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s://youtu.be/b1wLPMnswV8
날짜 2016-09-18
본문말씀 요한복음 3:1~15(신약 145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거듭남(중생), 물과 성령의 의미, 회개와 거듭남의 상관관계, 거듭남의 의미, 거듭남의 핵심요소, 회개와 믿음과 생명

1. 들어가며

  사람에게는 용서받을 수 있는 죄가 있고 용서받을 수 없는 죄가 있다. 이 세상에 짓는 대부분의 죄는 용서받을 수 있다. 하지만 용서받지 못하는 죄도 있다. 그런 죄에는 '자살죄'와 '성령훼방죄'가 있다. 자살죄는 자기가 자기를 살인한 죄인데 이런 죄는 용서받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죽은 다음에는 그 사람에게 회개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성령훼방죄도 용서받을 수가 없다. 성령께서 하시는 일을 방해한다면 죄를 깨달을 수도 없고, 예수님을 믿을 수도 없기 때문이다. 오늘 이 시간에는 성령께서 하시는 일들 중에 거듭남에 관련된 매우 중요한 요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사람이 거듭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어느날 예수께서는 밤중에 찾아온 유대인의 관원 즉 산헤드린공회원이었던 니고데모에게 거듭나지 않으면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없다고 하셨다(요3:3).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물과 성령으로 거듭나지 않는다면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도 없다고 하셨다(요3:5). 정말 사람이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꼭 물과 성령으로 거듭나야만 하는 것인가? 사람이 천국에 들어가려면 예수님을 믿고 선하게 살면 되는 것이 아닐까? 그런데 우리 주님께서는 물과 성령으로 거듭태어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씀하신다. 왜 그렇게 말씀하신 것일까? 그러므로 모든 사람들은 거듭남의 비밀을 알아야 한다.


3. 유대인들이 말하는 구원의 조건

  당시 유대인들은 자기들만이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약속의 아브라함의 혈통을 지닌 자손으로 태어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수께서는 유대인의 최고의 석학이었던 니고데모와의 대화를 통해서 사람이 천국에 들어가려면 육으로 태어난 것으로는 안 되고, 오직 물과 성령으로 거듭 태어나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이는 유대인들이 갖고 있는 구원관을 뒤집은 것이다. 육으로 난 것은 육일 뿐 영이 거듭 태어나야 한다고 말씀하신 것이다(요3:6).


4. 거듭난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렇다면, '거듭난다'는 말씀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것은 '거듭(다시)'이라는 말과 '(태어)난다'는 말의 합성어로서, 사람이 위로부터 영적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천국은 육적인 출생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하지만 거듭난다는 말속에서 우리는 영의 탄생은 육의 탄생과 비슷한 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 사람의 육체가 태어나는 것도 물과 성령으로부터 태어나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라. 사람은 잉태되는 순간부터 자궁이라는 물 속에서 자라서 다 크게 되면 양수를 터트리고 태어난다. 그리고 그곳에서 자라는 인간의 육체는 사람이 키우는 것이 아니다. 다 하나님께서 자라게 하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의 육체도 물과 성령으로 태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예수께서는 사람의 영이 다시 태어나는 것도 물과 성령으로부터 태어나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런데 여기에서 말하는 '물'은 실제적인 마시는 물이 아니다. 왜냐하면 영이 거듭태어나는 것이 물질적인 어떤 것으로부터 되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5. 거듭남의 도구인 '물'과 '성령'은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가?

  그렇다면, 거듭남의 도구인 물과 성령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어떤 사람은 물은 '물세례'요, 성령은 '성령세례'를 의미한다고 말한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런데 이것은 물과 성령을 따로 구분해서 보는 해석이다. 또한 어떤 이는 물은 '말씀'을 뜻하며(엡5:26), 성령은 '생명'을 뜻한다고 말한다(고전15:45). 곧 사람이 말씀을 듣고 믿어 하나님의 생명을 부여받는 것이 거듭남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어떤 이는 물과 성령은 같은 것이라고도 말한다. 과연 어떤 것이 바른 해석일까? 물과 성령은 과연 같은 말의 반복으로서 강조의 표현인가? 아니면 정말 전혀 다른 표현인 것인가?


6. 성경을 해석하는 3가지 원칙

  우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단어를 해석하는 원칙부터 정리해보자. 성경의 단어를 해석하려면 대개 3가지가 필요하다. 하나는 그 단어가 그 문맥에서 어떻게 쓰였는지를 찾아보는 것이다. 둘째, 다른 성경에서 이 단어가 어떤 용례로 쓰였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그 단어가 상징 혹은 비유이든지 아니면 실체이든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문맥을 보자. "물과 성령으로부터"라는 문구는 본문의 문맥에서는 어떤 의미로 쓰이고 있을까? 그것은 8절에 보면 나와있는데, 예수께서는 그것을 "성령으로부터 태어남"이라고 말씀하셨다. 고로, "물과 성령으로부터"라는 문구는 곧 성령으로부터라는 문구의 확대요 강조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비슷한 용례가 또 있을까? 있다. 그것은 세례요한 예수께서 누구신지를 설명하는 중에 나오는데, 예수님이 누군지에 대해서 마태복음기자는 그를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는 이(마3:11)"로 묘사하고 있지만, 요한복음 기자는 "성령으로 세례주는 이(요1:33)"로 묘사하고 있다. 곧 "성령과 불"에 대한 세례는 성령세례에 대한 강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세번째, 이 단어가 상징인가 실체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물과 성령' 혹은 '불과 성령'이라는 단어 중에서 '물'이나 '불'은 상징이며 비유적인 표현이다. 그리고 '성령'은 실제적인 표현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부터 거듭태어나야 한다는 말은 사람이 성령으로부터 거듭태어나기는 하는데, 그때에 성령께서 행하시는 일의 핵심이 물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7. '물'의 의미

  그렇다면 여기에 나오는 비유적 표현인 '물'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것은 문맥에서 보면, 11절에 나와 있다. 그것은 "우리의 증언"이라는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여기의 '우리'라는 표현은 이미 천국에 대해서 증거하고 있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그런데 그런 사람은 딱 둘 뿐이었다. 하나는 세례요한이었고(마3:2) 또 하나는 예수님 자신이었다(마4:17). 그러므로 여기서 '물'는 죄사함을 받게하는 회개의 세례인 것을 알 수 있다(막1:4). 곧 성령으로부터 거듭태어난다는 말은 회개시키는 성령의 사역을 통해 사람이 거듭태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8. 성령의 3가지 역할

  그런데 성경에서 말하는 성령의 역할은 크게 3가지다. 하나는 그가 와서 죄와 의와 심판에 대해 세상을 책망하시는 일이다(요16:8). 이것은 사람으로 하여금 죄와 의와 심판에 대해 깨닫게 하심으로 회개시키는 성령의 사역을 가리킨다. 그리고 성령께서는 두번째로,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을 생각나게 하시고(요14:26), 예수님 자신을 증언하는 일을 하신다(요15:26).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령께서는 이와같은 일을 행하는 자에게 어느날 갑자기 그 속에 들어오시어 그에게 생명을 주신다. 그리하여 물과 성령으로 온전히 거듭나게 하신다. 결국 사람이 거듭태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물과 같은 성령으로 죄사함을 받아야 하는데 그 방법이 곧 회개였던 것이다. 그리고 예수님이 하신 말씀과 그분이 누군지를 믿는 자는 어느날 성령께서 그 사람의 영 안으로 들어오셔서 그 사람에게 하나님의 생명을 공급해주시는 것이다. 그러면 그 사람은 거듭난 사람이 되는 것이다.


9. 거듭남의 핵심요소

  그런데 어느 선교단체에서는 예수님을 자신의 구세주로 믿고, 십자가에서 대속의 죽음을 죽으신 것을 믿기만 하면사람은 거듭태어난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아니다. 예수님을 믿는 것으로 사람은 거듭나지 않는다. 거듭남을 위해서 예수님을 믿는 것이 필요한 것이기는 하나, 거듭남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회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곧 성령께서 사람의 죄를 책망하실 때에 사람이 회개하는 것이 거듭남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결국 이상의 말씀을 통해서 우리는 회개없이는 결코 거듭남이 없다는 것이며, 거듭남이 있어야먄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도 있고 들어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10. 거듭남의 싯점

  그런데 예수께서는 사람이 거듭나는 그 시점에 대해서는 잘 모를 수 있다고 하셨다(요3:8). 성령이 사람에게 거듭나게 하시는 시점은 바람이 불지만 어디서 불어서 어디로 가는지 모르는 것처럼 잘 알 수 없다고 하신 것이다. 다만 그 바람 때문에 나뭇잎이 펄럭이는 것을 통해서 바람의 실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훗날 사람도 그렇게 알게 된다는 것이다. 사실 '거듭나지 않으면'고 하는 동사의 형태를 살펴보면, 가정법 과거 수동태구문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거듭태어나는 것이 인간이 맘대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주권에 달려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므로 예수님이 누군지를 설명한 후에 예수님을 마음 속에 영접한 사람에게 즉시 "당신은 거듭 태어났습니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일종의 사기인 것이다. 거듭남의 결정은 우리의 소관이 아니기 때문이다. 거듭남의 최종적인 주권은 하나님에게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넋놓고 있어서는 아니 된다. 우리는 성령께서 우리의 영에게 들어와 당신의 생명을 분배하실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것이 바로 회개하는 것이다. 회개하되 철저히 마음을 찢으며 회개하는 것이다. 그러면 어느 순간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거듭남을 허락하시는 것이다.


11. 나오며

  마지막으로, 회개를 통해 어느순간 자신에게 거듭남이 일어났다고 해서 그 사람의 구원이 계속해서 안전한가 하는 것을 살펴보자.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그래도 그 사람의 구원은 안전한 것이 아니다. 사람이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 성령께서 거듭나게 하셨다고 치자. 만약 그 이후로 사람이 죄를 짓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그때부터는 우리 안에 들어오신 성령께서 그 사람의 죄를 책망하실 것이다(요16:8). 하지만 고의적으로로 성령의 책망을 거부하고, 회개하지 않으려 하는 자도 있을 수가 있다. 그런데 계속해서 그렇게 하는 자는 성령훼방죄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그 사람은 영영 회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런 것에 대해 사도요한은 "사망에 이르는 죄"가 있다고 했다(요일5:21). 이는 성령의 회개케하는 사역을 계속해서 거부하거나, 예수님을 믿기를 거부한채 이단의 가르침을 따라가는 자에게 해당할 것이다. 그러므로 거듭남을 얻기를 원하는 자나 이미 거듭난 자라도 성령께서 죄를 책망하실 때에는 항상 회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사람은 회개하지 못한 것 때문에 죽은 후에 지옥에 떨어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어찌되었든 우리는 회개하는 일을 목숨걸고 수행해야 한다. 그래야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건투를 빈다.

20160918_190916.jpg



  1. 맥추감사절의 또 다른 의미(요18:36~37)_2018-07-01(설교영상)

    오늘은 교회가 지키는 맥추감사절이다. 그런데 신약성경 어디에도 교회가 맥추절을 지켰다는 말씀이 없다. 물론 초기교회들도 맥추절을 지키지 않았다. 이미 구약의 절기들은 예수님이 오심으로 폐지되었기 때문이다(골2:16~17,갈4:9~10). 한편 오늘날에 들어...
    Date2018.07.01 By갈렙 Views791
    Read More
  2. 그날 거기에 마리아의 회개가 있었다(행1:6~15)_2016-07-17

    오늘날 우리들에게 알려진 마리아는 대단히 자애스러운 어머니와 같은 분이요, 신앙심이 깊은 여인이다. 하지만 이런 판단이 옳은 것일까? 예수님의 공생애 이후에 기록된 마리아의 행적을 살펴보면,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들이 더러 있다. 오늘 이 시...
    Date2016.07.17 By갈렙 Views767
    Read More
  3. 무엇을 회개해야 하는가?(계2:20~23)_2019-07-21(주일)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이 예수님을 믿었다면 골고다 언덕에서 자신의 죄들이 이미 다 용서되었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진짜 사실일까? 롬3:20에서, 사도바울은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한다고 했다. 거꾸로 말하면, 율법을 모르는 자는 죄를 깨닫지 ...
    Date2019.07.21 By갈렙 Views740
    Read More
  4. 우상숭배와 하나님을 섬기는 것의 차이(고전12:1~3)_2017-01-29(설교영상)

    설명절이 되면 우리는 차례상을 장만하여 그 앞에 가서 식구대로 절하는 풍속을 지켜왔다. 하지만 그러한 행위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해 잘 모른다. 조상 때부터 해 왔으니 그냥 그렇게 행하는 것이다. 그러니 카톨릭에서는 지금도 이러한 제사의식과 ...
    Date2017.01.29 By갈렙 Views740
    Read More
  5. 초대교회 성도들은 과연 성령의 이름을 불렀을까?(행3:6, 7:59, 16:18,31, 19:5)_2016-08-07

    1. 들어가며 - 오늘날 목회자들의 탈선의 2가지 원인 오늘날 목회자의 탈선이 심각하다. 특히 그중에서도 성관련 탈선이 주류를 이룬다. 왜 목회자가 되어서까지 여러 유혹에 금방 넘어지게 되는 것일까? 물론 거기에는 개인적인 것도 작용하고 있겠지만, 교회...
    Date2016.08.07 By갈렙 Views739
    Read More
  6. 구원얻는 믿음, 지금도 역사하는 믿음(마8:5~13)_2016-09-04

    1. 들어가며 우리는 지난 일주일동안 특별새벽집회를 통해 하나님이 하시는 일과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살펴보았다. 하나님은 지금도 일하고 계신다. 그 일이란 당신이 창조하신 우주만물을 다스리시며,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지음받은 인간의 기도를 듣고 ...
    Date2016.09.04 By갈렙 Views737
    Read More
  7. 영적으로 깨끗하고 능력있는 사람이 안수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행9:17~19a)_2021-06-13(주일)

    안수가 좋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알고 있다. 하지만 안수 때문에 질병이 오히려 심해지는 경우도 있다.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 안수할 때에 대체 안수자와 안수받는 자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나길래 그렇게 희비가 엇갈리게 되는가? 대체 무슨 이유로 안수의 ...
    Date2021.06.13 By갈렙 Views736
    Read More
  8. 그분이 하시는 일과 내가 해야 할 일(마8:1~4)(부제:어찌하든지 주님 앞으로 나아오라)_2016-08-28

    1. 들어가며 어느새부턴가 한국교회는 따라야 할 규범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개혁해야 할 대상이 되어버렸다. 혼탁한 이 사회의 빛과 소금이 되어야 할 교회의 지도자들과 그리스도인들이 그만 세상 사람들로부터 손가락질받는 대상이 되어버린 것이다. 어쩌...
    Date2016.08.28 By갈렙 Views734
    Read More
  9. 하나님은 오늘날 우리를 어떤 방법으로 인도하시는가?(시32:8)_2019-03-31(주일)

    1. 들어가며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라 말하지 아니할 수 없다. 오늘도 사람은 무엇인가를 선택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간의 선택에는 훌륭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선택하는 것도 있고, 더욱이 아름다운 신앙을 펼쳐가기 위한 선택도 상당히...
    Date2019.03.31 By갈렙 Views730
    Read More
  10. 거듭남의 중요한 영역은 대체 무엇인가?(요3:1~15)_2016-09-18(설교영상)

    1. 들어가며 사람에게는 용서받을 수 있는 죄가 있고 용서받을 수 없는 죄가 있다. 이 세상에 짓는 대부분의 죄는 용서받을 수 있다. 하지만 용서받지 못하는 죄도 있다. 그런 죄에는 '자살죄'와 '성령훼방죄'가 있다. 자살죄는 자기가 자기를 살인한 죄인데 ...
    Date2016.09.18 By갈렙 Views725
    Read More
  11. 세례요한의 숨겨진 회개사역(마11:9~15)_2016-09-11(설교영상)

    1. 들어가며 세례요한, 그는 메시야의 선구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의 등장은 사실 메시야가 출현할 것이라는 결정적인 징조였다. 왜냐하면 그의 출현에 관하여 이미 B.C.700년경에 이사야가 예언하였고(사40:3~5), 또한 B.C.430년경 말라기가 예언하였기 때...
    Date2016.09.11 By갈렙 Views716
    Read More
  12. 주의 사역자를 위해 성도들은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가?(살후3:1~2)_2018-07-22(설교영상)

    성도들이 기도할 때 주의 종들을 위해서는 무엇을 기도해야 하는가? 어떤 성도들은 목회자의 가족을 위해 기도해야 한다고 한다. 어떤 성도들은 목회자가 자신의 목회사역들을 지혜롭게 잘 감당하도록 기도해야 한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목회자의 건강을 위해...
    Date2018.07.22 By갈렙 Views712
    Read More
  13. 이제는 WCC와 WEA에 속한 교회를 떠나야 하는가?(계18:1~8)_2019-10-06(주일)

    언제부턴가 WCC와 WEA가 종교다원주의화되어가고 있는 사실이 모든 대중에게까지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와서는 WCC와 WEA에 소속된 교회에서 빠져나와 개인예배를 드리라고 하는 사람들까지 생겨나기 시작하고 있다. 왜냐하면 WCC와 WEA에는 ...
    Date2019.10.06 By갈렙 Views710
    Read More
  14. 한 시대에 뜻을 정했던 한 사람(창5:32~6:14)_2016-07-24

    하나님께서 어떤 경우에 세상을 심판하시는 것일까? 하나님께서 심판하실 때의 세상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우리는 노아의 시대를 통해서 그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오늘 이 시간에는 노아의 시대에는 과연 세상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었는지를 살펴보면서, ...
    Date2016.07.24 By갈렙 Views703
    Read More
  15. 십계명강해(06) 제1계명(5) 왜 주님은 당신 앞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고 하시는가?(출20:1~3)_2016-10-16

    1. 들어가며 왜 주님께서는 당신 앞에 다른 신들을 두지 말라고 하시는가? 이 명령을 잘못 이해하게 되면 하나님은 매우 이기적인 분이라고 착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좋은 신들도 있을텐데 오직 자기만 바라보고 자기만 섬기라고 하는듯 보이기 때문이다. 사...
    Date2016.10.16 By갈렙 Views701
    Read More
  16. 하나님은 왜 제5계명을 십계명으로 주신 것일까?(신5:16)_2016-10-30(영상)

    십계명 중 제5계명은 부모공경 계명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부모를 공경하는 것이 되는가? 그리고 사도바울은 이 계명을 약속있는 최고의 계명이라고 말했는데, 무엇 때문에 그는 그렇게 말했던 것일까? 그리고 부모를 공경하는 것과 우리가 경험하는...
    Date2016.10.30 By갈렙 Views686
    Read More
  17. (동성애의 법제화에 직면하여) 한국교회의 당면한 과제와 우리의 사명(행20:17~24)_2017-10-08

    지금 전 세계적으로 기독교가 공격당하고 있다. 예수님을 믿는 것이 조롱거리가 되어가고 있고 핍박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왜 그렇게 되었는가? 아니 언제부터 그렇게 되었는가? 기독교가 이렇게 되기까지는 얼마되지 않았다. 적어도 2000년 네덜란드에서 ...
    Date2017.10.08 By갈렙 Views685
    Read More
  18. 회개의 마지막 화답은 무엇인가?(시116:12~14)_2016-10-23

    [요지] 회개와 보답은 같이 쓸 수 있는 단어일까? 어찌 보면 이 두 단어는 완전히 다른 단어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이 두 단어를 같은 단어로 사용하셨다. 다만, 그것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회개가 되기도 하고, 보답이 되기도 ...
    Date2016.10.23 By갈렙 Views655
    Read More
  19. 회개한 자의 마지막 증표는 무엇인가?(눅23:39~43)_2019-07-28(주일)

    자신이 진정 회개한 자인지 아닌지를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눈물콧물 흘린 경험이 있다면 그는 진정 회개한 자일까? 우리는 과연 무엇으로 그가 회개한 자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일까? 아마도 그가 진정 회개한 자라면 자신이 죄인인지를 깨닫게 되어 진...
    Date2019.07.28 By갈렙 Views651
    Read More
  20. 기록된 이름과 지워지는 이름(골4:1~3)_2018-01-14(설교영상)

    하나님이 계시는 저 셋째하늘에 가면 우리는 2가지 종류의 책들을 발견할 것이다. 하나는 우리의 낱낱의 행위를 기록해둔 행위책이요 또 하나는 구원받은 자의 이름을 기록한 생명책이다. 행위책은 어떤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그가 행했던 일들을...
    Date2018.01.14 By갈렙 Views6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