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s://youtu.be/T8IthrsQjS4
날짜 2015-07-29
본문말씀 사도행전22:30~23:11(신약 227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산헤드린 공회, 사두개인과 바리새인, 돈과 명예, 이중적인 삶과 위선자, 바울의 변호, 사도행전강해

  신약성경을 읽어가다보면 가장 궁금한 사람들이 갑자기 나온다. 그들이 누구일까? 그들은 바로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이다.그런데 그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소개되지도 않았는데 세례요한으로부터 "독사의 자식들아(마3:7)"라고하는 책망을 들었던 자들이다. 아울러 예수님으로부터 "뱀들아, 독사의 새끼들아, 너희가 어떻게 지옥의 판결을 피하겠느냐?"(마23:33)"이라고도 책망을 들었던 자들이다. 오늘 이 시간은 바울의 산헤드린공회의 변호를 통해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의 정체를 살펴보고, 과연 하나님 앞에서 우리들은 어떠한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를 생각해보기로 하자.

  사실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곳은 마태복음 3장이다. 그런데 이들은 소개도 없이 갑자기 등장한다. 그래서 마태복음 이전에 기록된 구약성경말씀에 이들에 대한 기록이 있지는 않을까 하여 찾아보지만 역시 그들이 누군인지에 대해 구약성경도 일체 말하지 않는다. 대체 이들은 누구이며 어떻게 해서 생겨난 집단인 것인가? 왜 신약성경에 갑자기 등장하여, 예수님을 을 대적하고 핍박하다가 결국에 예수님을 죽이는 세력이 되어버린 것일까? 

  그런데 우리는 사도행전 23장을 통해서, 이들이 산헤드린공회의 회원들이라는 사실 즉 산헤드린공회를 이루는 두 종류의 유대교 종파인 것을 발견하게 된다(행23:6). 사실 이들이 누군지를 알려면 상당한 노력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이들은 구약의 말라기선지자 이후 그리고 예수님의 등장 이전에 세력을 형성했던 자들이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가 가진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사이에는 사실 약 400년이라는 공백기간이 들어있다. 즉 구약의 마지막 책인 말라기서와 신약의 첫 책인 마태복음 사이에는 종이 한 장의 짦은 시간이 아니라 약400년이라는 긴 시간의 간격이 끼어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시기에는 예언자도 없었던 모양이다. 더 이상 이스라엘이 저지르고 있는 우상숭배와 불순종의 죄를 책망하는 선지자도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때 갑자기 광야에 한 선지자가 등장하여 이스라엘을 책망하기 시작한다. 그는 바로 세례요한이었다. 그는 이스라엘을 향하여 회개하라고, 천국이 가까이왔다고 강력히 외친다(마3:2). 그런데 놀랍게도 이스라엘 백성들이 세례요한에게 나아가더니, 모두들 요단강에서 회개의 세례를 받는다. 그들은 금방 그날이 도래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던 것이다. 다시 말해 메시야의 출현이 임박했음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구약의 말라기서에 나오는예언자 즉 메시야의 오실 길을 예비하라고 보냄을 받은 자가 곧 세례요한이라는 것을 알아차린 것이다(말3:1). 

  그때였다. 세례요한에게 세례를 받으러 나온 무리중에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도 끼어 있었던 것이다. 그때 세례요한은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을 보고 호되게 책망을 한다. 겉으로만 세례받아 회개하는 척 하지 말고 진정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말이다(마3:8).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끝끝내 회개하지 않는다. 결국에는 메시야이신 예수님을 보고도 믿지 않았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이는 장본인들이 되고 만다. 그만큼 그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기득권을 내려놓으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즉 자신이 그동안 누려온 특권의식 즉 이스라엘의 종교지도자라는 칭호를 내려놓지 않았던 것이다.

  우리는 이상의 사실을 통해,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이 이스라엘의 양대 종교지도자 그룹에 속한 자들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이 신구약성경의 중간시기에 나타났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다.

  이제는 좀 더 사두개인들이 누군지에 대해 살펴보자. 이들은 다윗과 솔로몬시대에 대제사장직을 역임했던 사독가문의 후손들로서 제사장들과 대제사장들로 이루어진 거대한 유대종교분파이다. 이들은 B.C170년경 유대 하스모니안 왕조 때에 세력을 형성하여 거대한 유대종교분파를 차지한다. 다시말해, 유대인들의 3대표지가 바로 할례와 안식일과 성전이라면, 이들은 이것들 가운데 성전을 장악하고 있던 자들이었다. 하지만 당시 성전  안에는 법궤가 들어있지 않았다. 남유다 므낫세왕 때로 추정되는 어느 시기에 이미 법궤는 경건한 제사장들에 의해 어디론가 옮겨지고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년에 한번씩 지성소에 들어가는 대제사장들은 법궤가 성전 안에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법궤위 속죄소위에서 자신과 만나자고 했는데, 성전 안에 법궤가 없었으니, 이것은 곧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지성소 안에 법궤가 들어있지 않다는 것을 누가 들어가서 확인해 볼 수 있었겠는가? 그러니 사두개인들은 그와 같은 사실을 숨긴채, 이스라엘의 종교 한 부분인 동물의 희생제사를 담당하면서 종교지도자 행세를 행해왔던 것이다. 그러니 이들이 과연 하나님을 경외하는 가운데 자신의 직책을 수행할 수 있었을까? 그러므로 그들은 변질되고 말았다. 그들은 성전제사에 사용되는 제물들 즉 소나 양이나 염소, 비둘기 등을 팔 때에 수십배 뻥튀기하여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예수님시대에 "사두개인들"이라고 말하면 다들 부자들 혹은 돈많은 자들이라고 알고 있었다. 가장 경건해야 할 제사장그룹이었지만 이들은 대단히 돈에 눈이 어두운 사람들이 되어가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보이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믿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은 영이나 천사의 존재도 믿지 않았으며, 내세나 부활같은 것도 믿지 않았다. 또한 모세오경만을 성경으로 인정할 뿐이었다. 오직 눈에 보이는 것에만 집착했던 것이다.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는 제사장제도는 이렇게 타락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바울이 속해 있던 유대종교분파인 바리새인들은 또 어떤 집단이었을까? 바리새인들바리새분리하다. 구별하다를 뜻하는 히브리단어 파라쉬에서 유래된 분리된 자, 구별된 자라는 뜻을 지닌 또 하나의 유대교종교분파다. 그들은 하시딤이라 불려지던 B.C.4세기경의 종교개혁주장자들의 후예들로서, 특히 하시딤이 주동한 마카비혁명이후 하시딤파 중에 더욱 더 조직화된 분파가 B.C.170년경에 바리새파로 성장했다. 그들은 모세를 유대교창시자, 에스라를 유대교의 중흥자로서 존중했으며, 모세 율법은 물론 모세율법을 해석한 자신들의 전승까지도 동일한 권위가 있다고 믿었다. 또한 제사장들이 유대교를 장악하는 데에 반대하여 일부 의식과 율법을 자유롭게 해석했다. 이와 더불어 그들은 인간의 부활과 내세 그리고 천사와 마귀같은 영적 존재를 인정함으로써 사두개파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예수님으로부터 독사의 자식들이라고 책망을 들었던 자들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율법을 가르치고 해석해주기는 잘 했지만 정작 자신들은 율법에 기록된대로 살지 않았기 때문이다. 말만 하고 행동으로는 옮기지 않던 위선자들이었던 것이다. 회칠한 무덤과 같은 자들이었다. 우리는 종교를 이용하여 돈을 주인으로 섬기는 사두개인들이 되어서도 아니될 것이며, 영적인 세계와 세력을 인정할 뿐만 아니라 성경의 선생노릇을 했지만 오히려 행함이 없는 위선자로 살았던 바리새인들처럼 되어서도 아니 될 것이다.

  그런데 그 시간 바울은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로 구성된 산헤드린 공회 앞에서 심문을 받으려고 서 있었다. 탐욕스럽고 부정한 산헤드린의 의장격이었던 대제사장 아나니아는 바울을 보자마자 바울의 뺨을 때리도록 지시를 한다. 그러자 바울은 산헤드린공회가 정상적인 재판기구가 아닌 것을 알아차리고는 즉각 지혜를 발휘하여 그들의 정죄로부터 벗어난다. 다시 말해, 바울 자신은 바리새인으로서 죽은 자의 부활에 관해 심문을 받고 있다고 말한 것이다. 그러자 내세와 영과 천사와 부활을 믿고 있던 바리새인들이 금새 바울편이 되어서 바울을 변호해주는 것이 아닌가? 그리하여 바울은 산헤드린공회로부터 정죄를 받지 않고 로마에 가서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호송되기에 이른다. 앞으로 바울에게 또한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을까? 다음 주를 기대해보자.

 

2105-07-29 사도행전강해(40)_800.jpg

 

 

   

 

 

 

 

 

 

 

 

 


  1. 사도행전강해(47) 최종회_로마의 도착과 그곳에서의 복음전파(행28:16~31)

    사도행전의 역사적 기록은 우리 믿는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복음을 전파하며 그리고 무엇을 전해주어야 하는지를 정확히 가르쳐주고 있다. 특히 이방인들의 사도로 부르심을 받았던 바울은 자기가 받은 복음을 고스란히 유대인들과 임금들과 이방인들에게 전...
    Date2015.09.30 By갈렙 Views1250
    Read More
  2. 사도행전강해(46) 조난과 멜리데 섬의 기적(행27:27~28:15)

    미결수였던 바울과 죄수들을 실은 알렉산드리아호가 그만 유라굴로라는 태풍을 만나게 된다. 그레데섬의 남쪽의 작은 항구인 미항이 불편하다면서 그레데섬의 서북쪽에 있는 넓고 전망좋은 항구인 뵈닉스로 가자는 선주의 말을 듣고 출발했던 것이 화근이었다....
    Date2015.09.23 By갈렙 Views1221
    Read More
  3. 사도행전강해(45) 거대한 폭풍 가운데에서도 바울과 함께 하신 예수님(행27:1~26)

    여러분은 한 사람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았는가? 북한을 보라. 한 사람이 잘못되다보니 수십년간 북한은 칠흑같은 어둠에 갖혀서 온갖 인권의 유린과 학대, 숙청의 공포와 우상숭배의 저주에 시달리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정반대로 하나님께서 세워두신 한 사...
    Date2015.09.16 By갈렙 Views1414
    Read More
  4. 사도행전강해(44) 아그립바왕을 전도하는 바울의 담대함(행26:1~32)

    바울은 자신의 무죄를 위해 무려 다섯번씩이나 변호를 해야 했다. 하지만 이번에 행하는 아그립바왕 앞에서의 다섯번째 변호는 좀 색다른 것이었다. 왜냐하면 이번에는 자신의 무죄를 입증해야 할 필요는 없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이미 4번째 변호를 통해 바...
    Date2015.09.09 By갈렙 Views1185
    Read More
  5. 사도행전강해(43) 로마총독 베스도 및 아그립바 왕 앞에서 선 바울의 변호(행25:1~27)_2015-08-26

    끈질겨도 이렇게 끈질길 수가 있을까? 유대교에서 나사렛예수교로 전향한 한 사람, 그 바울 때문에 유대교의 핵심세력들이 총출동하고 있다. 대제사장들과 제사장들 그리고 장로들과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그들이다. 사두개인이라 불려지는 제사장그룹과 장로...
    Date2015.08.26 By갈렙 Views1456
    Read More
  6. 사도행전강해(42) 벨릭스총독 앞에서 변호하는 바울과 2년간의 구류(행24:10~27)_2015-08-19

    아무런 죄가 없는 사람을 고발하고 죄인으로 만들어 죽이려고 한다면 당신은 과연 어떻게 하겠는가? 여기, 그러한 억울한 일 당한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바로 사도바울이다. 사도바울은 아무런 죄도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짓으로 고발당해 죄인취급받았고, ...
    Date2015.08.19 By갈렙 Views1273
    Read More
  7. 사도행전강해(41) 바울을 죽이려는 유대인들의 음모와 가이사랴로의 호송(행23:12-24:9)_2015-08-05

    내가 지금 하나님께 속해 있는지 아니면 사탄마귀에게 속해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A.D.55년경 유대땅 예루살렘 안에는 2가지 종교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었다. 하나는 전통적인 유대교요 또 하나는 새로 생겨난 나사렛교가 그것이었다. 지금이야 나사렛...
    Date2015.08.05 By갈렙 Views1341
    Read More
  8. 사도행전강해(40) 산헤드린공회 앞에서 자신을 변호하는 바울(행22:30~23:11)_2015-07-29

    신약성경을 읽어가다보면 가장 궁금한 사람들이 갑자기 나온다. 그들이 누구일까? 그들은 바로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이다.그런데 그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소개되지도 않았는데 세례요한으로부터 "독사의 자식들아(마3:7)"라고하는 책망을 들었던 자들이다. ...
    Date2015.07.29 By갈렙 Views1387
    Read More
  9. 사도행전강해(22) 이방인 고넬료의 회심(1)- 두 개의 환상(행10:1~23)

    결코 허물어지기가 어려웠던 두터운 장벽, 유대인과 헬라인의 장벽 즉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장벽은 견고했다. 무려 1,500년 동안 그것은 그렇게 세워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허물어질 때가 되었다. 주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심으로 유대인과 이방인의 ...
    Date2015.03.18 By갈렙 Views1330
    Read More
  10. 사도행전강해(21) 베드로의 전도행전(행9:32~43)

    복음전파는 어떻게 하게 되는 것일까? 그리고 복음전파시 효과적인 전도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또한 하나님의 초자연적인 능력을 힘입는 방법은 어떤 것인가? 특히 병든 자를 치유할 때에는 어떻게 행하는 것이 좋은 것일까? 이 모든 것에 대한 해답을 오늘...
    Date2015.03.11 By갈렙 Views1650
    Read More
  11. 사도행전강해(20) 사울의 변화된 행보(행9:20~31)

    지금도 하늘에 계시는 하나님께서 가장 관심을 기울이고 계신 영역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하늘나라를 기업으로 상속받도록 예정된 사람들 즉 당신의 형상과 모양대로 지음받은 인간들이 지옥에 떨어지지 아니하고 구원받는 것이다. 사실 천사들은 하나님과 ...
    Date2015.02.25 By갈렙 Views1449
    Read More
  12. 사도행전강해(19) 사탄의 종이었던 사울의 회심(행9:1~19)_부제: "누가 과연 사람을 바꿀 수 있을까?"

    누가 과연 사울을 바울로 만들었을까?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셨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 사울이 바울이 된 데에는 오직 하나님뿐이었을까? 아니다. 거기에는 놀라운 비밀이 숨겨져 있다. 신구약성경을 통틀어서 가장 역사적인 장면을 하나 고르...
    Date2015.02.11 By갈렙 Views1463
    Read More
  13. 사도행전강해(18) 빌립집사의 이디오피아 내시 전도(행8:26~40)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한다는 것은 대체 어떤 것일까? 그리스도인이라면 누구든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과연 주님이 원하시는 순종의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오늘 본문에는 이러한 질문을 다시 던져보게 하는 한 사람에 ...
    Date2015.02.04 By갈렙 Views1289
    Read More
  14. 사도행전강해(17) 사마리아까지 전파된 복음(행8:4~25)

    (부제: 사마리아 사람들이 비록 복음을 듣고 믿어 세례까지 받았지만 왜 그들에게는 성령의 선물들이 하나도 나타나지 아니했던 것일까?) 예루살렘교회에 대한 핍박으로 사방으로 흩어진 성도들 가운데 하나였던 빌립집사, 그는 예루살렘교회가 세운 일곱집사 ...
    Date2015.01.28 By갈렙 Views1322
    Read More
  15. 사도행전강해(16)스데반의 순교와 대대적인 교회박해(행7:54-8:3)

    그리스도인의 죽음 가운데는 고귀한 죽음이라 불리울 수 있는 죽음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곧 순교(殉敎)다. 그렇다면 당신은 순교라는 것이 과연 어떤 죽음을 가리키는 것인지 정확히 알고 있는가? 그리고 순교의 순간에는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도 생각해 보...
    Date2015.01.21 By갈렙 Views1868
    Read More
  16. 사도행전강해(15) 스데반의 놀라운 변증적 설교(2)(행7:17~53)

    성경을 통틀어 과연 이만한 집사가 어디 있을까? 그는 바로 스데반집사이다. 그는 만 명 이상이 모인 예루살렘교회에서 성도들의 택함을 받아 집사가 된 사람이다. 그가 믿음과 성령이 충만했을 뿐만 아니라 지혜가 충만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그...
    Date2015.01.14 By갈렙 Views1383
    Read More
  17. 사도행전강해(14) 스데반의 놀라운 변증적 설교(1)(행7:1~16)_부제: 스데반은 과연 성전을 모독한 사람이었나?

    신약성경에 보면, 안수집사가 전한 단 한 번의 설교가 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가? 그것은 바로 예루살렘교회가 안수하여 세운 스데반집사의 설교다. 그는 수만명으로 늘어난 예루살렘교회의 행정적인 일과 구제와 봉사에 관한 일을 위하여 사도들의 건의로 ...
    Date2015.01.07 By갈렙 Views1904
    Read More
  18. 사도행전강해(12) 옥에 갇혔으나 탈출한 사도들과 공회의 결정(행5:7-42)

    교회의 성장은 과연 어떻게 이루지는 것일까? 얼핏 생각하기에 초대교회는 성령께서 강림하셔서 세운 교회이기에 아무 문제가 없이 성장했으리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아무리 성령께서 오셔서 세운 교회라 할지라도 교회는 사람들의 모임이자 사탄의 집요한 ...
    Date2014.12.17 By갈렙 Views2110
    Read More
  19. 사도행전강해(11) 성령기만의 죄와 사도들의 따르는 표적(행5:1-16)_2014-12-10

    교회는 과연 어떤 교회가 건강한 교회이며, 어떻게 하면 건강한 교회가 될 수 있을까? 아무래도 우리는 항상 처음으로 돌아가야 할 것 같다. 처음에 세워진 교회의 모습 속에서 우리는 교회의 원형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대교회 즉 처음으로 세워진 최...
    Date2014.12.10 By갈렙 Views2101
    Read More
  20. 사도행전강해(10) 사도들의 간절한 기도와 유무상통하는 교회(행4:23-37)_2014-12-03

    나면서 앉은뱅이된 자를 허락없이 고쳐서 성전 안을 소란스럽게하고, 성전 안에서 허락없이 설교했다고 붙들려간 베드로와 요한에게 사실 산헤드린공회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단지 그들을 위협하여 놓아주는 일 뿐이었다. 하지만 당시 그들의 ...
    Date2014.12.04 By갈렙 Views20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