을 때, 칭의를 위한 의는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발견될 수 있는데도, 당황한 나머지 자기 자신 안에서 칭의를 위한 의를 찾으려 애쓸 것이다. 칭의에 정통한 사도 바울은 항상 그리스도를 주목하였고,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되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그리스도 안에서 말고는 다른 어떤 곳에서도 평안과 안전을 찾을 수 없음을 알았기 때문이다(3:6-9). 참으로 이것은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신비 중의 하나가 아닌가! 하늘에 계신 한 사람에게 속한 의가 땅에 있는 죄인인 나를 의롭게 하다니!

 

여섯 째, 그렇다면 우리는 의롭게 되는 일에서 율법과 율법의 행위는 반드시 버려야 한다. 율법과 율법의 행위는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그것들을 붙잡는 것은 의롭게 되는 데 있어 장애물일뿐이다(?). 율법과 율법의 행위가 전혀 쓸모가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 왜냐하면 구원은 다른 이의 이름을 통해 오기 때문이다(4:12). 비록 율법을 조금만 붙잡는다 하더라도 그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의 의를 통해 의롭게 되는 것을 가로막는다(:31,32).

 

좀더 자세히 말하면, 의롭게 되는 일에서 도덕법은 거부되어야 한다. 의식법과 사람의 의 또한 거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일에서 그것들은 모두 연약하고 무익하기 때문이다(8:2,3; 3:21; 10:1-12). 우리의 칭의를 위해 이 모든 것을 거부해야 한다면, 그리스도 안에서 의를 얻는 길 외에 어디서 이러한 의를 발견할 수 있겠는가?

 

앞서 제시한 죄인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율법의 저주에서 벗어나 의롭다고 인정받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오래 전에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에 의해 행해졌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분의 인격에 속해 있는 의가 전가되는 방법뿐이다.”라는 명제는 이 정도로 충분히 설명되었으리라 생각한다.

 

------------------------------------------------------

 

이것은 존 번연이 1688년에 세상을 떠난 후에 출판된, "JUSTIFICATION BY AN IMPUTED RIGHTEOUSNESS OR, NO WAY TO HEAVEN BUT BY JESUS CHRIST"란 글의 앞부분을 번역한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번연은 죄인이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칭의, 곧 하나님 앞에서 의로운 상태로 서는 것이 무엇이며, 하나님께서 그러한 은혜를 어떻게 베푸시는가, 의롭게 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 외에 율법의 행위뿐만 아니라 율법조차도 모두 거부해야 한다는 것과 의롭게 된 이후에도 의롭게 하는 의가 우리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그리스도 안에 있으며, 우리가 의롭게 되는 것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는다는 것을 성경을 통해 확증합니다. 이 글을 통해 주님께서 칭의(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되는 것)의 교리가 성도들에게 더욱 더 분명하게 이해되도록 도우시기를 기도 드립니다.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42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7023
    read more
  3. No Image

    자살에 대한 성경적 이해_김엘리야

    김엘리야 http://cafe.daum.net/aspire7/9z5w/13172 ♥ 들어가며 최근 교회 신자라는 인기 연예인들의 연이은 자살로 사회 문제, 종교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교인이 자살하면 구원을 받을 수 있는지? 성경에서 자살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논의가 분분하였...
    Date2015.07.11 By갈렙 Views2175
    Read More
  4. No Image

    잘못된 환난전 휴거설은 언제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나?

    잘못된 환난전 휴거설은 언제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나? “세대론”은 폴리캅(Polycarp) 시대로부터 기독교 문헌 속에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분명한 것은 초대교회가 세워진 이후 1800년 동안 교회에서 전혀 가르쳐진 적이 없었으며 크리스텐돔(Christendom...
    Date2021.03.02 By갈렙 Views348
    Read More
  5. No Image

    저주란 무엇인가?

    켈랄라 qelalah 저주, 악담, 독설 켈랄라(명여)는 칼랄($7043)에서 유래했으며, '저주, 악담, 독설 curse'을 의미한다. 칼랄라의 주요 강조점은 복되고 의로운 상태의 부재(또는 전도)와 더 낮은 상태에로의 격하에 있다. 켈랄라가 표현되는 그 관용 문구에도 ...
    Date2021.06.19 By갈렙 Views371
    Read More
  6. No Image

    적그리스도(바다에서 올라오는 짐승)는 누구를 가리키는 것일까?

    계시록 13장은 짐승의 표에 대한 예언의 장으로 유명하다. 처음으로 계시록을 연구하는 분이라면 어려운듯 하겠지만, 이 예언을 차근 차근 공부해 보면, 매우 흥미진진한 예언이라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이 계시록 13장은 그 내용이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
    Date2015.10.10 By갈렙 Views2669
    Read More
  7. No Image

    전가된 의를 통해 얻는 칭의(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됨)_존 번연

    전가된 의를 통해 얻는 칭의(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됨)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는 길 외에 천국에 이르는 길은 없다 존 번연 번역 김세창 칭의(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됨, 의롭다고 인정받음)는 성경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때로는 칭의가 사람을 대상으로 사용...
    Date2015.05.28 By갈렙 Views2121
    Read More
  8. 전국기독교서점[전화번호,주소]

    인천.경기도(서) 경기도(동남북).강원도 충청도 대구,경상북도 부산.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한국 기독교 서점 협의회/서울 종로구 연지동 136-56 한국 기독교 연합회관1313호 Tel:708-4393,4394 Fax:708-4395 서 울 서 점 명 전 화 fax 주 소 가나...
    Date2019.05.30 By갈렙 Views6274
    Read More
  9. 전도는 과연 누거 그리고 어떻게 해야 가장 효과적일까요?

    회심자 276명중 노방 전도된 사람은 1명 Date: 2015.01.30, 9:50:33 가-가+ 제주지역 실천신학컨퍼런스… 김선일 교수 ‘최근 회심자 이해’ 발제 뉴스앤넷 이병왕 기자 | [email protected] ▲ 김선일 교수의 발제 모습 GMN(굿미션네트워크)과 목회사회학연구...
    Date2015.01.30 By갈렙 Views2432
    Read More
  10. 절기 PPT파일_좋아요

    절기 PPT파일 https://blog.naver.com/viva-choi/223245865069
    Date2023.10.29 By갈렙 Views89
    Read More
  11. No Image

    제 2 스위스 신앙고백서(1566)(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제 2 스위스 신앙고백서(1566)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제 1 장 : 하나님의 참된 말씀인 성경에 관하여 정경(正經) 우리는 거룩한 예언자들과 사도들의 구약과 신약인 정경(the canonical Scriptures)이야말로 하나님의 참된 말씀이요, 이것은 결코 ...
    Date2019.08.03 By갈렙 Views618
    Read More
  12. 제 3 성전(The 3rd Temple)에 대한 성경의 예언과 성전 건립의 임박함_하늘기쁨님

    제 3 성전(The 3rd Temple)에 대한 성경의 예언과 성전 건립의 임박함 2018. 6. 16. 13:54 dudulee (43) in kr ? (이 자료는 http://godtown.net/221300073534에서 발췌한 자료입니다.) 오늘은 제 3 성전에 대하여 올립니다. 제 3성전에 대하여 환난기에 세워...
    Date2018.06.26 By갈렙 Views1211
    Read More
  13. 제104회기 총회 명성교회 수습안이 통과되다(명성교회수습전권위원회)_2019-09-26(목)

    수습안 전문 1. 명성교회와 서울동남노회는 총회 재판국의 재심판결을 수용하고 재재심을 취하한다. 2. 서울동남노회는 2019년 11월 3일 경에 명성교회에 임시당회장을 파송한다. 3. 명성교회의 위임목사 청빙은 2021년 1월 1일 이후에 할 수 있도록 하되 김하...
    Date2019.09.26 By갈렙 Views191
    Read More
  14. No Image

    제266대 프란치스코교황(예수회신부)의 최근 행보

    말세와 성경 | 마지막 종교개혁 http://anonymo198.blog.me/220491264670 이 저작물은 아래 조건 만족 시 별도 허가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저작자 명시 필수영리적 사용 불가동일조건 유지시 변경 허가 역사 속에서 종교개혁가들이 일관적으로 성경 예언속 적...
    Date2015.10.10 By갈렙 Views2057
    Read More
  15. No Image

    제2스위스신앙고백(A.D.1566년)에 나타난 예정론에 관하여

    제10장. 하나님의 예정과 믿는 성도들의 선택에 관하여 하나님은 우리를 은혜로 선택하셨다. 하나님은 영원 전부터 그의 자유의지에 의하여, 그리고 순수한 은혜로 또한 사람의 그 무엇을 조건으로 삼지 아니하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하시기로 의지하셔서 ...
    Date2019.08.03 By갈렙 Views276
    Read More
  16. No Image

    제3의 성전_이재현목사

    제3성전 이재현목사 Ⅰ 서론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II,재위BC604-562은 BC 606년 예루살렘으로 진군 왕족의 소년들을 포로로 잡아간다(왕하24:1-2). BC 597년 재침공 때는 유다왕 여호야긴과 왕실의 가족들도 비참하게 바벨론으로 끌려가게 된다(왕하24:10-1...
    Date2018.06.26 By갈렙 Views696
    Read More
  17. No Image

    제3의 성전이 예루살렘 모리아산에 세워질 것인가__브래드TV

    . 첫 소식입니다. 유대인들의 두 번째 성전인 스룹바벨 성전은 페르시아 왕의 도움으로 재건되었습니다. 현재 이스라엘에서는 산헤드린이 제3성전 건축을 위해 도움을 요청했는데요, 이번 소식은 예루살렘에서 전해드리겠습니다. 미국 45대 대통령으로 도널드 ...
    Date2018.06.26 By갈렙 Views365
    Read More
  18. No Image

    제사드리는 일에 대한 기독교신학자들의 반응

    이것은 가져온 글입니다. 출처를 확인하지는 못했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1784년 이승훈씨에 의해 전파될 때는 '조상제사가 우상숭배적 요소있다'하여 신자들이 조상제사를 금하여 순교자들도 생겼었는데 교리...
    Date2019.12.09 By갈렙 Views284
    Read More
  19. No Image

    제사를 지낼수 없는 이유

    제사를 지낼수 없는 이유 설, 추석 명절이 되면 많은 한국 가정들이 제사를 지낸다. 이 제사 문제로 어려움을 당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그리스도인들이다. 사실 믿음이 굳건한 그리스도인들은 이 문제에 크게 어려움을 겪지 않지만, ...
    Date2015.05.22 By갈렙 Views1935
    Read More
  20. No Image

    제사장과 대제사장의 직무의 비교

    번호 대제사장 제사장 하는 일 관련 성구 하는 일 관련 성구 1 흉패, 에봇, 겉옷, 반포 속옷, 관, 띠 등을 입고 사역함 출 28:4 29:5 속옷, 관, 띠 등만을 입고 사역함 출 28:40 29:8, 9 2 관유를 머리에 부음 받음 출 29:7 레 8:12 대제사장과 함께 관유와 피...
    Date2019.04.13 By갈렙 Views487
    Read More
  21. No Image

    제삿날에는 죽은 조상이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귀신들이 떼거지로 온다(박효진장로간증)

    제사 - 그 정체를 밝힌다 박효진장로의 간증 이 글은 박효진 장로님의 "하나님이 고치지 못할 사람은 없다"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앞에서 말했던 바와 같이 하나님을 참으로 만난 후에도 제사 문제는 내 마음 속에 항상 어두운 그림자로 남아 있었다. 누구에게...
    Date2015.05.22 By갈렙 Views2300
    Read More
  22. No Image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는 어떤 단체인가?(안식교의 이상한 교리들)

    제칠일안식일교회(율법종교) 기독교의 교리가 아닌 안식교는 유대교의교리를 받아 율법주의적 종교가 되어 안식일을 지키는 등 율법주의입니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의 교리가 아닌 유대교의 교리를 가진것이 기독교적으로 볼때 이단성입니다 다음으로는 예수님...
    Date2016.02.17 By갈렙 Views27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