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s://youtu.be/g5J2yKzWGTI
날짜 2018-04-20
본문말씀 로마서 7:1~6(신약 247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죄된 본성에서 벗어나는 법, 성령을 좇아사는 삶, 옛사람을 십자가에 못박으라, 내가 십자가에 죽었다고 계산하라

 

1. 들어가며

  신앙생활이란 남편을 바꾸는 것이다. 이전에 내 남편은 죄된 본성이었다. 하지만 그런데 죄된 본성이 내 남편으로서 나를 주관할 수 있었던 것은 율법 의 규정때문이었다. 하지만 십자가에서 죄된 본성이 죽음에 넘겨졌다. 그러므로 이제는 죄된 본성이 죽었기에, 죄된 본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새 남편을 맞이하게 되었으니 그분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시다. 그러므로 옛남편인 죄된 본성과 함께 살았던 사람을 "옛사람"이라고 말하고, 새남편인 그리스도와 함께 사는 사람을 "새사람"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문제는 옛 남편인 죄된 본성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음에 넘기지 못한 사람은 결국 음녀가 되어버리고 만다는 것이다. 두 남편을 두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온전히 새 남편으로 인도를 받으려면 옛 남편을 완전히 죽음에 넘겨야 한다. 좀 더 나아가서 죄된 본성과 결혼한 우리 자신 자체를 십자가에 못박아 죽음에 넘겨야 한다. 그래서 오늘 이 시간에는 옛남편인 죄된 본성을 어떻게 이기고 새 남편인 그리스도와 함께 살 수 있을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사람은 어떻게 죄된 본성을 남편으로 맞이하게 되었는가?

  사람이 처음 지어질 때에는 죄된 본성이 사람 속에 있지 않았다. 그것은 사람 밖에 있었다. 그것을 인격화시키면 바로 사탄마귀인데, 사탄마귀는 그때에 외부에 있었다. 그렇지만 첫사람 아담이 사탄의 화신인 뱀의 말에 순종함으로 말미암아 모든 인간은 뱀의 종이 되고 말았다. 그래서 그때부터 인간의 속에는 죄된 본성이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그때로부터 사람은 죄된 본성을 자기 남편으로 두게 되었다. 그래서 모든 사람은 죄된 본성을 따라 살게 되었고 그것의 열매는 죄들이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이 지옥형벌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죄된 본성에 휘말리지 않도록 사람들에게 율법을 주셨다. 율법을 통해서 자신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깨달으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어떤 행동을 행한다면 그것은 죄된 본성을 따르는 것이니, 그것을 따라가서는 안 된다고 가르쳐주는 교사가 바로 율법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율법은 사람들을 정죄하는 법으로 사용되고 말았다. 사람이 약해서 다 율법말씀을 준행하고 살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율법이 없을 때에는 죄가 많지 않았는데 율법이 더해지므로, 사람들에게 죄목은 더 늘어났던 것이다. 율법이 오히려 죄된 본성을 더 부추겨서 죄를 짓게 만들고 있었던 것이다.

 

3. 새 남편은 어떻게 맞이할 수 있는가?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죄된 본성과 살지 않도록, 죄된 본성을 처리하기 위해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셨다. 그래서 그분은 죄를 뒤집어쓴채 십자가로 죄된 본성을 가져가시어 십자가에 못박아 처리하게 하셨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십자가에 못박힌 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못박힌 것이 아니라 사실은 죄된 본성을 가진 우리 옛사람을 십자가에 못박힌 것이다. 왜냐하면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교회의 머리는 그리스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십자가에 못박힌 것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가 탄생하기 이전의 사람들의 총체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옛사람이 그날 십자가에 못박힌 것이다. 이것은 죄된 본성을 따라 사는 나, 곧 옛사람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게 하려고 그렇게 하신 것이다. 그래서 사도바울은 이렇게 말한다.

롬6:6 우리가 알거니와 우리의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 죄의 몸이 죽어 다시는 우리가 죄에게 종 노릇 하지 아니하려 함이니
  그렇다. 그날 십자가에 못박힌 것은 죄없는 예수님의 진짜의 몸이 아니라 죄된 본성을 뒤집어 쓴 우리 옛사람의 몸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날 우리 모든 인간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혀 죽은 것이다. 다시 말해 옛사람이 죽은 것이다.

  그러므로 그날 죄된 본성을 따라살던 우리(옛사람)가 죽었으니 더 이상 율법도 필요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그날로 율법은 폐지되고 말았다. 그러자 뫃든 인간은 율법으로부터 다 자유롭게 되었다. 옛남편인 죄된 본성으로부터 벗어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후 인간은 새 남편과 결혼하게 되었으니, 그분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다. 예수님은 우리의 새 남편이 되신 것이다.

  그러나 죄된 본성을 십자가에 못박아서 그것을 죽음에 넘기지 못한 자는 옛남편도 같이 살고 새 남편인 그리스도와 같이 사는 이중생활을 하게 된다. 이것을 일컬어 간음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옛사람을 확실히 정리하지 못한 자는 죽을 때까지 이중생활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옛사람으로 완전히 자유로울려면 빨리 옛 남편으로부터 죽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빨리 우리의 옛사람을 십자가로 가져가서 십자가에 못박아야 한다. 그래서 새 남편을 맞이하고 그 남편과 함께 살 수 있기 때문이다.

 

4. 죄된 본성을 좇아하는 옛사람을 죽음에 넘기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믿는 이들은 죄된 본성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하다. 왜냐하면 죄된 본성이 우리가 죽을 때까지 우리의 육신 속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죄된 본성으로부터 우리가 자유롭기 위해서는 날마다 옛사람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음에 넘기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삶의 적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때에는 자기자신에게 "나의 옛사람은 십자가에 못박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고 선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실제로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도바울은 이렇게 말한다.

롬6:11 이와 같이 너희도 너희 자신을 죄에 대하여는 죽은 자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로 여길지어다
  그렇다. 적용이 중요한 것이다. 믿음으로 나의 옛사람이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다고 선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계산하는 것이다. 그렇게 간주하는 것이다(그러나 죽을 때까지 죄된 본성은 다시 살아나 언제든지 나를 지배할 가능성은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는 둘 사이에 끼어 있다. 죄된 본성을 따라살려고 하는 옛사람과 그리스도를 새 남편을 맞이한 새 사람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누구를 따라갈 것인지에 대한 선택은 우리의 몫이다. 우리가 선택하는 것이다. 우리의 자유의지로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도바울은 성령을 따라 걸어갈 것을 강력하게 권면한다. 그렇지 아니하면 육체의 소욕이 자기 자신을 이끌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나의 옛사람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실 때 같이 죽었다"고 늘 선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죽은 시체가 더이상 나를 주관할 수 없다고 선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찌 시체가 혈기를 부리겠으며, 음란하겠느냐고 늘 반문하라. 그러면 자연스럽게 "죽은 시체가 무슨 혈기를 부릴 수 있지?"라고 믿어지면서, 혈기까지 내려놓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것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5. 나오며

  우리가 오늘 죄된 본성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였다고 하자. 내일도 죄된 본성을 죽은 채 있을까? 아니다. 내일은 또 내일이다. 또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렇지만 죄된 본성은 우리가 죽는 그날까지 날마다 우리 육신 속에서 올라와 자신의 영역을 넓히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때마다 우리는 선언해야 한다. 계산해야 한다. 아니 간주해야 한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게 그날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다고 말이다. "나는 죽었어. 나의 옛사람은 이미 2천년전에 죽었어, 그리스도와 함께 확실히 죽은거야. 죽은 시체가 어찌를 혈기를 내겠어, 음행할 수 있겠어. 그래. 이제는 더이상 죄가 나를 주관할 수 없구나. 나는 더이상 죄의 노예가 아니로구나"를 반복해서 외쳐야 한다. 그러면 어느 순간,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는 것이 실제화되어 내게 적용되는 날이 찾아올 것이다. 그날부터 그 사람은 죄된 본성으로부터 해방을 받게 될 것이다(롬6:22). 그것이야말로 죄로부터의 참된 자유를 얻게 되는 일이다. 더이상 죄가 나를 주관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른 것이다.

 

2018년 4월 20일(금)

정병진목사

 

 

 

 

 


  1. 자녀의 귀신들림을 해결하기 위한 실제적인 지침은 무엇인가?(계18~23)_2019-07-05(금)

    자녀가 귀신이 들려있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영적인 권세를 가진 목회자들을 찾아가서 상담받고 안수받고 축사하면 해결되는가? 그렇게 해서 해결받는 분들도 있다. 하지만 자녀의 귀신들림의 문제가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귀신이 그렇게 호락호락한 ...
    Date2019.07.06 By갈렙 Views417
    Read More
  2. 잘 나가지 않으려는 귀신을 효과적으로 축사하는 실제적인 방법(눅8:26~33)_2023-11-17(금)

    2023-11-17(금) 금요기도회 제목: 잘 나가지 않으려는 귀신을 효과적으로 축사하는 실제적인 방법(눅8:26~33)_ 동탄명성교회 정보배목사 https://youtu.be/rcwwMWmF-4Q [또는 https://tv.naver.com/v/43804155] 1. 들어가며 사람에게서 귀신이 잘 떠나가지 않...
    Date2023.11.18 By갈렙 Views161
    Read More
  3. 잘 떠나지 않으려는 귀신에게는 무엇을 알게 해 주어야 하는가?(눅8;28~29)_2023-11-10(금)

    2023-11-10(금) 금요기도회 제목: 잘 떠나지 않으려는 귀신에게는 무엇을 알게 해 주어야 하는가?(눅8;28~29)_동탄명성교회 정보배목사 https://youtu.be/h6SgbgA2XwQ [또는 https://tv.naver.com/v/43804076] 1. 들어가며 귀신에게 예수님의 이름으로 명령하...
    Date2023.11.11 By갈렙 Views126
    Read More
  4. 정이철목사, 만세전 예정대로만 구원받는다는데 그게 진짜 사실인가?(딤전2:4)_2018-02-09(금)

    "하나님께서는 만세전에 누구는 구원하기로 예정해 놓았고 누구는 멸망으로 예정해놓았다. 그러므로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것이다. 사실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했고, 전적으로 무능하기 때문에 스스로는 절대 자기를 구원할 수 없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만세전...
    Date2018.02.10 By갈렙 Views471
    Read More
  5. 조상제사 전통예절인가 우상숭배인가(시106:19~38)

    해마다 명절이나 기일이 찾아오면 행하는 조상제사, 과연 전통예절에 속한 것일까 아니면 우상숭배에 속한 것일까? 대부분의 비그리스도인들은 조상제사를 전통의 예의범절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조상제사를 금지하는 기독교는 효를 무시하는 ...
    Date2016.02.05 By갈렙 Views897
    Read More
  6. 좁은 문을 통과하게 해주는 회개란 무엇인가?(눅15:11~20)_2019-11-15(금)

    사람이 구원받는다는 것은 그의 영혼이 천국에 들어가는 것이다. 이신칭의를 얻었다고 해서 구원이 완성된 것은 아니다. 그것은 구원의 노정에 첫발을 내딛은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천국에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천국에 골인하...
    Date2019.11.15 By갈렙 Views262
    Read More
  7. 종교의 자유와 국가의 공권력이 서로 충돌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2)(단6:6~13)_2020-04-24(금)

    이번 코로나사태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많은 변화를 안겨다 주었다. 그리고 새로운 세계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신을 성찰해보게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더불어 이번 일로 인해 국가의 공권력이 교회...
    Date2020.04.24 By갈렙 Views301
    Read More
  8. 죄된 본성을 이기는 방법(롬7:1~6)_2018-04-20

    1. 들어가며 신앙생활이란 남편을 바꾸는 것이다. 이전에 내 남편은 죄된 본성이었다. 하지만 그런데 죄된 본성이 내 남편으로서 나를 주관할 수 있었던 것은 율법 의 규정때문이었다. 하지만 십자가에서 죄된 본성이 죽음에 넘겨졌다. 그러므로 이제는 죄된 ...
    Date2018.04.20 By갈렙 Views447
    Read More
  9. 죄들을 사함받는 것과 깨끗하게 되는 것은 같은가 다른가?(골1:13~14과 요일1:9)_2022-09-30(금)

    2022-09-30(금) 금요기도회 제목: 죄들을 사함받는 것과 깨끗하게 되는 것은 같은가 다른가?(골1:13~14과 요일1:9)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B8GMdPok3s4 [혹은 https://tv.naver.com/v/29600871 ] 1. 들어가며 사람은 과연 어떻게 해서 죄사...
    Date2022.10.01 By갈렙 Views408
    Read More
  10. 죄를 이기는 2가지 방법은 무엇인가?(롬7:15~8:17)_2022-07-29(금)

    2022-07-29(금) 금요기도회 제목: 죄를 이기는 2가지 방법은 무엇인가?(롬7:15~8:17)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B2nIGItIqTo [혹은 https://tv.naver.com/v/28261087 ] 1. 들어가며 죄를 안 짓고 살 수는 없을까? 이것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
    Date2022.07.29 By갈렙 Views222
    Read More
  11. 주님은 환난전에 올 것인가 환난후에 올 것인가?(마24:1~44)_2016-02-12

    예수께서 환난전에 오실 것인지 아니면 환난후에 오실 것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그리고 성도들의 휴거 혹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시기에 대하여 우리가 왜 알아야 하는 것일까? 사실 성도들의 휴거의 시기는 종말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신학...
    Date2016.02.12 By갈렙 Views1192
    Read More
  12. 주님이 도적같이 오신다는 말은 재림의 은밀성을 가리키는 것일까?(마24:23~28)_2018-12-14

    오늘날 이단에 빠진 사람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대체로 3가지 정도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종말론이 잘못되어 있는 것이다(안식교, 몰몬교, 하나님의교회 안상홍증인회, 신천지, 여호와증인 등) . 둘째, 신론 특히 그리스도와 성령론이 잘못되어 있는 것...
    Date2018.12.14 By갈렙 Views377
    Read More
  13. 중국의 변화를 위해 꼭 해야할 중보기도(단2:25~35)_2020-02-07(금)

    지금 중국은 아파하고 있다. 신음하고 있다. 왜냐하면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전염병이 2달이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더욱 더 확장세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성경말씀이 가르쳐준 해결방법이 있다면 그것은 대체 무엇인가? 그것...
    Date2020.02.07 By갈렙 Views324
    Read More
  14. 지금은 어느 시대(제3의성전시대,베리칩시대)에 해당하며 지금은 무엇을 준비해야 할 때인가?(마24:3~14)_2016-07-01

    1. 지금은 어느 시대에 해당하는가? 지금은 어느 시대인가? 우리는 종말을 향해 어느정도 달려왔으며 지금의 시기는 어떤 시기인가? 그리고 지금의 시기에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어떤 사람은 제3의 성전이 세워지기 일보직전이라고 말한다. 또 어떤 ...
    Date2016.07.01 By갈렙 Views930
    Read More
  15. 지진과 기독교박해, 무엇이 더 악재인가(마17:22~27)_2017-11-17

    요한계시록을 보면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심판해 가시는 순서가 있다. 먼저는 자연환경을 치시고, 그리고 난 다음에 비로소 인간을 치신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 인간이 자연현상을 미리 지켜보면서 회개하기를 하나님께서 원하신다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작...
    Date2017.11.17 By갈렙 Views461
    Read More
  16. 짐승의 표인 666과 관련하여 누가 천국에 들어가는가?(계15:2~4)_2018-06-22

    우리 믿는 이들 중에 누가 과연 천국에 들어가게 될까? 요한계시록을 읽어보면, 믿는 자라고 해서 다 천국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끝까지 자신의 믿음을 지켜내는 자가 천국에 들어가게 되며, 우상숭배의 죄를 비롯하여 자신의 죄를 회개하는 자가 결국 천국...
    Date2018.06.22 By갈렙 Views309
    Read More
  17. 창세기강해(103) 한 분 하나님의 벗(친구)이 되는 자들이 받게 될 축복(창22:1~19)_2021-05-21(금)

    구약성경 이사야 41:8과 신약성경 야고보서 2:23의 말씀을 읽어보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자신의 벗(친구)라고 하셨다는 대목이 나온다. 그렇다면 대체 어떤 사람이 하나님의 친구가 된다는 말인가? 그리고 하나님의 친구가 된 자에게 주어지는 축복은 또한...
    Date2021.05.22 By갈렙 Views238
    Read More
  18. 창세기강해(11) 여호와는 약속을 기억하고 믿는 이의 하나님이시다(출3:14~15)-2021-02-05(금)

    1. 들어가며 창세기를 보면 하나님을 지칭하는 용어가 조금은 다르다. 창1:1~2:3까지는 "하나님(엘로힘)"이 나온다. 그런데 창2:4~3:24에서는 "여호와 하나님"이 나오고, 창4장부터는 "여호가"로 나왔다가, 5장에 가서 다시 "하나님(엘로힘)"으로 나온다. 뭔가...
    Date2021.02.06 By갈렙 Views324
    Read More
  19. 창세기강해(119) 바쳐진 자의 삶에도 어려움은 있다(창26:12~22)_2021-06-11(금)

    이삭은 그가 젊었을 때에 하나님께 자신을 번제물로 바친 자다. 그런데 그에게도 어려움이 찾아왔다. 왜 그랬을까? 하나님께 자신을 온전히 바쳤음에도 불구하고 왜 그에게 어려움이 찾아왔던 것인가? 그리고 이삭의 경우와 우리의 경우는 어떻게 같으며 또한 ...
    Date2021.06.12 By갈렙 Views223
    Read More
  20. 창세기강해(126) 야곱의 사닥다리 환상이 보여준 교회의 정의와 건축재료와 사명(2)(창28:10~22)_

    야곱이 부모의 품을 떠나 벧엘에서 꾼 꿈은 대체 무엇에 대한 예표였을까? 신앙의 순수성을 보존하고자 정처없이 길을 떠난 그에게 사닥다리 환상은 아주 커다한 힘이 되어주었다. 그런데 오늘날 그것을 예표론적인 관점에서 보게 되면, 벧엘에서의 환상은 교...
    Date2021.06.19 By갈렙 Views2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