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b3gneE0eY6k
날짜 2015-01-11
본문말씀 고린도전서 14:13~30(신약 280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방언, 새 방언과 나라방언, 방언의 특징, 방언의 효용성, 방언기도와 방언찬송, 공중예배시의 방언사용, 방언통역,

  방언, 그것은 과연 신령한 은사이며 은사 중에서도 가장 탁월한 은사일까? 그리고 그것이 어느 교단에서 말하는 것처럼 구원의 표징이나 성령세례의 증거라도 되는 것인가? 아니면 그 반대로 방언,  그것은 아무 쓸데 없는 공허한 울림인 것인가? 더 나아가서, 귀신이 주는 것이라도 되는 것일까?

  언제부턴가 방언예찬론 일색이었던 한국교회 가운데 이제는 방언무용론이 서서히 고개를 들고 일어나고 있는 듯 보인다. 이러한  방언무용론 주장에는 현재 우리 장로교 통합측 교단의 원로 노OO목사님으로서, 현재까지 279차례나 성경통독사경회를 이끌어오신 분이 그 중심에 서 있다. 방언, 정말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일까?


[참고] 방언은 성령의 은사인가 악령의 은사인가? 노우호목사 특강 (유투브 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dJf1wh7wSNo&feature=player_detailpage


  이제 우리는 누가 그렇게 이야기했다고 해서 무작정 따라가는 우를 범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그리고 영적으로 유익한 은사라면 그것을 무작정 파묻어서도 아니 될 것이다. 영적 은사는 분별해서 교회 공동체와 개인의 유익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대체로 방언과 같은 경우는 그것이 천국과 지옥을 나누는 기준은 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무시해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잘못된 영적 은사의 사용이나 은사 무용론은 재고해야 한다. 성경적인 기준에 따라 방언에 대해 깊이 숙고해보고, 성경에 따르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방언에 대해 예수님께서는 과연 무엇이라고 말씀하셨는지부터 살펴보자. 예수님은 방언에 대해 딱 한 번 말씀하셨다. 하지만 육신을 입고 오신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것이니 그것이 딱 한 번 이야기하셨다 하더라도 우리는 예수님의 말씀에 따라가야 할 것이다. 이 말씀은 마가복음 16장 17절에 나와 있다. "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따르리니 곧 그들이 내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며 새 방언을 말하며..." 예수께서는 믿는 자들에게 5가지 표적이 나타난다고 말씀하셨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새 방언을 말하는 것이다.

  '방언'이라는 단어를 원어자체로 살펴보면, '글로싸'라는 단어로서 그냥 '혀'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그런데 사람은 그 혀를 가지고 말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 단어를 단순히 '혀'라고 번역하기도 하지만(9절), 대부분은 '방언'이라고 번역한다.  다시 말해, 예수께서 믿는 자들에 나타나는 표적으로서 방언은 자신의 혀로써 말하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데, "새(new)"라는 단어가 붙어있는 만큼, 이전에 사용하던 언어와는 질적으로 다른 언어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초대교회 이후 더 이상 방언은 없어졌다. 그래도 방언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귀신이 주는 것이다"라는 말은 해서는 안 될 말이다. 예수께서는 오고 오는 세대에 일어날 믿는 자들의 표적으로 방언이 있음을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방언이 실제적으로 나타날 때에는 딱 2가지 경우로 나타났다. 하나는 사도행전 2장에서, 오순절날 마가다락방에 모여있는 120명의 성도들에 나타난 것이 한 가지이며(행2:4,8), 사도행전 10장의 고넬료가정과 사도행전 19장의 에베소교회 가운에 나타난 것이 바로 또 한 가지 경우다(행10:46, 19:6). 앞의 것은 표적으로서 나타난 은사방언으로서, 각국 나라방언이었다. 다시 말해, 처음으로 질적으로 다른 언어가 성도들에게 선물로 주어졌는데, 그것이 바로 나라방언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당시 오순절을 지키기 위해 몰려든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에게 복음이 전파되도록 하기 위한 아주 특별한 것이었다. 다시 말해 인류역사에 최초로 나타난 방언은 각국 나라방언으로써 선교적 차원에서 나타난 것이었다.

  하지만 그 뒤로 복음이 이방인과 이방인 지역으로 전파됨에 따라 거기에서도 방언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방언은 사람들이 자신의 귀로 들을 때 알아들을 수 없는 이상한 말이었다. 이것은 이 세상에서 누군가가 사용하고 있는 말이 아니라, 이 세상 사람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 그래서 통역없이는 결코 알아 들을 수 없는 말이었다. 이것을 우리는 '알아들을 수 없는 방언'이라고 말하며, 고린도교회에서도 나타난 방언을 가리킨다(고전14장). 그러므로 방언이라는 단어는, 선교적으로 나타난 최초의 각국나라방언을 지칭하기보다는, 알아들을 수 없는 방언으로 보면 좋을 것이다.

  그렇다면, 알아들을 수 없는 방언 즉 고전14장에 나오는 방언은 과연 어떤 것을 가리키는가? 사도바울은 이것도 성령께서 선물로 주시는 은사들 중의 하나로서, 예언과 비슷한 초자연적인 은사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이 방언에 대해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방언을 말하는 자는 사람에게 하지 않고, 하나님께 하나니 이는 알아듣는 자가 없고,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라(고전14:2)", "내가 만일 방언으로 기도하면 나의 영이 기도하거니와 나의 마음은 열매를 맺지 못하리라(15절)" 그렇다. 사도바울이 경험했고 그때도 행하고 있었던 방언이란 곧 죄사함을 받고 영혼이 살아난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의 일종으로서, 자신의 혼(이성)이 아닌 자신의 영이 하나님께 올리는 기도였던 것이다.

  사도바울은 이 방언을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더 말하고 있는 것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하고 있다고 고백했다(18절). 그리고 고린도교회 성도들에게도 "나는 너희가 다 방언말하기를 원한다(5절)" 그리고 마지막으로 당부하기를 "방언 말하기를 금하지 말라(39절)"고 했다. 그는 방언폐지를 주장하지 않았던 것이다. 방언은 진짜 유익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방언은 자기자신을 세워주기 때문에 매우 유익했던 것이다(28절, 고전12:10).

  그런데 이 방언의 특징사람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대하여 자신의 영이 말하는 것이므로 자신도 알아들을 수 없고 남들도 알아들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사람이 사용할 때에는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즉 방언을 할 때에는 개인적으로 혼자 언제든지 해도 된다고 했지만 교회구성원들이 공적으로 모여 함께 예배드릴 때에는 방언을 사용하지 말라고 했던 것이다. 왜냐하면, 공예배시에 너도나도 할 것 없이 방언을 사용하게 되면, 교회가 소란스러워질 뿐만 아니라, 혹시 그 예배에 초신자나 불신자가 들어왔을 때에 미쳤다고 말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즉 방언의 은사의 남용이 구원받기 위해 교회 안으로 들어온 사람들을 내쫓아내는데 사용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도바울은 공중예배시에 방언은 사용하지 말라고 명한 것이다.

  만약 그래도 방언을 공중예배시에 사용하려 한다면, 그때에는 반드시 통역하는 사람을 세워 그가 무슨 말로 하나님께 기도하고 있는지를 성도들에게 알려 그것을 통해 성도들이 어떤 기도를 해야 하는지, 사람이 자신의 영으로 어떤 기도를 드리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했다(13, 27절). 그리고 교회 예배 중에 방언을 하려한다면, 두 세 명 정도 차례대로 방언을 하게 할 것이며, 반드시 통역을 세워서 그 내용을 성도들이 알게 하라고 권면하고 있다(27절). 만약 그렇게 통역을 세우지 않을려면 교회의 공예배에서는 침묵을 지키는 것이 낫다고 하였다(28절).

  이처럼 바울의 말을 잘 살펴 보면, 그에게 영적 은사를 사용하는 원칙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무슨 영적인 은사이든지 반드시 교회를 세우는 데에 그것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26절). 만약 그것이 교회를 세워주는 것이 아니라면 어떤 신령한 은사라도 사용하기를 조심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방언의 은사, 이 은사가 신령한 은사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이것을 함부로 사용해서 초신자나 불신자로 하여금 교회를 미친 사람들의 소굴로 인식시켜서는 아니 될 것이다. 그러므로 방언을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통역을 세워서 믿는 사람들에게 방언이라는 은사가 나타날 수 있고, 그것은 자신의 영이 살아난 자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라는 것을 알게 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왜 현대교회의 지도자들 가운데 방언무용론을 주장하는 것일까? 그것은 방언의 시작이 건전한 교회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신사도와 빈야드쪽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사실 오늘날 신사도와 빈야드쪽에서는 쓰러지는 것과 이상한 웃음소리(자기들은 '희락의 영'이 임하여 나타나는 '거룩한 웃음'이라고 함)와 방언 그리고 치유가 빈번이 나타난다. 그리고 사실 신사도와 빈야드쪽을 보면 그들이 거짓된 영을 성령으로 속이고 있는 사역하고 있는 것이 분명한 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방언자체를 부정해서 되겠는가? 1,500년동안 교회사 가운데 방언의 은사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더라도, 예수님께서 말씀하셨고 또한 사도들의 복음을 증거하는 곳에 나타났던 방언의 은사를 귀신의 역사로 단죄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하지만 방언말함을 무조건 성령께서 주시는 은사라고 단정지어서도 아니 될 것이다. 왜냐하면 다른 이방종교에서도 그러한 말들을 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기 때문이며, 귀신도 얼마든지 방언처럼 위장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이상한 말을 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비록 사람이 알아들을 수 없는 방언이라도 방언이라는 것은 성령의 신령한 은사 가운데 하나로서, 사람이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 가운데 하나임에 틀림없다. 특별히 자신의 영이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인 것이다. 그러므로 방언으로 말하는 것 자체를 거부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하지만 기왕 방언을 하려 한다면, 적어도 자신의 방언이 과연 어떤 내용인지 통역해보는 것이 좋을 듯 싶다. 그리고 방언을 공중예배시에 사용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통역하는 자를 세워 그것이 성령의 은사임을 모든 사람으로 알게 해야 할 것이며, 그것이 곧 사람의 영이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라는 것을 알게 해야 할 것이다. 사도바울은 말한다. 방언은 개인을 영적으로 세워주기 때문에, 개인을 위해서는 매우 유익한 것이라고(4절, 28절).



  800_2015-01-11 주일오후찬양예배.ts_000191819.jpg



  1. 2015-05-17 부모가 자녀들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 4가지(삼상2:22~36)

    자녀는 자기를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부모님을 공경함이 마땅하다. 하지만 부모가 자식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도 있음을 알라. 과연 부모가 자식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사실 이 세상의 부모치고 부모교육을 제대로 받고 부모가 된 사람...
    Date2015.05.17 By갈렙 Views1229
    Read More
  2. 2015-05-31 하나님은 한 분인가 세 분인가?(2)(사45:5~7)

    1. 삼위일체인가 아니면 삼신론인가? 하나님은 한 분인가 아니면 세 분인가? 삼위일체를 주장하는 자들은 비록 그들 속으로는 하나님을 세 분으로 알고 있지만 그렇게 이야기하면 성경에서 하나님이 한 분이라고 하는 말씀과 상충되다보니, 셋이지만 그것은 곧...
    Date2015.05.31 By갈렙 Views1214
    Read More
  3. 2015-07-12 자살하면 정말 100% 지옥에 가는가(마27:3~10)

    지난 7월 6일, 한국 음식계를 발칵 뒤집는 뉴스가 하나 있었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떡볶이와 떡국떡의 대명사로 알려진 송학식품에서 지난 2년동안 대장균이 검출된 떡볶이 떡을 포장지만 바꾸어 납품해서 무려 150억원어치나 시중에 유통시켰다는 기사였다. ...
    Date2015.07.12 By갈렙 Views1214
    Read More
  4. 예수님을 믿은 후에 꼭 해야할 3가지 것들(눅17:16~19, 계2:21~23, 갈5:19~21)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나면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일까? 예배를 잘 드려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나도 누군가를 위해 중보기도를 시작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이젠 예수님을 믿게 되었으니 체계적으로 성경을 공부해야 하는 것인가? 그것도 아니라면 아직...
    Date2015.02.15 By갈렙 Views1203
    Read More
  5. 오늘날에도 십일조를 바쳐야 하는가?(마23:23)

    오늘날에 들어와서도 십일조헌금 만큼은 의무적으로 바쳐야 하는가? 그동안 십일조 헌금설교를 많이 들었던 자는 어찌 하든지 십일조만큼은 반드시 교회에 바쳐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혹시라고 십일조 헌금을 빼먹었다면 과거의 것까지 다 계산해서 ...
    Date2015.11.08 By갈렙 Views1201
    Read More
  6. 깨어진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방법(마4:17, 히3:18~4:1)_2016-07-17

    최초의 사람이었던 아담이 가지고 있었으나 잃어버린 하나님의 형상은 대체 무엇일까? 그렇지만 인간은 그 형상을 아주 잃어버린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에 단지 흠이 생겼기 때문이다. 아담의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아담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형상이 어느...
    Date2016.07.17 By갈렙 Views1194
    Read More
  7. 진짜 회개기도, 어떻게 할 것인가?(계2:18~23)_2020-11-01(주일)

    1. 들어가며 회개를 하되 진짜로 회개했다는 것을 우리는 과연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사실 우리는 우리가 지은 죄들을 회개할 때면 우리의 죄들을 다 용서받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요일1:9). 하지만 진짜 나의 죄가 용서되어졌는지를 우리는 어떻게 알 수 ...
    Date2020.11.01 By갈렙 Views1180
    Read More
  8.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은 무엇인가?(골1:18~29)

    골1:24을 읽어보면,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이라는 말씀이 있다. 예수께서는 분명히 십자가상에서 "다 이루었다"고 선언하셨는데, 과연 그분께서 감당하지 못하고 남겨두신 고난이 있다는 말인가? 이어서 사도바울은 그 고난을 그의 몸된 교회를 위하여 그것을...
    Date2015.12.06 By갈렙 Views1172
    Read More
  9. 베들레헴의 구속사적인 의미(마2:1~6)

    베들레헴, 성지순례를 가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들려보고 싶어하는 코스다. 그곳에서 메시야께서 태어나셨기 때문이다. 그런데 베들레헴은 결코 유명한 동네가 아니었으며, 아주 작은 시골 동네에 불과했다. 그런데 그러한 동네가 오늘날에게는 전세계의 순례...
    Date2015.12.13 By갈렙 Views1141
    Read More
  10. 빈야드와 신사도운동을 경계하라(고후11:1~15)

    1970년대 후반에 생겨난 빈야드운동과 1990년경에 시작된 신사도운동은 과연 하나님께서 기빠하시는 성령운동일까? 우리나라에서 빈야드운동은 일반적으로는 G12의 엔카운터수양회나 알파코스의 성령수양회 등으로 쉽게 접해볼 수 있다. 그리고 신사도운동은 ...
    Date2015.08.02 By갈렙 Views1141
    Read More
  11. 2015-03-29 주께서 말씀하신 마지막 심판의 기준(마25:31~46)

    누구든지 언젠가 한 번은 주님 앞에 서게 될 것이다.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한 번 죽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며, 그 후에는 하나님 앞에서 심판을 받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히9:27). 그런데 그때 주님께서는 과연 어떤 기준으로 사람을 심판하실지...
    Date2015.03.29 By갈렙 Views1140
    Read More
  12. 이스라엘의 회복과 복음전파의 비밀(행1:6~8)_2016-03-20

    성경에 보면 유사한 단어이지만 쓰이는 용례가 다른 단어가 있다. 예를 들어, '히브리인'과 '이스라엘사람'과 '유대인'이라는 단어다. 그런데 부활후 승천직전에 있던 예수님에게 11제자들이 물어보았다. 그것은 이스라엘의 회복이 언제 있느냐 하는 것이었다....
    Date2016.03.20 By갈렙 Views1137
    Read More
  13. 이미 롯의 시대가 시작되었다(눅17:22~37)

    우리는 지금 마지막 시대에 살고 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노아의 때가 지금의 시기요, 롯의 때가 지금의 시대와 흡사하기 때문이다. 아니 이미 롯의 시대에 접어들어서고 말았다. 그러므로 지금이야말로 더 깨어서 기도하고, 회개하고, 맡겨진 ...
    Date2016.02.14 By갈렙 Views1131
    Read More
  14. 죄와 벌(고전5:1~13)

    사람이 죄를 지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 그냥 묻어두면 되는 것일까? 그건 아니다. 묻어둔다고 해서 불꽃같은 눈으로 지켜보고 계시는 하나님을 속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사람이 죄를 지었으면 2가지 것을 해야 한다. 하나는 하...
    Date2016.02.21 By갈렙 Views1128
    Read More
  15. 바른종말신앙(05) 7년 대환난은 과연 성경적이며 또 그것은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마24:15~28)_2021-08-22(주일)

    과연 성경에 '7년 대환난'이라는 말이 나오는가? 혹시 나온다면 어디에 있는 것을 가져온 것인가? 예수님께서도 그러한 용어를 사용하신 적이 있었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가운데 '7년 대환난'이라는 용어가 아주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
    Date2021.08.22 By갈렙 Views1127
    Read More
  16. 주의 영광이 나의 것이 되게 하려면(요12:27~36)

    영광이란 어떤 것을 가리키는 것일까? '영광' 곧 헬라어로 '독사'라는 단어를 문자적으로만 본다면 그것은 "빛남, 광채"라는 의미다. 하나님은 사실 영광스러운 존재이시다. "하나님이여 주는 하늘 위에 높이 들리시며 주의 영광이 온 세계 위에 높아지기를 원...
    Date2015.12.27 By갈렙 Views1121
    Read More
  17. 예수님의 직계조상들의 신앙의 유산(마1:1~16)

    예수님의 직계조상들 중 누가 과연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을까? 마태복음 기자는 두 사람을 천거하고 있는데 한 사람은 아브라함이고, 한 사람은 다윗이다(마1:1). 한편 예수님의 조상들 중에 여자의 이름들도 언급되고 있는데, 그들은 가나안여인이었던 다말과...
    Date2015.12.20 By갈렙 Views1118
    Read More
  18. 어떻게 하면 말씀을 잘 암송할 수 있을까?(시119:97~99)_2017-09-10

    우리가 어떻게 하면 성경말씀을 좀 더 쉽게 암송할 수 있을까? 누구나 다 성경말씀을 암송한다면 그것이 유익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것은 우리가 암송하지 않는 말씀을 가지고 성령께서 우리를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지 않으실...
    Date2017.09.10 By갈렙 Views1116
    Read More
  19. 회개하는 자들이 '회개기도문'으로 기도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행3:19)_2021-05-23(주일)

    영의 세계는 특별하다. 사람 속에 들어오는 귀신이 뱀이며, 그것도 실뱀의 모습을 하고 있고 들어온 뱀들이 서로 뭉쳐 굵어진다는 것을 아는 이가 얼마나 될까? 그러므로 사람 몸 속에는 수천마리 이상의 뱀들이 들어있을 수 있다(막5:13). 그렇다면 이러한 귀...
    Date2021.05.23 By갈렙 Views1116
    Read More
  20. 방언 예찬론과 무용론, 과연 어떻게 볼 것인가?(고전14:13~30)

    방언, 그것은 과연 신령한 은사이며 은사 중에서도 가장 탁월한 은사일까? 그리고 그것이 어느 교단에서 말하는 것처럼 구원의 표징이나 성령세례의 증거라도 되는 것인가? 아니면 그 반대로 방언, 그것은 아무 쓸데 없는 공허한 울림인 것인가? 더 나아가서, ...
    Date2015.01.11 By갈렙 Views11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