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2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정일웅 칼럼] 로마 카톨릭과 연합하려 했던 칼빈

입력 : 2011.02.24 16:01    

독일교회를 통해 배우는 한국교회의 통일노력(5)
▲정일웅 박사

크리스천투데이는 총신대학교 총장 정일웅 박사의 논문 ‘독일교회를 통해 배우는 한국교회의 통일노력’을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정 박사는 이 논문에서 독일교회가 독일의 통일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분석하며, 이것이 한국의 통일과 한국교회의 연합에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 박사는 얼마 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교회의 보수와 진보가 서로 연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한때 독일교회가 독일의 통일에 무엇을 기여했는지 연구한 적이 있다. 결론은 당시 독일교회가 하나로 연대했었다는 것이다. 에카데(독일개신교협의회)라는 하나의 조직을 만들었다. 이것이 엄청난 일을 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감리교단을 비롯한 한국교회는 어느 때보다 극심한 분열과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이번 연재가 한국교회 연합의 길을 모색하는 의미있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편집자 주


5) 종교개혁을 통한 교회의 분리와 연합

로마 카톨릭교회는 중세기로 오면서 두 번째 분열의 위기를 겪게 된다. 직접적인 동기는 1517년 10월 31일에 루터가 제기한 95개 조항의 반박문에 있었다. 그러나 더 구체적으로는 면죄부 사건과 관련해 로마교회의 구원론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신앙의 가르침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그 원칙이 되기보다, 그 권위를 인간인 교황에게 둠으로써 제도와 전통적 권위를 우선하는 카톨릭교회는 많은 문제를 낳게 되었다. 루터는 시간이 지나면서 중교개혁의 기치 아래 더 많은 동조자를 얻게 됐고, 종교개혁은 그 시대의 사회적 상황과 연관돼 구라파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하나의 계기가 됐다.

수차례에 걸쳐 로마 카톨릭교회는 교회일치를 위한 프로테스탄트들과의 대화를 시도했지만 끝내 연합과 일치를 이루지 못했다. 그 이유는 교황의 절대적인 통치제도와 성경의 권위, 그리고 성만찬의 화체설이 서로 간에 좁혀지지 않는 논쟁점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프로테스탄트인 독일의 루터교회가 로마 카톨릭교회와 결별하게 된 것은 1555년 9월 칼 5세에 의해 소집된 아욱스부르그 국회에서 이끌어진 아욱스부르그 종교 평화조약이 체결된 이후다. 물론 로마 카톨릭교회는 이 조약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역사적으로 1618~1648년에 있었던 30년 종교전쟁을 치른 후 베스트팔리아 조약을 체결하면서 로마 카톨릭교회는 처음으로 프로테스탄트교회로서 루터파교회와 개혁파(칼빈)교회를 인정했다.

프로테스탄트교회 역시 하나의 교회로 통일되었거나 교리에 일치를 이루지는 못했다. 그리고 유감스럽게도 루터파와 칼빈파교회로 나누어지는 불행을 겪게 된다. 교회의 통일을 방해한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성찬에 대한 이견들 때문이었다. 1529년 말브르그에서 루터와 쯔빙글리가 프로테스탄트의 연합을 위해 서로 만났으나 성찬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좁히지 못하고 서로 분열했다.

칼빈은 역사적으로 쯔빙글리의 후계자인 불링거와의 사이에서 성찬에 대한 입장을 통일시키고 서로 신앙고백서에 합의 서명했다. 그러나 이것이 다시 독일 루터파교회의 대표들 사이에 논쟁으로 이어진다. 루터파의 대변자였던 베스터팔은 칼빈을 비난했고 이로 인해 서로는 나뉘어졌다. 특히 그 당시 루터파교회에서는 루터의 후계자인 멜랑히톤과 ‘루터의 순수 직계파’로 자칭하는 대표자 베스타팔 사이에 불화가 있었다. 그 원인은 멜랑히톤이 이미 스트라스부르그의 개혁자 부쳐, 칼빈과 함께 아욱스부르그 신조를 약간 변화시킨 콘페시오 아구스타나 바리아타에 서명한 데 있었다. 즉 그것은 멜랑히톤이 루터 성만찬의 가르침인 공재설을 부쳐와 칼빈이 공감하고 일치하는 방향으로 변화시켰던 것이다. 이는 그가 종교개혁 무리의 연합과 일치를 이루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루터파의 직계들에게는 이것이 하나의 교리적인 변절로 보였고, 멜랑히톤을 루터파에서 축출하기에 이른다. 물론 프로테스탄트 사이에 성찬에 대한 논쟁은 역시 베스트팔과 칼빈 사이에서도 심각하게 이뤄졌다. 그러나 칼빈이 죽고 난 후 루터파에 대항해 불링거는 스위스 개혁교회의 연합을 위한 성만찬 이해의 통일을 추진하고 마침내 1566년 헬베틱 신조를 만들어낸다. 이것이 스위스 개혁교회의 일치를 보여준 중요한 신앙고백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심각한 분열에도 불구하고 부쳐와 멜랑히톤처럼 제네바의 개혁자 칼빈은 교회의 연합과 일치에 대한 정신을 가장 많이 보여줬다. 이러한 칼빈의 교회 일치에 대한 관심과 입장은 곳곳에서 나타났다. 특별히 칼빈이 교회의 하나됨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트리엔트 종교회의를 통해서였다. 약 18년 간 계속됐던 트리엔트 종교회의 기간 동안 칼빈은 제네바의 개혁자로 활동했다. 칼빈은 이러한 종교회의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았다. 그리고 칼빈은 그의 기독교강요 4권 제1장의 제목에서 벌써 교회의 하나됨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즉 그것은 참된 교회에 관한 설명으로 참된 교회는 모든 신자들의 어머니이므로 우리가 그 교회와 더불어 하나됨을 유지해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칼빈은 근본적으로 교회가 신자들의 공동체라고 말한 대표적인 사람이다.

그러나 칼빈의 이러한 교회관은 교회를 제도나 기구로 보는 개념적 이해에서 출발해, 루터와 다르다. 그리고 화란의 칼빈신학자 보아텍은 칼빈 교회론의 특징을 유기체 개념과 신자의 양면을 연결시킨 점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 때문에 교회의 하나됨의 노력은 칼빈에게는 성취해야 할 목표가 아니라 지켜야 할 법으로 이해됐던 것이다. 그는 “왜냐하면 그리스도를 갈라놓을 수 없듯이 교회가 둘 혹은 셋으로 분열될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하늘나라가 나누어질 수 없듯이 하나님의 자녀들이 서로 분열할 수 없다는 것은 우리가 지켜야 할 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만일 우리가 서로 분열하면 그것은 우리가 하나님으로부터 멀리 떠나있다는 결과”라고 그는 덧붙였다.


이와같이 칼빈은 교회의 하나됨에 있어서 분명한 교회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하나됨의 실현을 위해 모범을 보인 인물이다. 칼빈은 마지막까지 카톨릭교회와의 일치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1540년 하게나우(Hagenau)와 1540~41년 개최된 보름스 종교회의, 레겐스부르그 종교회의에 대표로 참석했다. 이 모든 노력들이 비록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프로테스탄트와 로마 카톨릭과의 하나됨을 위해 힘썼던 노력의 역사적 사건들이다. 이 외에도 칼빈은 교회의 분리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비난에 대해 처음부터 신경을 쓰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해명을 제시하기도 했다. 첫째는 프랑스의 황제 프란스 1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다. 둘째는 1539년 사돌렛 추기경 앞으로 보낸 그의 유명한 답변서에서 칼빈의 교회 하나됨의 입장은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로마 카톨릭 사람들은 내가 교회를 버리고 떠났다고 비난하지만, 나의 양심은 전혀 나를 고발하지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나는 패잔병들이 패주하고 흩어지며 대열에서 떨어져나가는 것을 보면서 부대장의 표준을 높이 들고, 이들에게 원대복귀하라고 부르는 탈영병과도 같기 때문이다. 오 주님! 이처럼 당신의 모든 종들은 이리저리 흩어져 당신의 명령을 전혀 들을 수 없고 거의 자신들의 부대장, 자신들의 의무 및 군 입대시의 서약을 잊었나이다. 나는 흩어진 이들을 한데 모으기 위해 낯선 표준이 아니라 우리가 당신의 백성으로 머물기 원하는 한, 따라야 할 당신의 고상한 기치를 높이 들었나이다. 그 때 나는 다른 사람들을 대열 안에 계속 있게 해야 할 자로, 이들을 흩어버린 자들로부터 공격을 받았고, 내가 전혀 단념하지 않고 있을 때 이들은 폭력으로 나를 공격했습니다. 이로 인해 서글픈 소요가 일어났고 싸움이 불붙어 폭발했습니다. 오 주여! 과연 누가 비난을 받아야 할지 당신이 판단하소서. 나는 일치추구의 열정 때문에 항상 말과 행동으로 항변했습니다. 내가 추구하는 교회의 일치란 당신으로부터 시작해 당신 안에서 끝나는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신이 우리들에게 펑화와 일치를 천거하실 때마다, 당신은 자신이 이 일치와 평화를 유지케 하는 유일한 결속의 끈이심을 보이셨습니다.”


이 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칼빈은 그리스도가 주인이 되어 다스리시는 교회만이 참된 교회이며, 그 참된 교회 안에서만 하나됨이 가능하다고 이해했다. 그리고 칼빈에 따르면 유일한 참된 교회 안에 보편적인 교회와 개별적인 교회가 구분된다. 이 둘은 물론 가시적인 교회이다. 보편적인 교회는 공간적으로 나누어져 있고, 떨어져 있지만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이며 하나님의 참된 교리에 동의하고 같은 신앙의 매는 줄로 뭉쳐 있는 교회를 말한다. 이에 비해 개별적인 교회는 마을과 도시에 사람들의 수에 따라 필요한 대로 나누어진 교회를 뜻한다. 그리고 칼빈의 교회에 대한 중요한 이해 가운데 또 한 가지는 구체적인 지역교회 내에서 교리가 일치해야 하지만 교회들의 상호관계에서는 교리적인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점이다. 교리의 공통성이라 할 때 개개인의 신앙표현이 모두 동일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매사에 확실하고 의심할 것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공동으로 긍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칼빈은 교회들 간에 신학적인 견해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그것이 신앙의 하나됨을 분열시켜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던 것이다. <계속>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03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6997
    read more
  3. No Image

    창세기의 족장들의 족보와 일생

    박윤식, 하나님의 구속사적 경륜속에서 본 『창세기의 족보』(도서출판 휘선,2007) 20 대 족장 아담-셋-에노스-마할랄렐-야렛-에녹-므두셀라-라멕-노아 셈-아르박삿-셀라-에벨-벨렉-르우-스룩-나홀-데라-아브라함 1 대 아담 Adam 이름 의미 ① 사람, 인류, 인간...
    Date2018.01.25 By갈렙 Views473
    Read More
  4. No Image

    천국에 있는 땅의 왕들의 정체

    천국에도 땅의 왕이 있는가? 겔45:7-9 드린 거룩한 구역과 성읍의 기지 된 땅의 좌우편 곧 드린 거룩한 구역의 옆과 성읍의 기지 옆의 땅을 왕에게 돌리되 서쪽으로 향하여 서쪽 국경까지와 동쪽으로 향하여 동쪽 국경까지니 그 길이가 구역 하나와 서로 같을...
    Date2019.11.07 By갈렙 Views188
    Read More
  5. 천국에서 찬양부르는 자들과 그들의 부르는 찬양 분류

    천국에서 부르는 하나님과 어린양의 새노래 천국과 지옥 2019. 8. 31. 20:25 https://blog.naver.com/acoloje/221634720869 천국에 가면 부를 하나님과 어린양의 새노래를 미리 불러본다 요한계시록에는 여러장에 새노래가 기록되었다 어린양의 노래와 모세의 ...
    Date2022.04.15 By갈렙 Views196
    Read More
  6. 천국은 평등하지 않다

    천국은 평등하지 않다 천국과 지옥 2018. 12. 9. 9:36 https://blog.naver.com/acoloje/221415416883 성경에는 평등(Equality)이란 단어가 단 한 번도 기록되지 않았다 히브리어에 평등이란 단어가 없어서가 아니다 어찌보면 평등은 성경적인 단어가 아니다 평...
    Date2022.04.15 By갈렙 Views277
    Read More
  7. 천년왕국(무천년설, 전천년설, 역사적전천년설, 세대주의적전천년설)_이인규권사

    천년왕국 이인규 성경은 요한계시록외에 천년왕국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다. 또 신약성경의 종말론에서 사실상 천년왕국이라는 단어가 말하는 의미의 중요성은 매우 약해 보인다. 또한 천년왕국에 대한 견해는 상당히 난해하다. 어떤 학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
    Date2021.08.22 By갈렙 Views384
    Read More
  8. No Image

    천사 창조와 사탄의 타락 시점_정동수목사

    천사 창조와 사탄의 타락 시점 정동수 12-08-31 10:46 10057 안녕하세요? 지난 4년간 여러 가지를 가르쳤지만 천사들의 창조와 사탄의 타락에 대해 구체적으로 가르치지는 않았습니다. 최근에 저희 교회에 오시는 분들 가운데 이것에 대해 알기 원하는 분들이 ...
    Date2019.01.21 By갈렙 Views824
    Read More
  9. No Image

    천사장(살전4:16~18)_방화우리교회 한양훈목사

    천사장(살전 4:16-18)-2017.4.28 2017년 4월 28일 금요예배 제목 : 천사장 본문 : 데살로니가전서 4장 16-18절 말씀 : 한양훈 목사 천사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겠지만 이번에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개신교에서는 천사들의 존재에 대해 거의 말하지 ...
    Date2020.06.04 By갈렙 Views739
    Read More
  10. 초기기독교 영지주의에 대한 이해_정병진목사

    아래의 메시지는 초기 기독교 영지주의에 대하여 잘 정리한 메시지입니다. 제목: 요한일서가 영지주의자들에게는 얼마나 강력한 책이었을까?(요일4:1~6)_2019-08-09(금) 정병진목사 2019. 8. 12. 13:42 https://blog.naver.com/alleteia/221613799108 요한일서...
    Date2021.11.09 By갈렙 Views208
    Read More
  11. 초대교회는 안식일을 지켰을까 주일을 지켰을까?

    초대교회는 안식일을 지켰는가?(1) 2004.08.16. 12:53 dsmedic(dsme****) https://cafe.naver.com/anyquestion/175 안증회와 안식교는 초대교회에서는 안식일을 지켰는데, 콘스탄틴황제 이후부터 안식일이 주일로 바뀌게 되었다고 주장을 한다. 안증회는 거짓...
    Date2019.08.08 By갈렙 Views799
    Read More
  12. 초대교회는 안식일을 지키지 않았고 주일에 모여 예배를 드렸다는 초기교회의 문서들

    주일성수를 명하고 있는 바나바의 서신(A.D.130년경) 중 제13장 제13장 그러면 7일째 되는 날 쉬었다는 말은 무슨 뜻입니까? 이 말은 그분의 아들이 와서 사악한 자의 절기를 폐지하고,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리를 심판하며, 해와 달과 별을 변하게 하는...
    Date2022.12.26 By갈렙 Views134
    Read More
  13. 초막절 관습_권혁승 교수

    {성경배경사}*초막절과 관습(1) 글 / 권혁승 교수 1. 서론 히브리어로 '숙곳'이라 명명되는 초막절은 이스라엘 3대 명절 중 하나로서 유대력 7월 15일부터 시작하여 8일간 계속되는 가을명절이다. 유대력으로 7월은 서양력에서는 9월이나 10월경에 해당된다. ...
    Date2022.11.23 By갈렙 Views113
    Read More
  14. 초막절(하그 쑥카)에 관하여_정병진목사

    초막절에 관하여 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1.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추수감사절은 "초막절"인가요 "수장절"인가요?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추수감사절은 "수장절"이라 불리웠습니다(출23:16, 34:22). 왜냐하면 그때는 곡식(밀)과 과일(포도, 석류, 무화과, 대추야...
    Date2022.11.22 By갈렙 Views87
    Read More
  15. 최삼경 목사 삼신론에 대한 교계의 반응

    한기총 질서위 최삼경목사 “이단” 결론 2011/11/25 08:29:21 크리스찬데일리뉴스 한기총 질서확립대책위원회는 24일 기자회견을 통해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은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을 각각 개체로 만들어 기독교의 하나님을 한 분이 아닌 세신으로 만드는 삼...
    Date2015.10.20 By갈렙 Views2239
    Read More
  16. No Image

    칼빈교리에는 회개가 없다

    칼빈교리에는 회개가 없다!2014.01.23 글쓴이: 최대복목사(오직예수) - 모든 일을 예수님의 주신 힘으로 예수이름으로 하라. 자신의 혈기와 의로 하지마라. 모든 것에 예수님이 빠지면 아무 소용없다. - 칼빈은 너무 잔혹한 자였다. 사랑이라고는 눈꼽만큼도 ...
    Date2015.06.02 By갈렙 Views2322
    Read More
  17. 칼빈은 종교개혁자가 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정일웅 칼럼] 로마 카톨릭과 연합하려 했던 칼빈입력 : 2011.02.24 16:01 독일교회를 통해 배우는 한국교회의 통일노력(5) ▲정일웅 박사 크리스천투데이는 총신대학교 총장 정일웅 박사의 논문 ‘독일교회를 통해 배우는 한국교회의 통일노력’을 매주 목요일 ...
    Date2015.06.11 By갈렙 Views2212
    Read More
  18. No Image

    칼빈의 5대 교리 ( W. J. 시애튼)

    칼빈의 5대 교리( W. J. 시애튼) 서론 17세기에도 하나님의 섭리로 당시 복음에서 빗나간 흐름에 대처하고자 도르트 종교 회의에서 개혁가들의 계승자들이 체계화한 위대한 기독교 진리 5개조는 이보다 반세기 먼저 작고한 제네바 개혁가의 이름과 연계가 되어...
    Date2018.01.21 By갈렙 Views268
    Read More
  19. No Image

    칼빈의 만행2(칼빈주의자들에 의한 인간사냥의 역사)

    칼빈 주의자들에 의한 인간사냥의 역사 * 칼빈의 인간사냥에 대한 역사적 증언 백일하에 드러나는 칼빈의 거짓 교리와 사상으로 수 많은 사람들이 은혜의 시대요 사랑의 시대라고 하는 신약시대에 와서조차 수많은 살상을 당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정신을 바짝...
    Date2015.06.02 By갈렙 Views2429
    Read More
  20. No Image

    칼빈의 예정론 무엇이 문제인가?(구열복)

    원전강해, 구원(1) "교회가 잃어버린 언어, 구원" 구원 원전강해 / 성경적 구원 2013/11/29 01:03 http://blog.naver.com/lljwhkingll/199628380 전용뷰어 보기 우리가 지금 할 말이 있는가? 지금의 한국 교회가 세상에게... 세상이 개독교니 먹사니 라고 돌을...
    Date2014.11.06 By갈렙 Views7585
    Read More
  21. No Image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리의 자유의지론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리의 자유의지론 질의응답 / 기독자료실 2009.10.02. 21:18 http://blog.naver.com/ptaesoon2/10071154864 전용뷰어 보기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리의 자유의지론 에베소서 1:4,5 “ 곧 창세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우리로 사랑 ...
    Date2015.06.27 By갈렙 Views2841
    Read More
  22. No Image

    칼빈의 예정론을 비판하는 논문_김동호목사

    <칼빈의 예정론 비판> 김동호 목사 2012. 7. 12. 목요일 1 3. 78년 장로회신학대학 신대원을 졸업하였습니다. 그때 졸업논문제목이 <칼빈주의 예정론 비판>이었습니다. 4. 당시는 저희 통합측에서도 칼빈의 예정론을 비판한다는 것은 정말 생사(?)를 걸어야 쓸...
    Date2014.11.06 By갈렙 Views974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