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설교요약>

1.서론
설명절은 우리민족 고유의 풍속이다. 언제부턴가 이것이 조상제사와 결합하여 마치 조상에게 제사드리는 것이 설명절을 지키는 것으로 탈바꿈되어버렸다. 그러나 수백년간 이어져 내려오다보니 왜 설 때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야 하는지 이유도 모른 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오늘은 우상숭배의 어리석음과 오직 예수님만이 하나님이라는 신앙고백의 중요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2. 본문말씀 요약 및 문제제기
오늘 본문 말씀은 사도바울이 고린도교회 성도들에게 영적인 것이라고 해서 무조건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예수님에 대한 신앙고백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는 말씀이다.
사도바울은 어떻게 되어서 영적인 일들에 대해서 그냥 수용하지 말라고 경고했을까?

조상들이 대대로 해온 영적인 일이라면 입다물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아닌가?

왜 사도바울은 영적인 은사보다도 예수님에 대한 신앙고백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을까?
3. 본문 배경
오늘 본문 말씀은 A.D.55년경 3차전도여행 중 바울이 고린도교회를 위해 쓴 첫 번째 편지다. 바울은 고린도 성도들에게 겪고있는 수많은 문제들 가운데 영적인 은사에 관해 말한다. 영적인 것이라고 남들이 하는대로 그대로 끌려가면 안 된다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과 의지를 사용한 신앙고백이 중요한데, 그것이야말로 말하게 하시는 성령의 가장 중요한 사역이라고 언급한다.
4. 문제해결
가. 고린도는 어떤 지역이었으며, 고린도교회의 영적 상태는 어떠했는가
?
신약시대 고린도는 B.C.27년 아가야라는 로마행정구역의 수도가 되었고, 무역으로 부자가 된 인구 75만명의 거대 항구도시였다. 그러니 도덕보다는 물질과 부를 더 찬양하게 되었고, 항구도시에 흔히 볼 수 있는 우상숭배와 퇴폐적인 음행이 성행하였다. 일명, 타락의 도시의 대명사였다.
물질과 음란의 도시였던 고린도에 바울일행이 도착하여 전도한 끝에 여러 명의 교인을 얻었고, 주께서 환상 중에 “침묵하지 말로 말하라(행18:9)”는 음성을 듣고 1년 6개월간 머물며 그들을 가르쳤다. 그랬더니 그곳에서는 다른 교회보다도 영적인 은사가 아주 다양하게 나타났다. 
나. 영적인 것들에 대한 고린도교회의 판단의 기준은 무엇이었나?
고린도교회는 여러 은사들을 매우 자랑했는데, 그중에서도 방언의 은사를 매우 자랑했다. 그러자 사도바울은 영적인 은사라고 해서 그것을 무조건 신령한 것이라고 따라가지 말고, 말 못하는 우상이 아닌, 말하게 하시는 성령의 인도를 따라서 행하는 신앙고백이 중요하다고 했다. 특히 당시에 유대인이나 이방인들에게 주님은 여호와였고 황제였지만, 성령의 인도를 받은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고백하는 것이 가장 완벽한 성령의 사역의 결과라는 것이다.
다. 오늘날 우리 성도들은 어떠한가?
우리나라도 영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남다른 국가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영적인 것이라면 무턱대고 물어도 보지 않고 수용하는 습관들이 있다. 심지어 기독교인들도 명절이 되면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있으며, 아예 명절을 피해서 도망치는 경우가 많다. 아니다. 그렇게 해서는 아니 된다. 영적인 분별력으로 바르게 판단하고 주체적으로 바른 신앙고백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영적 법칙
믿음이란 자신들이 주체적으로 결정하기도 전에 어떤 힘에 의해 강제로 사로잡혀가는 것이 아니다.

믿음이란 영적인 것이라고 해서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정확이 알아보고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믿음이란 자신의 입으로 주체적으로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시인하는 것이다. 이런 사람이 바로 성령의 가장 바른 인도를 받고 있는 자이다.
6. 복과 결단
결국 고린도교인들은 바울의 가르침을 받아 성령의 은사가 어떤 의미인지를 알게 되었고, 예수님을 자기의 주님(하나님)으로 고백하는 것을 가장 귀하게 여기게 된다.


<명령과선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 내 사전에 거짓을 용납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살후2:10~13)_2017-05-14 갈렙 2017.05.13 276
135 징계받은 민족의 자유와 해방은 언제 실현될까?(겔36:16~25)_2018-05-06 갈렙 2018.05.05 276
134 인자가 안식일의 주인이라는 의미는?(마11:28~12:8) 갈렙 2018.04.14 282
133 고난이 유익이라(시119:67~71)_2017-07-23 갈렙 2017.07.22 286
132 성령이 내게 오신 증거와 지혜의 상관관계(고전2:10~14)_2019-04-07 갈렙 2019.04.06 289
» 우상숭배와 하나님을 섬기는 것의 차이(고전12:1~3)_2017-01-29 갈렙 2017.01.28 291
130 (날 때부터) 소경으로 (태어)난 것에 대한 주님의 진단과 평가(요9:1~3)_2017-11-19 갈렙 2017.11.19 291
129 사탄마귀가 사용하는 2가지 범죄방식은 무엇인가?(시51:3~5,대상21:1)_2018-02-04 갈렙 2018.02.03 291
128 누가 진정 복있는 자일까?(마5:3~12)_2017-05-28 갈렙 2017.05.27 293
127 왜 사람들은 신천지의 성경해석 쉽게 빠져버릴까?(마13:34~36)_2020-03-01(주일) 갈렙 2020.02.29 294
126 우리가 싸워서 승리해야 할 곳은 교회가 아니다(요16;25~33)_2017-04-09 갈렙 2017.04.08 299
125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주기도문강해1)_2019-09-01(주일) 갈렙 2019.08.31 299
124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게 할 수 있나?(요11:39~44)_2017-02-12 갈렙 2017.02.11 315
123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는가?(롬3:9~18)_2017-05-21 갈렙 2017.05.20 315
122 안디옥교회, 그 놀라운 역사적인 이야기(행13:1~3)_2017-04-30 갈렙 2017.04.29 316
121 누가 과연 메시야를 경배할 수 있을까?(마2:1~12)_2016-12-11 갈렙 2016.12.10 319
120 믿음은 언제 진짜 효력을 발휘할까?(롬4:11상반절)_2016-11-13 갈렙 2016.11.12 327
119 성령을 근심하게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엡4:30)-2017-10-15 갈렙 2017.10.14 327
118 죽음 앞에 선 자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눅23:39~43)_2016-11-27 갈렙 2016.11.26 329
117 기록된 이름과 지워지는 이름(골4:1~3)_2018-01-14 갈렙 2018.01.13 329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5 Next
/ 25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