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의 삼위일체론  삼위일체 논쟁  
2009.06.26. 12:28
복사 http://blog.naver.com/kaistq/150051794835

 

서  론
종교개혁 이후 교회는 각각 자기 교파의 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정통주의 신학을 발전시켰다. 보통 1559년부터 1622년까지를 ‘정통의 시대’라고 부른다. 삼위일체론은 정통주의 시대에 이르러 전반적으로 무관심과 퇴조의 기미를 보였다. 개신교회이든 로마 카톨릭교회이든,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삼위일체를 이미 정리된 교리로 생각하고 분파와 회의론자에 대항하여 삼위일체 교리를 설명하고 옹호하는 수준에 만족했다. 여기서는 루터교회 정통주의 교의학과 개혁교회 정통주의 교의학을 검토하려 한다.
 

Ⅰ. 루터교회의 삼위일체론

1. 삼위일체론의 위치
하인리히 슈미트는 루터교회 교의학에서 프롤레고메나, 하나님, 인간, 구원의 근원, 은총의 수단과 교회, 종말이라는 여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자료를 편집했다. 슈미트는 전통적인 서방 신학의 틀을 따라, 제1부에서 신론을 다루면서 제1장에서 하나님에 대한 지식, 존재, 본성, 속성을 다룬 후, 제2장에서 삼위일체를 다루었다.


2. 삼위일체

1)삼위일체의 신비
“성서는 하나님이 한 분 이지만 신성을 셋, 즉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에게 돌리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성서로부터 한 분 하나님이 있으나 이 한 분 하나님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라는 것을 배우게 된다” “성서는 우리를 위해 이 신비의 베일을 벗기지 않고 오히려 삼위일체 교리를 하나의 신비로 계시하고 있다”

2)통일성
삼위일체의 통일성은 신적 본질의 통일성을 의미한다. 신적 본질의 통일성은 숫자적 통일성이다. 인간의 본성의 통일성은 종(kind)의 통일성이지만, 하나님의 본성의 통일성은 숫자적 통일성이다. 하나의 분리되지 않은 본질이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에게 다 있다.

3)복수성
삼위일체의 복수성은 위격의 복수성을 의미한다. 인간에게서 스스로 존재하는 주체는 하나의 본질을 갖고 있으나, 삼위일체에서는 하나의 분리되지 않는 본질이 있고 여기에 세 위격이 참여한다. 그리고 하나의 신적 본질 사이의 구분은 진정으로 실재하는 구분이다. 위격의 사역은 두 가지로 구분하는바 내적 사역과 외적 사역으로 나눈다. 내적 사역은 두 가지인데 즉, (아버지의)낳으심과 숨을 내쉼이다. 외적 사역은 3가지인데 즉 아버지의 창조, 아들의 속량, 성령의 성화이다. 내적 사역은 다른 위격을 배제하고 한 특별한 위격으로부터 나오는 사역으로 간주되고, 외적 사역은 항상 하나님의 본질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외적 사역에는 모든 위격이 최소한 어떤 방식으로든지 하나님의 본질로서 참여해야 한다. 내적 사역은 분리되고, 외적 사역은 분리되지 않는다.

교회는 통일성과 구분은 둘 다 ‘호모우시아’라는 용어로 나타내었다. 교회는 세 위격에 대해 ‘호모우시아’라고 말했다. 이 통일성으로부터 ‘페리코레시스’(상호내주)가 정당하게 파생된다. 페리코레시스에 의해 한 위격은 본질의 통일성 덕분에 또 다른 위격 안에 간주하는 오류가 제거된다. 이 통일성으로부터 또한 동등성이 파생된다. 어느 한 위격도 또 다른 위격보다 더 크거나 작지 않고, 아버지는 탁월의 방식으로 하나님이라고 적절하게 부를 수 없고, 존재 양식 때문에 아들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없다.

 

Ⅱ. 개혁교회의 삼위일체

1. 삼위일체론의 위치
하인리히 헤페도 개혁교회 교의학에서 서방신학의 전통을 따라 한 분 하나님에 대해 먼저 논의하고, 그 다음 삼위일체 하나님을 다루었다. 즉, 하나님의 존재와 개념과 속성을 다룬 후 삼위일체론을 다루었다.


2. 삼위일체

1)삼위일체의 신비
개혁교회는 삼위일체 교리를 인간 이성에게 영원히 설명할 수 없는 신비로 보았다. 삼위일체가 자연적 이성에 의해 탐구될 수도 없고 견고하게 입증될 수도 없다는 것이었다. 개혁교회는 다만 비유와 후험적 이성으로 삼위일체론을 입증할 가능성이 있을 뿐이라고 보았다. “신비에 감추인 삼위일체 교리는 단지 계시에 근거를 두고 있다. 신약 뿐만 아니라 구약도 성서는 한 분 하나님이 영원부터 아버지, 아들, 성령으로서 삼위일체라고 가르친다”

2)통일성
“하나님의 통일성은 또 다른 신적 존재의 실존을 배제한다”
온전하신 하나님은 분리되지 않는 한 분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3)삼위성
베자에 위하면 “삼위일체는 하나님 안의 관계로서, 이 관계에 의해 하나님의 단일한 신적 본질 안에서 참으로 실제로 각각 그 고유한 속성과 독특한 존재 양태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 세 위격, 즉 성부, 성자, 성령이 현존한다. 각 위격은 진정한 하나님이다” 위격들에게 내적 사역과 외적 사역이 있다는 것은 루터교회와 비슷하다.

성부는 신성의 제1위격으로서 누구 덕분에 존재하지 않고 영원부터 자기의 본질적 형상인 아들을 낳았다. 아버지의 이름은 피조물과의 관계에서 고려될 때는 신성 일반을 서술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삼위일체의 제1위격은 그가 자기로부터 낳은 아들과의 관계에서 특별한 방식으로 아버지라고 불린다. 성부의 내적 사역은 아들을 낳고 성령을 숨을 내쉬는 것인데, 전자는 단독으로 후자는 성자와 함께 수행한다.

아들은 신성의 제 2위격으로서, 본질적 존재가 아니라 위격적 존재를 따라, 항상 아버지에 위해 출산되고 성부와 함께 성령을 숨으로 내쉰다. 아들은 성부에 의해 창조되거나 만들어지지 않았고 은혜나 공로로 양자가 된 것도 아니다. 아들은 그의 본성을 따라 성자 하나님이고 따라서 성부와 성령과 같이 진정한 하나님이다. 성자가 말씀이라고 불리고 이유는 (1)그 의 직분에서 성부가 그를 통하여 모든 일을 하고 그가 성부의 계시이기 때문이다. 아들의 경세는 속량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세상의 구원을 위해 자기를 계시한다고 설명하는 성서의 모든 말씀은 성자와 연결되어야 한다. 성령은 신성의 제3위격으로서, 성부와 성자로부터 영원하고 단일한 호흡에 의해 나온다. 성령은 성부와 성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존재하지만, (1)제3의 위격이라는 점과 (2) 아버지와 아들로부터 발출하여 아버지와 아들의 온전한 본질을 자신의 본질로 소유함으로써 존재하는 그의 존재 양식 면에서 구별된다.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로부터 ‘하나의 동일한 호흡에 의해’ ‘양자로부터 동일한 양으로’ 나왔다. 발출은 동일하고 영원한 행위를 말하고 결코 성부와 성자가 이 세상에서 활동하기 위한 성령의 파송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결  론

 

정통주의 교의학은, 첫째 교부신학의 전통을 따라 삼위 일체를 하나님의 신비로 고백했으나, 이성을 사용하여 삼위일체에 대해 체계적으로 논의 하였다. 둘째, 정통주의는 서방 신학의 틀을 따라 한 분 하나님에서 시작하여 삼위일체 하나님을 논의하였다. 셋째, 정통주의는 위격내부의 사역에서 세 위격을 구분하고 세상을 향한 외부의 사역에서 세 위격을 구분함으로 써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세적 삼위일체에서 모두 세 위격을 구분하였다. 종교개혁자는 대개 내재적 삼위일체에 대한 사변을 거부하고 경제적 삼위일체의 구원 사역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정통주의 교의학자는 종교개혁자와 달리 경제적 삼위일체뿐만 아니라 내재적 삼위일체에 대해서도 충실하게 논의했다. 넷째, 정통주의는 세 위격이 본질에서 동등하나 위격에서 구분된다고 말하면서 세 위격의 고유한 특성을 자세하게 설명한 점에서 종교개혁자의 관심을 이어갔다. 정통주의 신학은 삼위일체론에 대해 새롭게 기여한 것은 없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당시 여러 분파와 회의론자에 대하여 삼위일체 교리를 잘 옹호한 점은 높이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정통주의 신학은 확실히 중세 스콜라 신학의 사변적 삼위일체론을 재도입한 면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삼위일체론을 왜곡하거나 부정하는 것에 대해 정통적인 삼위일체론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출처]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의 삼위일체론|작성자 kaistq

 


  1. notice

    동탄명성교회 앱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기

    동탄명성교회 앱은 원래 iOS와 안드로이드폰 둘 다 동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애플 앱 정책에 따라 아이폰 App Store에는 출시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지 않고 아이폰에서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밑에 사진을...
    Date2014.10.16 By관리자 Views17042
    read more
  2. notice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동탄명성교회 모바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동탄명성교회 홈페이지의 모든 것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1 : [구글 Play 스토어] (마켓에 "동탄명성교...
    Date2014.10.15 By관리자 Views17023
    read more
  3. No Image

    [교회사] 신사참배 반대운동

    42.신사참배 반대운동 (1)신사참배,덴노제국가 (2)신사참배와기독교박해 (3)기독교교육기관에 대한 신사참배 강요 (4)총회의 배도와 신사참배 거부운동 2018. 5. 6. 9:27 42. 신사참배 반대운동 (1) 신사참배, “덴노”(天皇,tenno)제 국가 “메이지 유신”(明治維...
    Date2020.05.14 By갈렙 Views382
    Read More
  4. No Image

    [교리] 천주교의 고해성사

    천주교의 고해성사 권영문 | [email protected] 입력 : 2012년 04월 17일 (화) 13:02:04 최종편집 : 2012년 04월 18일 (수) 14:09:52 [조회수 : 6155] - 천주교의 고해성사 - 신약성경에 예수님이 교회에게 지키라고 친히 분부하셨던 두 가지 기본적인 예식은 주의...
    Date2017.10.28 By갈렙 Views387
    Read More
  5. [교회사] 공중강림(이중재림) 비밀휴거의 시작은 어디에서 시작된 것인가?

    세대주의가 발전된 역사-이스라엘 회복과 제3성전 성경에 예언되었는가 3-3 성경을 교묘히 왜곡하는 세대주의는 어떻게 시작되고 발전되었는가? 1. 세대주의 교리들의 출발이 된 성경 변개의 역사 약 B.C. 250년경에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헬라어 역 70인역...
    Date2017.09.06 By갈렙 Views388
    Read More
  6. No Image

    [언어] 원어성서연구원(히브리어 헬라어 성경)

    1. 성경원어연구원 http://cafe.daum.net/bible-language 2. 헬라어 원문성경 번역소 https://blog.naver.com/sendmeok 3.
    Date2018.01.14 By갈렙 Views388
    Read More
  7. No Image

    [족장] 족장의 출생과 죽을 때의 나이

    역대연대 알아보기 족장들 이름의뜻 1대 아담 2대 셋 3대 에노스 4대 게난 5대 마할랄렐 6대 야렛 7대 에녹 8대 므두셀라 9대 라멕 10대 노아 사람 인류 인간 대신한자, 고정된자 기초,토대 사람, 연약한 사람 뜻밖에 얻은아들, 광대한 소유 하나님께 찬양, 하...
    Date2018.01.25 By갈렙 Views389
    Read More
  8. No Image

    [뉴스] 노아의 방주 발견 보도_미국 FOX뉴스 중국뉴스 국내CGN뉴스

    노아의 방주 발견 - 미국 FOX 뉴스와 중국 TV 방송국 뉴스 보도 https://blog.naver.com/happysmile2u/221462000289에서 발췌한 자료입니다. 2019. 2. 10. 1:12 "칠월 곧 그 달 십칠일에 방주는 아라랏 산지 위에 멈췄더라" (창세기 8:4) 아라랏산은 현재 터키...
    Date2021.03.25 By갈렙 Views389
    Read More
  9. No Image

    [인물] 예수님의 친동생 야고보와 그의 순교에 관한 기록들

    예수님의 친동생 야고보 오늘은 예수님을 가장 가까이에서 오랫동안 지켜보았던 한 사람을 만나려고 하는데, 그 이름이 야고보입니다. 이 야고보는 세배대의 아들 사도 야고보가 아니고, 또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도 아니고, 이 야고보는 예수님 친 동생 야고보...
    Date2017.09.02 By갈렙 Views390
    Read More
  10. [역사] 성경 외의 역사서가 이야기하는 예수님 그리고 신약 성경

    성경 외의 역사서가 이야기하는 예수님 그리고 신약 성경 3월 2, 2017 | Posted by Fingerofthomas | 성경 외의 역사서가 얘기하는 예수님 그리고 신약 성경 많은 사람들이 성경을 증거하기 위해서 성경을 사용하면 안된다고 얘기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성경은...
    Date2018.08.11 By갈렙 Views390
    Read More
  11. No Image

    [신학] 세르베투스의 삼위일체론

    세르베투스가 삼위일체론을 케르베로스(Cerberus)에 비유한 것을 말씀하시는군요. 케르베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머리 셋 달린 개로, 저승(하데스)의 입구를 지키고 있다고 합니다. 세르베투스는 근세 종교개혁 시대의 신학자로, 스페인에서 태어났으며...
    Date2020.05.12 By갈렙 Views390
    Read More
  12. 천년왕국(무천년설, 전천년설, 역사적전천년설, 세대주의적전천년설)_이인규권사

    천년왕국 이인규 성경은 요한계시록외에 천년왕국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다. 또 신약성경의 종말론에서 사실상 천년왕국이라는 단어가 말하는 의미의 중요성은 매우 약해 보인다. 또한 천년왕국에 대한 견해는 상당히 난해하다. 어떤 학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
    Date2021.08.22 By갈렙 Views390
    Read More
  13. [교회사] 북한의 지하교회 성도들의 실상

    집이, 방이, 토굴이, 들녘이, 야산이 교회당이라. 아무것도 없는 듯 보이지 않는 듯 하나 성령의 힘으로 생명걸고 주 예수를 섬기는 북한의 지하교회와 성도들! 종교 2013. 4. 17. 22:32 https://blog.naver.com/lys111ks/40187304246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
    Date2018.05.06 By갈렙 Views391
    Read More
  14. 열왕기하성경공부(18~25장) 히스기야 왕부터 유다 왕국의 멸망까지

    제목: 히스기야 왕부터 유다 왕국의 멸망까지 본문: 열왕기하 18-25장 일시: 2018.10.14. A. 개관 요약 - 히스기야 왕의 행적은 믿음과 기도 위에 세워져 있었다. 그것이 유다를 아시리아의 위협으로부터 구원하였다. 반면 그 절정에서 그가 범한 죄악은 유다...
    Date2021.07.11 By갈렙 Views391
    Read More
  15. 성경책별 자료

    구약 : 모세오경 / 역사서 / 시가서 / 선지서 신약 : 복음서/ 역사서 / 서신서 성서신학자료로 가기 구약 모세오경 창세기 노아 아들 역사민족들 계보 노아의 연구 돌아온 야곱 롯과 아브라함 벧엘을 찾은 야곱 브니엘의 아침햇살(서평) 사라의 웃음, 하갈의 ...
    Date2021.12.08 By갈렙 Views392
    Read More
  16. 구약 대제사장의 복장 설명 사진

    https://blog.naver.com/panem/70149497643 에서 발췌한 자료임
    Date2021.09.16 By갈렙 Views393
    Read More
  17. No Image

    [기고] 자유주의 신학은 이단이다(1)_김효성박사

    자유주의 신학은 이단이다 (1) 김효성 박사 자유주의 신학은 이단이다. 왜냐하면 한마디로 말해 그것은 성경의 핵심적 교리들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이 사실은 대표적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책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스도의 성육신(成肉身)과 처녀 탄생을 ...
    Date2019.03.04 By갈렙 Views395
    Read More
  18. 귀신이 배와 가슴에 집을 짓는 3가지 경우

    부정적인 생각이 귀신을 불러들인다. 2021. 7. 6. 14:01 https://blog.naver.com/looker7700/222422057018 필자가 인터넷 매체에 칼럼을 쓴지 오랜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이천 개가 넘는 칼럼을 썼으니 이제 할 말도 없을 정도이다.ㅋㅋ 그러나 필자가 글 쓰...
    Date2023.03.27 By갈렙 Views395
    Read More
  19. 일본종교의 기원은 태양신숭배였다

    오늘은 우리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일본창세신화 이야기를 좀 해볼게요. 그 중 일본창세신화의 주신으로 해당되는 태양신 아마테라스 이야길 해봅니다. 아마테라스는 다른 말로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라고도 칭하는데요. 누나와 혼인해 낳았다고 여겨지는 일본...
    Date2018.03.15 By갈렙 Views398
    Read More
  20. No Image

    [신학] 신학펀치 48강을 일목오연하게 요약한 글

    신학펀치 48강을 일목오연하게 요약한 글입니다. http://blog.naver.com/leibinq
    Date2017.05.26 By갈렙 Views400
    Read More
  21. No Image

    [교리]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의 삼위일체론 삼위일체 논쟁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의 삼위일체론 삼위일체 논쟁 2009.06.26. 12:28 복사 http://blog.naver.com/kaistq/150051794835 서 론 종교개혁 이후 교회는 각각 자기 교파의 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정통주의 신학을 발전시켰다. 보통 1559년부터 1622년까지...
    Date2017.06.22 By갈렙 Views402
    Read More
  22. No Image

    [다큐멘터리] 바벨론제국(느부갓네살왕)은 어떤 제국이었을까?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는 첫째짐승과 둘째짐승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그 중에서 첫째짐승은 바벨론과 메대와 바사(페르시아) 그리고 헬라제국을 이어받은 로마제국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세계최초의 바베론제국은 어떤 나라였을까요? 우상숭...
    Date2018.01.16 By갈렙 Views4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47 Next
/ 47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