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utqE2HSmUlg
날짜 2014-04-06
본문말씀 요한일서2:29-3:3(신약 390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존재일까? 그것은 한 마디로 하나님의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사랑스러운 존재이다(사43:4). 왜냐하면 그분께서 인간을 창조할 때에 처음부터 그렇게 창조하셨기 때문이며(창127~28),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당신의 아들의 목숨의 내놓셨기 때문이다(롬5:8).
  그렇다면 하나님께서는 왜 우리를 위해 자신을 그토록 희생하신 것일까? 그리고 그분의 말할 수 없는 사랑을 받은 우리들은 과연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일까?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첫번째로 살펴볼 것은 하나님께서는 왜 죄인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요일3:1에 보면 요한사도는 그 질문에 답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감탄사로서 그 답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요일3:1)" 그렇다. 그분은 왜 우리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으셨던 것일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스스로에게 날마다 물어보아야 한다.
  그런데 제가 찾아낸 답이 하나 있다. 그것은 성령께서 제 마음 가운데서 떠오르게 한 영화에서 찾아낼 수 있었다. 그것은 1998년에 나온 <라이언 일병 구하기>라는 영화에서다. 거기에 보면, 2차세계대전 중 연합군 소속의 밀러라는 대위가 등장한다. 안타깝게도 그는 2차대전을 치르면서 무려 94명의 부하들의 죽음을 자신의 눈으로 목도한다. 그리고 그는 마지막에 그들의 죽음 앞에 자신의 해답을 찾아서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한다. "내 부하 94명의 죽음으로 인하여 20배의 사람들을 살릴 수 있었으니 나는 지금 가치있는 일을 하고 있어!" 그런데 어느날 그에게 놀라운 특명이 내려진다. 그것은 2차대전 중에 4명의 아들 중에서 3명의 아들들을 잃어버린 어느 과부의 막내아들을 찾아내어 그를 집으로 돌려보내라는 것이었다. 밀러 대위는 죽음 앞에서 생사고락을 같이 했던 한 상사와 몇몇의 부하들을 데리고 적진의 한 복판으로 이동한다. 목적은 한 가지다. 제임스 라이언 일병을 찾아내어 안전하게 집으로 귀가시키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일병을 찾으러가면서 또 부하들을 잃게 된 대위는 자신에게 끊임없이 되묻는다. "정말, 다른 대원들을 희생시켜서라고 이 라이언 일병을 구출해 내는 것이 과연 가치있는 일인가?" 천신만고 끝에 라이언 일병을 찾아내지만, 그는 도리어 다른 동료들을 놔둔채 그 전쟁터를 떠날 수 없다고 한다. 결국 라이얼 일병과 함께 남게된 밀러대위는 적군과 최후의 일전을 벌이는데, 그때 그는 전사하게 된다. 그런데 그가 죽어가면서 라이언 일병에게 남긴 말이 무엇인 줄 아는가? "라이언, 꼭 살아서 돌아가! 그리고 잘 살아야 해! 너를 구하기 위해 나의 생명과 같은 대원들이 희생됐어! 그러니 내 몫과 그들의 몫까지 살아줘!"
  그렇다. 왜 주님은 우리를 위해 자신을 그토록 희생하신 것일까? 그것은 오직 한 가지다. 그분은 우리로 하여금 당신 목숨을 주고 우리를 구원해 준 만큼 우리가 거기에 부응하는 삶을 살아주기를 바래서이다. 이것이야말로 그분의 희생에 누가 되지 않는 삶을 사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낭비해서는 아니 된다. 우리 자신을 죄에 방임해서도 아니된다. 주님께서 어떤 목숨을 주고 바꾼 것인데 함부로 써서 되겠는가? 이제부터는 우리 자신을 결코 함부로 내팽개친 상태로 살자 말라. 자신의 인생을 쓰레기처럼 만들지 말라. 그분의 희생이 헛되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기 때문이다. 죄에게 함부로 자신을 맡기지 말라. 오히려 우리는 거룩하고 흠없는 삶을 통해 그분의 희생에 걸맞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것이 우리를 향해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희생하신 주님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다.
  베드로 사도는 말한다. "너희가 음란과 정욕과 술취함과 방탕과 향락과 무범한 우상수애를 하여 이방인의 뜻을 따라 행한 것은 지나간 때로 족하도다(벧전4:3)"
  그런데 우리의 삶은 어떠한가? 개가 토한 것을 도로먹고, 돼지가 씻었다가 더러운 구덩이에 도로눕고 있는 사람이 아닌가? 이제는 그렇게 살지 말라. 주님의 목숨을 그렇게 값어치가 없게 만들지 말라. 그분의 희생을 욕되게 하지 말라. 그러라고 주님께서 당신의 고귀한 목숨을 내놓으신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는 더이상 방탕한 삶에 자신을 내어맡기지 말라. 깨끗하고 거룩한 삶을 살라. 그분의 목숨에 비례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그후 제임스 라이언은 50년이 지난 뒤 밀러 대위의 무덤을 찾아서 이렇게 말한다. "대위님, ㄷ리에서 하신 말씀을 매일 생각했죠? 최대한 잘 살아보려고 노력했고 그렇게 살아왔습니다. 최소한 대위님의 눈에 대위님의 희생이 헛되지 않기를 바랬습니다." "여보, 나 어떻게 살았지? 훌륭히 살아왔다고 말해줘!" "당신은 훌륭해요" 우리도 이런 말을 주님께 다시 되돌려 드리자.

2014-04-06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사람입니까2(요일2;28-3.jpg




  1. 사람들이 회개하지 아니하는 이유(마11:20~24)

    1. 들어가며 사람들은 왜 회개치 아니하는 것일까? 얼마전 부천에서 모목회자부부가 자신의 딸을 7시간동안이나 매질하여 죽게 했다. 그런데 문제는 그후에도 어떤 조치를 취하지 아니했다는 사실이다. 결국 11개월동안이나 방안에 시체를 방치한 것이 발각되...
    Date2016.02.14 By갈렙 Views1370
    Read More
  2. 우리의 주 예수 그리스도(1) 예수님은 주님이시요 하나님이시다(요20:24~31)

    1. 들어가며 예수님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신앙고백은 무엇일까? 그것은 베드로의 신앙고백으로 알려진 2가지 신앙고백이다. 그것은 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시며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신앙고백이다(마16:16). 하지만 이러한 신앙고백만으로 우리의 신앙...
    Date2016.02.28 By갈렙 Views1383
    Read More
  3. 구원에 있어서 비중있게 다뤘어야 했던 것(행15:13-29)_2014-08-03

    성도가 실제로 교회생활을 하게 될 때 그는 교회에서 어떤 것을 요구받게 되는가? 예를 들어, 어떤 교회에서는 제자훈련이나 양육코스를 밟아야 된다고 가르칠 것이다. 또 어떤 교회에서는 성령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가르칠 것이며 또 어떤 교회에서는 주일성...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385
    Read More
  4. 기도 그 무한한 능력(눅11:9-13)_2014-03-02

    하나님의 자녀에게는 장자권이 있다. 축복할 수 있는 권한과 명령하고 선포할 있는 권한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자녀들은 선하고 좋은 것들에 대해서는 자주 축복할 수 있어야 하고, 악하고 나쁜 것들에 대해서는 수시로 명령하고 선포하여 떠나가...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396
    Read More
  5. 대신하여 드리는 회개기도(단9:3~15)

    예수께서 십자가에 피흘려 죽으신 것은 자기 죄로 인함이었는가? 아니다. 우리 주 예수께서는 오로지 죄많은 우리의 죄를 대신 속죄하기 위해서 죽으신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께서 대신 피흘려 죽으신 사건을 일컬어 우리는 하나님의 자기의 '대속'이라고 부른...
    Date2015.02.15 By갈렙 Views1400
    Read More
  6. 탑 클래스(Top Class)(고전11:17-34)_2013-11-17

    여러분은 Top Class가 받는 혜택을 알고있는가? 공부에 있어서도, 재산에 있어서도, 권력에 있어서도 최고의 등급이 된다는 것은 정말 가슴 벅찬 일이 아닐 수 없다. 탑 클래스가 한 번 되어보라. 비행기를 탈 때에도, 골프장에 가서도, 은행에 가서도, 고급레...
    Date2014.10.05 By갈렙 Views1410
    Read More
  7. 어버이를 공경하는 자란 과연 어떤 사람인가(창9;20-29)_2014-05-04

    노아는 참으로 특별한 사람이다. 그는 500세가 되도록 자녀를 낳지 않고 지냈다. 그리고 500세 이후에 세 명의 아들들만을 낳았는데, 그 후로 또한 자식을 낳지 않았다. 이런 일은 그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는 일이었다. 노아는 약 7-80년동안 방주를 지...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15
    Read More
  8. 그들은 왜 요단강에서 세례를 받아야 했을까?(마3:1~13)

    사람이 구원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냥 있어도 구원받을 수 있을까? 아니면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자 그리스도로서 십자가에서 행하신 일을 믿으면 구원을 얻게 되는 것일까? 구원받기에 정말 필수적인 요소가 있다면 그것이 무...
    Date2016.05.22 By갈렙 Views1415
    Read More
  9. 아담과 하와는 과연 회개하고 천국에 들어갔을까?(창3:8~16)_2021-03-07(주일)

    1. 들어가며 창세기 이야기는 모든 것의 시작을 알려준다. 만물의 시작이 어떻게 있었으며 인간은 어떻게 창조되었고 뿐만 아니라 죄는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인간구원의 약속은 어떻게 주어졌는지가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선악과를 따먹...
    Date2021.03.07 By갈렙 Views1418
    Read More
  10. 한 마음으로 연합할 때(행4;18-31)_2013-12-29

    그리스도인들이 영적 세계에서 쓰는 말은 크게 2가지다.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가 그 중 하나이며, 또 하나는 사물과 사탄진영을 향해 말하는 명령과 선포가 있다. 이것은 반드시 함께 다닌다. 이 중에서 어느곳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것들이다. 자, 예수께서...
    Date2014.10.05 By갈렙 Views1435
    Read More
  11. 빛을 찾아간 니고데모(요3:1-21)_2013-11-10

    사람은 누구나 무엇인가 자기에게 도움을 주고 해답을 줄 자를 찾는 경향이 있다. 자기보다 더 훌륭한 사람들의 가르침이나 교훈을 배우고 싶은 것이다. 예수님 당시 니고데모는 유대인으로서 산헤드린공회원이면서 랍비였지만 그래도 배우고 싶은 열망이 대단...
    Date2014.10.05 By갈렙 Views1440
    Read More
  12. 실습이 곧 시작이다(눅10:1-20)(장자권을어떻게사용하며어디에적용할것인가?)_2014-01-19

    복음서에 보면 예수님에게 70명의 제자들이 있었다는 사실은 오직 누가복음에서만 나온다. 사복음서가 공히 12제자들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만, 누가복음 외에는 70명의 제자들에 관하여 언급하지 않는다. 자신의 공생애 2년 반이 지난 어느날, 예수께서는 ...
    Date2014.10.05 By갈렙 Views1461
    Read More
  13. 기적을 이루는 소리(막10;46-52)_2014-01-05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그리스도인들은 하늘의 장자권을 소유한 하나님의 백성들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자녀들은 사물과 사람과 타락한 영적 피조물에 대해서 명령하고 선포할 수 있는권리를 가지고 있다. 그들에게 기록된 말씀을 선포하여 들려주고, 그들에...
    Date2014.10.05 By갈렙 Views1468
    Read More
  14. 성도가 거짓된 가르침에 흔들리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계2:24-29)_거짓된 가르침에 대한 분별력

    지금 우리는 어느 시대에 살고 있을까? 예수께서 종말이 오리라고 약속했던 바로 그 근방에 살고 있다. 왜냐하면 이스라엘을 상징하는 무화과나무가 싹을 낸지 벌써 68년이 지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때가 되면 인자가 문앞에 이른 줄 알라고 하셨기 때문이다...
    Date2015.01.04 By갈렙 Views1474
    Read More
  15. 지금은 신앙고백의 틀을 바꿀 때(계1:9-20)_2014-07-27

    지금은 벌써 배도의 시대에 접어드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벌써부터 드러내놓고 루시퍼를 섬기며, 성경말씀을 조롱하고 있기 때문이다. 천주교에서는 더욱 그렇다. 지난 4월 18일 천주교 바티칸의 한 추기경은 "재림에 대한 말씀은 예수께서 취중...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91
    Read More
  16. 회개를 가로막고 있는 로마카톨릭(왕하22:8-20)_2014-08-24

    오늘날 천주교인들이 실제로 마리아를 숭배하고 교황을 그리스도의 대리자를 넘어 흠숭의 단계에까지 숭배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그렇게 하고 있다고 해서 지옥에 가는 것이 아니다. 천주교인들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다른 데에 있다. 천주교는 한 번 발을 ...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95
    Read More
  17. 내 백성이여 거기에서 나오라(창19;12-29)_2013-11-03

    내 자녀가 스스로는 도저히 빠져나올 수 없는 곳에 빠져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럴 때 여러분은 어떻게 하겠는가? 그를 거기서 강제로라도 끄집어 내는 것이 옳은 것인가? 아니면 그를 위하여 눈물로 중보기도해야 옳은가? 창세기 19장의 롯의 소돔성 탈출사건...
    Date2014.10.05 By갈렙 Views1495
    Read More
  18. 보배로운 그리스도의 피(출12;21-28)_2014-03-16

    예수께서는 원래 하나님이셨다. 그런데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한 희생제물이 되시기 위해 이 세상에 육신을 입고 들어오시었다. 그리고 사53장의 고난받는 종으로서 십자가에서 죽으셨다. 그리고 승천하셨다. 그렇다면, 예수께서 육체적으로 우리에게 남기고...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97
    Read More
  19.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사람입니까?(2)_2014-04-06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존재일까? 그것은 한 마디로 하나님의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사랑스러운 존재이다(사43:4). 왜냐하면 그분께서 인간을 창조할 때에 처음부터 그렇게 창조하셨기 때문이며(창127~28),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당신의 아...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08
    Read More
  20. 어떻게 해야 제대로 된 회개인가(눅15:11-24)_2014-06-15

    믿는 자들은 과연 어떻게 회개해야 그것이 진짜 회개다운 회개이며 그것이 결국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를 받는 회개가 되는 것일까? 우리 믿는 자들의 보통 생각으로는 회개라 하면 자신이 지은 죄를 반성하고 다시는 그러한 죄를 짓지 않겠다고 의지적으로 결단...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