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s://youtu.be/GXOo3hC1u7E
날짜 2018-07-08
본문말씀 요한계시록 3:1~6(신약 402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사데교회, 살아있다고하나죽은교회, 종교개혁시대의교회,행함없는신앙을따라간교회,지도자의잘못,두아디라교회,버가모교회,믿음과회개,예정론과구원,회개의중요성

사데교회, 살아있다고 하는 이름은 가졌으나 죽어있는 교회라고 책망받은 교회다. 그런데 한때 사람들은 이 교회의 유형이 중세시대의 교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었다. 하지만 나중에 시간이 지나고 보니, 사데교회는 지금 우리 개신교회(개신교회)의 상황을 그대로 말해주는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왜 사데교회는 믿음으로 구원받아 자기들의 이름이 이미 하늘에 생명책에 기록되어 있는데도 주님으로부터 엄하게 책망을 받아야 했던 것인가? 그것도 주님이 도둑처럼 갑자기 임하여 그들의 이름을 생명책에서 지워버리시겠다고 엄히 책망하신 것인가? 이들은 대체 무엇을 잘못하고 있었던 것인가? 그러나 한 편으로 이러한 교회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가운데 자신의 더럽혀진 옷을 예수님의 피로 씻어 희게 하고 다니는 자들도 있었다. 이들은 대체 누구인가? 그래서 오늘 이 시간에는 살아있다고 명성을 자자하지만 사실은 죽어있는 교회, 만약 그대로 쭉 진행된다면 결국 하늘의 생명책에서 그 이름이 지워지는 교회에 관한 경고의 말씀을 통해서 우리 자신은 어떻게 구원을 이뤄가야 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1. 들어가며

  교회가 교회되게 하려면 어떤 교회가 되어야 하는가? 어떤 사람은 주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하신 일은 교회를 세우고 가신 일밖에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어찌하든지 교회를 잘 세워야 한다. 주님께서 이 땅에 교회를 세운 목적대로 교회가 세워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 주님께서 기뻐하시고 인정해주시고 칭찬하시는 교회가 되려면 어떤 교회를 세워야 하는가? 반대로 어떤 교회가 되면 우리 주님께서 버리시는 교회가 되는 것일까? 한국교회는 1885년 미국의 선교사들이 와서 세운 교회들이다. 1885년이 되기 전에 한국에는 교회가 없었다. 그리고 133년이 흘러갔다. 과연 한국교회는 우리 주님께서 세우시고자 하는 교회를 세워가고 있는 것일까? 그래서 오늘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7가지의 교회유형 가운데 한 가지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지금 한국교회의 상태는 어떤 교회의 유형 안에 속해 있으며, 계속 이대로 있으면 어떤 교회가 될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교회의 상황 가운데서도 성도들이 천국에 들어가려면 또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A.D.95년경 소아시아 지역에는 어떤 유형의 교회들이 있었는가?

  이 땅에는 수많은 종류의 교회가 있다. 그렇다면, 우리 주님께서 가르쳐주시는 교회의 유형에는 어떤 교회의 유형이 있을까? 교회를 나누는 기준과 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유형들의 교회가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주님께서는 교회를 어떤 유형으로 보시고 있을까? 그것은 승천하신 예수께서 A.D.95년경 사도요한에게 써보내라고 했던 편지들을 살펴보면, 이 세상에는 어떤 유형의 교회들이 있는지를 알 수가 있다. 사도요한의 편지에는 7가지 교회가 쭈욱 등장한다.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라오디게아 교회가 바로 그 교회들이다. 그런데 A.D.95년 당시 소아시아에는 방금 언급한 7가지 교회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골로새교회, 히에라볼리교회 등도 있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우리 주님께서는 그것들 중에서 7개의 교회들을 말씀하셨고, 그중에 한 교회가 바로 오늘 다루게 될 사데교회라는 교회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사데교회를 향하여 엄한 꾸중과 책망을 하신다. 그것도 단순한 꾸중과 책망 정도가 아니다. 그대로 있다가는 한 사람도 구원받을 사람이 없을 만큼의 그 교회에 중한 상태에 있음을 엄중히 경고하셨기 때문이다. 대체 사데교회는 무슨 잘못을 범하고 있었을까? 그리고 교회가 어떤 상태에 놓여 있었을까?

 

3. 사데교회는 어떤 교회인가?

  사데교회는 두아디라교회와 빌라델비아 교회 사이에 있는 교회다. 그런데 이 교회를 한 마디로 정의하라고 하다면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예수님의 말씀을 빌리자면, 살아있다고 하는 이름(명성)은 가지고 있으나 사실은 죽은 교회라고 하셨다. 왜 이런 책망을 받았을까? 그것은 다름 아니라 두 가지 이유에서였다. 첫째, 그 교회에서 온전한 행위들을 도무지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둘째, 그 교회가 더럽혀진 옷을 입은 채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예수님을 믿지 않고 있던 사람들이었는가? 아니다. 그들은 이미 자기들의 이름이 하늘의 생명책에 기록되어 있던 자들이다(계3:5).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께서는 그들에게 도둑처럼 가시어 그들의 이름을 생명책에서 지워버리실 것이라고 경고하셨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주님의 경고 가운데서도 우리들에게서 믿음에 따른 행위들이 발견되지 않은 것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러다가는 죽을 때에 하늘의 생명책에 기록된 우리의 이름들이 지워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의 죄를 회개하지 않고 있는 것에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러다가는 더렵혀진 옷을 입은 채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던져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4. 사데교회는 왜 엄중한 책망을 받았으며, 오늘 우리 교회는 사데교회와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믿는 이들 중에 자신이 사데교회에 속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 대부분의 성도들은 자신은 절대 그러한 교회에 속해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예수께서 사데교회를 책망하실 때에 들려주신 2가지의 조건들을 다시 보라. 과연 우리에게 믿음에 따른 행함의 열매들이 발견되고 있는지를 말이다. 그리고 날마다 지은 죄들을 회개하여 어린양의 피에 자신의 겉옷들을 씻어 희게하고 있는지를 말이다.

  언제부턴가 예수믿는 성도들은 자신의 구원을 오직 하나님의 절대주권(예정)과 믿음으로 얻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믿음도 하나님께서 은혜로 주신 믿음이어야 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과연 그러한 구원론이 제대로 된 구원론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만약 이러한 구원론이 제대로 된 구원론이라고 한다면, 사데교회는 결코 책망을 받지 말았어야 했다. 그들도 믿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믿음이 인정을 받아 하늘의 생명책에 이미 자기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꽃같은 눈으로 성령을 통해서 교회의 사정을 깊이 감찰하고 계시고, 오른손으로 주의 종들을 붙들고 계시는 우리 주님께서 도둑처럼 임하여 그들을 심판하시겠다고 벼르고 계셨다. 그것은 그들이 믿음이 부족해서가 아니었다. 그들로부터 어떠한 믿음의 행위들을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들이 자신이 지은 죄로 말미암아 더렵혀진 옷을 그대로 입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사실 상당히 심각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 한국교회의 상황과 거의 맞아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오늘날에 들어와서 어떤 교회가 십계명을 지키지 않으면 지옥간다고 외치고  있는가? "예수님을 믿어도 우상숭배하고 음행하면 지옥에 갑니다!"라고 말하는 교회를 들어보았는가? 또한 "예수님을 믿어도 믿음에 따른 행함이 열매가 없으면 믿음으로 얻은 구원일지라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교회를 보았는가? 그리고 "예수님을 믿고 있어도 자신의 지은 죄들을 회개하지 않으면 지옥에 갑니다!"라고 외치는 교회를 보았는가? 그런데, 사데교회가 그렇게 되기에 충분한 교회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주님께서는 그들에게 엄중한 책망을 하신 것이다.

  그렇다면, 사데교회는 어떤 유형의 교회요, 어떤 시대에 속한 교회를 가리키는가? 신학자들 중에는 요한계시록 2~3장에 나오는 일곱교회들의 모습은 초기사도시대의 모습부터 말세시대의 교회의 유형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것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에베소교회 : 기독교초기 사도시대의 교회(A.D.31~54/81)  *54년은 네로황제의 통치 시작년도, *81년은 도미시안황제의 통치 시작년도

2)서머나교회 : 로마박해시대의 교회(A.D.54/81~313) *313년 로마의 콘스탄틴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한 연도

3)버가모교회 : 로마국교시대의 교회(A.D.313~590) *590년은 제1대 로마교황 그레고리1세가 즉위한 연도

4)두아디라교회 : 로마카톨릭시대의 교회(A.D.590~1517) *1517년은 루터가 종교개혁을 시작한 연도

5)사데교회 : 종교개혁시대의 교회(A.D.1517~현재)

6)빌라델비아교회: 회복 및 선교시대의 교회(A.D.1700~1900) *1700년은 영국에서 자유의지와 회개를 강조한 연도(존 웨슬리는 1703~1791년 사람임)

7)라오디게아교회: 말세시대의 교회(A.D.1900~재림전) *1900년은 기독교교단이 사라지고, 성령운동과 같은 은사운동이 시작된 연도.

 

  이상의 교회사적인 증거들을 살펴보면, 결국 사데교회는 종교개혁이후(A.D.1517~현재)의  교회상을 그대로 대변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처음에 루터(A.D.1483~1546)가 종교개혁을 했을 때에는 회개와 믿음을 동시에 강조했었다. 그가 비텐베르크 성당에 내붙힌 95개 반박문 가운데, 적어도 11개조항이 회개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교개혁을 바톤을 이어받은 칼빈(A.D.1509~1564)은 다시 중세시대의 구원론을 다시 가져왔으니 그것이 바로 어거스틴의 절대주권에 의한 예정론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그러다보니 행함이 없어도 믿음만 있으면(이미 만세전에 구원받기로 예정된 것이니) 구원얻는다는 생각이 팽대해지기 시작하였고, 회개없이도 한 번  받은 구원은 영원히 구원받은 것이라는 생각(하나님이 작정한 것은 틀려서는 절대 안 된다는 생각)이 지배하게 된 것이다. 영락없이 사데교회의 상황이 그대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큰 일이 아닐 수 없다.

 

5. 사데들 안에 있는 자신의 겉옷을 더럽히지 않은 소수의 사람들은 누군가?

  그런데 사데들 안에 자신의 더러운 겉옷을 씻어 흰 옷을 입고 다니는 몇몇의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자신의 죄를 예수님의 피로  씻어내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자신의 죄를 회개하여 더럽혀진 옷을 깨끗하게 하고 지내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보통 그리스도인들이라고 한다면, 이것을 다음과 같이 생각할 것이다. "아, 사데교회가 주의 종들과 성도들 모두가 잘못된 구원론에 빠져 있었지만, 그 교회 안에는 참된 구원론을 가지고 있는 몇 몇의 성도들이 있었던 모양이로구나"하고 말이다. 하지만 그것은 틀린 생각이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사데교회 안에 그러한 성도가 있다고 말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말 성경으로 보더라도 "사데에"라고 나와 있는 것을 보라(계3:4). "사데 안에 그 옷을 더럽히지 아니한 자 몇 명이 네게 있어...(계3:4)" 하지만 이것을 헬라어원문으로 보면, 자신의 옷을 씻어 희게 한 자들이 누구인지 분명하게 나온다. "사데들 안에 자기들의 겉옷을 더럽히지 아니하였던 몇 명이 있어...(계3:4)" 그렇다. 사데교회 안에 겉옷을 씻어 희게 한 자들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사데라는 도시 안에 그러한 사람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을 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사데와 같은 도시들 안에 그러한 몇 명의 사람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사데교회와 같은 가르침 안에 있는 성도들 중에는 자기들의 죄로 더럽혀진 겉옷을 예수님의 피로 씻어 희게한 자들을 발견할 수 없었다는 말이 된다. 다만, 사데들 곧 사데와 같은 다른 지역들 안에 그러한 소수의 사람들이 있었다는 뜻이 된다. 그런데 이것은 사데교회 바로 앞에 소개되고 있는 두아디라교회의 상황과 비슷하다. 두아디라교회는 중세 로마카톨릭시대의 교회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그런데 그때에도 "두아디라들 안에 남아 있어, 그 교훈(거짓선지자 이세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한...(계2:24)" 자들이 있었던 것이다. 두아디라는 이미 주의 종들마저 이세벨의 가르침을 따라서, 예수님을 믿고 있기만하면 우상숭배해도 천국가고, 음행을 저질러도 천국간다고 가르치던 시기였다. 그러니 아무것도 모르는 평신도들은 주의 종들(신부들)의 가르침을 따라 마리아도 숭배하고, 성인들도 숭배하고 그리고 죽은 자들도 숭배하고, 성물을 숭배하는 일을 하면서도 그것이 지옥에 떨어질 우상숭배의 죄라는 것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성경을 보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 그러니 깨어있는 자는 두아디라교회 안에 남아 있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깨어있는 자는 다만 두아디라들 안에 있었던 것이다. 즉 두아디라와 같은 다른 지역에 있으면서 두아디라교회의 가르침을 따라가지 않았던 것이다.

 

6. 사데교회같은 유형의 교회, 과연 무엇이 무엇인가?

  바른 구원론이 아니라 거짓된 구원론이 가르쳐지고 있는 시기에 구원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것은 어느 교회에 소속되어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어떤 가르침을 따르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모든 교회가 잘못된 가르침을 따르고 있는데, 거기서 아니라고 외친다고 한들 그것이 교회(교회의 지도자들)를 바꿀지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상한 취급받아 퇴출당하거나 이단으로 정죄받아 죽임을 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니 깨어있는 자는 두아디라교회 안에 있지 아니하였고, 사데교회 안에 있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두아디라교회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았고, 사데교회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았던 것이다.

  그렇다면, 두아디라교회나 사데교회나 똑같이 다 지도자들도 타락하고, 성도들도 타락한 동일한 유형의 교회가 아닌가 하고 생각하기 쉬울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아니다. 두아디라교회는 주의 종들이 앞장서서 우상숭배나 음행을 저질러도 다시말해, 십계명을 어겨도 구원에는 상관이 없다고 가르친 시기의 교회라고 한다면, 사데교회는 살아있다는 그 명성이 알려주듯이, 겉으로는 정통신앙이라고 하는 구원론을 따르고 있다고 믿기에, 자신이 이단적인 가르침(이세벨의 교훈)안에 있지 않으며, 정통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으니 당연히 구원받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시기의 교회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스스로가 깨어있다고 하는 개신교회(개혁교회) 성도들은 두아디라교회에 있는 성도들(로마카톨릭교회의 성도들)을 보고 안타까워 하기도 한다. 그런데 정작 자신은 정통이라고 하는 이름의 교회 안에 있으니까 자신의 구원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더 큰 문제가 아닌가 한다. 사데교회를 책망하시는 주님의 음성을 들어보라. 믿음이 있어 자신의 이름이 이미 하늘의 생명책에 기록된 자라 할지라도, 믿음에 따른 행위들이 뒤따르지 아니한 자들은 결코 구원받을 수 없다고 말씀하고 있지 아니한가? 예수님을 믿고 있지만 자신이 지은 죄들을 회개하지 않고 있으면 결국 자신의 더럽혀진 행실 때문에 구원받을 수 없다고 말씀하고 있지 아니한가? 오늘날까지 두아디라교회(중세로마카톨릭시대의 교회)나 사데교회(종교개혁이후시대의 교회) 안에 남아 있어 그들의 가르침을 받고 있는 자들의 구원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도전받고 있는 것이다.

 

7. 나오며

  우리는 사데교회가 어떤 유형의 교회인지를 살펴보았다. 그것은 살아있다고 하는 명성을 가진 교회 즉 정통이라는 이름 하에서 종교개혁의 신앙을 가진 이들의 교회라는 것도 살펴보았다. 그런데 사데교회를 향한 주님의 책망이 무섭게 들린다. 속히 도둑같이 임하여서 하늘의 생명책에서 그들의 이름을 지워버리시겠다고 경고하고 계시기 때문이다(계3:5b). 하나님 앞과 천사들 앞에서 그들의 이름을 시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계시기 때문이다(계3:5c). 더럽혀진 채 있는 그들의 행실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저들에게는 천국의 흰 옷을 입혀주지 않으시겠다고 경고하지 계시기 때문이다(계3:5a). 그런데 이 이야기가 남들 이야기가 아닌 것 같다. 우리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행함으로 구원받는 것은 아니지만, 행함이 뒤따르지 않는 신앙은 죽은 것임을 다시 확인하고 회개해야 할 것이다. 날마다 더렵혀진 자신의 행실을 회개하여 예수님의 피로 씻어내어 희게 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아니하면 우리가 죽는 날 우리의 이름도 생명책에서 지워질 수 있을테니 말이다. 이름만 종교개혁의 전통을 이어받았다고 할 것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구원론에 따라 살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어떠한 환난 속에서도 끝까지 믿음을 지키고, 날마다 지은 죄들을 회개함으로 자신의 더럽혀진 행실을 깨끗케 해야 하는 것이다. 건투를 빈다.

 

2018년 7월 8일(주일)
정병진목사

 

 


  1. 선구자의 아름다운 퇴장(요3;22~36)_2016-09-25

    1. 들어가며 세례요한에게는 3가지의 사명이 있었다. 하지만 우리는 세례요한의 2가지 사명이 무엇인지는 잘 알고 있지만 세번째의 사명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이 사명 때문에 오늘날 우리들에서도 실수할 때가 많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제자훈련과 G12...
    Date2016.09.25 By갈렙 Views542
    Read More
  2. 선구자의 딱 2가지 사명(막1:1~8)_2016-05-29

    선구자(先驅者), 앞서서 말을 달리던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이 나중에는, 어떤 일이나 사상에서 다른 사람보다 앞선 사람이라는 말이 되었다. 세례요한, 그는 예수님보다 6개월 먼저 태어난 사람이다. 그는 일평생동안 한 가지 일만을 위해 준비...
    Date2016.05.29 By갈렙 Views1015
    Read More
  3. 생명의 부활에 이를 자(빌3:10-14)_2014-04-20

    이렇게도 슬픈 부활절이 또 있을까? 지금 전국적으로는 슬픔이 가득하다. 꽃다운 우리의 아이들이 저 진도 앞바다에 가라앉은지 벌써 나흘이 되었지만 240여명의 소식이 캄캄하기 때문이다. 지난 수요일 476년의 탑승객을 태운 6천톤급 세월호가 인천에서 제주...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75
    Read More
  4. 생명과 부활이 주어지는 신앙고백은 어떤 고백인가(요11:21~27)_2021-04-04(주일)

    1. 들어가며 회개에는 크게 두 방면이 있다. 하나는 구원을 얻게하는 회개의 방면이 있고, 또 하나의 저주를 없애주는 회개의 방면이 있다. 그런데 저주를 없애는 회개에도 두 방면이 있음을 최근에야 비로소 알게 되었다. 둘 다 조상들의 죄를 회개하는 것이 ...
    Date2021.04.04 By갈렙 Views329
    Read More
  5. 살아있다고 하는 이름만 가진 [사데]교회(계3:1~6)_2018-07-08

    사데교회, 살아있다고 하는 이름은 가졌으나 죽어있는 교회라고 책망받은 교회다. 그런데 한때 사람들은 이 교회의 유형이 중세시대의 교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었다. 하지만 나중에 시간이 지나고 보니, 사데교회는 지금 우리 개신교회(개신교회)의...
    Date2018.07.08 By갈렙 Views336
    Read More
  6. 사탄마귀가 사용하는 2가지 범죄방식은 무엇인가?(시51:3~5,대상21:1)_2018-02-04

    사람은 왜 죄를 짓는가? 사실 그것의 배후에는 사탄마귀와 귀신들이 들어있음을 성경은 말해준다. 왜 가인이 아우를 죽였는지 아는가? 그의 내면에 있는 미움의 시기가 분노로 표출되어서인가? 맞다. 그러나 사도요한은 그 배후가 악한 자 사탄이었다고 언급했...
    Date2018.02.04 By갈렙 Views578
    Read More
  7. 사무엘하강해(17) 왜 다윗은 회개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앙을 받은 것일까?(삼하12:7~14)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다윗은 진정 회개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형벌을 일생동안 받아야 했는가? 그럼 회개해도 다 소용이 없다는 말인가? 그런데 반대의 경우도 성경에 있다. 히스기야왕은 죽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가 회개했을 때에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내리려고 하던 징계를 ...
    Date2022.01.23 By갈렙 Views260
    Read More
  8. 사람인 메시야가 탄생할 수 있었던 2가지 이유(눅1:37~38)_2017-12-24(설교영상)

    하나님은 전능하신 하나님이시다. 그래서 못할 것이 없으시다. 그러므로 메시야의 출생 있어서도 하나님의 단독적인 결정과 시행만으로 얼마든지 그렇게 행하실 수 있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렇게 행하시지 않았다. 무슨 이유에서 그러신 것일까? 사실 성...
    Date2017.12.24 By갈렙 Views420
    Read More
  9. 사람은 자신의 인생을 어디에 드려야 하는가?(약2:1)_2017-09-03(설교영상)

    여러분은 신약성경 야고보서의 저자로서, 예수님의 친동생 야고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그는 적어도 예수님과 25년에서 28년 정도를 함께 살았던 인물이다. 자신의 형인 예수님과 함께 먹고 마시고 뛰놀며 함께 일하며 회당에도 같이 다녔다. 하지만 그...
    Date2017.09.03 By갈렙 Views418
    Read More
  10. 사람들이 회개하지 아니하는 이유(마11:20~24)

    1. 들어가며 사람들은 왜 회개치 아니하는 것일까? 얼마전 부천에서 모목회자부부가 자신의 딸을 7시간동안이나 매질하여 죽게 했다. 그런데 문제는 그후에도 어떤 조치를 취하지 아니했다는 사실이다. 결국 11개월동안이나 방안에 시체를 방치한 것이 발각되...
    Date2016.02.14 By갈렙 Views1370
    Read More
  11. 사람들은 첫 회개를 언제 하는가?(행2:36~40)_2018-02-25(설교영상)

    사람들은 언제 회개하는 것일까? 사실 모든 종교 가운데 하나님을 섬기는 자들만 회개한다. 왜냐하면 하나님만이 회개하면 용서를 해주실 능력을 가지셨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의 죄를 사하기 위해 이미 그 죄값을 치르셨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람은 언제 진...
    Date2018.02.25 By갈렙 Views395
    Read More
  12. 사도행전 강해(06) 성령세례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2)(행1:12~14)_2022-06-12(주일)

    오늘 메시지는 지난 메시지에 이어지는 두 번째 메시지다. 그것은 성령세례를 받기 전에 우리가 점검해야 할 것이 있다는 것이다. 성령받기를 기도해야 한다 할지라도 우선순위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이것을 지키지 않는 한 우리도 역시 악한 영들에...
    Date2022.06.12 By갈렙 Views236
    Read More
  13. 사도바울은 예수님을 과연 누구라고 기록해 두었을까?(딤전6:11~16)_2017-09-17(설교영상)

    우리에게는 현재 27권의 성경책들이 신약성경으로 들려져 있다. 그런데 이 책들중에는 2/3가 편지들이다. 그중에서도 사도바울이 보낸 편지가 13권이나 된다. 어떻게 사도바울이 개교회나 개인에게 보낸 것이 신약성경이 될 수 있었던 것일까? 그런데 또 한 가...
    Date2017.09.17 By갈렙 Views511
    Read More
  14. 사도 바울의 진정한 감사(살전2:13)_2022-07-03(주일)

    2022-07-03(주일) 주일낮예배 [맥추감사주일예배] 제목: 사도 바울의 진정한 감사(살전2:13)_2022-07-03(주일) https://youtu.be/6O1CHAvSJJE [혹은 https://tv.naver.com/v/28024376 ] 1. 들어가며 2. 데살로니가 교회는 어떤 교회였는가? 3. 믿음과 삶이 본 ...
    Date2022.07.03 By갈렙 Views224
    Read More
  15. 빛의 3가지 효능(요1:4-9)_2013-12-01

    예수님은 누구신가? 그리고 왜 이 세상에 오셔야만 했는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만으로 해결하지 못할 문제라도 있었다는 말인가? 정답은 "그렇다"이다. 이 세상에 있는 것만으로는 볼 수 없는 것이 있고, 얻을 수 없는 것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세상...
    Date2014.10.05 By갈렙 Views1790
    Read More
  16. 빛을 찾아간 니고데모(요3:1-21)_2013-11-10

    사람은 누구나 무엇인가 자기에게 도움을 주고 해답을 줄 자를 찾는 경향이 있다. 자기보다 더 훌륭한 사람들의 가르침이나 교훈을 배우고 싶은 것이다. 예수님 당시 니고데모는 유대인으로서 산헤드린공회원이면서 랍비였지만 그래도 배우고 싶은 열망이 대단...
    Date2014.10.05 By갈렙 Views1440
    Read More
  17. 빈익빈 부익부는 달란트 뿐인가?(마13:10~13)_2019-01-06

    1. 들어가며 성경을 읽다보면 영적인 세계에 통용되고 있는 놀라운 진리들을 종종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대부분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들이다. 물론 이것들 중에는 어떤 것은 이 세상에서도 통용되고 있는 진리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예를 들어 ...
    Date2019.01.06 By갈렙 Views252
    Read More
  18. 부활의 날의 아침을 여는 중보기도(눅24:1~10)_2018-04-01(부활주일)(설교영상)

    우리는 빚진 자다. 복음에 빚진 자다. 우리 남한 사람들은 특히 평양대부흥성회를 통해 구원의 은총을 받은 자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제는 빚을 갚아야 할 때가 되었다.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아침, 두 명의 선교사가 이 땅을 밟을 즈음 이 땅은 칠흙같은...
    Date2018.04.01 By갈렙 Views380
    Read More
  19. 부활에 대한 소망과 오해(고전15:19~20)_2020-04-12(주일)

    성도들에게 왜 부활신앙이 중요한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부활신앙은 보이지 않는 세계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우리가 이 세상에 살아가야 할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를 분명히 알려준다. 그리고 인류의 죄가 어떻게 용서되었는지를 알려주고, 부활이후에 받...
    Date2020.04.12 By갈렙 Views306
    Read More
  20. 부자가 모르고 있던 것(눅16:19~31)

    우리들 중 대부분의 사람들은 눅16장에 나오는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눅16:19~31)를 익히 들어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부자는 과연 무엇 때문에 음부(지옥)에 떨어졌으며, 거지 나사로는 무엇 때문에 아브라함의 품(낙원 곧 천국)에 안기게 되었는지 그 이...
    Date2015.10.25 By갈렙 Views113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