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튜브 주소 https://youtu.be/bBrNE0zVzpY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58) 당신은 홍수 후에 달라진 새 언약에 주의하고 있는가?(창9:1~7)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bBrNE0zVzpY

 

1. 하나님께서 홍수 후에 노아와 노아의 아들들에게 주신 명령은 무엇인가?

  하나님께서 홍수 후에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주신 명령은 크게 2가지다. 첫째는 기존에 아담에게 주셨던 명령을 다시 주신 것이다. 그것은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는 것이다(창9:1). 둘째는 새로 주어진 명령인데, 먹을 거리의 변화이다. 그것은 이전에 인간에게는 채소와 과일을 먹거리로 주셨는데, 이번에는 모든 동물을 다 먹거리로 주신다는 것이다(창9:2). 다시 말해 홍수 이후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먹거리의 감소로 인하여 육식을 허용하신 것이다. 그럼,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어떤 동물들을 먹을 수 있게 하셨는가? 그것은 하늘의 새들과 육지의 짐승과 기는 것 그리고 바다의 물고기들 전부이다(창9:2). 그러나 훗날 약 1,000년 후에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주신 명령에는 모든 동물이 아니라 정결한 고기만 먹을 수 있게 했다(레11장). 부정한 짐승들의 피가 인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었기 때문이지 않나 싶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먹지 말라는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죽은 사체이다. 죽은 동물의 사체는 먹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이는 사람이 육식은 해도 되지만 반드시 살아 있는 동물만 잡아서 먹도록 허용하신 것이다(창9:3). 

 

2. 하나님께서 노아와 노아의 후손에게 주신 명령과 함께 강조하여 말씀하신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한 마디로 "생명을 함부로 해하지 말라"는 것이었다(창9:4~6). 그런데 여기서 '생명'이라 함은 '네페쉬'라는 말로서 숨을 쉬는 생명체의 핵심 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모든 동물의 생명은 피 안에 있다(레17:11). 그러니 동물의 고기를 먹을 때에는 피 있는 채로 먹어서는 안된다고 말씀하셨고(창9:4), 또한 함부로 동물이나 사람의 피를 흘리게 해서는 안된다고도 말씀하셨다(창9:5~6). 만약 누군가 짐승이나 사람의 피를 함부로 흘리게 하면 하나님께서는 반드시 그 피값을 그 피를 흘리게 한 사람에게서 찾겠다고 하셨다. 특히 사람의 경우는 더 심각한 것인데, 왜냐하면 사람은 육체만 지닌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인 영혼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노아와 맺은 새로운 언약의 요체는 생명을 함부로 해하지 말라는 것이었다고 정리할 수가 있겠다. 

 

3. 하나님께서는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왜 생명을 함부로 해하지 말라고 하셨을까?

  하나님께서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왜 생명을 함부로 해하지 말라고 명령하신 것일까? 그것은 가인 때문이지 않나 싶다. 참고로 최초의 사람이었던 아담에게는 생명을 함부로 죽여서는 안된다는 사항을 명령하지는 않으셨던 것이 사실이다. 그에게는 오직 한 가지, 동산 나무의 모든 과일은 다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따먹지 말라고 하셨던 것이다(창2:16~17). 그러므로 아담이나 가인이나 남의 생명을 함부로 죽이지 말라는 명령을 실제적으로 받지는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 가인이 그만 동생 아벨을 들에서 쳐죽이고 말았다(창4:8). 그때 아벨은 의인이었기에, 죽었지만 다행히도 천국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것은 예수님도, 히브리서 기자도 인정한 사실이다(마23:35, 히11:4, 12:24). 그런데 오늘날의 죄인들은 어떠한가? 누군가 다른 사람을 죽인다면 그는 그 사람이 회개하고 천국에 들어갈 기회를 영원히 상실하게 만든 것이 된다. 그러므로 생명의 주권자이신 하나님께서 사람을 데려가기 전까지는 아무도 생명을 함부로 죽여서는 안된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누구든지 회개하여 천국에 들어갈 수 있도록 기회를 주셨는데, 인간이 함부로 남의 생명을 해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하나님의 주권을 함부로 침범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4. 왜 하나님께서는 피에 대해서 이렇게 주의할 것을 명령하고 또 명령하셨던 것인가?

  무릇 모든 생명체는 피가 사실 생명을 주관하고 있다. 그래서 피가 곧 생명이라는 말이 생겨난 것이다(레17:11). 왜냐하면 동물은 피를 흘리게 되면 죽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는 피에 대해서 주의할 것을 명령하신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첫째, 생명은 하나님만이 주인이시기 때문이다. 즉 하나님만이 모든 생명체에게 생명을 주시고 생명을 가져가실 수 있는 주권자이기 때문이다. 둘째, 생명을 죽이는 일을 하여 사람이 함부로 생명을 경시하도록 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는 생명 경시 풍조를 미리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하겠다. 셋째, 장차 인류를 대속하여 흘리실 예수님의 피를 모든 인류가 귀하게 여기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만약 사람이 피를 함부로 흘리거나 피를 마시거나 피를 먹게 된다면, 예수님의 피를 천히 여길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특히 피에 관하여 더 주의할 것을 명령하신 것이다. 

 

5. 홍수 이후 노아와 그의 가족에게 주신 먹거리와 피 취식 주의 사항은 결국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주는 것인가? 

  그것은 '생명을 함부로 죽이지 말라'는 것이다. 아담이 범죄하여 사망을 들여왔고, 가인이 살인하여 아벨에게 사망이 임하게 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다. 생명을 해하는 것 곧 사망이 사람 위에 왕 노릇하게 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오늘날까지 하나님을 대적하는 사탄 마귀가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노아와 노아의 아들들에게 모든 동물의 고기는 먹을 수 있지만, 이미 죽은 것은 먹지 말라고 하셨다(창3장). 사망은 하나님의 뜻과는 정반대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것은 일종의 저주이며 그것은 사탄에게 속한 일이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람을 죽이는 것은 그냥 살인했다는 것만으로 끝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사람은 죽어도 죽지 않는 부분인 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다른 사람의 생명을 해하는 일들을 결코 놔두지 아니하시고 반드시 보복하시겠다고 약속하셨던 것이다. 사실 오늘날에 들어와서도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저주들의 근원은 거의가 다 조상들이 누군가를 억울하게 하여 죽인 일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보통 우상 숭배의 죄만 나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아니다. 살인죄도 정말 무서운 죄 중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살인죄에 대해서는 그의 후손 누군가가 반드시 피를 흘려야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신약에 들어와서 예수께서는 실제적인 살인 말고도 사람을 미워하는 것도 살인이라고 말씀하셨다(마5:21~22). 고로 성도는 남을 미워하는 마음을 가져서는 아니 된다. 고로 우리가 기도할 때면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을 달라고 기도해야 한다. 이제부터라도 다른 사람을 해하려 하지 말고, 다른 사람을 미워하지 말라. 그것은 나와 내 후손을 보호하는 위대한 일이기 때문이다. 

 

2021년 04월 02일(금)

정병진목사

[크기변환]20210402_071248.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유튜브 주소 조회 수
173 창세기강해(172편) 목차 file 갈렙 2021.08.09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n1GC5bxDjhZDOoI0lheMybLBvkU0XsA 1066
172 창세기강해(63) 노아의 세 아들들의 족보가 들려주는 인류역사의 이야기(창10:1~20)_2021-04-09(금) 1 file 갈렙 2021.04.09 https://youtu.be/_nGfmHHvyE8 332
171 창세기강해(101)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로 드린 사건이 들려주는 하나님의 비밀(창22:1~8)_2021-05-20(목) file 갈렙 2021.05.20 https://youtu.be/_9daspLCyaE 434
170 창세기강해(106) 아브라함의 순종이 가르쳐주는 복이 영원히 내 것이 되게 하는 비결(창22:15~19)_2021-05-26(수) 1 file 갈렙 2021.05.26 https://youtu.be/ZyYS7MLdGnk 265
169 창세기강해(162) 기근의 때에 실시한 요셉의 지혜로운 정책과 그 놀라운 결과(창47:13~26)_2021-07-27(화) file 동탄명성교회 2021.07.27 https://youtu.be/ZttM0Nw-Fyw 266
168 창세기강해(03) 하나님의 영원하신 계획과 우리 인간(엡1:4~6)_2021-01-27(수) file 갈렙 2021.01.27 https://youtu.be/ZBD5ok3jz8M 485
167 창세기강해(146) 유다, 위기상황에서 빛나는 참된 리더십(창37:26~36)_2021-07-09(금) file 동탄명성교회 2021.07.10 https://youtu.be/Z8CR0j2T_Yk 320
166 창세기강해(31) 아담에게 주어진 첫번째 책무는 무엇이었는가?(창2:8~15)_2021-03-01(월) 1 file 갈렙 2021.03.01 https://youtu.be/YnGgzJ96BRU 260
165 창세기강해(65) 바벨탑의 건축과 인류의 분산이 주는 교훈(창11:1~9)_2021-04-11(주일) 1 file 갈렙 2021.04.11 https://youtu.be/Yl1fdhfr6wU 343
164 창세기강해(117) 에서가 잃어버린 장자의 축복 4가지는 무엇인가?(창25:31~34)_2021-06-10(목) file 갈렙 2021.06.10 https://youtu.be/yfA_xXGzEAE 371
163 창세기강해(153) 요셉에게도 하나님의 때가 있었다(창41:25~45)_2021-07-16(금) 1 file 동탄명성교회 2021.07.17 https://youtu.be/Y20s8Xan6Ro 254
162 창세기강해(66) 태양신 종교의 본산지가 된 바벨탑과 니므롯(창11:1~9)_2021-04-12(월) 1 file 갈렙 2021.04.12 https://youtu.be/Y-rePwYsbuY 308
161 창세기강해(28) 왜 창세기 2장에서는 여호와 하나님으로 주어가 바뀌었는가?(창2:4~7)_2021-02-26(금) file 갈렙 2021.02.26 https://youtu.be/xykIABU3ZW0 419
160 창세기강해(22) 땅의 복에서 하늘의 복으로(창1:20~28)_2021-02-19(금) file 갈렙 2021.02.19 https://youtu.be/xXxJkznXsik 395
159 창세기강해(167) 요셉이 받았던 야곱의 축복은 지금 나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창49:22~26)_2021-08-02(월) file 동탄명성교회 2021.08.02 https://youtu.be/xSJfa3LR8ww 292
158 창세기강해(132) 사람을 이긴 자 야곱에서 하나님을 이긴 자 이스라엘로(창32:1~32)_2021-06-25(금) 1 file 갈렙 2021.06.26 https://youtu.be/wWOEq6s7tmc 291
157 창세기강해(140) 요셉이 하나님이 주신 의미있는(계시적인) 꿈을 꾼 이유는 무엇인가?(창37:1~11)_2021-07-04(주일) file 갈렙 2021.07.04 https://youtu.be/wOcEO0h18zs 323
156 창세기강해(85) 하나님의 때와 아브라함의 두번째 실수(창16:1~3과15~17:1)_2021-05-02(주일) file 갈렙 2021.05.02 https://youtu.be/wKG8GgloHWM 340
155 창세기강해(118) 하나님은 왜 이삭에게 약속의 땅에 머무르라고 했을까?(창26:1~11)_2021-06-11(금) 1 file 갈렙 2021.06.11 https://youtu.be/wI31Vae5B3U 226
154 창세기강해(171) 야곱의 삶과 그의 죽음이 남기고 간 위대한 영적 교훈(창49:28~50:14)_2021-08-06(금) 1 file 동탄명성교회 2021.08.06 https://youtu.be/W9sKjBGzGVI 35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