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utqE2HSmUlg
날짜 2014-04-06
본문말씀 요한일서2:29-3:3(신약 390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장자권의 회복과 누림

1. 들어가며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나는 어떤 존재일까? 그것은 한 마디로 하나님의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며 사랑스러운 존재이다(사43:4). 왜냐하면 그분께서 인간을 창조할 때에 처음부터 그렇게 창조하셨기 때문이며(창127~28),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당신의 아들의 목숨의 내놓셨기 때문이다(롬5:8).

 

2. 제12-2과 보배롭고 존귀하고 사랑스러운 나를 누리라
  그렇다면 하나님께서는 왜 우리를 위해 자신을 그토록 희생하신 것일까? 그리고 그분의 말할 수 없는 사랑을 받은 우리들은 과연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일까?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첫번째로 살펴볼 것은 하나님께서는 왜 죄인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요일3:1에 보면 요한사도는 그 질문에 답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감탄사로서 그 답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요일3:1)" 그렇다. 그분은 왜 우리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으셨던 것일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스스로에게 날마다 물어보아야 한다.

 그런데 제가 찾아낸 답이 하나 있다. 그것은 성령께서 제 마음 가운데서 떠오르게 한 영화에서 찾아낼 수 있었다. 그것은 1998년에 나온 <라이언 일병 구하기>라는 영화에서다. 거기에 보면, 2차세계대전 중 연합군 소속의 밀러라는 대위가 등장한다. 안타깝게도 그는 2차대전을 치르면서 무려 94명의 부하들의 죽음을 자신의 눈으로 목도한다. 그리고 그는 마지막에 그들의 죽음 앞에 자신의 해답을 찾아서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한다. "내 부하 94명의 죽음으로 인하여 20배의 사람들을 살릴 수 있었으니 나는 지금 가치있는 일을 하고 있어!" 그런데 어느날 그에게 놀라운 특명이 내려진다. 그것은 2차대전 중에 4명의 아들 중에서 3명의 아들들을 잃어버린 어느 과부의 막내아들을 찾아내어 그를 집으로 돌려보내라는 것이었다. 밀러 대위는 죽음 앞에서 생사고락을 같이 했던 한 상사와 몇몇의 부하들을 데리고 적진의 한 복판으로 이동한다. 목적은 한 가지다. 제임스 라이언 일병을 찾아내어 안전하게 집으로 귀가시키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일병을 찾으러가면서 또 부하들을 잃게 된 대위는 자신에게 끊임없이 되묻는다. "정말, 다른 대원들을 희생시켜서라고 이 라이언 일병을 구출해 내는 것이 과연 가치있는 일인가?" 천신만고 끝에 라이언 일병을 찾아내지만, 그는 도리어 다른 동료들을 놔둔채 그 전쟁터를 떠날 수 없다고 한다. 결국 라이얼 일병과 함께 남게된 밀러대위는 적군과 최후의 일전을 벌이는데, 그때 그는 전사하게 된다. 그런데 그가 죽어가면서 라이언 일병에게 남긴 말이 무엇인 줄 아는가? "라이언, 꼭 살아서 돌아가! 그리고 잘 살아야 해! 너를 구하기 위해 나의 생명과 같은 대원들이 희생됐어! 그러니 내 몫과 그들의 몫까지 살아줘!"

  그렇다. 왜 주님은 우리를 위해 자신을 그토록 희생하신 것일까? 그것은 오직 한 가지다. 그분은 우리로 하여금 당신 목숨을 주고 우리를 구원해 준 만큼 우리가 거기에 부응하는 삶을 살아주기를 바래서이다. 이것이야말로 그분의 희생에 누가 되지 않는 삶을 사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낭비해서는 아니 된다. 우리 자신을 죄에 방임해서도 아니된다. 주님께서 어떤 목숨을 주고 바꾼 것인데 함부로 써서 되겠는가? 이제부터는 우리 자신을 결코 함부로 내팽개친 상태로 살자 말라. 자신의 인생을 쓰레기처럼 만들지 말라. 그분의 희생이 헛되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기 때문이다. 죄에게 함부로 자신을 맡기지 말라. 오히려 우리는 거룩하고 흠없는 삶을 통해 그분의 희생에 걸맞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것이 우리를 향해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희생하신 주님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다.

  베드로 사도는 말한다. "너희가 음란과 정욕과 술취함과 방탕과 향락과 무범한 우상수애를 하여 이방인의 뜻을 따라 행한 것은 지나간 때로 족하도다(벧전4:3)"

  그런데 우리의 삶은 어떠한가? 개가 토한 것을 도로먹고, 돼지가 씻었다가 더러운 구덩이에 도로눕고 있는 사람이 아닌가? 이제는 그렇게 살지 말라. 주님의 목숨을 그렇게 값어치가 없게 만들지 말라. 그분의 희생을 욕되게 하지 말라. 그러라고 주님께서 당신의 고귀한 목숨을 내놓으신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는 더이상 방탕한 삶에 자신을 내어맡기지 말라. 깨끗하고 거룩한 삶을 살라. 그분의 목숨에 비례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그후 제임스 라이언은 50년이 지난 뒤 밀러 대위의 무덤을 찾아서 이렇게 말한다. "대위님, 대위님께서 하신 말씀을 매일 생각했죠? 최대한 잘 살아보려고 노력했고 그렇게 살아왔습니다. 최소한 대위님의 눈에 대위님의 희생이 헛되지 않기를 바랬습니다." "여보, 나 어떻게 살았지? 훌륭히 살아왔다고 말해줘!" "당신은 훌륭해요" 우리도 이런 말을 주님께 다시 되돌려 드리자.

 

 

2014년 04월 06일(주일)

정병진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8 성도가 영적 싸움에서 승리하는 2가지 방법(엡6:12~17)_2021-08-15(주일) file 갈렙 2021.08.15 257
167 성경이 말씀하고 있는 참된 예정이란 무엇인가?(엡1:3~14)_2018-07-22 file 갈렙 2018.07.22 649
166 성경을 푸는 2가지 열쇠(행20:17~21)_2017-02-21 file 갈렙 2017.02.12 668
165 성경에서 말하는 적그리스도는 누구인가?(요일2:18~23) file 갈렙 2015.10.11 1387
164 성경에 나오는 홍해와 시내산의 위치는 어디인가?(왕상9:26)_2018-08-05 file 갈렙 2018.08.05 5010
163 상급으로 이어지는 공력을 쌓으려면(고전3:10-15)_2014-09-28 file 관리자 2014.09.28 1482
162 삼손은 과연 천국에 들어갔을까?(삿16:23~31)_2020-02-16(주일) file 갈렙 2020.02.16 1081
161 사울을 통해 살펴보는 교만한 자의 10가지 특징은 무엇인가(삼상28:3~14)_2021-06-27(주일) file 갈렙 2021.06.27 606
160 사무엘하강해플러스(40) 다윗의 유언을 통해 살펴보는 그의 위대한 일생(대상28:9~10)_2022-02-20(주일) 1 file 갈렙 2022.02.20 300
159 사무엘하강해(34) 다윗이 제사드린 것만으로 과연 속죄가 일어나고 재앙이 없어진 것인가?(삼하24:10~25)_2022-02-13(주일) 1 file 갈렙 2022.02.13 239
158 사무엘하강해(28) 사울왕이 지은 죄값을 왜 다윗시대에 받아야 했는가?(삼하21:1~14)_2022-02-06(주일) 1 file 갈렙 2022.02.06 336
157 사무엘하강해(24) 압살롬은 왜 아히도벨의 조언을 버리고 후새를 선택했을까?(삼하17:1~29)_2022-01-30(주일) 1 file 갈렙 2022.01.30 324
156 사무엘하강해(18) 다윗의 회개의 4가지 특징은 무엇인가?(삼하12:1~15)_2022-01-23(주일) file 갈렙 2022.01.23 386
155 사무엘하강해(05) 다윗의 천도, 예루살렘의 파란만장한 역사가 드디어 시작되다(삼하5:1~25)_2022-01-09(주일) file 갈렙 2022.01.09 271
154 사무엘상강해(41) 사울 왕의 경우처럼 교만한 자에게서 나타나는 10가지 특징은?(삼상28:15~25)_2022-01-20(주일) 1 file 갈렙 2022.01.02 286
153 사무엘상강해(29) 다윗을 역사의 전면에 등장시킨 거인 골리앗(삼상17:38~54)_2021-12-19(주일) 1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2.19 219
152 사무엘상강해(22)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음을 알리는 사무엘, 과연 어떤 고민이 있었을까?(삼상12:1~25)_2021-12-12(주일)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2.12 162
151 사무엘상강해(16) 사무엘이 개최한 미스바 성회, 무엇이 그 중심에 있었나?(삼상7:2~17)_2021-12-05(주일) 1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2.05 352
150 사무엘상강해(10) 사무엘, 그는 어떻게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는가?(삼상3:1~21)_2021-11-28(주일)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1.28 175
149 사명은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특별한 배려다(고전9:19~27) file 갈렙 2015.10.25 995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4 Next
/ 24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