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YzIlWrpqihM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사도행전강해(73) 데살로니가 교회는 대체 어떤 신앙을 가졌는가?(행17:1~9)_2022-11-23(수)

https://youtu.be/YzIlWrpqihM  [혹은 https://tv.naver.com/v/31023246 ]

 

1. 데살로니가교회는 어떻게 세워졌는가?

  데살로니가교회는 A.D.52년경 제2차 전도여행 중에 바울과 실라가 빌립보교회 다음으로 개척했던 교회다. 데살로니가는 당시 로마 마게도냐 주의 수도였다. 인구는 20만 명의 대도시였다. 그렇지만 거기에는 빌립보에 비해 유대인들이 많이 살고 있었다. 그래서 여기에는 회당이 있었다. 바울이 여기에 얼마나 거했는지는 모르지만 바울은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데살로니가에서 밤낮으로 일을 했다. 그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바울은 유대인의 회당에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회당 설교를 하였다. 그 내용은 구약성경에 기록된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과 부활을 언급한 후 그분이 바로 예수님이라고 전했다. 그랬더니 경건한 헬라인의 큰 무리와 적지 않은 귀부인이 이를 믿고 따르게 되었다. 그중에는 야손도 들어 있었다.

 

2. 바울과 실라는 왜 급히 데살로니가를 떠나야 했는가?

  그렇지만 유대인들이 바울과 실라가 복음 전함을 시기하여, 저잣거리의 불량배를 동원하고 군중을 선동하더니, 바울과 실라를 체포하려 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바울과 실라가 천하를 어지럽게 하는 자들이라고 매도하면서 로마 황제를 거역하는 정치범으로 잡아들이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바울 일행은 그들이 머물고 있던 야손의 집에 없었다. 그리하여 이 소식을 들은 바울과 실라는 급히 데살로니가를 떠나야 했다. 

 

3. 데살로니가교회는 바울에게 어떤 교회였는가?

  실제로 3주간의 복음 전파를 통해 세워진 교회였지만 바울에게 데살로니가교회는 자신의 자랑의 면류관이었다. 그에게는 이 교회가 그만큼 사랑스러웠고 귀했다(살전2:19~20). 그건 그들이 짧은 기간 중에도 복음을 기쁘게 받아들였으며, 핍박 가운데서도 믿음을 지켜내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바울은 데살로니가를 떠나 베뢰아 그리고 아덴에 도착했을 때에 디모데를 보내 이 교회의 사정을 파악한 후에 다음 기착지인 고린도에 도착한다. 그리고 디모데로부터 데살로니가교회의 소식을 들은 후에 그들을 격려하고자 또한 그들에게 몇 가지 다듬어져야 할 신앙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 편지를 써 보냈는데, 그것이 바로 데살로니가전서와 데살로니가후서다. 그렇다면 데살로니가교회는 어떤 교회였는가? 우리는 데살로니가전후서의 기록을 통해 이 교회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교회였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이 교회는 자신이 그동안 섬기던 우상을 버리고 기꺼이 하나님을 참 신으로 섬기는 교회였다(살전1:9). 이방인들이 이렇게 하기가 쉽지는 않았을텐데 그들은 바울의 말을 듣고 기꺼이 자신의 신앙의 대상을 하나님으로 바꾸었다. 둘째, 이 교회는 재림 신앙이 좋은 교회였다. 즉 이들은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자 만왕의 왕으로 믿었으며 그분이 하늘로부터 강림하시는 것을 철저히 믿었던 교회였다(살전1:10). 셋째, 이 교회는 환란을 잘 이겨내는 교회였다. 이들은 바울과 실라를 따라 새로운 종교를 받아들였다는 이유 때문에 잡혀가고 어려움도 당했지만 그들은 환난을 잘 이겨내었다. 넷째, 이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간절히 사모하는 교회였다. 왜냐하면 이들은 바울과 실라에게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때에 사람의 말로 듣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살전2:13). 

 

4. 데살로니가교회에 있어서 다듬어져야 할 신앙은 무엇이었는가?

  데살로니가교회는 우상을 버리고 살아 계신 하나님과 장차 재림하실 예수님에 대한 굳은 신앙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에게도 부족한 점들이 있었으니 적어도 다음과 같은 4가지 것들이 있었다.

  첫째, 이들은 우상은 버렸지만 음란을 깨끗이 버리지 못했다(살전4:3~6).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이들에게 음란을 버리고 각각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자기의 아내를 대할 줄 알고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들처럼 색욕을 따르지 말라고 권면하였다(살전4:3~6). 하나님의 뜻은 거룩함에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이들은 잘못된 재림 신앙으로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은 자들이 더러 있었다(살전4:11, 5:14, 살후3:11). 이들은 임박한 재림 신앙을 가졌다. 그런데 이것 때문에 열심히 일하지 않는 이들도 있었다. 그러다 보니 게으른 자들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살후3:6). 일하지 않으려는 자들이 생겨난 것이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이들에게 조용히 일하여 자기의 양식을 먹으라고 권면하였다(살후3:12). 

  셋째, 이들은 잘못된 부활 신앙으로 죽은 자들에 대하여 낙심하고 있었다(살전4:13~18). 이들은 주님의 재림 이전에 성도가 죽자 그들에게 소망이 끊어진 것이 아닌가 걱정했다. 그러자 사도 바울은 죽은 자는 천국에 들어가 있다가 주님의 재림시에 같이 올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재림시에 죽은 자들은 그때 먼저 일어날 것이며, 살아 있는 자는 홀연히 변화되어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넷째, 이들은 잘못된 은사 이해로 인하여 은사를 부정하거나 터부시하였다(살전5:19~21). 그러자 바울은 성령을 소멸하려고 하지 말고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라고 권면하였다. 

 

5. 바울은 주의 재림에 관하여 어떻게 바른 재림 신앙을 가지라고 권면했는가?

  바울은 주님의 재림이 임박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쉬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했다(살전5:11~5, 살후2:1~12). 주님의 재림은 어느 날 갑자기 임할 것이지만 그날을 준비 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주님의 재림은 도둑같이 그리고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이름과 같이 올 것이지만 빛의 아들들에게는 그날이 도둑같이 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 것이다(살전5:4). 그러므로 그날이 이르렀다고 쉬 동요되지 말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불법의 사람 곧 멸망의 아들이 나타나기 전에는 그날이 이르지 아니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살후2:3~4). 그는 대적하는 자로서, 어느 날 하나님의 성전에 앉아 자신을 하나님이라고 내세우게 될 것인데, 이러한 자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결코 그날이 임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바울은 권면했다. 

 

 

2022년 11월 23일(수)

정병진목사

2022-11-23 설교방송아침[크기변환].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동영상URL
1746 창세기강해(84) 하나님과 아브라함이 맺은 횃불언약이 말해주는 영적 교훈(창15:9~21)_2022-12-05(월) file 갈렙 2022.12.03 53 https://youtu.be/jwUInd8kW5U
1745 사도행전강해(79) 평신도 선교사 부부와 성경학자 아볼로의 아름다운 만남(행18:18~28)_2022-12-09(금) file 갈렙 2022.12.09 53 https://youtu.be/XnM7gpT8zNM
1744 창세기강해(104) 한 분 하나님의 벗(친구)이 되는 자들이 받을 신약의 축복(요15:15~16)_2023-02-06(주일) file 갈렙 2023.02.05 53 https://youtu.be/fOzCss01qOg
1743 창세기강해(90) 아브라함 앞에 나타난 세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은 누구였나?(창18:10~20)_2023-01-02(월) file 갈렙 2023.01.01 53 https://youtu.be/w7C-5F77XUc
1742 [온라인새벽기도회] [앵콜방송] 성령의 은사(01) 방언은 외국어인가 영의 언어인가?(01)(행2:1~13)_2023-09-26(화) file 갈렙 2023.09.26 53 https://youtu.be/JVOVlYwsS3M
1741 [요한계시록강해보완(44)] 에베소 교회의 예를 통해서 배우는 이기는 자가 되는 법(계2:1~7)_2023-12-06(수) 1 file 갈렙 2023.12.06 53 https://youtu.be/MmIRakMTSuk
1740 [한 해 결산하기(1)] 바울이 알려준 한 해를 결산하는 3가지 기준은 무엇인가?(딤후4:7~8)_2023-12-26(화) 1 file 갈렙 2023.12.26 53 https://youtu.be/kgRemDneBjI
1739 [사역자 바울의 일생(1)] 하나님이 쓰셨던 사람 바울, 그는 부름받기 전에 어떻게 살았을까?(행21:37~22:5)_2024-01-02(화) 1 file 갈렙 2024.01.02 53 https://youtu.be/p3s0cgSSYyo
1738 [그리스도인의 율법관(08)] 예수 그리스도는 무교절의 절기를 어떻게 지키셨는가?(출12:15~20)_2024-02-20(화) 1 file 갈렙 2024.02.20 53 https://youtu.be/6Ku6YraeGmU
1737 [그리스도인의 율법관(45)] 예수께서는 왜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다른 제사장으로 오셨는가?(02)(히7:1~10)_2024-04-02(화) 1 file 갈렙 2024.04.02 53 https://youtu.be/eiqLfJXJ7kc
1736 [요한계시록강해보완(49)] 빌라델비아 교회의 예를 통해서 배우는 이기는 자가 되는 법(계3:7~13)_2023-12-12(화) 1 file 갈렙 2023.12.12 54 https://youtu.be/CQ5YM5SWE_U
1735 [그리스도인의 율법관(29)] 지성소의 증거궤 위 속죄소의 용도는 대체 무엇인가?(출25:10~22)_2024-03-14(목) 2 file 갈렙 2024.03.14 54 https://youtu.be/0i4ddoFgZVo
1734 그리스도인의 율법관(39)] 제사장의 직무는 무엇이며, 천국에서는 어떤 누림에 참여하는가?(겔44:15~27)_2024-03-25(월) 1 file 갈렙 2024.03.25 54 https://youtu.be/M9gw9mIIizM
1733 [그리스도인의 율법관(44)] 예수께서는 왜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다른 제사장으로 오셨는가?(01)(히7:11~28)_2024-04-10(월) 1 file 갈렙 2024.04.01 54 https://youtu.be/j2VIzkIVICE
1732 [그리스도인의 율법관(51)] 어떻게 하면 나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제사를 드릴 수 있을까?(엡5:2)_2024-04-12(금) file 갈렙 2024.04.12 54 https://youtu.be/cufEGv27HhM
1731 [그리스도인의 율법관(09)] 초실절의 실체는 대체 누구며 그날은 실제 언제였을까?(레23:9~14)_2024-02-21(수) 1 file 갈렙 2024.02.21 55 https://youtu.be/BBeTSN6Nmo4
1730 [그리스도인의 율법관(33)] 예수께서는 어떻게 성막의 천장휘장과 지붕덮개가 되셨는가?(출26:1~14)_2024-03-18(월) 1 file 갈렙 2024.03.18 55 https://youtu.be/HXOPi5vFRPc
1729 [영적 전투(15)] 사람(평신도와 사역자)이 이 땅에 보내어질 때 영의 나이는 어떻게 정해질까?(삼상1:1~11)_2024-05-20(월) 1 file 갈렙 2024.05.20 55 https://youtu.be/HvKhiyRWsF8
1728 창세기강해(68) 한국인과 한국인의 조상은 과연 천손민족인가?(창10:24~30)_2022-10-27(목) file 갈렙 2022.10.26 56 https://youtu.be/TmcZEawgjSc
1727 창세기강해(76)순례자인 아브라함이 붙들었던 신앙의 2가지 중심 축(창12:5~9)_2022-11-14(월) file 갈렙 2022.11.13 56 https://youtu.be/3Zk2jVKbCjc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 Next
/ 92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