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NsBwuDB_u0I
날짜 2014-06-15
본문말씀 누가복음 15:11-24(신약 122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믿는 자들은 과연 어떻게 회개해야 그것이 진짜 회개다운 회개이며 그것이 결국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를 받는 회개가 되는 것일까?
  우리 믿는 자들의 보통 생각으로는 회개라 하면 자신이 지은 죄를 반성하고 다시는 그러한 죄를 짓지 않겠다고 의지적으로 결단하는 것 정도로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주님으로부터 인정받는 회개가 아니다. 그렇게 회개하는 것으로 하나님으로부터 용서의 예복이 입혀지지 않는다.
  그럼, 어떻게 회개해야 하는 것일까? 그것은 누가복음 15장의 돌아온 탕자의 비유(눅15:11-24)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돌아온 탕자의 비유는 잃었다가 되찾은 것에 대한 3가지 비유 중에 맨 나중에 나오는 비유이다.
  먼저 살펴볼 것은 둘째아들은 대체 무슨 죄를 지었는가 하는 점이다. 하여튼 둘째아들은 아버지께 돌아와서는 자신의 입으로 죄를 지은 것이라고 시인했다(눅15:18~19). 다시 말해 그가 아버지의 재산 중 자신에게 해당된 분깃을 달라고 한 것과 아버지의 곁을 멀리 떠나 외국에 가서 아버지의 유산을 허랑방탕하게 다 써버린 것이 하늘과 아버지에게 죄를 범한 것이었음을 시인했다.
  그런데 생각해보라. 아버지의 재산을 달라고 한 것이 그렇게 죄가 되는가? 그리고 한 번 아버지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았으면 그것은 더 이상 아버지의 재산이 아니라 자신의 소유일진데 그것을 좀 써버렸다고 해서 그것이 그렇게 죄가 되는 것일까?
  하지만 우리가 본문을 헬라어 원전으로 살펴보면 그것이 죄인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그가 아버지로부터 구한 재산은 재산(property)이 아니라 '우시아(substance: 본질, 생명 그 자체)'였기 때문이요, 아버지가 그에게 떼어준 살림은 살림살이가 아니라 '비오스(life: 육체의 생명, 삶)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아버지가 그에게 준 것은 아버지의 생명이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생명은 아직 완숙되지 않은 상태의 생명이었다. 그것을 그냥 떼어서 가져간다면 그 생명은 틀림없이 죽게 될 것임을 아버지도 알고 있었고 아들도 알고 있었다(눅15:24). 특히 둘째아들이 그 '우시아(아버지의 생명)'를 허랑방탕하여 허비했다고 하는데, 여기에 나오는 '허랑방탕하다'는 단어는 '아소토스(dissolutely: 구원에 합당치 않은)'는 그가 구원받은 것에 대한 합당치 않은 삶이었음을 말해준다. 다시 말해 당시 둘째아들은 아직까지 아버지에게 붙어 있어야 그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에 있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을 아버지의 생명으로 끊어내어 분리시키려 했던 것이다. 왜냐하면 아버지의 간섭을 받기를 싫어했고, 자기 맘대로 세상이 주는 쾌락을 즐겨보고자 원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들은 그것이 하나님과 아버지 앞에 죄인 것을 시인한 것이다.
  두번째로, 사람은 언제 회개하는가 하는 점이다. 둘째아들은 아버지의 생명이 끝나가는 어느 시점에서 회개했다. 아버지의 생명이 꺼지기 일보직전이었다.
  세번째로, 사람은 어떻게 회개해야 하는가이다. 그렇다면 둘째아들은 어떻게 회개했는가? 어떻게 회개했길래 그는 아버지로부터 용서를 받고 용서의 예복을 입을 수 있게 되는가?
  첫째, 그는 철저히 자기자신의 죄를 시인하고 반성했다(18절). 그는 자신의 삶이 곧 하나님을 향하여 죄를 짓는 것이었고 아버지에게 불효였으며, 그것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구원과 생명을 잃게 만드는 요인이었음을 시인하고 반성한 것이다.
  둘째, 그는 철저히 자기자신을 낮추었다. 그가 비록 아버지의 품에 돌아왔어도 그는 더이상 아버지의 아들이라 불리기에 합당치 않다고 말했다. 아버지에게 그는 더이상 아들이 아니었던 것이다. 
  셋째, 그는 철저히 아버지의 처분을 달게 받으려 했다. 그는 비록 자신의 잘못을 시인하고 용서를 구했지만 그것으로 인하여 아버지의 처분이나 벌까지 사면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저 자신을 집안의 품꾼으로 하나로 쳐준다해도 달게 받겠다고 결정하고 아버지에게 나아갔던 것이다.
  그렇다. 오늘날 우리들이 행하는 회개는 잘못 되었다. 전부 다 회개 후에 아버지께서 주시는 자비가 무엇인지 알고 응당 그러한 자비를 달라고 하면서 회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내가 회개하면 아버지께서는 나에게 제일가는 옷을 입혀주시고, 손에 가락지를 끼워주시고, 발에 신발을 신겨주시고, 살진 송아지를 잡아줄 것을 기대하면서 회개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이 회개하면 그러한 처우를 해 달라고 생각하고 회개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자신이 지은 죄에 대한 처우를 우리가 결정할 일이 아니다. 아버지께서 아버지의 판단대로 할 일이다. 우리는 다만 그 처우를 그대로 받아들일 따름이다.
  잘못 되었다. 그분이 나를 아들로 다시 맞아주지 않는 처분을 내린다해도 우리를 그 처분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단지 내 생명이 보존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감지덕지해야 한다. 그것이 회개다. 이렇게 회개해야 회개다운 회개요, 하나님으로부터 인정받는 회개인 것이다.

사본 -2014-06-15 어떻게 해야 제대로 된 회개인가(눅15.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예수님의 탄생에서 요셉의 역할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마1:18~25)_2022-12-18(주일) 1 file 갈렙 2022.12.18 198
69 [부활체의 신비(07)] 사람은 언제 부활체를 입게 되며 그 시기는 왜 그리 중요한가?(고전15:16~24)_2023-04-16(주일) file 갈렙 2023.04.16 198
68 [송구영신예배] 마음과 뜻을 바쳐 더 구하는 해(눅1:80)_2021-12-31(금) 1 file 갈렙 2022.01.01 197
67 원하는 자는 지금 어떻게 하늘의 생명수를 마실 수 있는가?(계22:17)_2023-06-18(주일) 1 file 갈렙 2023.06.18 195
66 [임파테이션(2)] 엘리야와 엘리사의 놀라운 만남의 축복(왕상19:19~21)_2023-06-25(주일) 1 file 갈렙 2023.06.25 194
65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이 적그리스도(짐승)의 출현에 미칠 영향은?(계9:13~21)_2023-10-15(주일) 1 file 갈렙 2023.10.15 188
64 [하나님의 경륜(22)] 구원의 최종적인 완성단계에서 반드시 귀신의 집을 파괴해야만 하는 이유는?(마12:43~45)_2024-01-28(주일) 1 file 갈렙 2024.01.28 187
63 하나님은 왜 지금도 충성된 자를 찾고 계시는가?(마25:14-30)_2023-01-08(주일) 1 file 갈렙 2023.01.08 186
62 한 번 구원이 영원한 구원인지를 알려주는 생명책의 비밀과 그 진실(계3:5)_2023-11-12(주일) 2 file 갈렙 2023.11.12 185
61 예레미야강해(05) 하나님은 왜 예레미야에게 2가지 환상을 보여주셨는가?(렘1:11~19)_2023-02-12(주일) 1 file 갈렙 2023.02.12 180
60 [삼위일체하나님(4)]우리의 주 예수께서 홀로 한 분이신 하나님인 증거는 무엇인가?(계3:12)_2023-06-11(주일) 1 file 갈렙 2023.06.11 177
59 회개와 천국복음 사역의 문을 열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행16:6~10)_2023-12-31(주일) 1 file 갈렙 2024.01.01 169
58 이 마지막 시대에 끝까지 주님께 쓰임받는 교회가 되려면(계11:3~6)_2023-01-15(주일) 1 file 갈렙 2023.01.15 165
57 왜 치유축사할 때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명령하는 것일까?(사도행전3:16,16:18)_2023-09-24(주일) 1 file 갈렙 2023.09.24 163
56 다수 군중이 될 것인가 영적 소수가 될 것인가?(창6:9)_2023-01-29(주일) 1 file 갈렙 2023.01.29 162
55 교회를 향한 바울의 그 장엄한 스케일의 기도(엡1:15~23)_2022-09-11(주일) file 갈렙 2022.09.11 160
54 [아담성의] 회복, 그 진정한 뜻은 무엇인가(창1:26~28)_2023-01-22(주일) file 갈렙 2023.01.22 160
53 회복의 가장 안전하고 빠른 지름길은 무엇인가?(욥42:5~6)_2023-02-05(주일) 1 file 갈렙 2023.02.05 159
52 지금 이 시대에 전해주어야 할 성탄의 기쁜 소식은?(마1:18~23)_2022-12-11(주일) 1 file 갈렙 2022.12.11 159
51 이것이 다윗이 드린 묵상기도다(시19:1~14)_2022-09-04(주일) 1 file 갈렙 2022.09.04 155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