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튜브 주소 https://youtu.be/qtSi0PRDiEg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09) 왜 신약성경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 것일까?(요8:24~28)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qtSi0PRDiEg  [혹은 https://tv.naver.com/v/18302497 ]

1. 천지 만물을 창조하신 우리 하나님(엘로힘)의 이름은 무엇인가?

  천지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이름은 신명사문자(יהוה)인데, 우리말 개역 성경에 따르면 '여호와'이다(출3:15, 사42:8). 그런데 그 이름의 실제 발음이 어떤 것인지를 아무도 알지 못한 채 있다(참고로, 유대인들은 '여호와'를 읽을 때에는 지금도 '아도나이(나의 주님)'라고 읽을 뿐이다). 사실 유대인들은 출애굽기 20:7의 제2계명에 따라 하나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다 보니, 그만 그 음가를 잃어버린 것이다. 고로 신명사문자(יהוה)를 읽을 때에는 '아도나이'라고 읽는다. 그래서 오늘날까지 그들에게 하나님의 이름은 신명사문자(יהוה)로만 남아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신명사문자(יהוה)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히브리어 알파벳으로 이것을 읽는다면, '요오드, 헤, 와우, 헤'이다. '요오드'는 어떻게 발음하느냐에 따라서 그 음가가 'Y 혹은 J'가 될 수 있고, '와우'는 'W 혹은 V'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신명사문자(יהוה)는 읽는 이에 따라 '야훼(YHWH)'라고 읽을 수도 있고, '여호와(JHVA)'라고 읽을 수도 있다. 16세기에 비로소 사람들은 신명사문자를 '여호와'라고 읽었지만,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야훼'라고 읽게 되었다. 그런데 출애굽기 3:14의 말씀에 따르면, 하나님의 이름은 그 뜻으로 치자면, '에흐에' 혹은 '아하야[흐]'라고도 읽을 수 있다. 

 

2. 하나님의 이름인 '야훼' 혹은 '여호와'는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가?

  그렇다면, 모세에게 나타나신 하나님께서 당신의 이름을 처음으로 소개하실 때에 "אָﬣיּﬣ"(에흐예 혹은 아하야[흐])라고 말씀하셨다(제가 보기에는 아하야[흐]가 훨씬 더 원래 글자와 가까울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렇다면, '아하야[흐]'는 어떤 뜻을 가지고 있을까? 그것은 '아(1인칭단수)+하야[흐](나는~이다)'가 합쳐진 단어로서, '나는 ~이다' 혹은 '스스로 있는 자'라고 번역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접두어 '아'는 히브리어의 첫 글자로서 '알렙'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אָﬣיּﬣ'(아하야[흐])는 '나는 알렙이다. 나는 알파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요한계시록 22:13에 의하면, 예수께서는 자신을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며, 시작과 마침이다"라고 말씀하셨다. 구약 시대에 자신을 알파라고 소개하시면서 시작하셨던 하나님께서 장차 예수께서 오메가로 재림하심으로 모든 것을 완성하실 것이기 때문이다. 

 

3. 신약 성경에서는 왜 하나님의 이름인 '여호와(혹은 야훼)'라고 등장하지 않는 것인가?

  그런데 놀랍게도 구약 성경에서 5,321번이 쓰였던 '여호와'라는 이름은 신약 성경에 들어와서는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렇다손 치더라도 신약 시대 사람들은 구약 성경을 인용할 때에는 적어도 '여호와'라는 단어를 사용했어야 했다. 하지만 신약 성경 어디에도 '여호와'라는 단어가 쓰여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간단하게, 신약 성경의 기록자들이 구약 성경을 인용할 때에 구약 성경의 히브리어 사본인 맛소라 텍스트에서 인용하지 않고, 전부다 구약 히브리어 성경을 가지고 헬라어로 번역한 70인역( LXX)를 인용했기 때문이다. 70인역에서 '여호와'라는 단어는 전부다 '퀴리오스('주')'라고 번역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약 성경에 나오는 '여호와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시118:25)'라는 말도 신약 성경에서는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마21:9)'라고 나온다. 그러나 이것은 피상적인 이유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신약 성경에서 하나님의 이름이 한 번도 나오지 않는 실제적인 이유는 대체 무엇인가? 그것은 다음의 2가지로 추정할 수 있다. 첫째, 하나님의 이름이 '여호와(혹은 야훼)'인지, '에흐에(혹은 아하야[흐])'인지 정확히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분명한 사실은 '아하야[흐]'의 이름은 그 이름의 뜻에서 온 이름 같고, '야훼'의 이름은 그 단어의 음가에서 온 것 같다. 그리고 둘째, 구약에 자신을 '아하야[흐]'라고 소개하신 분이 신약 시대에 '예수'로 오셨기 때문이다. 

 

4. 요한복음 8장에 보면, 예수께서는 유대인들에게 자신을 누구라고 소개하셨는가?

  요한복음 8장에 보면, 무려 세 번 씩이나 자신이 누군지를 묻는 유대인들에게 예수께서는 '나는 ~이다' 혹은 '스스로 있는 자'라는 뜻의 문장인 '에고 에이미'라는 문장을 사용하셨다(요8:24,28,58). 다시 말해, 예수께서는 그때 자신을 "아하야[흐]"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말 개역 성경에서는 '내가 그인 줄'로 나온 본문이 원래는 히브리어의 '아하야[흐]'에 해당하는 '에고 에이미'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원문에 맞추어 이 문장을 다시 번역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출3:14~15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시되 나는 아하야[흐]이니라 또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아하야[흐]가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15 하나님이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너희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 곧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께서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이는 나의 영원한 이름이요 대대로 기억할 나의 칭호니라
요8:24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너희 죄 가운데서 죽으리라 하였노라 너희가 만일 내가 아하야[흐]인 줄 믿지 아니하면 너희 죄 가운데서 죽으리라
요8:28 이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가 인자를 든 후에 내가 아하야[흐]인 줄을 알고 또 내가 스스로 아무 것도 하지 아니하고 오직 아버지께서 가르치신 대로 이런 것을 말하는 줄도 알리라 
요8:58 예수께서 이르시되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브라함이 나기 전부터 나는 아하야[흐]이니라 하시니

  그러므로 구약 시대에 자신을 '아하야[흐]'라고 소개하신 분께서 이제는 아들로서 육신을 입고 이 땅에 오셔서 자신을 '아하야[흐]'라고 소개하셨고, 자신의 이름을 '예수'라고 하셨으니, 신약 시대에 하나님의 이름은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왜냐하면 예수께서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5. 구약의 하나님의 이름이었던 '아하야[흐]'가 신약의 예수님을 가리킨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놀랍게도 구약의 하나님의 이름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단어 '아하야[흐]'가 신약의 예수님을 가리킨다는 것은 출애굽기 3:15의 말씀에 고스란히 암시되어 있다. 거기에는 '아하야[흐]'를 '여호와 곧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으로 소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출3:15 하나님이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너희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 곧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께서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이는 나의 영원한 이름이요 대대로 기억할 나의 칭호니라
  다시 말해, 출애굽기 3:14에서 자신을 '아하야흐'라고 소개하신 분이 15절에는 '여호와, 아브라함의 하나님과 이삭의 하나님과 야곱의 하나님'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것이다. 그러므로 '아하야[흐]'가 누군지는 '여호와(야훼))'에다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을 합치면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하나님께서는 자신을 소개하실 때에 굳이 '나는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라고 소개하셨던 것일까? 그것은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셨던 여호와께서 기한이 이르면 사라에게 아들로 오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이다(창18:10,14). 그러니까 아브라함이 100세에 아들 이삭을 낳은 후에 진실로 기뻐했던 이유는 자신이 100세에 아들을 얻어서라기 보다는 여호와께서 자신에게 아들로 오셨음을 보고 기뻐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신약 시대에 아하야[흐]께서는 비로소 아들로 오셨다. 그러면 응당 자기의 백성들이 자신의 옴을 기뻐하고 환영했어야 했다. 하지만 그들은 이러한 사실을 전혀 눈치채지 못한 채 예수님을 돌로 쳐 죽이려고 했다. 그러자 예수께서는 과거 "아브라함은 나에게 이렇게 하지 않았다"고 말씀하셨다(요8:56). 그렇다. 신약 시대에는 여호와가 아니라 아들로 오신 아하야[흐]께서 계신 것이다. 그러므로 신약 시대에는 굳이 구약의 하나님의 이름인 '여호와(야훼)'라는 말을 쓸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이미 아하야[흐]께서 육신을 입고 아들 '예수'가 되셨기 때문이다. 

 

2021년 02월 04일(목)

정병진목사

20210809_072120[크기변환].jpg


  1. 창세기강해(42) 하나님 없는 가인 종족과 하나님을 찾았던 셋 종족의 차이(창4:16~26)_2021-03-12(금)

    이 세상은 잠시 거쳐가는 정거장이다. 그런데 가인과 그의 후손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의 후예들은 하나님을 떠나 살았기에 자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아야 했고, 자기의 쾌락과 만족 그리고 자기의 넉넉한 소유를 위하여 성과 음악과 소유...
    Date2021.03.13 By갈렙 Views323
    Read More
  2. 창세기강해(72)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불러내신 진짜 이유는(창11:31~12:1)_2021-04-18(주일)

    아브라함은 진정 그의 고향과 친족과 아버지의 집을 떠난 것인가 아니면 그곳으로부터 탈출해 나온 것인가? 우리가 알기로는 그곳에서 떠나온 것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히브리어 원문에는 그러한 어구가 없다. 그렇다면 왜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더러 ...
    Date2021.04.18 By갈렙 Views437
    Read More
  3. 창세기강해(62) 아버지의 실수를 덮어준 셈과 야벳은 어떤 축복을 받았나(창9:26~27)_2021-04-08(목)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62) 아버지의 실수를 덮어준 셈과 야벳은 어떤 축복을 받았나(창9:26~27)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qPrCgRu7K0A 1. 술취하여 벌거벗고 있는 아비에 대한 소식을 들었을 때, 셈과 야벳은 어떻게 했나요? 형...
    Date2021.04.08 By갈렙 Views243
    Read More
  4. 창세기강해(09) 왜 신약성경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 것일까?(요8:24~28)_2021-02-04(목)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09) 왜 신약성경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 것일까?(요8:24~28)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qtSi0PRDiEg [혹은 https://tv.naver.com/v/18302497 ] 1. 천지 만물을 창조하신 우리 하나님(엘로힘)의 이...
    Date2021.02.04 By갈렙 Views404
    Read More
  5. 창세기강해(08) 하나님의 진짜 이름은 무엇인가?(출3:13~15)_2021-02-03(수)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08) 하나님의 진짜 이름은 무엇인가?(출3:13~15)_2021-02-03(수) https://youtu.be/qvFFH9TdGos [혹은 https://tv.naver.com/v/18302305 ] 1. 하나님(엘로힘)의 이름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나님의 이름은 '여호와...
    Date2021.02.03 By갈렙 Views526
    Read More
  6. 창세기강해(29) 나 여호와가 하나님(엘로힘)이니라(창2:4~7)_201-02-26(금)

    구약 성경에서 처음으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이 언급된 곳은 대체 어디인가? 그곳은 바로 창세기 2장 4절이다. 그렇다면, 창세기 1장에서 천지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엘로힘)은 여호와와는 대체 어떤 관계에 있는가? 그리고 신약의 예수님은 또 여호...
    Date2021.02.27 By갈렙 Views344
    Read More
  7. 창세기강해(147) 이긴 자의 예표인 요셉의 삶에서 배우는 소중한 교훈(창39:1~6)_2021-07-11(주일) [English text included]

    2021-07-11(주일) 주일낮예배 제목: 창세기강해(147) 이긴 자의 예표인 요셉의 삶에서 배우는 소중한 교훈(창39:1~6) https://youtu.be/Rb_vli5nzdA 하나님께서 함께했던 요셉은 왜 형통의 축복을 받았을까? 그도 하나님의 사람이고 우리도 하나님의 사람인데 ...
    Date2021.07.11 By동탄명성교회 Views288
    Read More
  8. 창세기강해(80)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 아브라함의 달라진 위상(창14:17~24)_2021-04-27(화)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80)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 아브라함의 달라진 위상(창14:17~24)_2021-04-27(화) https://youtu.be/rngozE0Mq3g 1. 아브라함이 북방 4개국 연합군과 전쟁하여 승리하고 돌아올 때에 무슨 일이 있었나?(창14:17~20) 두 왕...
    Date2021.04.27 By갈렙 Views311
    Read More
  9. 창세기강해(152) 바로의 꿈과 요셉의 해석에 나타난 하나님의 놀라운 계시(창41:1~36)_2021-07-16(금)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152) 바로의 꿈과 요셉의 해석에 나타난 하나님의 놀라운 계시(창41:1~36)_2021-07-16(금) https://youtu.be/rqw67qKDPIo 1. 요셉의 꿈은 어떤 단계를 거처 성취될 수 있었는가? 요셉의 꿈(창37:7,9)은 드디어 바로의 꿈을 ...
    Date2021.07.16 By동탄명성교회 Views247
    Read More
  10. 창세기강해(120) 아비멜렉에게 이삭이 최종적으로 승리할 수 있었던 비결은(창26:23~35)_2021-06-13(주일)

    1. 들어가며 애굽(이집트)의 왕을 지칭하는 용어가 '바로(파라오)'라고 한다면, 블레셋의 왕을 지칭하는 독특한 용어는 '아비멜렉'이다. 또한 군대장관을 지칭하는 용어도 있으니 '비골'이다. 아브라함 때에도 블레셋 장관의 이름을 비골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Date2021.06.13 By갈렙 Views283
    Read More
  11. 창세기강해(21) 다섯째 날에 시작된 복은 대체 무엇이었나?(창1:20~23)_2021-02-19(금)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21) 다섯째 날에 시작된 복은 대체 무엇이었나?(창1:20~23)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Sks1hyXCJnI 1. 하나님께서는 천지만물 창조 때에 다섯째 날에 무슨 일을 하셨나요? 하나님께서는 다섯째 날에 드디어 ...
    Date2021.02.19 By갈렙 Views327
    Read More
  12. 창세기강해(71) 아브라함의 조상과 그 가문에 왜 저주가 들어왔을까?(창11:27~32)_2021-04-16(금)

    1. 들어가며 이제 창세기 2부가 시작된다. 창세기 1부는 창세기 1장에서 11장까지의 이야기인데, 이 이야기는 아담부터 아브라함 이야기의 직전인 데라까지 총19대 사람들의 이야기를 수록해 놓은 것이다. 창세기 1~11장에 있는 이야기의 핵심은 인간창조와 타...
    Date2021.04.17 By갈렙 Views311
    Read More
  13. 창세기강해(112) 그리스도의 예표인 이삭과 그리스도의 신부의 예표인 리브가의 만남(창24:54~67)_2021-06-03(목)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112) 그리스도의 예표인 이삭과 그리스도의 신부의 예표인 리브가의 만남(창24:54~67)_2021-06-03(목) https://youtu.be/Sp0K2cNhOuQ 1. 창세기에 나오는 이삭과 리브가는 예표론적으로 누구를 가리키는가? 창세기에 나오는 ...
    Date2021.06.03 By갈렙 Views358
    Read More
  14. 창세기강해(90) 아브라함 앞에 나타난 세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은 누구였나?(창18:10~20)_2021-05-07(금)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90) 아브라함 앞에 나타난 세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은 누구였나?(창18:10~20)_2021-05-07(금) https://youtu.be/T7P-lAIeTms 1. 창세기 18장에 보면, 날이 뜨거울 때에 장막 문 앞에 앉아 있던 아브라함 앞에 나타난 세 사람...
    Date2021.05.07 By갈렙 Views498
    Read More
  15. 창세기강해(170) 저주를 축복으로 바꾼 호전적 기질의 베냐민과 그의 후손들(창49:27)_2021-08-05(목)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170) 저주를 축복으로 바꾼 호전적 기질의 베냐민과 그의 후손들(창49:27)_2021-08-05(목) https://youtu.be/tj43j4-CAO0 1. 베냐민은 누구며, 그의 부친 야곱으로부터 어떤 유언적인 예언을 들었나요? 베냐민은 야곱이 낳은...
    Date2021.08.05 By갈렙 Views257
    Read More
  16. 창세기강해(14) 빛과 어둠을 나누신 하나님(창1:3~5)_2021-02-09(화)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14) 빛과 어둠을 나누신 하나님(창1:3~5)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tKI-k59vbjo [혹은 https://tv.naver.com/v/18402798 ] 1.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실 때에 사용하신 방법 4가지는 무엇인가? 맨 처음에...
    Date2021.02.09 By갈렙 Views367
    Read More
  17. 창세기강해(53) 한자가 들려주는 노아 홍수 이야기(창7:17~24)_2021-03-26(금)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53) 한자가 들려주는 노아 홍수 이야기(창7:17~24)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tTPFBvn3sxM 1. 노아의 홍수에 관한 이야기는 언제 한자로 기록되었나요? 노아의 홍수에 관한 이야기는 홍수를 겪은 노아와 셈...
    Date2021.03.26 By갈렙 Views281
    Read More
  18. 창세기강해(82) 회개와 저주의 관점에서 볼 때 아브라함의 롯 구출이 보여주는 영적 교훈(창14:11~16)_2021-04-29(목)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82) 회개와 저주의 관점에서 볼 때 아브라함의 롯 구출이 보여주는 영적 교훈(창14:11~16)_2021-04-29(목) https://youtu.be/tYGuiRwsOzc 1. 회개와 저주의 관점에서 보면, 아브라함의 롯의 구출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
    Date2021.04.29 By갈렙 Views299
    Read More
  19. 창세기강해(25) 하나님께서 창조한 모든 것은 평화롭고 조화롭고 아름다웠다(창1:28~31)_2021-02-23(화)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25) 하나님께서 창조한 모든 것은 평화롭고 조화롭고 아름다웠다(창1:28~31)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U2VD9iV1N3A 1. 하나님께서 엿새 동안에 창조한 만물에 대한 평가는 어떤 것이었는가? 하나님께서는 ...
    Date2021.02.23 By갈렙 Views280
    Read More
  20. 창세기강해(84) 하나님과 아브라함이 맺은 횃불언약이 말해주는 영적 교훈(창15:9~21)_2021-04-30(금)

    우리 주님과 그분의 약속은 시대를 초월하여 언제나 변함이 없으시고 신실하게 적용된다. 횃불 언약도 그러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횃불 언약 속에는 조상들이 지은 우상 숭배의 죄와 살인과 폭력의 죄가 후손들에게 얼마나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지도 말해 ...
    Date2021.05.01 By갈렙 Views6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