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4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SFEz5GWQGGU
날짜 2014-03-16
본문말씀 출애굽기 12:21-28(구약 99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예수께서는 원래 하나님이셨다. 그런데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한 희생제물이 되시기 위해 이 세상에 육신을 입고 들어오시었다. 그리고 사53장의 고난받는 종으로서 십자가에서 죽으셨다. 그리고 승천하셨다. 그렇다면, 예수께서 육체적으로 우리에게 남기고 간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피와 물 뿐이다(요19:34). 33년반에 입으셨던 육체는 부활하실 때에 그 몸을 그대로 가지고 가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분이 부활체를 입기 전, 육체의 부분 중에서 남은 것은 오직 물과 피이다. 오늘은 예수께서 이 땅에 남김없이 주시고 간 그분의 피에 대해 살펴보겠다.
  '피'의 이야기는 창세기부터 시작된다(창3:21). 아담과 하와의 범죄 후에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에게 가죽옷을 지어 입히셨다. 아담과 하와를 보호하기 위해 어린 양이 대신 죽은 것이다. 그리고 아벨의 제사를 통해 양의 첫새끼와 그 기름으로 드린 희생제사를 받으셨다. 하나님께서는 피의 희생제사를 통해 사람이 지은 죄를 용서하시겠다는 것을 알려주신 것이다. 
  그러다가 피의 이야기의 결정체는 B.C.1446년경에 나왔다. 이스라엘 민족이 출애굽하기 전날밤 유월절제사에 피를 사용하라 하셨기 때문이다. 그때 하나님은 애굽에 있는 모든 사람과 가축이 초태생을 죽이는 재앙을 애굽전역에 내리시기로 결정하셨다. 그러므로 이스라엘 사람이라 할지라도 자신의 장자가 죽지 않고 살려면 유월절 예식을 치르라 하셨다. 1월 14일 해질녘에 그래서 집집마다 어린 양이 죽었다. 그때 하나님께서 그날 밤 죽음의 천사를 애굽전역에 보낼 것인데, 하나의 표식을 하라고 하셨다. 그것은 어린 양의 피를 집의 문 인방와 좌우설주에 바르라고 하셨다. 그리고 그 다음날 아침까지는 그 집 밖으로 나오지 말라고 하셨다. 그러면 죽음의 천사가 그 집을 넘어갈 것이라고 하셨다.
  그런데, 그 말을 건성으로 듣거나 그 말씀대로 하기 싫어하는 사람이 없었을까? 어떤 사람은 피곤해서 또한 아픈 사람이 있어서 어린 양의 피를 바르지 않은 집도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급한 환자가 생겨 집을 떠나 의원을 찾아가야 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그 집안에서 호곡소리가 났을 것이다. 하지만 애굽인 장자로서 피를 바른 그 집 안에 머무른 애굽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어떻게 되었을까? 그 장자는 죽지 않았을 것이다.
  주님은 전능하신 하나님으로서 심판의 기준을 당신이 직접 세우신다. 그리고는 그 말씀을 그대로 이루신다. 우리에게 어린 양의 피 아래에 머무르라 말씀하신다. 그러면 그 표식 때문에 사망권세로부터 보호해주시겠다고 약속하셨다.
  그렇다면, 왜 장자죽음을 면하게 해 줄 표식으로서 어린 양의 피를 사용하라 하셨을까? 그것은 한 마디로 장차 온 인류의 대속물로 오실 메시야가 어린양이 되시어 피흘려 죽으실 것을 미리 알려주시기 위함이었다(벧전1:18-19, 요1:29, 고전5:7).
  하나님은 왜 그리도 미련하게금 당신 자신이 피흘려 죽으실 것을 선택하신 것일까? 하나님의 사랑은 사실 측량할 길이 없다. 다른 방법을 사용하셔도 될 것을 하나님은 당신이 대신 죽는 방법을 선택하신 것이다. 죄는 우리가 지었는데 죄없는 하나님이 죽으시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래도 예수님의 이 대속의 사건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하나님께서 이 보다 더 큰 사랑을 보여줄 수가 있을까? 하지만 인간은 강팍하고 고집스럽다. 그렇게 하겠다고 아담의 타락직후부터 수천년동안 미리 보여주셨고, 이스라엘 민족으로 그 일을 경험하게 해 주었고, 직접 오셔서 유월절 하루 전날 성만찬예식을 통해 당신이 유월절 양으로 죽으실 것을 말씀하셨건만 사람들은 이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믿음이란 무엇인가? 자신의 영혼에 예수님의 피를 바르는 것이다. 그 언약 안에 머무르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내민 사랑의 손길을 뿌리치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서 하나님께서 하신 일을 내 죄를 속죄하기 위함이며 사망권세를 이기게 하는 것임을 믿는 것이다. 그러면 거기에 용서가 있고 구원이 있다. 그리고 천국이 있다.

2014-03-16 보배로운 그리스도의 피(출12.jpg




  1. 보배로운 그리스도의 피(출12;21-28)_2014-03-16

    예수께서는 원래 하나님이셨다. 그런데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한 희생제물이 되시기 위해 이 세상에 육신을 입고 들어오시었다. 그리고 사53장의 고난받는 종으로서 십자가에서 죽으셨다. 그리고 승천하셨다. 그렇다면, 예수께서 육체적으로 우리에게 남기고...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97
    Read More
  2. 그리스도인이 되었음에도 왜 저주가 끝나지 않는가(신28;15-19 45-46)_2014-03-23

    어딘가에 가서 들어보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순간 믿는 자들은 온갖 저주에서 해방받는다고 한다. 그러니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 아래에 가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이미 죄가 사함받았음을 선언하고 그때까지 자신과 자신의 가문에 저주를 가져오는 모든 대...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72
    Read More
  3.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사람입니까(사43;1-7)_2014-03-30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구원하실 때에 어떤 존재로 구원해 주셨는지 아는가? 우리는 주님이 보시기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사랑받을만한 존재로 구원해 주셨다(사43:4). 그러므로 우리가 우리를 판단하는 기준은 결코 우리의 행위들이 되어서는 아니된다. 우리가 ...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34
    Read More
  4.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사람입니까?(2)_2014-04-06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존재일까? 그것은 한 마디로 하나님의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사랑스러운 존재이다(사43:4). 왜냐하면 그분께서 인간을 창조할 때에 처음부터 그렇게 창조하셨기 때문이며(창127~28),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당신의 아...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08
    Read More
  5. 놀라운 그 이름 예수(막16:17-18)_2014-04-13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열 한 제자들에게 나타나 말씀하셨다. "이제 너희들은 내 이름으로 가서 귀신을 쫓아내며 병든 자를 고치라. 이는 결단코 너희를 해칠 자가 없기 때문이니라(막16:14-18)" 대체 예수님의 이름에 어떤 권세가 있고 어떤 능력이 들어있길래,...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833
    Read More
  6. 생명의 부활에 이를 자(빌3:10-14)_2014-04-20

    이렇게도 슬픈 부활절이 또 있을까? 지금 전국적으로는 슬픔이 가득하다. 꽃다운 우리의 아이들이 저 진도 앞바다에 가라앉은지 벌써 나흘이 되었지만 240여명의 소식이 캄캄하기 때문이다. 지난 수요일 476년의 탑승객을 태운 6천톤급 세월호가 인천에서 제주...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75
    Read More
  7. 더 가치 있는 죽음(살전4;13-18)_2014-04-27

    지지난주 수요일(16일)에 있었던 여객선 세월호의 침몰사건으로 인해 온 나라가 슬픔에 싸여 있다. 다른 사람의 생명은 안중에도 없이 자기만 탈출했던 선장과는 다르게 그 위험한 순간에도 자신의 온 몸을 던져 배에 남겨진 다른 사람을 구하다가 인생을 마친...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20
    Read More
  8. 어버이를 공경하는 자란 과연 어떤 사람인가(창9;20-29)_2014-05-04

    노아는 참으로 특별한 사람이다. 그는 500세가 되도록 자녀를 낳지 않고 지냈다. 그리고 500세 이후에 세 명의 아들들만을 낳았는데, 그 후로 또한 자식을 낳지 않았다. 이런 일은 그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는 일이었다. 노아는 약 7-80년동안 방주를 지...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15
    Read More
  9. 참된 제자의 3대 요건(왕하2;1-14)_2014-05-11

    스승의 주일이다. 스승의 주일처럼 설교하기 어려운 주일은 아마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스승의 주일에는 제자가 스승에게 어떻게 하는 것인가를 설교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 교회에서 영적으로 앙떼를 지도해야 할 위치를 가지고 있는 담임목사로서 성도들에...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11
    Read More
  10. 무너지지 않는 신앙(마7;13-27)_2014-05-18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만의 신앙의 집을 짓는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집을 짓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또 저렇게 집을 짓기도 한다. 그러나 찬찬히 살펴보면 그들이 집을 짓기 위해 사용한 재료가 각각 다름을 알 수 있으며, 집을 짓는 방식도 각각 다르다는 ...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28
    Read More
  11. 우리가 전해야 할 복음(천국복음이란 무엇인가?)(마24;3-14)_2014-05-25

    우리가 전해야 할 복음은 무엇일까?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복음이라면 다 똑같은 복음이지 우리가 믿어 받아들어야 하고 전파해야할 복음이 따로 있는가 하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도 알 때가 되었다. 우리가 전해야 할 복음은 천국복음이기 때문...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54
    Read More
  12. 천국에 초대받은 자들(눅14;15-24)_2014-06-01

    누가 과연 천국에 들어갈 수 있을까? 이신칭의의 복음을 듣고 내가 예수님을 믿었다고 들어갈 수 있을까? 그럴 수도 있다. 그가 그러한 믿음을 가지고 있을 때 그날 바로 죽는다면 말이다. 하지만 사람이 그 이상 살게 된다면 이신칭의의 복음에 머물러서는 아...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34
    Read More
  13. 천국에 이르는 두 개의 관문(마21;28-46)_2014-06-08

    과연 누가 천국에 들어갈 수 있는가? 눅14장과 마22장의 왕의 아들의 혼인잔치의 비유(눅14:15-24, 마22:1~10)를 보면, 천국잔치에 이미 초대받았던 자들 유대종교지도자들은 못 들어가고, 오히려 자격없고 비천한 신분의 소유자들이었던 버려진 유대인들과 이...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53
    Read More
  14. 어떻게 해야 제대로 된 회개인가(눅15:11-24)_2014-06-15

    믿는 자들은 과연 어떻게 회개해야 그것이 진짜 회개다운 회개이며 그것이 결국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를 받는 회개가 되는 것일까? 우리 믿는 자들의 보통 생각으로는 회개라 하면 자신이 지은 죄를 반성하고 다시는 그러한 죄를 짓지 않겠다고 의지적으로 결단...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15
    Read More
  15. 하나님이 기뻐하는 사람(왕하7:3-16)_2014-06-22

    하나님께서는 어떤 사람을 찾고 있을까? 하나님은 수많은 사람들 중에 어떤 사람을 기뻐하실까? 오늘 본문말씀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사회가 버린 사람들이다. 그들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로부터 저주받은 사람들이라고 불러졌고 따돌림 받아 때로는 침뱉음을 받...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21
    Read More
  16. 누구에게 감사할까?(시136:1-26)_맥추감사주일준비_2014-06-29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왜 감사하라고 명령하셨을까? 지나간 일은 지나간 일로 족한 것인데, 굳이 지나간 일들을 기억하면서 감사하라고 하신 이유는 또 무엇인가? 감사는 그때그때 하는 것이지 왜 절기가 되면 꼭 감사하라고 명령하셨을까? 좀 더 솔직...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41
    Read More
  17. 모든 신들 위에 뛰어난 주께 감사하라(시136:1-3, 97:7-9)_2014-07-06

    1. 순도 100%의 감사를 하려면 오늘은 맥추감사주일이다. 맥추감사주일은 이스라엘의 절기 가운데 감사의 시작의 절기이다. 이스라엘에 있어서 맥추감사주일은 보리를 거둬들이기 시작할 때 드리는 감사의 절기이다. 이때부터 시작된 추수는 가을추수인 장막절...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576
    Read More
  18. 이스라엘 백성들은 왜 바알신을 섬겼을까?(민25:1-9)_2014-07-13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왜 바알신을 섬겼을까요? 그들은 진정 바알신을 섬기게 되면 기근이 찾아오고 질병에 시달리며 이방인의 침입을 받아 곡물을 빼앗기고 자녀들은 노예로 끌려가게 되고 결국에는 나라가 패망한다는 사실을 정녕 모르고 그랬을까요? 아...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2077
    Read More
  19. 이 시대에 주님이 바라시는 교회(창립감사주일)(마16:18-19)_2014-07-20

    오늘은 우리교회가 일곱번째 맞이하는 생일날이다. 7년전에 이곳 동탄에서 창립예배를 드렸는데, 벌써 7년이란 세월이 지나갔다. 과연 우리 교회는 바르게 가고 있는 것일까? 과연 우리 교회는 세상 사람들이 보기에 꼭 필요한 교회인가? 아니면 있으나마나 한...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643
    Read More
  20. 지금은 신앙고백의 틀을 바꿀 때(계1:9-20)_2014-07-27

    지금은 벌써 배도의 시대에 접어드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벌써부터 드러내놓고 루시퍼를 섬기며, 성경말씀을 조롱하고 있기 때문이다. 천주교에서는 더욱 그렇다. 지난 4월 18일 천주교 바티칸의 한 추기경은 "재림에 대한 말씀은 예수께서 취중...
    Date2014.10.05 By관리자 Views14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Next
/ 29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