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utqE2HSmUlg
날짜 2014-04-06
본문말씀 요한일서2:29-3:3(신약 390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존재일까? 그것은 한 마디로 하나님의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사랑스러운 존재이다(사43:4). 왜냐하면 그분께서 인간을 창조할 때에 처음부터 그렇게 창조하셨기 때문이며(창127~28),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당신의 아들의 목숨의 내놓셨기 때문이다(롬5:8).
  그렇다면 하나님께서는 왜 우리를 위해 자신을 그토록 희생하신 것일까? 그리고 그분의 말할 수 없는 사랑을 받은 우리들은 과연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일까?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첫번째로 살펴볼 것은 하나님께서는 왜 죄인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요일3:1에 보면 요한사도는 그 질문에 답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감탄사로서 그 답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요일3:1)" 그렇다. 그분은 왜 우리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으셨던 것일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스스로에게 날마다 물어보아야 한다.
  그런데 제가 찾아낸 답이 하나 있다. 그것은 성령께서 제 마음 가운데서 떠오르게 한 영화에서 찾아낼 수 있었다. 그것은 1998년에 나온 <라이언 일병 구하기>라는 영화에서다. 거기에 보면, 2차세계대전 중 연합군 소속의 밀러라는 대위가 등장한다. 안타깝게도 그는 2차대전을 치르면서 무려 94명의 부하들의 죽음을 자신의 눈으로 목도한다. 그리고 그는 마지막에 그들의 죽음 앞에 자신의 해답을 찾아서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한다. "내 부하 94명의 죽음으로 인하여 20배의 사람들을 살릴 수 있었으니 나는 지금 가치있는 일을 하고 있어!" 그런데 어느날 그에게 놀라운 특명이 내려진다. 그것은 2차대전 중에 4명의 아들 중에서 3명의 아들들을 잃어버린 어느 과부의 막내아들을 찾아내어 그를 집으로 돌려보내라는 것이었다. 밀러 대위는 죽음 앞에서 생사고락을 같이 했던 한 상사와 몇몇의 부하들을 데리고 적진의 한 복판으로 이동한다. 목적은 한 가지다. 제임스 라이언 일병을 찾아내어 안전하게 집으로 귀가시키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일병을 찾으러가면서 또 부하들을 잃게 된 대위는 자신에게 끊임없이 되묻는다. "정말, 다른 대원들을 희생시켜서라고 이 라이언 일병을 구출해 내는 것이 과연 가치있는 일인가?" 천신만고 끝에 라이언 일병을 찾아내지만, 그는 도리어 다른 동료들을 놔둔채 그 전쟁터를 떠날 수 없다고 한다. 결국 라이얼 일병과 함께 남게된 밀러대위는 적군과 최후의 일전을 벌이는데, 그때 그는 전사하게 된다. 그런데 그가 죽어가면서 라이언 일병에게 남긴 말이 무엇인 줄 아는가? "라이언, 꼭 살아서 돌아가! 그리고 잘 살아야 해! 너를 구하기 위해 나의 생명과 같은 대원들이 희생됐어! 그러니 내 몫과 그들의 몫까지 살아줘!"
  그렇다. 왜 주님은 우리를 위해 자신을 그토록 희생하신 것일까? 그것은 오직 한 가지다. 그분은 우리로 하여금 당신 목숨을 주고 우리를 구원해 준 만큼 우리가 거기에 부응하는 삶을 살아주기를 바래서이다. 이것이야말로 그분의 희생에 누가 되지 않는 삶을 사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낭비해서는 아니 된다. 우리 자신을 죄에 방임해서도 아니된다. 주님께서 어떤 목숨을 주고 바꾼 것인데 함부로 써서 되겠는가? 이제부터는 우리 자신을 결코 함부로 내팽개친 상태로 살자 말라. 자신의 인생을 쓰레기처럼 만들지 말라. 그분의 희생이 헛되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기 때문이다. 죄에게 함부로 자신을 맡기지 말라. 오히려 우리는 거룩하고 흠없는 삶을 통해 그분의 희생에 걸맞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것이 우리를 향해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희생하신 주님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다.
  베드로 사도는 말한다. "너희가 음란과 정욕과 술취함과 방탕과 향락과 무범한 우상수애를 하여 이방인의 뜻을 따라 행한 것은 지나간 때로 족하도다(벧전4:3)"
  그런데 우리의 삶은 어떠한가? 개가 토한 것을 도로먹고, 돼지가 씻었다가 더러운 구덩이에 도로눕고 있는 사람이 아닌가? 이제는 그렇게 살지 말라. 주님의 목숨을 그렇게 값어치가 없게 만들지 말라. 그분의 희생을 욕되게 하지 말라. 그러라고 주님께서 당신의 고귀한 목숨을 내놓으신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는 더이상 방탕한 삶에 자신을 내어맡기지 말라. 깨끗하고 거룩한 삶을 살라. 그분의 목숨에 비례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그후 제임스 라이언은 50년이 지난 뒤 밀러 대위의 무덤을 찾아서 이렇게 말한다. "대위님, ㄷ리에서 하신 말씀을 매일 생각했죠? 최대한 잘 살아보려고 노력했고 그렇게 살아왔습니다. 최소한 대위님의 눈에 대위님의 희생이 헛되지 않기를 바랬습니다." "여보, 나 어떻게 살았지? 훌륭히 살아왔다고 말해줘!" "당신은 훌륭해요" 우리도 이런 말을 주님께 다시 되돌려 드리자.

2014-04-06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사람입니까2(요일2;28-3.jpg




  1. 그리스도인이 되었음에도 왜 저주가 끝나지 않는가(신28;15-19 45-46)_2014-03-23

    어딘가에 가서 들어보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순간 믿는 자들은 온갖 저주에서 해방받는다고 한다. 그러니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 아래에 가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이미 죄가 사함받았음을 선언하고 그때까지 자신과 자신의 가문에 저주를 가져오는 모든 대...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71
    Read More
  2.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사람입니까(사43;1-7)_2014-03-30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구원하실 때에 어떤 존재로 구원해 주셨는지 아는가? 우리는 주님이 보시기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사랑받을만한 존재로 구원해 주셨다(사43:4). 그러므로 우리가 우리를 판단하는 기준은 결코 우리의 행위들이 되어서는 아니된다. 우리가 ...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34
    Read More
  3.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사람입니까?(2)_2014-04-06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존재일까? 그것은 한 마디로 하나님의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사랑스러운 존재이다(사43:4). 왜냐하면 그분께서 인간을 창조할 때에 처음부터 그렇게 창조하셨기 때문이며(창127~28),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당신의 아...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08
    Read More
  4. 놀라운 그 이름 예수(막16:17-18)_2014-04-13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열 한 제자들에게 나타나 말씀하셨다. "이제 너희들은 내 이름으로 가서 귀신을 쫓아내며 병든 자를 고치라. 이는 결단코 너희를 해칠 자가 없기 때문이니라(막16:14-18)" 대체 예수님의 이름에 어떤 권세가 있고 어떤 능력이 들어있길래,...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833
    Read More
  5. 생명의 부활에 이를 자(빌3:10-14)_2014-04-20

    이렇게도 슬픈 부활절이 또 있을까? 지금 전국적으로는 슬픔이 가득하다. 꽃다운 우리의 아이들이 저 진도 앞바다에 가라앉은지 벌써 나흘이 되었지만 240여명의 소식이 캄캄하기 때문이다. 지난 수요일 476년의 탑승객을 태운 6천톤급 세월호가 인천에서 제주...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74
    Read More
  6. 더 가치 있는 죽음(살전4;13-18)_2014-04-27

    지지난주 수요일(16일)에 있었던 여객선 세월호의 침몰사건으로 인해 온 나라가 슬픔에 싸여 있다. 다른 사람의 생명은 안중에도 없이 자기만 탈출했던 선장과는 다르게 그 위험한 순간에도 자신의 온 몸을 던져 배에 남겨진 다른 사람을 구하다가 인생을 마친...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20
    Read More
  7. 어버이를 공경하는 자란 과연 어떤 사람인가(창9;20-29)_2014-05-04

    노아는 참으로 특별한 사람이다. 그는 500세가 되도록 자녀를 낳지 않고 지냈다. 그리고 500세 이후에 세 명의 아들들만을 낳았는데, 그 후로 또한 자식을 낳지 않았다. 이런 일은 그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는 일이었다. 노아는 약 7-80년동안 방주를 지...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15
    Read More
  8. 참된 제자의 3대 요건(왕하2;1-14)_2014-05-11

    스승의 주일이다. 스승의 주일처럼 설교하기 어려운 주일은 아마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스승의 주일에는 제자가 스승에게 어떻게 하는 것인가를 설교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 교회에서 영적으로 앙떼를 지도해야 할 위치를 가지고 있는 담임목사로서 성도들에...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11
    Read More
  9. 무너지지 않는 신앙(마7;13-27)_2014-05-18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만의 신앙의 집을 짓는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집을 짓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또 저렇게 집을 짓기도 한다. 그러나 찬찬히 살펴보면 그들이 집을 짓기 위해 사용한 재료가 각각 다름을 알 수 있으며, 집을 짓는 방식도 각각 다르다는 ...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28
    Read More
  10. 우리가 전해야 할 복음(천국복음이란 무엇인가?)(마24;3-14)_2014-05-25

    우리가 전해야 할 복음은 무엇일까?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복음이라면 다 똑같은 복음이지 우리가 믿어 받아들어야 하고 전파해야할 복음이 따로 있는가 하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도 알 때가 되었다. 우리가 전해야 할 복음은 천국복음이기 때문...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54
    Read More
  11. 천국에 초대받은 자들(눅14;15-24)_2014-06-01

    누가 과연 천국에 들어갈 수 있을까? 이신칭의의 복음을 듣고 내가 예수님을 믿었다고 들어갈 수 있을까? 그럴 수도 있다. 그가 그러한 믿음을 가지고 있을 때 그날 바로 죽는다면 말이다. 하지만 사람이 그 이상 살게 된다면 이신칭의의 복음에 머물러서는 아...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34
    Read More
  12. 천국에 이르는 두 개의 관문(마21;28-46)_2014-06-08

    과연 누가 천국에 들어갈 수 있는가? 눅14장과 마22장의 왕의 아들의 혼인잔치의 비유(눅14:15-24, 마22:1~10)를 보면, 천국잔치에 이미 초대받았던 자들 유대종교지도자들은 못 들어가고, 오히려 자격없고 비천한 신분의 소유자들이었던 버려진 유대인들과 이...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53
    Read More
  13. 어떻게 해야 제대로 된 회개인가(눅15:11-24)_2014-06-15

    믿는 자들은 과연 어떻게 회개해야 그것이 진짜 회개다운 회개이며 그것이 결국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를 받는 회개가 되는 것일까? 우리 믿는 자들의 보통 생각으로는 회개라 하면 자신이 지은 죄를 반성하고 다시는 그러한 죄를 짓지 않겠다고 의지적으로 결단...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15
    Read More
  14. 하나님이 기뻐하는 사람(왕하7:3-16)_2014-06-22

    하나님께서는 어떤 사람을 찾고 있을까? 하나님은 수많은 사람들 중에 어떤 사람을 기뻐하실까? 오늘 본문말씀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사회가 버린 사람들이다. 그들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로부터 저주받은 사람들이라고 불러졌고 따돌림 받아 때로는 침뱉음을 받...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21
    Read More
  15. 누구에게 감사할까?(시136:1-26)_맥추감사주일준비_2014-06-29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왜 감사하라고 명령하셨을까? 지나간 일은 지나간 일로 족한 것인데, 굳이 지나간 일들을 기억하면서 감사하라고 하신 이유는 또 무엇인가? 감사는 그때그때 하는 것이지 왜 절기가 되면 꼭 감사하라고 명령하셨을까? 좀 더 솔직...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41
    Read More
  16. 모든 신들 위에 뛰어난 주께 감사하라(시136:1-3, 97:7-9)_2014-07-06

    1. 순도 100%의 감사를 하려면 오늘은 맥추감사주일이다. 맥추감사주일은 이스라엘의 절기 가운데 감사의 시작의 절기이다. 이스라엘에 있어서 맥추감사주일은 보리를 거둬들이기 시작할 때 드리는 감사의 절기이다. 이때부터 시작된 추수는 가을추수인 장막절...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76
    Read More
  17. 이스라엘 백성들은 왜 바알신을 섬겼을까?(민25:1-9)_2014-07-13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왜 바알신을 섬겼을까요? 그들은 진정 바알신을 섬기게 되면 기근이 찾아오고 질병에 시달리며 이방인의 침입을 받아 곡물을 빼앗기고 자녀들은 노예로 끌려가게 되고 결국에는 나라가 패망한다는 사실을 정녕 모르고 그랬을까요? 아...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2076
    Read More
  18. 이 시대에 주님이 바라시는 교회(창립감사주일)(마16:18-19)_2014-07-20

    오늘은 우리교회가 일곱번째 맞이하는 생일날이다. 7년전에 이곳 동탄에서 창립예배를 드렸는데, 벌써 7년이란 세월이 지나갔다. 과연 우리 교회는 바르게 가고 있는 것일까? 과연 우리 교회는 세상 사람들이 보기에 꼭 필요한 교회인가? 아니면 있으나마나 한...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43
    Read More
  19. 지금은 신앙고백의 틀을 바꿀 때(계1:9-20)_2014-07-27

    지금은 벌써 배도의 시대에 접어드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벌써부터 드러내놓고 루시퍼를 섬기며, 성경말씀을 조롱하고 있기 때문이다. 천주교에서는 더욱 그렇다. 지난 4월 18일 천주교 바티칸의 한 추기경은 "재림에 대한 말씀은 예수께서 취중...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91
    Read More
  20. 구원에 있어서 비중있게 다뤘어야 했던 것(행15:13-29)_2014-08-03

    성도가 실제로 교회생활을 하게 될 때 그는 교회에서 어떤 것을 요구받게 되는가? 예를 들어, 어떤 교회에서는 제자훈련이나 양육코스를 밟아야 된다고 가르칠 것이다. 또 어떤 교회에서는 성령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가르칠 것이며 또 어떤 교회에서는 주일성...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3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