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s://youtu.be/7rqXLa_1KOw
날짜 2016-03-27
본문말씀 창세기 17:9~14(구약 20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하나님과 아브라함이 맺은 2가지 언약, 횃불언약, 할례언약, 할례의 영적인 의미, 세례, 성찬식과 세례식, 육체를 쳐 복종시킴

   부활절에 맞춰 대부분의 교회에서는 세례를 베푼다. 왜 다른 날들이 많고 많은데 부활절이 되면 세례를 베푸는 것일까? 그것은 3,000년이상된 감추어진 이야기가 들어있다. 그것은 족장시대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에서 출발한다. 대체 아브라함과 하나님과는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오늘날에 부활절에 사람들이 세례를 받게 되는 전통이 생긴 것일까?

  먼저 알 것은 오늘날 교회가 전하고 있는 의식이 딱 2가지 뿐이라는 사실이다. 그것은 종려주일(혹은 고난주간의 성금요일)에 베푸는 성찬식과 부활주일에 베푸는 세례식이다. 오늘날 교회에서는 이 두가지 예식을 성례식이라고 부른다. 그렇지만 구약 때부터 전해내려오던 의식이나 규례들은 참 많았다. 하지만 예수께서는 그 모든 것을 다 폐지하시고 오직 두 가지만을 남겨놓으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성찬식과 세례식이다. 그렇다고 이 의식들 자체가 사람을 구원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이 두 가지 의식을 행하라고 명령하신 예수님의 뜻을 헤아려야 할 것이다.

  우리는 지난 주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은 첫번째 언약에 대해서 배웠다. 그것은 창세기 15장에 나오는 언약으로서, 그 언약을 '횃불언약'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오늘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 또 다른 하나의 언약을 맺으신다. 이로써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 두번째 언약을 맺으신 것이다. 우리는 이 언약을 '할례언약'이라고 부른다(창17:1~14). 하나님께서는 왜 아브라함과 횃불언약만 맺지 아니하시고 두번째로 아브라함과 할례언약을 맺으신 것일까?

  먼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었던 첫번째 언약 곧 횃불언약과 그 성취에 대해 잠깐 복습해보자. 언약이란 무엇인가? 쌍방간의 약속이다. 그런데 약속은 약속이지만 중간에 어떤 약조물을 매개로 하여 다시는 변경할 수 없고 취소할 수 없는 약속을 맺을 때 그것을 언약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때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아브라함에게 그와 그의 자손에 관한 번성의 약속이었고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하나님께서 반드시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땅을 영영한 기업으로 주시겠다고 약속하셨다. 이때 아브라함은 오직 하나님만 의지하고 하나님의 말씀만을 따라가기로 약속하였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짐승을 잡아다가 두 조각을 낸 뒤 중간을 벌려놓으라고 하셨다. 하지만 온 종일을 기다려도 하나님께서는 아무런 말씀이 없었다. 만약 정상적인 언약체결이라고 했다면 아브라함과 하나님께서는 그날 쪼갠 짐승들 사이로 지나갔어야 했다. 하지만 해가 지도록 하나님은 아무 말씀을 하지 않으셨다. 해가 질무렵 잠깐 잠든 아브라함에게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의 미래에 있을 일들을 그르쳐주셨다. 그리고는 그가 깨어나자 타는 횃불로 현현하시어 아브라함이 쪼개놓은 그 짐승들 사이로 지나가셨다. 이것을 무엇을 말해주는가? 만약 쌍방중에 누구라도 언약을 어길 때에는 하나님께서 그 벌을 대신 받겠다는 것이었다. 그날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그 어떤 것도 요구하지 않으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으신 첫번째 언약이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었던 이 첫번째 언약은 과연 언제 성취되었을까? 그것은 그 뒤로 약 일천년이 지난 뒤에 성취되었다. 그것이 바로 성만찬예식으로 그 실체가 정확히 드러남으로 성취되었다. 혹 인간이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지키지 않게 된다면 그 파기에 대한 댓가를 하나님이 직접 오셔서 치르시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대신 십자가에서 죽으셨다. 그러므로 예수께서는 자신의 죽음이 있기 하루 전날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은 무슨 말인가? 그날 짐승이 죽임당한 것처럼 그 언약을 어긴 댓가를 하나님께서 대신 지불하시겠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제 사람에게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땅 곧 천국을 선물하시겠다는 뜻이다.

  그런데, 아브라함이 하나님과 이 첫번째 횃불언약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브라함은 여전히 천연적으로 살고 있었다. 하나님의 말씀만을 믿고 따라간다던 그 약속은 어디가버리고, 그만 자신의 아내의 말을 듣고 첩을 들여서 자식을 얻고자 노력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낳은 자식이 이스마엘이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잠시동안 아브라함의 곁을 떠나가셨다. 1년 2년 3년 5년 10년 그리고 13년이 흘러갔다. 이제 아브라함에게 더 이상의 소망이 없는 나이가 되었다. 아브라함이 99세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때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다시 나타나사 말씀하셨다.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 나는 못할 것이 없는 전능자이니, 너는 이제부터 내 앞에서 완전하라" 그리고는 그의 이름과 그의 아내의 이름을 바꾸라고 명하셨다. 그리고 과거의 육체를 따라 행하던 옛사람을 죽음에 넘기우고 다시는 육체를 따라 행하지 않겠다는 표시를 자신의 몸 안에 행하라고 명령하셨다. 그것이 바로 할례다. 남자의 양피를 베어냄으로 하나님의 말씀없이는 앞으로 그 어떤 일도 하지 않겠다는 서약인 것이다. 특히 자신의 육체를 따라서 절대 행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자신의 몸 안에 새겨넣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할례는 단지 남자의 양피를 베는 의식이 아니다. 그것은 사람이 더 이상 육체를 따라 행하지 아니하고 그후부터는 오로지 하나님의 말씀만을 믿고 그대로 살아갈 것을 자신의 몸 안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할례언약은 신약시대에 들어와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세례의식으로 전환이 된다(골2:11~13). 왜냐하면 할례의 영적인 의미와 세례의 영적인 의미가 같기 때문이다( 롬6:3~4,6). 그래서 이제는 누구든지 과거에 죄짓고 살던 옛사람을 죽음에 넘기우고 하나님이 주신 새 생명 가운데서 살기로 약속한다면,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땅을 기업으로 주시는 것이다. 그렇다. 그래서 사도바울은 할례가 곧 세례요 그리스도의 할례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것이 곧 육적인 몸을 벗는 것이라고 말했다(골2:11~13).

  그러므로 내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가 되었다고 해서 다 하나님이 주시는 축복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하나님은 언제라도 약속을 지키신다. 하지만 우리가 할례의 언약을 어긴다면 우리는 결국 버림당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속죄의 은총을 받은 자라도 육체를 따라서 계속 행한다면 그는 결국 버림당하게 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사도바울은 끝까지 자신의 육체를 쳐복종시키려고 애셨다. 왜? 자기가 오히려 버림당하기 않기 위해서 그랬다(고전9:27). 그렇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도 육체를 따라 계속 행하게 되면 그는 사망을 맛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끝내는 하나님과 원수가 되어 불못에 던져지게 될 것이다(롬8:6~8, 골3:5~6).

  이제는 우리가 왜 예수께서 성찬식을 행하고 세례를 행하라고 명령하셨는지를 알게 되었을 것이다. 이 두 가지 예식이 바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으신 첫번째와 두번째의 언약이었고, 그것의 성취였기 때문이다. 만약 우리도 성만찬의 의미와 할례의 의미를 분명히 알고 실천한다면 젖과 꿀이 흐르는 하늘의 가나안땅이 우리에게 주어지게 될 것이다. 건투를 빈다.

2016-03-27 아브라함과 맺은 또 하나의 언약(창17;9~14).ts_000224790.jpg


  


  1. 한 알의 밀알이 죽으면(요12:20~33)(부제: 어떻게 해야 전도의 열매를 맺을 수 있는가?)

    믿는 사람에게는 두 가지 생명이 들어 있다. 하나는 사람의 생명인 '프쉬케'가 들어있으며, 또 하나는 하나님의 생명인 '조에'가 들어있다. 오늘 이 시간에는 믿는 자들에게 들어있는 하나님의 생명 즉 '조에'를 다른 사람들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
    Date2016.04.10 By갈렙 Views1223
    Read More
  2. 예수께서 부활하실 수 있었던 진짜 이유(요11:17~27)_부활에 관한 진리

    예수께서 부활하실 수 있었던 진짜 이유는 어디에 있었을까?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바에 의하면, 예수께서 죽으셨지만 부활하실 수 있었던 이유는 그분에게는 죄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을 것이다. 물론 이 대답은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대답이 ...
    Date2016.04.03 By갈렙 Views1175
    Read More
  3. 아브라함과 맺은 또 하나의 언약(창17:9~14)_2016-03-27 부활주일예배

    부활절에 맞춰 대부분의 교회에서는 세례를 베푼다. 왜 다른 날들이 많고 많은데 부활절이 되면 세례를 베푸는 것일까? 그것은 3,000년이상된 감추어진 이야기가 들어있다. 그것은 족장시대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에서 출발한다. 대체 아브라함과 ...
    Date2016.03.27 By갈렙 Views1195
    Read More
  4. 언약을 지키러 오신 하나님(고전11:23~26)_2016-03-20

    12명의 제자들과의 마지막 저녁식사 때에 예수께서는 그들과 새 언약을 체결하셨다. 그런데 예수님은 그 언약의 증표로 자신의 피를 내걸으셨다. 그런데 생각해보라. 그것이 그렇게 중요한 언약이었다고 한다면, 단지 포도주로서 언약의 증표를 삼을 것이 아니...
    Date2016.03.20 By갈렙 Views926
    Read More
  5. 예수님은 왜 모든 민족을 제자삼으라고 했을까?(마28:16~20)_2016-03-13

    요즘 쉐마교육이 어떤 교회에서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쉐마교육은 유대인의 자녀교육이자 신앙교육을 일컫는 말인데, 인성이 메말라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훌륭한 자녀교육이자 최고의 인성교육과 신앙교육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과연 이...
    Date2016.03.13 By갈렙 Views981
    Read More
  6. 우리의 주 예수 그리스도(9) 예수님은 최고의 완전한 대언자이시다(요8:44~47)

    예수님은 누구실까요? 예수님은 메시야로서 사역을 감당하고자 사람의 몸을 입고 이 땅에 오신 하나님 자신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3년반의 생애는 오직 당신이 구약에 약속된 메시야이신 것을 알려주신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
    Date2016.03.06 By갈렙 Views1051
    Read More
  7. 우리의 주 예수 그리스도(1) 예수님은 주님이시요 하나님이시다(요20:24~31)

    1. 들어가며 예수님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신앙고백은 무엇일까? 그것은 베드로의 신앙고백으로 알려진 2가지 신앙고백이다. 그것은 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시며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신앙고백이다(마16:16). 하지만 이러한 신앙고백만으로 우리의 신앙...
    Date2016.02.28 By갈렙 Views1383
    Read More
  8. 천국에 들어가는 것을 포기해야 하나?(히12:1~2)

    믿는 자가 천국에 들어가는 일은 과연 쉬운 일일까? 예수님의 말씀과 사도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그것은 매우 힘든 일이 아닐 수가 없다. 예수께서는 주님을 향해 '주여 주여'라고 부른다고 해서 천국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대...
    Date2016.02.21 By갈렙 Views1024
    Read More
  9. 사람들이 회개하지 아니하는 이유(마11:20~24)

    1. 들어가며 사람들은 왜 회개치 아니하는 것일까? 얼마전 부천에서 모목회자부부가 자신의 딸을 7시간동안이나 매질하여 죽게 했다. 그런데 문제는 그후에도 어떤 조치를 취하지 아니했다는 사실이다. 결국 11개월동안이나 방안에 시체를 방치한 것이 발각되...
    Date2016.02.14 By갈렙 Views1370
    Read More
  10. 하나님은 왜 아브라함에게 벗처럼 찾아오셨나(창18:16~33)

    B.C.2067년경, 하나님께서는 왜 직접 사람의 형체를 입고서 아브라함을 찾아오셨던 것일까? 사실 하나님께서는 사람에게 뭔가를 전달하시는 방편은 여러가지가 있다. 직접 음성으로도 말씀하실 수가 있고, 꿈이나 환상으로도 말씀하실 수가 있으며, 드물기는 ...
    Date2016.02.07 By갈렙 Views1169
    Read More
  11. 믿음은 어디로부터 나오는가?(마17:14~21, 막9:21~29)

    믿음은 과연 어디에서 오는가? 믿음에는 사실 두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예수께서 누구신지를 믿는 믿음이 있고 또 하나는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지금도 우리 삶에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믿음이 있다. 이 두 지 믿음은 어찌 생각해보면 그 쓰임새가 다르다...
    Date2016.01.31 By갈렙 Views1114
    Read More
  12. 예수님 앞에 엎드린 어부 베드로, 왜 그랬을까(눅5;1~11)

    베드로, 그는 예수님의 첫 제자이면서 수제자가 된 사람이다. 그는 어떻게 해서 예수님의 제자가 되었을까? 베드로는 과연 어떤 사건을 계기로 주님을 알게 되었고 사람의 영혼을 낚는 어부가 될 수 있었을까? 오늘 우리는 베드로가 부르심받는 장면에서 놀라...
    Date2016.01.24 By갈렙 Views1107
    Read More
  13. 당신에게도 영적 자녀가 있는가(신6;1~2,요삼1:4)

    하나님께서 인류구원의 역사를 진행하실 때 무턱대고 하셨을까? 하나님께서는 만세전부터 인류구원을 어떻게 이루실 것인가에 대해 그 시기와 절차까지도 계획하시고 진행하셨다(엡1:3~5, 갈4:4). 그러므로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지어진 우리 인간도 마찬...
    Date2016.01.17 By갈렙 Views932
    Read More
  14. 하나님의 사랑받는 자가 되려면(마3:13~17)

    하나님의 사랑받는 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뭐니뭐니해도 예수께서 어떻게 하셨는지를 살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체 예수께서 세례를 받으실 때 무슨 일이 있었길래 하나님의 사랑받는 자라는 음성이 하늘로부터 들려왔던 것일까? A.D.27년경 세례...
    Date2016.01.10 By갈렙 Views1020
    Read More
  15. 복(福)은 진정 누가 어떻게 받는가?(마5:1~12)

    2016년 새 해가 시작되었다. 올 해도 변함없이 수많은 인파들이 동해안을 찾았다. 그렇다면 그들이 보러 간 것은 대체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정월 초하루에 떠오르고 있는 태양이었을 것이다. 태양을 바라보며 한 해의 소원을 빌어보기 위해서 그리 갔을 것이...
    Date2016.01.03 By갈렙 Views1090
    Read More
  16. 누가 과연 생명을 얻게 될까(6:45~48)

    "누가 과연 생명을 얻게 되는 것일까?"라고 질문을 던지면, 보통 그리스도인이라면 아마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예수님을 믿는 자가 생명을 얻는 것이 아닌가요?".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자들은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그거요. 만세전에 하나님께서 구원...
    Date2015.12.27 By갈렙 Views1033
    Read More
  17. 천사와 목자들의 경배(눅2:8~20)_성탄절메시지

    예수께서 탄생하신 것을 보고서 왜 천군천사들이 하나님께 찬송을 드렸을까? 그리고 밤에 들에서 양떼를 지키던 목자들도 왜 하나님께 찬송을 드렸을까? 천군천사들의 경우를 보자. 그들의 메시야가 탄생한 것도 아니지 않는가? 메시야의 탄생이 그들에게 직접...
    Date2015.12.25 By갈렙 Views1089
    Read More
  18. 그들은 왜 목숨을 내 건 경배를 하려 했을까?(마2:1~12)

    온 인류를 구원할 메시야의 탄생을 알아보고 그에게 달려온 최초의 참된 경배자는 누구였을까? 우리는 그들이 이방인이었던 동방박사였다고 익히 알고 있다. 하지만 동방박사들은 수천리 떨어진 곳에서 유대땅까지 목숨을 담보로 한 순례길을 왜 선택했던 것일...
    Date2015.12.20 By갈렙 Views946
    Read More
  19. 요셉의 결심(마1:16~21)

    요셉과 마리아, 그는 혈통적 계보에 따르면 예수님의 부친이요 모친이다. 그런데 그들의 결혼하여 예수님을 얻기위해 어려운 난관을 극복해야 했다. 요셉이 약혼은 했지만 아직 결혼식을 올리지 못한 상태에서 그만 파혼해야 할 위기에 처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Date2015.12.13 By갈렙 Views1074
    Read More
  20. 그가 누군지는 정해지지 않았다(마1:1)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름은 과연 어떤 이름일까? 그 이름은 예수라는 이름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이름은 바로 세상을 구원할 메시야의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당시에 예수님이 누군지를 알게 되면 그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못했다. 그래서...
    Date2015.12.06 By갈렙 Views9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