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XIolj2m005Q
날짜 2015-05-10
본문말씀 신명기 5:16(구약 270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부모공경, 십계명,행동의문제와 태도의 문제, 존재의 근원, 위치의 우선, 신앙의계승, 하나님을 섬기는 법

  우리에게 부모란 어떤 존재인가? 율법말씀에서는 자신의 부모를 공경하라고 명령하고 있다(출20:12, 신5:16). 당신은 현재 부모를 공경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부모를 공경하는 것일까? 그리고 왜 하나님께서는 부모공경의 계명에서만 복을 약속하고 있는 것일까?

  부모공경의 문제를 살펴볼 때,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부모공경의 성격을 살펴보는 일이다. 사실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리로서 성경이 말씀하고 있는 것은 부모를 공경하라는 것과 부모의 말씀에 순종하라는 것(신21:18~21)이 있다. 부모에 대한 인간의 도리는 이처럼 2가지인 것이다. 그래서인지 사도바울도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리를 2가지로 열거하고 있다. 그것은 부모의 말에 순종하라는 것과 부모를 공경하라는 것이다(엡6:1~3).

  그런데 십계명에서는 부모에게 순종하라는 것은 들어있지 않으며 오직 공경하라는 말씀만 들어 있다(출20:12, 신5:16). 이것은 곧 무엇을 말해주는가? 하나님께서는 행동보다 태도를 보시겠다는 뜻이다. 사실 순종하라는 계명이 행동의 문제라고 한다면, 공경하라는 계명은 태도의 문제이지 않는가? 그러므로 혹 우리가 부모님이 하신 말씀에 불순종할 수는 있어도 부모를 공경을 안 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그것은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태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진정 부모님을 사랑한다면, 당신은 부모를 공경하는 태도를 항상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제는 부모공경의 명령이 왜 태도의 문제인지 조금 더 살펴보기로 하자. 그것은 단어자체의 의미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공경하라'는 히브리어단어는 '카바드'이라고, 헬라어단어는 '티마오'이다. 그런데 이 두 단어가 그 뜻이 유사하다는 것이다. 대략 6가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첫째는 부모를 아주 소중하게 평가하라는 것이다. 둘째는 부모에게 존경의 태도를 보이라는 것이다. 셋째는 부모를 영화롭게 하고 존귀하게 높이라는 것이다. 넷째는 부모를 사랑하는 것이요, 다섯째는 부모를 예배하듯 받들라는 것이며, 여섯째는 부모를 두려워하고 경외하라는 뜻이다. 이 모든 단어의 용례를 보라. 다, 부모공경의 문제는 결코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태도의 문제인 것을 증거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자식은 자기를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어버이를 공경해야 하는지 그 구체적인 이유를 살펴보자.  크게 보면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존재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가 부모를 공경해야 할 이유는 그분이 나를 낳아주셨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분은 나의 존재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우리는 마땅히 그분을 존중해야 한다. 잠언에서도 "너를 낳은 아비에게 청종하고 네 늙은 어미를 경히 여기지 말지니라(잠23:22)" 했다. 만약 그분이 나를 낳아주시지 않아서 내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천국과 지옥이 있는 것조차 몰랐을 것이고 예수그리스도를 믿어서 천국에 갈 기회도 주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무조건 부모님을 공경해야 하는 것이다. 그분이 못 배웠거나 혹 나에게 잘 해주지 못했다 하여도 우리는 그분 때문에 존재하기 때문에 마땅히 그분을 공경해야 하는 것이다.

  둘째, 질서의 관점에서 볼 때에도 우리는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왜냐하면 부모가 먼저요 자식이 나중이기 때문이다. 창세기 27~28장에 보면, 야곱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말씀에 따라 외삼촌 라반이 살고 있는 밧단아람으로 정처없이 길을 떠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데 그때 야곱의 나이가 몇이었는지 아는가? 76세였다. 아브라함이 갈대아우르에서 부름받은 나이보다 한 살이 더 많다. 그러므로 그때에는 리브가로부터 뭔가를 지시를 받을 나이가 아니라 오히려 늙은 노모를 이끌어주어야 할 나이였다. 하지만 그는 오로지 어머니의 태로부터 나왔기에 그분의 말씀에 즉시 순종했다. 그렇다. 우리의 부모가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하든지 그 앞에서는 반드시 공경의 태도를 취하라.설령 "예" 라고 말한 뒤에 불순종하는 일이 있더라도 그분 앞에서는 "예"라고 답하는 사람이 되라.

  셋째, 신앙의 관점에서도 자식은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분이 나에게 하나님을 알려주신 분이기 때문이다. 그것도 혈연관계의 정을 가지고서 모든 것을 아낌없이 주면서 말이다. 모든 경우는 아니지만 자신의 부모가 예수님을 믿는 부모라고 한다면, 그가 자기 자식에게 신앙의 유산을 물려주지 아니하는 자는 없을 것이다. 율법에서도 그것을 명령하고 있다. 부모라면 반드시 자기자식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부지런히 가르쳐야 한다고 말이다(신6:6~7). 이것은 자식의 구원을 부모에게서 어느정도 묻겠다는 것이 아니고 또 무엇이겠는가?

  넷째, 마지막으로 신앙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에도 자식은 마땅히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 즉 사람이 부모를 공경함으로써 사람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섬기는 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도요한도 보이는 자기의 형제를 사랑하지 아니하면서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을 사랑할 수 없다고까지 말하였다(요일4:20). 그렇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잘 섬기려면 우리는 지상에 계신 우리 육신의 부모를 잘 섬겨야 한다. 사실 우리가 육신의 부모를 잘 공경해야 할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4번째 이유에 있는 것 같다. 하나님은 이 계명을 통해 그가 하나님을 잘 섬길 수 있는 자인지를 알아보시기 때문이다. 당신은 진정 부모를 공경하고 있는 자인가?

  만약 우리가 나를 낳고 길러주시며 신앙의 유산을 물려주신 부모를 공경한다면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어떤 축복을 약속하시고 있는가? 그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에 주신 축복의 땅에서 장수하고 형통할 것이라고 하셨다(신5:16, 엡6:3). 그렇다. 우리가 이 땅에 있는 부모님을 공경함으로서 하나님께서 주신 이 땅에서 장수하고 형통을 누리며 살 뿐만 아니라 저 하늘나라에 들어가서도 그것이 잇대어진 형통의 축복을 받게 될 것이다. 부모를 공경에 마음을 다하자. 하늘나라에 들어가기까지...

800_2015-05-10 자식이 부모를 공경해야 하는 이유(신5;16).ts_000024804.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 [대강절] 하나님은 인류구원을 위한 성육신 사건에 왜 요셉을 사용하셨는가?(마1:18~25)_2023-12-17(주일) 1 file 갈렙 2023.12.17 76
28 [대강절] 이 성탄절에 베들레헴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놀라운 이야기(눅2:1~5)_2023-12-24(주일) 1 file 갈렙 2023.12.24 78
27 [성탄절] 아기 예수님에 대하여 천사가 알려준 소식은 과연 무엇이었나?(눅2:8~12)_2023-12-25(월) 1 file 갈렙 2023.12.25 89
26 옛 사람이 새 사람이 되기 위한 핵심 요체(要諦)는 무엇인가?(엡4:22~24)_2023-12-31(주일) 1 file 갈렙 2024.01.01 136
25 회개와 천국복음 사역의 문을 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행16:6~10)_2023-12-31(주일) 1 file 갈렙 2024.01.01 167
24 [하나님의경륜(01)] 창조사역에 나타난 영원한 하나님의 경륜은 나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창2:7~18)_2024-01-07(주일) 1 file 갈렙 2024.01.07 137
23 [하나님의 경륜(07)] 하나님의 경륜의 최종단계로서 땅의 분배의 예표는 무엇인가?(수13:1~7)_2024-01-14(주일) 1 file 갈렙 2024.01.14 127
22 [하나님의 경륜(14)] 하나님의 경륜에 따라 그리스도께서 우리 마음에 거처를 정하게 하려면?(엡3:17)_2024-01-21(주일) 1 file 갈렙 2024.01.21 145
21 [하나님의 경륜(22)] 구원의 최종적인 완성단계에서 반드시 귀신의 집을 파괴해야만 하는 이유는?(마12:43~45)_2024-01-28(주일) 1 file 갈렙 2024.01.28 185
20 [하나님의 경륜(28)] 하나님의 아들이 육신을 입고 이 세상에 오셔야 했던 또 하나의 이유는?(히2:14)_2024-02-04(주일) 1 file 갈렙 2024.02.04 154
19 주께서 내게 수 천 대까지 은혜를 베푸시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출34:1~9)_2024-02-11(주일) 1 file 갈렙 2024.02.11 123
18 죄의 자백에 담겨있는 축사의 놀라운 영적인 비밀은 무엇인가?(요일1:9)_2024-02-18(주일) 1 file 갈렙 2024.02.18 148
17 [그리스도인들의 율법관(12)] 대속죄일 제사에 담겨있는 마지막 때에 있을 하나님의 긍휼은 무엇인가?(레위기16:29~34)_2024-02-25(주일) 1 file 갈렙 2024.02.25 111
16 [그리스도인의 율법관(18)] 예수께서 성취하신 희년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 축복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가?(레25:8~12)_2024-03-03(주일) 1 file 갈렙 2024.03.03 112
15 [그리스도인의 율법관(24)] 성소의 등잔대와 기름이 들려주는 6가지 영적 교훈은 무엇인가(출25:31~39,27:20~21)_2024-03-10(주일) 1 file 갈렙 2024.03.10 100
14 [그리스도인의 율법관(31)] 십계명의 두 돌판은 왜 지성소의 궤 속에 보관하라고 하셨는가?(출25:16~21)_2024-03-17(주일) 1 file 갈렙 2024.03.17 108
13 [그리스도인의 율법관(38)] 오늘날 성도들이 왕같은 제사장들로 살아간다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벧전2:5,9)_2024-03-24(주일) 1 file 갈렙 2024.03.24 125
12 내가 진정 부활신앙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고전15:50~58)_2024-03-31(주일) 1 file 갈렙 2024.03.31 135
11 [그리스도인의 율법관(49)] 영원한 속죄제사를 드리신 예수님 참으로 감사합니다(히9:11~12)_2024-04-07(주일) 1 file 갈렙 2024.04.10 80
10 예수께서 말씀하신 이 시대를 향한 진정한 정결례는 무엇인가?(막7:14~23)_2024-04-14(주일) file 갈렙 2024.04.14 64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