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9gaQT-a2zD8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사도행전강해(82) 왜 사도 바울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으로 세례를 주지 않고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었는가?(행19:4~5)_2022-12-15(목)

https://youtu.be/9gaQT-a2zD8  [혹은 https://tv.naver.com/v/31818228 ]

 

1. 사도 바울이 에베소의 성도들에게 세례를 줄 때 누구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었는가?

  사도 바울이 에베소에 도착했을 때에는 이미 성도들이 12명이나 있었다. 이들은 아볼로에 의해 전도된 자들이며 이들은 요한의 세례를 받은 상태에 있었다. 그러자 요한이 회개의 세례를 베풀었지만 그가 자신의 뒤에 오시는 이를 믿기로 했으니 그분이 바로 주 예수님이신 것을 알려 준 뒤에,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었다(행19:5). 다시 말해, 사도 바울은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성도들에게 세례를 베푼 것이다. 

 

2. 사도 바울은 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지 않고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준 것인가?

  오늘날 교회에서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준다. 오늘날에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는 곳은 거의 없다. 왜 오늘날에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있는데, 사도 바울은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준 것인가? 그런데 믿는 이들에게 세례를 주라고 명령하신 분은 우리 주 예수님이시다(마28:18~20).

마28:19~20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20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지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그렇다. 예수께서 사도들에게 세례를 베풀라고 하셨다. 그런데 그때에는 오늘날처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고 하지 않으시고,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고 하셨다. 의미야 같은 것이겠지만 글자로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왜 사도 바울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고 하신 주님의 명령을 따라서 세례를 베풀지 않고,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었는가 하는 것이다. 그것에는 2가지 가능성이 있다. 첫째는 사도 바울이 예수님의 명령에 그대로 순종하지 않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주님의 명령을 거역한 것이다. 둘째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이 예수님이었기 때문에,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처음 초기 교회에서는 과연 누구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었는가?

  사도행전에는 초기 교회가 어떻게 세례를 베풀었는지가 나온다. 그런데 교회적으로 세례를 베푼 경우는 총 4번 나오는데, 두 번은 베드로에 의해서 세례가 베풀어진 것이요, 한 번은 빌립 집사가 세례를 베푼 것이며, 나머지 하나는 사도 바울이 세례를 베푼 것이다. 첫 번째는 사도 베드로가 예루살렘에 있는 성도들 3천 명에게 세례를 베푼 것이다. 아마도 베드로는 이때 11사도들과 함께 세례를 주었을 것이다. 이때 사도 베드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고 하였다(행2:38). 그리고 두 번째는 빌립 집사가 사마리아 성도들에게 세례를 베푼 것인데, 이때는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었다(행8:16). 그리고 세 번째는 다시 베드로가 이방인 고넬료의 가정에 세례를 베푼 것인데, 이때도 역시 처음과 마찬가지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고 하였다(행10:48).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도 바울이 에베소 성도들에게 세례를 준 것인데, 이때는 빌립 집사와 마찬가지로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었다. 결국 초기 교회에서는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었다고 할 수 있다. 

 

4.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는 것과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는 것의 차이는 무엇인가?

  오늘날 교회에서는 대부분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준다. 그런데 예수께서는 분명히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고 하셨다(마28:19). 그런데 A.D.100년경 거의 모든 교회에서 통용되고 있던 교회의 가르침을 모아 놓은 책이 하나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디다케'라는 책이다. 이 책은 '12사도들의 가르침'이라고 불려지는데, 여기에 보면 세례를 어떻게 주는지가 나와 있다. 여기에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침례를 주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살아 있는 물로 침례를 주어야 하지만, 만일 그러한 물이 없다면 다른 물로 침례를 주되, 찬물로 세례를 줄 수 있고, 그것이 없다면 더운물로 침례를 줄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찬물이나 더운물도 풍성하지 않다면,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머리에 세 번 물을 부으라고 하였다. 그렇다. A.D.100년경에 교회에서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는 것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는 것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 둘 다 의미는 같은 것이지만, 뉘앙스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고 한 것이 삼위일체적인 신관을 반영하는 표현이라면,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고 한 것은 한 분 하나님의 신관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예수께서는 요10:30에서도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고 말씀하셨으며,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본 것이라고도 말씀하셨고, 내가 하는 말은 아버지께서 내 속에서 그의 일을 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으며, 아버지가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 있다고 말씀하심으로, 아버지와 아들이 하나라는 것을 늘 강조하셨기 때문이다. 고로 성부와 성자라는 용어를 잘못 사용하게 되면, 우리도 역시 '성모'라는 표현을 동일한 위치에 가져다 놓을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아니 천주교에서는 A.D.451년 칼케돈 종교회의 이후 성모 마리아를 성부와 성자의 신격의 동일한 위치에 놓고 있다. 왜냐하면 그녀를 '데오토코스' 즉 하나님을 낳으신, 하나님의 어머니라고 칭하였기 때문이다. 심지어 1964년 제2바티칸 회의에서는 아예 대놓고 '마리아가 하나님을 출산하였다'고 공식으로 규정한 바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마리아는 우리와 똑같은 사람으로서 예수님을 낳은 것이다. 고로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인 것이지(행1:14, 요2:1,3, 막3:31), 결코 하나님의 어머니가 아니다. 그리고 마리아가 하나님을 낳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마리아의 태를 빌려 쓴 것이다. 

 

5. 초기 교회는 세례를 줄 때에 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을 대신하여 '예수'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인가?

  우리는 베드로 사도나 바울 사도가 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 대신에 '예수'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주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첫째, 아들의 이름인 '예수' 속에 아버지의 이름인 '여호와'라는 이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사실 '예수(예호수아, 예수아, 여호수아)'라는 이름은 '여호와께서 구원하신다'라는 뜻이다. 고로 굳이 '여호와'라는 이름을 쓰지 않아도 예수라는 이름 안에는 여호와라는 이름이 들어 있기 때문에, 아버지의 이름 대신에 '예수'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께서는 자신은 아버지의 이름 곧 여호와의 이름으로 왔다고 말씀하셨던 것이다(요5:43). 그리고 '아버지의 이름'인 여호와가 누군지를 분명하게 제자들에게 나타내셨다고 말씀하셨다(요17:6). 그리고 둘째, 성령의 이름은 아예 처음부터 없었는데, 성령님께서는 아들의 이름으로 보내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수께서는 친히 성령님을 가리켜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이라고 말씀하셨던 것이다(요14:26). 그렇다. 성령님은 아들이신 예수의 이름으로 오신 하나님이다. 고로 '예수'라는 이름 안에는 '여호와'라는 이름도 들어 있는 것이고, 성령님을 대신할 수 있는 이름도 될 수가 있었던 것이다. 고로 초기 교회 사도들과 성도들은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었던 것이다. 특히 '예수'라는 이름은 '아버지와 아들와 성령의 이름' 곧 한 분 하나님의 이름을 지칭하는 것이었기에, 초기 교회에서는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 수가 있었던 것이다. 

 

 

2022년 12월 15일(목)

정병진목사

[크기변환]2022-12-15 설교방송아침.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동영상URL
825 초대교회 성도들은 이미 알고 있었던 구원과 심판에 관한 매우 중요한 진실들(유1:5~7)_2019-01-23(수) 갈렙 2019.01.23 185 https://youtu.be/pFvuYZ7rxFU
824 믿는 자 속에 보혜사 성령을 보내주시는 이유는 무엇인가?(겔36:26~27)_2019-03-07(목) 갈렙 2019.03.07 185 https://youtu.be/uw36WMyQGWQ
823 창세기강해(100) 블레셋왕 아비멜렉과의 조약이 보여주는 아브라함의 달라진 위상(창21:22~34)_2021-05-19(수) file 갈렙 2021.05.19 185 https://youtu.be/dt65jZGJpdk
822 창세기강해(111) 아브라함의 늙은 종과 이삭의 신부감인 리브가의 만남(창24:10~27)_2021-06-02(수) file 갈렙 2021.06.02 185 https://youtu.be/HBOKfXS-PBs
821 사무엘상강해(27) 하나님은 왜 다윗을 이새의 가문에 보내셨는가?(삼상16:6~13)_2021-12-17(금)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2.17 185 https://youtu.be/UBV3Z_x82kk
820 요한계시록의 기독론(13) 예수께서 주 하나님이신 이유는 무엇인가?(12)(계5:6~14)_예배와 관련하여(01)_2022-05-12(목) file 갈렙 2022.05.12 185 https://youtu.be/-4mdIIVANKA
819 전 세계의 기독교가 집단적으로 어떤 것에 취해있는 것은 아닌가?(막10:35~40)_2017-11-13(월) 갈렙 2017.11.13 186
818 사탄이 하늘로부터 내던져져 땅속(음부)로 떨어지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무엇이었나?(요일1:5~10)_2019-01-22(화) 갈렙 2019.01.22 186 https://youtu.be/T-hGdyNpHmc
817 사도요한이 언급한 보혜사 성령의 3가지 비유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요7:37~39)_2019-03-08(금) 갈렙 2019.03.08 186 https://youtu.be/HGfuNM0_huE
816 골로새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는 피조물인가 창조주인가?(골1:13~20)_2020-01-14(화) 갈렙 2020.01.14 186 https://youtu.be/BKjoR2SjE7U
815 말세에 기근(검은 말 탄 자)이 있다 해도 계속되는 은혜는 무엇인가? (계6:5~6)_2020-01-31(금) 갈렙 2020.01.31 186 https://youtu.be/TIYDpC8utY4
814 자유의 본질적인 의미는 무엇이며 사회주의와 자유민주의의 차이는 무엇인가?(출20:1~3)_2020-05-05(화) 갈렙 2020.05.05 186 https://youtu.be/ePcSkR9BsaQ
813 창세기강해(108) 아브라함은 왜 굳이 사라의 매장지를 구입하려고 그렇게 애썼을까?(창23:7~20)_2021-05-28(금) file 갈렙 2021.05.28 186 https://youtu.be/a4xje_SmEh8
812 자신이 받은 죄사함이 어떤 것인지를 아는 자가는 이렇게 행한다(눅7:40~50)_2018-03-20(화) 갈렙 2018.03.20 187
811 다윗의 후손들이 계속 왕통을 이어받게 되었던 이유는어디에 있었는가?(삼하7:1~17)_2019-12-12(목) 갈렙 2019.12.12 187 https://youtu.be/3fOyeX0z8bw
810 자기자신이 진정 구원얻을만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가?(롬10:9~10)_2020-04-02(화) 갈렙 2020.04.02 187 https://youtu.be/6JWmgjtULbU
809 창세기강해(57) 해와 달과 별들의 움직임과 지구의 수명과 멸망(창8:22)_2021-04-01(목) file 갈렙 2021.04.01 187 https://youtu.be/kTcpMfXzUtQ
808 신부(09) 이 땅에서 왕권 신부가 해야 할 4가지 일들은?(히9:6~12)_2021-09-24(금) 1 file 동탄명성교회 2021.09.24 187 https://youtu.be/0AuqMDkCVgY
807 어떤 사마리아인의 진정한 예배(눅17:11~19)_2018-10-25(목) 갈렙 2018.10.25 188 https://youtu.be/R2SFCZraSe4
806 내 삶의 일거수 일투족을 매번 성령님께 물어보고 결정하는 것이 옳은 신앙생활인가?(갈4:31~5:1)_2019-08-01(월) 갈렙 2019.08.01 188 https://youtu.be/KCGOiFG7mUg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93 Next
/ 93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