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린도전서강해(01) 고린도전서 과연 어떤 책인가?(고전1:1~9)_2021-03-24(수)
고린도전서, 실로 어마어마한 책이다. 교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전반적인 모든 내용을 거의 다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답도 정말로 탁월하다. 그렇다면 고린도교회에는 어떤 문제들이 있었는가? 그리고 바울은 어떻게 해결책을 ... -
고린도전서강해(02) 교회의 분열과 그 치유책으로서 그리스도의 십자가(1)(고전1:10~31)_2021-03-31(수)
1. 들어가며 성경에 등장하는 교회들 가운데 가장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교회를 고르라면 그 교회는 아마도 고린도교회일 것이다. 지난 주에도 잠깐 살펴보았지만 고린도 교회에는 당시 약 10가지 문제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그중의 첫번째 문제은 ... -
고린도전서강해(03) 교회의 분열과 그 치유책으로서 그리스도의 십자가(2)(고전1:10~31)_2021-04-07(수)
당시 고린도교회 안에는 최소 4개의 분파가 있었다. 바울이 이 심각한 분열의 문제를 인편으로 들었다. 그리고 그들이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무엇인가 조치를 취해야 했다. 그렇다면 서로 분쟁으로 다투고 있는 고린도교회를 향하여 바울은 어떻게 하나될 수 있... -
고린도전서강해(04) 교회의 분열과 그 치유책으로서그리스도의 십자가(3)(고전1:18~31)_2021-04-14(수)
1. 들어가며 고린도전서는 고린도교회에 발생한 10가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책이다. 바울이 개척했던 고린도교회는 얼마 지나지 않아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특히 그들을 가르쳤던 지도자들과 세례를 주었던 지도자들에 의해 분파가 갈리었다. 그런... -
고린도전서강해(05)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10가지 일들(갈2:1~5)_2021-04-21(수)
교회가 분열로 아파할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분열을 이겨내게 하는 최고의 묘약은 무엇인가? 바울은 그것을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라고 제시한다. 대체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무엇을 처리하셨기에, 바울은 교회분열의의 해결방안으로서 "십자가... -
고린도전서강해(06) 성령으로만 깨달을 수 있는 비밀한 하나님의 지혜(고전2:6~16)_2021-04-28(수)
사도바울은 교회분쟁의 해결의 열쇠를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찾는다. 거기에서 주께서 모든 소극적인 것들을 다 끝내셨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을 깨닫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것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바로 성령님의 일하심을 받아들이는 것... -
고린도전서강해(07) 하나님의 사역자와 성도들이 장차 받게 될 상과 벌(고전3:1~15)_2021-05-05(수)
교회의 사역자들치고 사실 열심히 수고하지 않는 사역자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날 그들이 하나님 앞에 섰을 때 그렇게 힘쓰고 수고했던 것에 대한 보상은 과연 어떻게 주어지는 것인가? 그리고 성도들의 수고와 노력도 상이 있을터인데 그때 과... -
고린도전서강해(08) 하나님의 성전 훼손 경고와 하나님의 사역자들의 헌신적인 수고와 책망(고전3:16~4:21)_2021-05-12(수)
고린도전서 1~4장까지의 이야기는 교회의 분열을 어떻게 종식시킬 것인가를 다루는 본문이다. 그렇다면 사도바울은 어떻게 교회의 분열과 분파문제를 다루었던 것일까? 그리고 교회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종류의 문제는 그 기저에 무엇이 깔려져있는가? 바울은 ... -
고린도전서강해(09) 음행한 자들을 교회는 어떻게 치리해야 하는가?(고전5:1~13)_2021-05-19(수)
교회에 음행하는 자가 있을 때에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소문나면 하나님의 이름이 욕을 먹으니까 쉬쉬하고 덮어버리는 것이 나은가? 아니면 사도바울이 고린도교회에서 행한 처방전대로 그 사람을 징계하여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것이 나은가? 그리고 만약 ... -
고린도전서강해(10) 성도간의 소송과 자유오용과 음행문제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고전6:1~20)_2021-05-26(수)
고린도교회,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교회였다. 아니 그것이 오늘날 우리 교회의 모습은 아닐른지... 그래서 고린도전서를 읽을 때에는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이 들어간다. 그렇다면 고린도 교회에는 과연 어떤 문제들이 있었던 것인가? 그것들 중에서 고전 6장에서... -
고린도전서강해(11) 그리스도인의 결혼 이혼 재혼 독신에 관한 질문에 답하다(고전7:1~40)_2021-06-02(수)
그리스도인들은 결혼해서 살아야 하는가? 아니면 독신으로 살아도 되는가? 그리고 성도들은 배우자의 간음을 제외하고는 다른 이유로 이혼할 수 있는가? 주님께서는 어떤 이혼은 절대적으로 불가하다고 하셨는가? 그리고 재혼도 어떤 재혼만 가능하다고 하셨는... -
고린도전서강해(12) 그리스도인이 되었으면 우상에게 바쳐진 제물을 먹어도 괜찮은 것인가?(고전8:1~13)_2021-06-08(수)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우상은 사실 허상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우상에게 바쳐진 제물은 먹어도 되는 것인가? 사도바울은 처음에는 그것을 먹을 수 있다고 말을 시작했다. 하지만 조금 지나서는 먹을 수 없는 것이라고 분명히 말했다. 믿음 약한 형제를 위해서... -
고린도전서강해(13) 사도의 권리와 절제를 통한 승리자가 받을 면류관(고전9:1~27)_2021-06-23(수)
바울은 다른 사람에게는 사도라 할 수 없었겠지만 고린도교회에게는 그가 사도였다. 왜냐하면 그가 고린도 교회를 개척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바울은 그리스도의 복음전파에 혹시 누가 될까봐서 그들에게 자신을 부양하라고 말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복음사... -
고린도전서강해(14) 사례를 통해 살펴본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과 귀신과 교제하는 것의 상관관계(고전10:1~11:1)_2021-06-30(수)
우상의 제물을 먹느냐 마느냐 하는 것은 사실 영적으로 볼 때에는 매우 심각한 일이다. 왜냐하면 우상의 제물 문제는 우상을 숭배하는 것과 동일한 행위가 되기 때문이다. 우상을 숭배해도 귀신이 들어오고 우상에게 바쳐진 제물을 먹어도 음식을 통해서 귀신... -
고린도전서강해(15) 예배 중 여자가 머리에 는 것과 무분별한 성만찬을 주의해야 할 이유(고전11:2~34)_2021-07-07(수)
여자들은 왜 긴 머리를 하고 사는 것일까? 그리고 남자가 긴 머리를 하고 다니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답을 성경에 제시하는 곳이 있다. 고전11장이다. 고전11장에는 여자가 교회에 나올 때에는 왜 머리에 베일을 써야 하는지 3가지 이유로 말한다. 그리... -
고린도전서강해(16) 성령의 은사들과 한 몸 안의 많은 지체들의 신비적인 연합(1)(고전12:1~11)_2021-07-21(수)
왜 오늘날 보편적인 교회에서 은사들이 사라지고 없어진 것일까? '은사'라고 하면, 왜곡된 성령운동을 하는 곳에서만 말해지고 있는 것인가? 왜 오늘날 교회에서는 초대교회가 경험했던 성령의 은사들을 보지 못하게 되었는가? 왜 기존 교회에서는 성령의 은사... -
고린도전서강해(17) 성령의 은사들과 한 몸 안의 많은 지체들의 신비적인 연합(2)(고전12:8~31)_2021-07-28(수)
하나님께서는 믿는 자들에게 성령을 통하여 선물을 주신다. 그것을 '은사'라고 부른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교회에서 은사는 애물단지가 되어버렸다. 왜냐하면 교회가 기도가 약해지면서 영력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또한 교회의 목회자들 중에 성령의 은사를 ... -
고린도전서강해(18) 성령의 은사들과 한 몸 안의 많은 지체들의 신비적인 연합(3)(고전12:8~31)_2021-08-04(수)
구약시대에도 여전히 성령께서 활동하셨다. 그리고 주의 종들에게 은사를 주셨다. 그런데 구약시대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은사가 오순절 성령강림 이후에 교회에게 나타났다. 그렇다면 그 은사는 어떤 은사인가? 참고로 그것은 2가지 은사다. 그리고 이 땅... -
고린도전서강해(19) 교회 안에 주신 여러 직분의 은사들과 그것을 주신 목적(고전12:28~31)_2021-08-25(수)
오늘날 교회 안에는 목사와 전도사, 장로와 권사와 집사 등의 직분의 은사자들이 있다. 그런데 사도 바울이 생존해 있을 때에는 교회 안에 사도와 선지자, 복음 전하는 자 그리고 목사와 교사라는 직분의 은사자들이 있었다. 그렇다면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도... -
고린도전서강해(20) 교회 안에 주신 직분의 은사들과 사랑의 은사(고전12:28~13:13)_2021-09-01(수)
그리스도께서 교회에게 주신 5가지 직분은 무엇이며, 지금까지도 남아 있는 직분의 은사는 무엇인가? 오늘날의 교회에게 있는 '목사'라는 직책은 과연 성경에 등장하고 있는가? 그리고 '방언'이나 '예언'같은 신령한 은사는 언제까지 존재하는 것이며, 이것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