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s://youtu.be/018ivQluAfo
날짜 2023-02-19
본문말씀 예레미야 11:18~12:17(구약 1069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아나돗사람들,고향사람들,예언하지말라,죽일까하노라,악인의형통,의인의고난,악한자의쓰임,죄를채움,회개할기회,조상들의선행

2023-02-19(주일) 주일오후찬양예배

제목: 예레미야강해(12) 왜 하나님은 악인의 형통함을 지켜보고만 계시는가?(렘11:18~12:17)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018ivQluAfo [또는 https://tv.naver.com/v/33750748]

 

1. 들어가며

  예레미야는 남유다가 멸망할 즈음에 하나님으로부터 부름을 받아 약 40년간 활동한 남유다의 선지자다. 그는 제사장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20세 정도가 되었을 때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이제 스러져 가는 남유다를 향하여 심판을 선고하는 예언을 하게 된다. 그런데 그가 아무리 외쳐 보아도 사람들은 오히려 그를 미워하였고 그를 죽이려는 시도까지 하였다. 그러자 예레미야는 왜 악인이 형통한 것인지 하나님께 질문을 던진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그에게 답변을 해 주시는데, 그것이 바로 오늘 말씀 제목이 되었다. 왜 하나님께서는 악인의 형통함을 바로 심판하지 아니하시고 지켜보고 계시는가? 

 

2. 예레미야 11:18~12:17의 말씀의 위치는?

  예레미야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총 52장 가운데 서론이 1장이며, 마지막 52장이 결론으로서 역사적 후기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이 본론인데, 본론은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뉜다. 2~25장은 유다의 심판에 관한 12가지 단편적인 예언이 나온다. 그리고 26~45장까지는 바벨론의 침공과 관련된 사건과 심판 예언이 나온다. 그리고 45~51장까지는 이스라엘 주변 10개국에 대한 미래와 운명이 예언되어 있다. 그중에 우리가 오늘 살펴보는 부분은 본론부의 2~25장에 나오는 12가지 단편 예언들 가운데, 제4예언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제4예언(11:1~12:17)의 전반부(11:1~17)는 언약을 배반한 이스라엘의 심판 예언 부분이고, 후반부인 오늘 본문 말씀(11:18~12:17)의 앞부분(11:18~23)에는 먼저 예레미야의 고향 사람들인 아나돗 사람들의 예레미야 살해 시도와 그에 따른 예레미야 선지자의 하나님을 향한 탄원 및 하나님의 보응 약속과 심판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뒷부분(12:1~17)의 말씀은 자신에 관한 아나돗 사람들의 살해 시도와 관련하여 예레미야가 하나님의 공의의 속성과 배치되는 듯한 현상 곧 의인이 고난을 당하고 악인이 형통하는 현상이 현실 속에서 일어나는 까닭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과 그에 대한 하나님의 답변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께서는 이때 과연 어떤 답변을 그에게 주셨을까?

 

3. 아나돗 사람들은 왜 예레미야를 죽이려고 했는가?

 왜 아나돗 사람들은 예레미야를 죽이려고 했을까? 사실 아나돗 사람들은 자기 고향 사람들이다. 그런데 아나돗은 베냐민 지파 땅에 위치한 레위인들의 성읍 가운데 하나다. 그중에서도 제사장의 성읍이 바로 아나돗이다. 그러므로 아나돗 사람들은 전부다 제사장이거나 제사장의 가족인 것이다. 그렇다면 제사장들이었던 아나돗 사람들은 왜 예레미야 선지자를 살해하려고 시도한 것일까? 심지어 그의 가족들 조차도 음모에 가담했는데 왜 그러했던 것일까? 

  그것은 아나돗의 제사장들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에 대해 그 기원을 알면 쉽게 의문점이 풀릴 수 있다. 왜냐하면 아나돗 사람들은 솔로몬왕 때 폐위된 아비아달 대제사장의 후손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실 다윗 시대까지만 해도 아비아달 제사장은 다윗을 도와서 다윗으로 하여금 왕이 되게 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던 인물이었다. 하지만 다윗의 뒤를 이어 솔로몬이 왕이 될 무렵, 다윗의 충복이었던 요압 장군과 아비아달 대제사장은 솔로몬을 선택하지 않고 아도니야를 왕으로 옹립하려고 시도한다. 그렇지만 다윗은 이미 솔로몬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던 터라, 결국 아도니야 일당은 죽거나 폐위당하게 되는데, 그중에 아비아달도 들어 있었던 것이다. 그러자 솔로몬왕은 자신의 부친을 도왔던 아비아달을 당장 죽이지는 못하고, 다만 그의 대제사장직을 폐위하여 그의 고향 아나돗으로 갈 것을 명령한다. 그리하여 그때까지 아비아달의 계열에서 대제사장이 나오지 못하고 있었던 상태였다.

  그런데 아비아달 제사장 가문의 후손으로서 예레미야가 태어난 것이다. 그런데 그가 어느 날 하나님께 부름을 받더니 이스라엘의 멸망을 외치기 시작하는 것이 아닌가! 그러자 자신들의 입지가 그리 좋지 않아 왔는데, 왕들과 제사장들 및 선지자들과는 전혀 다른 반대적인 입장의 예언을 선포하는 예레미야가 달갑지 않게 여겨진 것이다. 그런데 예레미야가 한 번 두 번 예언하고 끝낸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심판의 예언을 선포하고 있지 아니한가! 그러자 아나돗 사람들은 자신들의 입지가 더욱더 줄어들 것을 예상하고는 예레미야를 제거하려고 시도했던 것이다. 그들은 말했다. "그를 살아 있는 자의 땅에서 끊어버려서 그의 이름이 다시 기억되지 못하게 하자(렘11:19), "너는 여호와의 이름으로 예언하지 말라. 두렵건대 우리의 손에 죽을 것이다"(렘11:21). 그랬다. 아나돗 사람들은 예레미야에게 여호와의 이름으로 예언하는 것을 금지시켰으며, 그들을 죽이겠다고 협박했던 것이다. 그만큼 이스라엘의 죄를 지적하는 예레미야를 탐탁지 않게 여겼던 것이다. 

 

4. 악인임에도 불구하고 왜 형통함을 입고 살며 평안하게 살 수 있는가? 

  그러자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 자신을 죽이려 하는 아나돗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왜 악한 자의 길이 형통하며, 하나님의 뜻을 반역하는 자들이 다 평안하게 살고 있는지 의아하게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하나님께 질문한다. 왜 악한 자를 당장 심판하지 아니하시고 그들을 내버려두시는가 하고 말이다. 그러자 하나님께로부터 돌아온 답변은 2가지였다.

  첫째, 지금 자신의 고향 사람들로부터 살해 협박을 당하고 있는 것은 장차 일어날 일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니 그것을 너무 마음에 두지 말라고 하셨다(렘12:5). 지금 걸어가는 자와 함께 달리면서도 피곤해 하는데 장차 말탄 자들과 어찌 함께 달려갈 수 있겠느냐고 말씀하신 것이다. 그렇다. 선지자가 걸어가야 할 길은 그만큼 힘겹고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둘째, 악인이 형통하게 사는 것을 하나님께서는 왜 심판하시지 않는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말씀하셨다. 

  첫째로, 악인일지도 하나님께서 쓰실 도구의 하나이기 때문에 당장 심판하지 않고 그를 지켜보고 계신다는 것이다(렘12:14). 그것도 악한 쪽으로 쓰시는 도구로 그들을 쓰시려고 하나님께서 지켜보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님께서 바벨론 제국이 악한 자들이었지만 그들을 형통하게 그냥 놔두신 것은 그들로 하여금 남유다를 징계하실 심판의 도구로 쓰기 위함이었던 것이다. 하나님께서 타락하고 범죄한 당신의 백성들을 심판하여 죄값을 치르게 할 대상으로서 악인을 그냥 놔두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잠언 기자는 이러한 사실을 두고서 이렇게 말했다. 

잠16:4 여호와께서 온갖 것을 그 쓰임에 적당하게 지으셨나니 악인도 악한 날에 적당하게 하셨느니라 

  둘째로, 악인일지라도 그들도 역시 죄가 가득차야 심판을 하실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이 더 악을 채우도록 그냥 놔두시고 지켜보신다는 것이다(렘12:14). 그래서 그들을 심판하실 날이 빨리 다가오도록 하나님께서도 그들을 지켜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도는 악한 자가 형통하게 되는 것을 보며 너무 불평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들이 자신의 악을 채워 스스로 멸망으로 들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예레미야를 죽이려 하는 아나돗 사람들을 하나님께서 왜 지켜보는지 예레미야는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당장 심판하지 않으셨다. 왜냐하면 그들을 심판할 날 곧 그들의 악이 가득 차는 날이 다가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심판하는 날이 올 것인데, 그날은 남유다가 멸망하는 날이라고 분명하게 말씀하셨다(렘11:22~23).

  셋째로, 악인일지라도 그들 중에 회개하고 구원받을 자가 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그들을 당장 심판하지 않으신다는 것이다(렘12:16). 하나님께서는 남유다를 바벨론에 팔아넘기셨다. 그래서 남유다 사람들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다. 하지만 남유다 사람들 때문에 그들 중에 일부가 참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을 섬기는 자가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남유다 백성들이 섬기는 신을 보니 자기들이 믿고 따르고 있는 신이 가짜라는 것을 알아차리는 자들도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악인일지라도 그들을 당장 심판하지 아니하시고 심판의 날을 뒤로 연기하고 계신 것이다. 하지만 악인들이 끝내 회개하지 않는다면 하나님께서는 그들 역시 하루아침에 심판하여 내던져 버리실 것이다(렘12:17).

 

5. 나오며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이 비록 죄를 지어 악한 자들에 의해 고통을 받는다고 할지라도 그것을 기뻐하시는 분이 아니시다. 당신의 백성들을 치는 자들을 가만두고만 보시지는 않으시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한번 당신의 백성들로 선택하셨거나 당신의 자녀들이 된 자들을 그렇게 쉽게 포기하지 아니하신다. 그렇지만 범죄한 당신의 백성을 악한 자들을 통해서 심판의 회초리로 사용하기도 하신다. 하지만 악한 자들의 형통함을 계속해서 그냥 두고 보고 있지만 않으신다. 그들도 죄가 차면 곧장 심판을 집행하시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 중에서도 회개하여 구원받을 자가 더러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회개할 기회를 동시에 주고 계시는 것이다. 그런 것을 두고, 왜 하나님은 악인의 형통함을 지켜보고만 계시느냐며 하나님을 되레 추궁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나님께서 혹 그들을 징계의 도구로 사용하시려고 지금 지켜보고 계시는데 왜 그들을 심판하지 않느냐고 하나님께 따질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관하여 하나님의 섭리가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일하심에 대한 주권을 절대적으로 인정하고 그분의 때를 기다려야 한다. 

 

2023년 02월 19일(주일)

정병진목사

 

  • ?
    동탄명성교회 2023.02.21 17:58

    1. 들어가며

      예레미야는 남유다가 멸망할 즈음에 하나님으로부터 부름을 받아 약 40년간 활동한 남유다의 선지자다. 그는 제사장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20세 정도가 되었을 때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이제 스러져 가는 남유다를 향하여 심판을 선고하는 예언을 하게 된다. 그런데 그가 아무리 외쳐 보아도 사람들은 오히려 그를 미워하였고 그를 죽이려는 시도까지 하였다. 그러자 예레미야는 왜 악인이 형통한 것인지 하나님께 질문을 던진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그에게 답변을 해 주시는데, 그것이 바로 오늘 말씀 제목이 되었다. 왜 하나님께서는 악인의 형통함을 바로 심판하지 아니하시고 지켜보고 계시는가? 

     

    2. 예레미야 11:18~12:17의 말씀의 위치는?

      예레미야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총 52장 가운데 서론이 1장이며, 마지막 52장이 결론으로서 역사적 후기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이 본론인데, 본론은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뉜다. 2~25장은 유다의 심판에 관한 12가지 단편적인 예언이 나온다. 그리고 26~45장까지는 바벨론의 침공과 관련된 사건과 심판 예언이 나온다. 그리고 45~51장까지는 이스라엘 주변 10개국에 대한 미래와 운명이 예언되어 있다. 그중에 우리가 오늘 살펴보는 부분은 본론부의 2~25장에 나오는 12가지 단편 예언들 가운데, 제4예언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제4예언(11:1~12:17)의 전반부(11:1~17)는 언약을 배반한 이스라엘의 심판 예언 부분이고, 후반부인 오늘 본문 말씀(11:18~12:17)의 앞부분(11:18~23)에는 먼저 예레미야의 고향 사람들인 아나돗 사람들의 예레미야 살해 시도와 그에 따른 예레미야 선지자의 하나님을 향한 탄원 및 하나님의 보응 약속과 심판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뒷부분(12:1~17)의 말씀은 자신에 관한 아나돗 사람들의 살해 시도와 관련하여 예레미야가 하나님의 공의의 속성과 배치되는 듯한 현상 곧 의인이 고난을 당하고 악인이 형통하는 현상이 현실 속에서 일어나는 까닭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과 그에 대한 하나님의 답변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께서는 이때 과연 어떤 답변을 그에게 주셨을까?

     

    3. 아나돗 사람들은 왜 예레미야를 죽이려고 했는가?

     왜 아나돗 사람들은 예레미야를 죽이려고 했을까? 사실 아나돗 사람들은 자기 고향 사람들이다. 그런데 아나돗은 베냐민 지파 땅에 위치한 레위인들의 성읍 가운데 하나다. 그중에서도 제사장의 성읍이 바로 아나돗이다. 그러므로 아나돗 사람들은 전부다 제사장이거나 제사장의 가족인 것이다. 그렇다면 제사장들이었던 아나돗 사람들은 왜 예레미야 선지자를 살해하려고 시도한 것일까? 심지어 그의 가족들 조차도 음모에 가담했는데 왜 그러했던 것일까? 

      그것은 아나돗의 제사장들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에 대해 그 기원을 알면 쉽게 의문점이 풀릴 수 있다. 왜냐하면 아나돗 사람들은 솔로몬왕 때 폐위된 아비아달 대제사장의 후손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실 다윗 시대까지만 해도 아비아달 제사장은 다윗을 도와서 다윗으로 하여금 왕이 되게 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던 인물이었다. 하지만 다윗의 뒤를 이어 솔로몬이 왕이 될 무렵, 다윗의 충복이었던 요압 장군과 아비아달 대제사장은 솔로몬을 선택하지 않고 아도니야를 왕으로 옹립하려고 시도한다. 그렇지만 다윗은 이미 솔로몬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던 터라, 결국 아도니야 일당은 죽거나 폐위당하게 되는데, 그중에 아비아달도 들어 있었던 것이다. 그러자 솔로몬왕은 자신의 부친을 도왔던 아비아달을 당장 죽이지는 못하고, 다만 그의 대제사장직을 폐위하여 그의 고향 아나돗으로 갈 것을 명령한다. 그리하여 그때까지 아비아달의 계열에서 대제사장이 나오지 못하고 있었던 상태였다.

      그런데 아비아달 제사장 가문의 후손으로서 예레미야가 태어난 것이다. 그런데 그가 어느 날 하나님께 부름을 받더니 이스라엘의 멸망을 외치기 시작하는 것이 아닌가! 그러자 자신들의 입지가 그리 좋지 않아 왔는데, 왕들과 제사장들 및 선지자들과는 전혀 다른 반대적인 입장의 예언을 선포하는 예레미야가 달갑지 않게 여겨진 것이다. 그런데 예레미야가 한 번 두 번 예언하고 끝낸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심판의 예언을 선포하고 있지 아니한가! 그러자 아나돗 사람들은 자신들의 입지가 더욱더 줄어들 것을 예상하고는 예레미야를 제거하려고 시도했던 것이다. 그들은 말했다. "그를 살아 있는 자의 땅에서 끊어버려서 그의 이름이 다시 기억되지 못하게 하자(렘11:19), "너는 여호와의 이름으로 예언하지 말라. 두렵건대 우리의 손에 죽을 것이다"(렘11:21). 그랬다. 아나돗 사람들은 예레미야에게 여호와의 이름으로 예언하는 것을 금지시켰으며, 그들을 죽이겠다고 협박했던 것이다. 그만큼 이스라엘의 죄를 지적하는 예레미야를 탐탁지 않게 여겼던 것이다. 

     

    4. 악인임에도 불구하고 왜 형통함을 입고 살며 평안하게 살 수 있는가? 

      그러자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 자신을 죽이려 하는 아나돗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왜 악한 자의 길이 형통하며, 하나님의 뜻을 반역하는 자들이 다 평안하게 살고 있는지 의아하게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하나님께 질문한다. 왜 악한 자를 당장 심판하지 아니하시고 그들을 내버려두시는가 하고 말이다. 그러자 하나님께로부터 돌아온 답변은 2가지였다.

      첫째, 지금 자신의 고향 사람들로부터 살해 협박을 당하고 있는 것은 장차 일어날 일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니 그것을 너무 마음에 두지 말라고 하셨다(렘12:5). 지금 걸어가는 자와 함께 달리면서도 피곤해 하는데 장차 말탄 자들과 어찌 함께 달려갈 수 있겠느냐고 말씀하신 것이다. 그렇다. 선지자가 걸어가야 할 길은 그만큼 힘겹고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둘째, 악인이 형통하게 사는 것을 하나님께서는 왜 심판하시지 않는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말씀하셨다. 

      첫째로, 악인일지도 하나님께서 쓰실 도구의 하나이기 때문에 당장 심판하지 않고 그를 지켜보고 계신다는 것이다(렘12:14). 그것도 악한 쪽으로 쓰시는 도구로 그들을 쓰시려고 하나님께서 지켜보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님께서 바벨론 제국이 악한 자들이었지만 그들을 형통하게 그냥 놔두신 것은 그들로 하여금 남유다를 징계하실 심판의 도구로 쓰기 위함이었던 것이다. 하나님께서 타락하고 범죄한 당신의 백성들을 심판하여 죄값을 치르게 할 대상으로서 악인을 그냥 놔두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잠언 기자는 이러한 사실을 두고서 이렇게 말했다. 

    잠16:4 여호와께서 온갖 것을 그 쓰임에 적당하게 지으셨나니 악인도 악한 날에 적당하게 하셨느니라 

      둘째로, 악인일지라도 그들도 역시 죄가 가득차야 심판을 하실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이 더 악을 채우도록 그냥 놔두시고 지켜보신다는 것이다(렘12:14). 그래서 그들을 심판하실 날이 빨리 다가오도록 하나님께서도 그들을 지켜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도는 악한 자가 형통하게 되는 것을 보며 너무 불평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들이 자신의 악을 채워 스스로 멸망으로 들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예레미야를 죽이려 하는 아나돗 사람들을 하나님께서 왜 지켜보는지 예레미야는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당장 심판하지 않으셨다. 왜냐하면 그들을 심판할 날 곧 그들의 악이 가득 차는 날이 다가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심판하는 날이 올 것인데, 그날은 남유다가 멸망하는 날이라고 분명하게 말씀하셨다(렘11:22~23).

      셋째로, 악인일지라도 그들 중에 회개하고 구원받을 자가 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그들을 당장 심판하지 않으신다는 것이다(렘12:16). 하나님께서는 남유다를 바벨론에 팔아넘기셨다. 그래서 남유다 사람들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다. 하지만 남유다 사람들 때문에 그들 중에 일부가 참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을 섬기는 자가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남유다 백성들이 섬기는 신을 보니 자기들이 믿고 따르고 있는 신이 가짜라는 것을 알아차리는 자들도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악인일지라도 그들을 당장 심판하지 아니하시고 심판의 날을 뒤로 연기하고 계신 것이다. 하지만 악인들이 끝내 회개하지 않는다면 하나님께서는 그들 역시 하루아침에 심판하여 내던져 버리실 것이다(렘12:17).

     

    5. 나오며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이 비록 죄를 지어 악한 자들에 의해 고통을 받는다고 할지라도 그것을 기뻐하시는 분이 아니시다. 당신의 백성들을 치는 자들을 가만두고만 보시지는 않으시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한번 당신의 백성들로 선택하셨거나 당신의 자녀들이 된 자들을 그렇게 쉽게 포기하지 아니하신다. 그렇지만 범죄한 당신의 백성을 악한 자들을 통해서 심판의 회초리로 사용하기도 하신다. 하지만 악한 자들의 형통함을 계속해서 그냥 두고 보고 있지만 않으신다. 그들도 죄가 차면 곧장 심판을 집행하시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 중에서도 회개하여 구원받을 자가 더러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회개할 기회를 동시에 주고 계시는 것이다. 그런 것을 두고, 왜 하나님은 악인의 형통함을 지켜보고만 계시느냐며 하나님을 되레 추궁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나님께서 혹 그들을 징계의 도구로 사용하시려고 지금 지켜보고 계시는데 왜 그들을 심판하지 않느냐고 하나님께 따질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관하여 하나님의 섭리가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일하심에 대한 주권을 절대적으로 인정하고 그분의 때를 기다려야 한다. 

     

    2023년 02월 19일(주일)

    정병진목사


  1. 예수님은 어떻게 자신이 하나님과 하나라고 말씀하셨는가?(요10:27~30)_2019-01-13

    깊고도 오묘한 하나님의 하나됨의 신비, 그것은 하나님께서 아들의 육신을 입고 사람이 되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만세전부터 아들이신 그리스도를 통하여 2가지를 계획하셨다. 하나는 인류의 구원사역이요 또 하나는 마귀박멸이다. 그렇지만 구약시대에는 아...
    Date2019.01.13 By갈렙 Views336
    Read More
  2. 예수님은 또 누구신가?(마16:13~17)

    예수님은 누구신가? 우리가 그동안 알고 있는 신앙고백은 2가지일 것이다. 그것은 베드로의 신앙고백으로 알려진 신앙고백으로서, 주는 바로 그 그리스도요 하나님의 아들이다는 고백이다. 그렇다. 주 예수님은 구약성경인 율법과 선지서에 기록되어왔고 예언...
    Date2016.01.17 By갈렙 Views892
    Read More
  3. 예수님과 성령의 음성 그리고 악한 영들의 음성 [어떻게 구별할 것인가?] (행13:1~2과 22:17~18)_2021-05-16(주일)

    1. 들어가며 믿는 사람들 중에는 어떤 음성이 자기에게 들린다고 말하기도 한다. 사람의 음성은 아닌 것 같은데, 분명히 어떤 음성이 들린다는 것이다. 때로는 멀리서 말하는 음성 같기도 하고 가까이는 자기의 가슴에서 울리는 음성 같기도 하다고 말한다. 과...
    Date2021.05.16 By갈렙 Views417
    Read More
  4. 예수님 안에는 원죄(原罪)가 있을까?(요일3:5)_2019-01-06

    예수께서도 사람으로 태어나셨는데, 예수님도 모든 인류처럼 죄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 것은 아닐까? 어떤 사람은 사람은 누구든지 죄된 본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로, 즉 아직 범죄하지 않았던 아담의 상태로 태어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반대로 ...
    Date2019.01.06 By갈렙 Views399
    Read More
  5. 예수께서는 안식일에 부활하셨나 일요일이 부활하셨나?(마28:1)_2018-04-08

    예수께서는 안식일에 부활하셨을까 아니면 주일에 부활하셨을까? 아니 좀더 구체적으로 질문해보자. 예수께서는 토요일(안식일)에 부활하셨는가 아니면 일요일(주일)에 부활하셨는가? 일반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은 예수께서 주일에 부활하셨다고 믿고 있다(그것...
    Date2018.04.08 By갈렙 Views558
    Read More
  6. 예수께서 하나님 우편에 앉으셔서 하시는 일은?(히7:24~8:2)_2017-06-18

    천국에서 하나님의 보좌는 2개 내지는 3개가 아니라 오직 한 개다. 그렇다면 예수께서 승천하여 하나님의 우편에 앉으셨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그리고 예수께서 하나님의 우편에서 지금 무슨 일을 하고 계시는가? 천주교의 아이콘에서 암시하는 것처럼, 성자...
    Date2017.06.18 By갈렙 Views1061
    Read More
  7. 예수께서 이 세상에 오신 궁극적인 목적(요5:19~29)_2016-10-09

    1. 예수께서 이 세상에 오신 2가지 큰 목적 예수께서 이 세상에 오신 목적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볼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우리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한 것이요(요3:16) 또 하나는 사탄마귀와 귀신들을 처단하기 위한 것이다(요일3:8). 이것들 중에서 예수...
    Date2016.10.09 By갈렙 Views805
    Read More
  8. 예수께서 받은 아들이라는 신분은 언제까지 있을 것인가?(고전15:22~28)_2016-06-05

    예수께서는 이 땅에 어떻게 오셨는가? 아들이라는 신분으로 오셨다. 그래서 그때에 하나님은 예수님에 의해 아버지라고 불리우셨다. 사실 구약시대에는 하나님께서는 아버지라 불리우지 아니하셨다. 왜냐하면 아직 아들을 보시지 않았기 때문이다. 구약성경에...
    Date2016.06.05 By갈렙 Views858
    Read More
  9. 예수께서 무소부재(無所不在)하시다는 증거들(막6:45~52)_2018-06-03

    예수께서는 비록 사람으로 이 세상에 오셨지만 그분은 원래 하나님이셨다. 그러므로 그분이 이 세상 안에 들어오셨을 때에도 여전히 그분은 하나님으로서 속성들(비공유적인 속성들)을 가지고 계셨다. 그러한 속성으로는 전지전능, 무소부재(無所不在), 자존(...
    Date2018.06.03 By갈렙 Views481
    Read More
  10. 예수 그리스도 그는 아들인가 하나님인가(눅22:39~46)

    예수님은 아들이신가 하나님이신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예수님은 아들이시며 하나님이시다. 그분에 대한 우리의 참다운 신앙고백은 그분은 하나님의 아들이지만 하나님자신으로 고백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를 신앙하는 사람들 중에도 어떤 분...
    Date2015.10.18 By갈렙 Views985
    Read More
  11. 예레미야강해(18) 힌놈의 아들의 골짜기가 왜 게헨나(지옥)로 불리게 되었는가?(렘19:1~15)_2023-02-26(주일)

    2023-02-26(주일) 주일오후찬양예배 제목: 예레미야강해(18) 힌놈의 아들의 골짜기가 왜 게헨나(지옥)로 불리게 되었는가?(렘19:1~15)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gVKJGafqtMw [또는 https://tv.naver.com/v/33751102] 1. 들어가며 예레미야는 ...
    Date2023.02.26 By갈렙 Views225
    Read More
  12. 예레미야강해(12) 왜 하나님은 악인의 형통함을 지켜보고만 계시는가?(렘11:18~12:17)_2023-02-19(주일)

    2023-02-19(주일) 주일오후찬양예배 제목: 예레미야강해(12) 왜 하나님은 악인의 형통함을 지켜보고만 계시는가?(렘11:18~12:17)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018ivQluAfo [또는 https://tv.naver.com/v/33750748] 1. 들어가며 예레미야는 남유...
    Date2023.02.19 By갈렙 Views146
    Read More
  13. 예레미야강해(06) 사람과 민족은 언제 하나님께 심판받게 되는가?(렘1:13~16)_2023-02-12(주일)

    2023-02-12(주일) 주일오후찬양예배 제목: 예레미야강해(06) 사람과 민족은 언제 하나님께 심판받게 되는가?(렘1:13~16)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USHRRiVVCKc [또는 https://tv.naver.com/v/33097041] 1. 들어가며 하나님께서는 언제 개인과...
    Date2023.02.12 By갈렙 Views90
    Read More
  14. 영적으로 볼 때 회개는 언제까지 해야 하는가?(출34:6~9)_2023-01-15(주일)

    2023-01-15(주일) 주일오후찬양예배 제목: 영적으로 볼 때 회개는 언제까지 해야 하는가?(출34:6~9)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https://youtu.be/KpOtfJco9iw [또는 https://tv.naver.com/v/32453835] 1. 들어가며 업로드 중 2023년 01월 15일(주일) 정병진목사
    Date2023.01.15 By갈렙 Views82
    Read More
  15. 영적 전쟁에서 승리케 하는 2가지 요소(겔36:25~28)_2021-01-02(주일)

    1. 들어가며 사람이 영적 전쟁을 수행한다는 것은 영적 전쟁을 수행할 대상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는 말이다. 그렇다면 성도들에게 대적은 대체 무엇인가? 그런데 그리스도인들 중에는 영적 전쟁을 수행할 대상이 누군지를 잘 모르고 있다. 그것도 저 멀리 있는...
    Date2021.01.03 By갈렙 Views361
    Read More
  16. 영생과 부(富)를 동시에 얻을 수는 없는가?(마19:16~22)_2018-10-28

    사람은 과연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주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다. 하나를 중하게 여기면 하나는 가볍게 여기고, 하나를 가볍게 여기면 하나는 중하게 여긴다라고 말이다(마6:24). 사람은 재물을 더 중하게 여기든지 아니면 하나님을 더 중하게 여...
    Date2018.10.28 By갈렙 Views511
    Read More
  17. 영광스러운 부활체의 비밀(고전15:35~49_53)_2016-04-03

    성경에 보면 예수께서 살린 세 사람이 나온다. 한 사람은 회당장 야이로의 딸이요 또 한 사람은 나인성 과부의 아들이며, 마지막으로는 베다니의 나사로다. 그런데 이들이 다시 살아난 것과 예수께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것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Date2016.04.03 By갈렙 Views855
    Read More
  18. 연옥이 진짜 존재할까?(벧전3:18~20)_2019-10-13(주일)

    1. 들어가며 오늘날 천주교(로마카톨릭)과 개신교(개혁교회)는 많은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예를 들어, 천주교와 개신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신관이 같고, 사도신경도 신앙고백으로 같이 고백한다. 그런데 판이하게 다른 것도 있다. 그중에서 ...
    Date2019.10.13 By갈렙 Views915
    Read More
  19. 엘리야의 제자였던 엘리사가 그보다 두 배의 영을 받게 된 이유(왕하2:1~14)_2021-07-18(주일)

    선지자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예언만 하는 선지자가 있고, 또 하나는 예언을 할 뿐만 아니라 능력도 행하는 선지자가 있다. 성경에 등장하는 대부분은 선지자들은 전자에 해당한다. 그러나 후자에 해당하는 선지자들도 더러 있다. 바로 "엘리야와 엘리사...
    Date2021.07.18 By동탄명성교회 Views612
    Read More
  20. 에수께서 제시하신 천국에 들어가는 법(마19:16~30)

    예수님께서 제시하신 천국에 들어가는 법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법과는 사뭇 차이가 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동안 자신이 알고 있던 방식대고 믿고 그냥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바라면서 그렇게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Date2016.01.31 By갈렙 Views10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 Next
/ 24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