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JVOVlYwsS3M

2023-09-26(화) 온라인새벽기도회

제목: [앵콜방송] 성령의 은사(01) 방언은 외국어인가 영의 언어인가?(01)(행2:1~13)_동탄명성교회 정보배목사

https://youtu.be/JVOVlYwsS3M

 

1. 성령세례가 부어질 때 사람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어떤 사람에게 성령세례가 부어지면 그 사람에게서 다음과 같은 4가지가 나타나거나 주어진다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첫째는 성령의 능력이 부어진다(1:8, 24:49). 둘째, 성령의 선물이 주어진다(2:38,11:17). 셋째, 성령의 은사가 나타난다(고전12:8~10,31,14:1,12). 넷째, 믿는 자로서의 표적이 나타난다(16:17, 고전14:22)

 

2. 최초의 성령세례 사건은 어떤 것인가?(2:1~4)

  최초의 성령세례사건(1:4~5)은 오순절날 성령께서 마가다락방에 오심으로 있었다(2:1~4). 이것을 성령세례사건이라고 부르는 것은 성령께서 온전히 성도에게 부어지면서 그들이 성령에 의해 장악당했기 때문이다.

 

3. 최초의 성령세례 사건에서 나타난 성령의 은사는 무엇인가?(2:4)

  최초의 성령세례 사건에서 나타난 성령의 은사는 "다른() 언어들(방언들)"로 말하기를 시작했다는 것이다왜냐하면 성령세례가 부어지자 거기에 모든 120명의 성도들이 성령에 의해 장악되었고 그러자 그들의 혀까지 성령의 통제알에 들어감으로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딴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한 것이다.

 

4. 사도행전 2:4에 나오는 여기서 "다른 언어들"이란 무엇을 가리키는가?

  사도행전 2:4에 나오는 "다른 언어들"은 헬라어 원문으로 보면, ‘헤테라이스 글로싸이스(others tongues)’이다. 이 단어를 헬라어 원형으로 보면, ‘다른(헤테로스) 언어(글로싸)’이다. 그런데 문제는 헬라어 글로싸(glossa)’를 번역할 때에 어떤 말로 번역하느냐 하는 것이며 또한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냐 하는 것이다.

  먼저, ‘글로싸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하는 것을 살펴보자. ‘글로싸 헬라어 단어로 직역한다면, 그것은 ’(7:33,16:24,2:3,2:26), ‘언어’, ‘’(2:11), ‘방언’(16:17) 등으로 번역할 수 있는 단어이다. 그런데 사도행전 2:4을 개역한글판 성경에서는 방언이라고 번역한 바 있다. 그런데 개역개정판으로 올라오면서 언어’(2:4,11)라고 용어로 번역되었다. 이것은 상당히 논란을 자초하는 번역이라고 아니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글로싸라는 헬라어 단어를 언어라고 번역하기로 했다면, 다른 유사한 곳에서도 다 그렇게 똑같이 번역했어야 했는데, 사도행전 2:4,11에서만 그렇게 번역하였기 때문이다. 다른 곳에셔ㅓ는 전부다 방언’(10:46, 19:6, 고전12:10, 28, 13:1, 8, 14:2, 4, 6, 13, 18, 19, 22, 23, 26, 27, 39)이라고 번역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글로싸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사도행전 2:4에 나오는 글로싸를 해석하는 것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외국어라고 번역하는 것이다. 요즘 들어서 이러한 해석을 하려는 경향이 부쩍 많아졌다. 그리고 또 하나는 성령의 은사로서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이자 영의 언어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것은 고린도전서 14:2, 14에 근거한 것이다. 그런데 글로싸라는 단어를 외국어라고 해석하려고 하는 분들은 고린도전서 14:2에 나오는 방언은 고린도 현상으로서, 헛소리, 악령의 소리라고 평가절하를 한다. 한 마디로, 고린도전서에 나오는 방언은 다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헛된 지껄임이라는 것이다. 그럼 그들이 이렇게 주장하는 근거는 대체 무엇인가? 그것은 최초의 성령세례로 인하여 마가다락방의 120명의 성도들에게 주어진 방언’(2:4)이 당시 15개국에서 찾아온 디아스포라 유대인에게는 외국어로 들렸다는 것이다. 즉 그들은 자신이 태어난 곳들의 지방말(디아레크토스)’로 들었다는 것 때문이다(2:6,8). 여기서 디아레크토스(dialektos)’라는 말은 오직 사도행전에서만 6번 나오는 특별한 단어인데(1:19, 2:6, 8, 21:40, 22:2, 26:14), 개역개정판 성경에서는 방언으로 2번 번역하고 있고(2:6, 8), 그냥 어떤 지방의 이라는 의미로 4번 번역하고 있다(1:19, 21:40, 22:2, 26:14). 고로 120명이 말했던 글로싸를 잘못 해석하다 보면, 사도행전 2:4에서 말하여진 방언은 단지 지방말(디아레크토스)’이 아니었을까 하고 생각할 수 있다

  

5. 사도행전 2:4에 나오는 글로싸가 의미하는 바는 진정 무엇인가?

  그렇다면, 사도행전 2:4에 나오는 언어(글로싸)’는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첫째, 예수께서 믿는 자들에게 따라오는 표적으로 주어지는 새 방언과 동일한 단어다(16:17). 둘째, 이것은 고넬료 가정이 성령세례를 받을 때에 주어진 방언과 똑같았다(10:46). 그러므로 베드로 자신도, 자기들도 처음 성령세례 받을 때에 받았던 선물(2:1~4)이 바로 그 방언이었다고 말했다(11:15~16). 고로 우리는 사도행전 2:4에 나오는 언어(글로싸)’와 사도행전 10:46에 고넬료 가정에 나타난 방언(글로싸)’이 같은 종류의 언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바울이 안수함으로 에베소 성도들에게 받게 했던 방언(글로싸)’도 역시 사도행전 2:4에 나오는 것과 동일한 방언(글로싸)’이라는 것이다(19:6). 넷째, 뿐만 아니라 바울이 고린도 교회의 성도들에게 성령의 은사로서 언급하고 있는 방언(글로싸)’과 사도행전 2:4에 나오는 방언(글로싸)’이 똑같다는 것이다(고전12:10, 28, 13:1, 8, 14:2, 4, 6, 13, 18, 19, 22, 23, 26, 27, 39).

그럼, 방언이란 어떤 것인가? 고린도전서 14:2에 보면, 이것은 성령세례로 인하여 성도들이 새롭게 말하는 언어이다. 그리고 이 언어는 사람에게 말하지 않고 하나님께서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도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알아] 들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방언이란 [자신의] 영으로 비밀을 발설하는 것이기 때문이다(14:2). 그리고 고린도전서 14:14에서는 방언은 영의 기도라고 하였다. 즉 자신의 영이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이렇게 말했다. "내가 만일 방언으로 기도하면 나의 영이 기도하거니와(고전14:14)".

그러므로 여기까지 우리는 잠정적으로 결론을 내린다면, ‘방언(글로싸)’은 사람이 성령세례를 받을 때에 받는 은사로서, 하나님의 선물이자, 또한 표적으로서 주어지는 것으로, 사람이 알아들을 수 없는 영의 언어인 것이다. 그리고 이 언어는 이 세상에 있는 어떤 지방의 언어가 아니라는 것이다. 질적으로 딴 언어이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 속하지 않은 언어이기 때문이다.

 

 

2023년 09월 26일(화)

정보배목사

[크기변환]2023-09-26 성령의 은사(0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동영상URL
1760 창세기강해(102) 모리아산과 여호와이레가 들려주는 주님처형장소의 비밀(창22:9~14)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file 갈렙 2021.05.21 535 https://youtu.be/UzTu0opjFws
1759 사무엘상강해(12) 엘리 제사장의 죽음이 가르쳐주는 7가지 교훈(삼상4:12~22)_2021-12-01(수) file 동탄명성교회 2021.12.01 534 https://youtu.be/Vaeh7lCkJ28
1758 십계명강해(18) 제6계명(2) 살인금지명령과 살인죄의 종류(출20:13)_2016-10-28 갈렙 2016.11.01 532
1757 하나님께서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간 이스라엘민족을 회복시켜주시려 하는 진짜 이유는(겔36:22~23)_2018-05-08(화) 갈렙 2018.05.08 529
1756 십계명강해(15 )제5계명(3) 공경하라는 말의 4가지 뜻(신5:16)_2016-10-25 갈렙 2016.11.01 527
1755 천국복음(10) 달란트의 비유, 순종의 비유인가 충성의 비유인가?(마25:14~30)_2022-03-02(수) 1 file 갈렙 2022.03.02 515 https://youtu.be/5Zv9DkRJoag
1754 부활이란 다시 살아난다는 말인가 일으키심을 받는다는 말인가?(고전15:42~44)_2020-04-16(목) 갈렙 2020.04.16 514 https://youtu.be/63XiaoVDj2I
1753 히브리서 기자는 왜 성소의 분향단은 언급하지 않고 지성소에 향로가 있다고 말했을까?(히9:1~12) 갈렙 2020.03.13 511 https://youtu.be/Jo4OeRUKLSw
1752 시대를 거슬러 주의 뜻을 구한 노아(창6:9~22)_2016-07-21 갈렙 2016.08.04 509
1751 창세기강해(10) 엘로힘과 여호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출6:2~8)_2021-02-05(금) file 갈렙 2021.02.05 504 https://youtu.be/3X7ThN2Dtns
1750 아브라함의 할례와 오늘날 성도들의 세례의 상관관계(골2:8~12)_2016-11-16 갈렙 2016.11.25 504
1749 천국은 상태적인 개념인가 장소적 개념인가?(눅17:20~21)_2017-12-27(수) 갈렙 2017.12.27 500
1748 주께서 도둑같이 오신다는 말씀의 의도는 무엇인가?(벧후3:8~13)_2019-12-30(월) 갈렙 2019.12.30 498 https://youtu.be/MP8EEEAvzs4
1747 천국가는 믿음(6) 예수님에 대한 도마의 신앙고백이 왜 그렇게 필요한가(요20:24~29) 갈렙 2017.01.17 490
1746 안식일에 병자를 고친 것은 안식일을 어긴 것인가? (요5:8~8)_2016-10-06 갈렙 2016.10.20 485
1745 성령의 은사(11) 영안이 열려야 주어지는 은사들(행22:6~21)_2020-07-01(수) 갈렙 2020.07.01 481 https://youtu.be/AKXikhLQuZc
1744 다 똑같은 주의 종들인데 왜 에바브라는 로마까지 찾아가서 바울을 만나야 했을까? (골1:13~20)_2020-01-13(월) 갈렙 2020.01.13 471 https://youtu.be/DyW-xigMk7c
1743 구약의 회개의 대표자 할례자인 다윗의 회개(시51:10~19)_2016-11-23 갈렙 2016.11.25 466
1742 노아는 방주만 지었을까? (창6:9~7:5)_2016-07-22 갈렙 2016.08.04 465
1741 하나님은 왜 아벨의 제사만 받으셨을까?(창4:1~7)_2016-07-19 갈렙 2016.08.04 46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 Next
/ 92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