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XIolj2m005Q
날짜 2015-05-10
본문말씀 신명기 5:16(구약 270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부모공경, 십계명,행동의문제와 태도의 문제, 존재의 근원, 위치의 우선, 신앙의계승, 하나님을 섬기는 법

  우리에게 부모란 어떤 존재인가? 율법말씀에서는 자신의 부모를 공경하라고 명령하고 있다(출20:12, 신5:16). 당신은 현재 부모를 공경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부모를 공경하는 것일까? 그리고 왜 하나님께서는 부모공경의 계명에서만 복을 약속하고 있는 것일까?

  부모공경의 문제를 살펴볼 때,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부모공경의 성격을 살펴보는 일이다. 사실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리로서 성경이 말씀하고 있는 것은 부모를 공경하라는 것과 부모의 말씀에 순종하라는 것(신21:18~21)이 있다. 부모에 대한 인간의 도리는 이처럼 2가지인 것이다. 그래서인지 사도바울도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리를 2가지로 열거하고 있다. 그것은 부모의 말에 순종하라는 것과 부모를 공경하라는 것이다(엡6:1~3).

  그런데 십계명에서는 부모에게 순종하라는 것은 들어있지 않으며 오직 공경하라는 말씀만 들어 있다(출20:12, 신5:16). 이것은 곧 무엇을 말해주는가? 하나님께서는 행동보다 태도를 보시겠다는 뜻이다. 사실 순종하라는 계명이 행동의 문제라고 한다면, 공경하라는 계명은 태도의 문제이지 않는가? 그러므로 혹 우리가 부모님이 하신 말씀에 불순종할 수는 있어도 부모를 공경을 안 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그것은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태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진정 부모님을 사랑한다면, 당신은 부모를 공경하는 태도를 항상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제는 부모공경의 명령이 왜 태도의 문제인지 조금 더 살펴보기로 하자. 그것은 단어자체의 의미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공경하라'는 히브리어단어는 '카바드'이라고, 헬라어단어는 '티마오'이다. 그런데 이 두 단어가 그 뜻이 유사하다는 것이다. 대략 6가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첫째는 부모를 아주 소중하게 평가하라는 것이다. 둘째는 부모에게 존경의 태도를 보이라는 것이다. 셋째는 부모를 영화롭게 하고 존귀하게 높이라는 것이다. 넷째는 부모를 사랑하는 것이요, 다섯째는 부모를 예배하듯 받들라는 것이며, 여섯째는 부모를 두려워하고 경외하라는 뜻이다. 이 모든 단어의 용례를 보라. 다, 부모공경의 문제는 결코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태도의 문제인 것을 증거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자식은 자기를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어버이를 공경해야 하는지 그 구체적인 이유를 살펴보자.  크게 보면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존재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가 부모를 공경해야 할 이유는 그분이 나를 낳아주셨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분은 나의 존재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우리는 마땅히 그분을 존중해야 한다. 잠언에서도 "너를 낳은 아비에게 청종하고 네 늙은 어미를 경히 여기지 말지니라(잠23:22)" 했다. 만약 그분이 나를 낳아주시지 않아서 내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천국과 지옥이 있는 것조차 몰랐을 것이고 예수그리스도를 믿어서 천국에 갈 기회도 주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무조건 부모님을 공경해야 하는 것이다. 그분이 못 배웠거나 혹 나에게 잘 해주지 못했다 하여도 우리는 그분 때문에 존재하기 때문에 마땅히 그분을 공경해야 하는 것이다.

  둘째, 질서의 관점에서 볼 때에도 우리는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왜냐하면 부모가 먼저요 자식이 나중이기 때문이다. 창세기 27~28장에 보면, 야곱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말씀에 따라 외삼촌 라반이 살고 있는 밧단아람으로 정처없이 길을 떠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데 그때 야곱의 나이가 몇이었는지 아는가? 76세였다. 아브라함이 갈대아우르에서 부름받은 나이보다 한 살이 더 많다. 그러므로 그때에는 리브가로부터 뭔가를 지시를 받을 나이가 아니라 오히려 늙은 노모를 이끌어주어야 할 나이였다. 하지만 그는 오로지 어머니의 태로부터 나왔기에 그분의 말씀에 즉시 순종했다. 그렇다. 우리의 부모가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하든지 그 앞에서는 반드시 공경의 태도를 취하라.설령 "예" 라고 말한 뒤에 불순종하는 일이 있더라도 그분 앞에서는 "예"라고 답하는 사람이 되라.

  셋째, 신앙의 관점에서도 자식은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분이 나에게 하나님을 알려주신 분이기 때문이다. 그것도 혈연관계의 정을 가지고서 모든 것을 아낌없이 주면서 말이다. 모든 경우는 아니지만 자신의 부모가 예수님을 믿는 부모라고 한다면, 그가 자기 자식에게 신앙의 유산을 물려주지 아니하는 자는 없을 것이다. 율법에서도 그것을 명령하고 있다. 부모라면 반드시 자기자식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부지런히 가르쳐야 한다고 말이다(신6:6~7). 이것은 자식의 구원을 부모에게서 어느정도 묻겠다는 것이 아니고 또 무엇이겠는가?

  넷째, 마지막으로 신앙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에도 자식은 마땅히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즉 사람이 부모를 공경함으로써 사람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섬기는 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도요한도 보이는 자기의 형제를 사랑하지 아니하면서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을 사랑할 수 없다고까지 말하였다(요일4:20). 그렇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잘 섬기려면 우리는 지상에 계신 우리 육신의 부모를 잘 섬겨야 한다. 사실 우리가 육신의 부모를 잘 공경해야 할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4번째 이유에 있는 것 같다. 하나님은 이 계명을 통해 그가 하나님을 잘 섬길 수 있는 자인지를 알아보시기 때문이다. 당신은 진정 부모를 공경하고 있는 자인가?

  만약 우리가 나를 낳고 길러주시며 신앙의 유산을 물려주신 부모를 공경한다면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어떤 축복을 약속하시고 있는가? 그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에 주신 축복의 땅에서 장수하고 형통할 것이라고 하셨다(신5:16, 엡6:3). 그렇다. 우리가 이 땅에 있는 부모님을 공경함으로서 하나님께서 주신 이 땅에서 장수하고 형통을 누리며 살 뿐만 아니라 저 하늘나라에 들어가서도 그것이 잇대어진 형통의 축복을 받게 될 것이다. 부모를 공경에 마음을 다하자. 하늘나라에 들어가기까지...

800_2015-05-10 자식이 부모를 공경해야 하는 이유(신5;16).ts_000024804.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 신부(32) 아가서강해(22) 술람미 여인과 그녀의 어머니의 해산의 고통(아8:1~5)_2021-10-17(주일)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0.17 236
89 영혼육을 가진 사람이라면 꼭 구해야 할 3가지 기도(마6:11~13)_2021-12-12(주일)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2.12 236
88 사도행전 강해(06) 성령세례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2)(행1:12~14)_2022-06-12(주일) file 갈렙 2022.06.12 236
87 신부(39) 아가서강해(29) 술람미 여인과 나 너 그리고 우리들(아1;2,4;6,7;10~13)_2021-10-24(주일)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0.24 233
86 우리가 이 마지막 시대에 태어나 구원받은 이유는 무엇인가?(마20:13~16)_2022-02-06(주일) 1 file 갈렙 2022.02.06 233
85 우리 성도가 꿈꾸어야 할 진정한 꿈은 무엇인가?(창37:5~11)_2022-11-13(주일) file 갈렙 2022.11.13 232
84 바른 종교개혁(06) 인간은 전적으로 무능하며 자유의지는 의미가 없는가?(마12:20)_2020-11-06(주일) file 갈렙 2020.12.06 231
83 [주일낮1부예배실황] 그날 혼인잔치에서 입을 예복은 어떻게 준비하는가?(마22:11~14)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file 갈렙 2022.07.24 231
82 하늘에서 온 표적(눅2:8~14)_2018-12-25(성탄절) file 갈렙 2018.12.25 226
81 사도 바울의 진정한 감사(살전2:13)_2022-07-03(주일) file 갈렙 2022.07.03 224
80 예레미야강해(17) 우리에게 잘못 알려져 있는 토기장이 비유의 오해와 진실(렘18:1~10)_2023-02-26(주일) 1 file 갈렙 2023.02.26 224
79 영혼육을 가진 사람이라면 꼭 구해야 할 3가지 기도(마6:11~13)_2022-08-28 file 갈렙 2022.08.28 219
78 [성탄절 메시지] 임마누엘 성육신이 가져다 준 7가지 놀라운 축복(마1:23)_2021-12-25(토) 1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2.25 216
77 예수님께서 가르쳐준 올바른 기도방법은 어떠한 것인가?(마6:9~10)_2022-08-21(주일) 1 file 갈렙 2022.08.21 212
76 귀신을 내쫓는 축사 속에 담긴 말과 사람의 비밀(행19:10~20)_2023-10-08(주일) 1 file 갈렙 2023.10.08 211
75 [부르심(1)] 주께서 나를 부르신다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마4:18~22)_2023-07-09(주일) 1 file 갈렙 2023.07.09 207
74 가나안 일곱족속을 정복하기 위한 2가지 핵심조건은 무엇인가?(수3:1~17)_2023-03-19(주일) 1 file 갈렙 2023.03.19 206
73 롯의 처를 기억하라는 말씀의 의미는 무엇인가?(눅17:26~35)_2023-09-17(주일) 1 file 갈렙 2023.09.17 205
72 [부르심(7)] 바울의 부르심이 여느 부르심과 다른 이유는(행9:10~20)_2023-07-16(주일) 1 file 갈렙 2023.07.16 202
71 하나님께서 성령을 보내주셨는데도 왜 나는 복음의 증인으로 살지 못했을까?(요14:12)_2024-04-28(주일) 1 file 갈렙 2024.04.29 199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