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0HJugetxBbY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바른 회개(16) 무엇을 회개해야 하는가?(06) 우상의 제물을 먹고 준비한 것도 회개해야 하는가?(고전10:14~31)_2020-12-10(목) https://youtu.be/0HJugetxBbY

 

1. 오늘날 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추도예배와 장례예배는 과연 우상숭배행위일까요?

  예. 그렇습니다. 추도예배와 장례예배는 변형된 우상숭배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래 추도예배는 추도식을, 장례예배는 장례식을 기독교형태로 바꾸어서 수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죽은 자를 기념하여 드리는 추도식 그리고 죽은 자를 놓고 행하는 장례식은 죽은 자를 신을 섬기듯 행하는 행위로서 결국 귀신들을 불러들이고 귀신들을 섬기는 의식이 되기 때문에 엄연한 우상숭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1897년 정동감리교회 이무영성도가 어머니 기일을 맞이하여 핍박을 면해보고자 추도식을 예배형식으로 바꾼 것이 추도예배의 시초가 되었고, 장례식도 그렇게 해서 기독교식으로 바뀐 것이므로, 모두가 다 변형된 우상숭배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추도예배든 장례예배든 다 하나님께 예배드리는데 어떻게 그것이 우상숭배행위가 되는 것인가요?

  하나님께서 예배의 형식을 빌어 예배드린다고 해서 다 예배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거꾸로 말라기 1장의 말씀을 보면, 형식은 예배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내용면에서 하나님을 멸시하는 예배를 드린다면 그것을 예배라고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왜냐하면 제사장들이 더러운 떡을 제단에 드리고, 눈먼 것과 저는 것, 병든 것으로 하나님께 희생제물을 드리자, 하나님께서는 말라기선지자를 통하여 "그것을 너희 총독에게나 드려보라. 그가 너를 기뻐하겠느으며 그가 너를 받아주겠느냐(말1:8b)"고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형식만 있고 내용은 빠진 예배를 하나님께서 받으시지 않는 것처럼, 겉으로는 예배의 행식을 취하고 있느나 실제는 죽은 자나 시체를 놓고 예배드리는 것은 하나님을 더럽히는 행위가 되기 때문에 결국 하나님께서 그 예배를 받지 않으시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예배는 누가 받습니까? 하나님께서 받지 않으시는 예배가 되니, 귀신들이 와서 그 예배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추도예배와 장례예배는 귀신을 불러들이는 행위이자 귀신을 섬기는 예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두가 다 우상숭배행위인 것입니다. 

 

3. 영적으로 볼 때 추도예배나 장례예배는 어떤 행위라고 할 수 있나요?

  영적으로 볼 때 추도예배는 그날 죽은 자를 기념하기 위해서 추도식을 행하는 대신에 예배를 드리는 것이므로 그것은 귀신을 불러들이는 행위입니다. 또한 장례예배는 장례식을 기독교식으로 바꾼 것에 불과하므로 시체를 놓고 예배를 드리면 시체 속에 들어 있던 귀신들이 밖으로 나와서 자신이 들어갈 다른 숙주를 찾는 일이 되어버리므로 결국 장례예배도 귀신숭배행위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성도들은 추도예배나 장례예배를 결코 드려서는 아니 되겠습니다. 추도예배는 폐지하여 드리지 말아야 하며, 장례식 때에는 조문은 할지언정(가족과 친분관계로 어쩔 수 없을 경우) 결코 죽은 자 때문에 예배를 드려서는 아니 됩니다. 우리 장로교와 같은 경우는 1970년 초반만 해도 추도예배나 장례예배를 드리는 것은 우상숭배행위로 간주했습니다. 그런데 시대가 바뀌다보니 어느새 추도예배와 장례예배가 기독교의식이 되어버리고 말았습니다. 아닙니다. 추도예배나 장례예배는 성경말씀에 따른 행위가 아니었습니다. 사람이 핍박을 면해보려고 만든 것으로서 결국 귀신을 숭배하는 의식이 되기 때문입니다. 

 

4. 우상의 제물을 만들거나 먹어는 것도 죄가 되나요?

  그렇습니다,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은 우상숭배에 동조한다는 것과 동일한 표현이기에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도 우상숭배행위에 해당합니다. 그것은 부활승천하신 주님께서 버가모와 두아디라교회에게 주신 말씀에 고스란히 나와 있습니다(계2:14, 20~21). 하나님께서는 사람이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이 우상숭배행위이기 때문에 그것을 깨닫도록 지금도 진노와 징계를 내리고 계십니다. 구약시대의 경우에는 우상의 제물을 먹어서 하나님을 격노케 한 자들에게 하나님께서 재앙이 크게 내렸다고 말씀하고 있으며(시106:28~29), 신약시대 이후 예수께서는 우상의 제물을 먹는 자는 침상에 던질 것이고, 그것을 따라가는 자들은 큰 환난 가운데 던지며, 자신의 자녀들은 죽게 할 것이라고 경고하셨습니다(계2:20~23). 그러므로 자신은 오직 하나님은 한 분 밖에 없는 줄을 믿고 있으니, 자신이 우상 숭배한 것은 단지 행위만 불과할 뿐 그것이 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억지주장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속으로는 자신은 우상숭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행위가 우상숭배행위를 하고 있다면 그것은 엄연히 죄에 해당하므로, 본인인 행위가 범죄가 아니라고 주장한다고 해서 그것이 결코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제시대 때에 신사참배의 경우를 보십시오. 그것은 우상숭배행위가 아니라 국가에 대한 예절이라고 주장한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우상숭배행위가 되지 않는 것입니까? 아닙니다. 그리고 자신은 우상에게 절하지도 않고 섬기지도 않겠지만, 어쩔 수 없이 제사지내는 시부모님과 남편 때문에 음식을 만들어주기는 한다고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믿는 자가 우상숭배를 할 수 없으니 궁여지책으로 그렇게 묘책을 짜낸 것이겠지만 그것은 남이 우상숭배하도록 거드는 일이 되기 때문에 그것도 당연히 우상숭배행위가 되는 것입니다. 그것도 역시 죄가 되는 것입니다. 제사음식 만드는 것도 우상숭배행위에 동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은 십자가 긋고 제사음식 준비하고 먹으면 자신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아닙니다. 사도바울은 주님의 식탁과 귀신의 식탁을 동시에 참여할 수 없다고 분명하게 언급했습니다(고전10:21~22). 한편, 장례식장에 가서 음식을 먹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상조회가 준비한 음식으로서, 죽은 자에게 바쳐진 것이 아니므로 먹을 수는 있겠습니다만, 그것을 먹는 것은 바람직한 일은 아닙니다.

 

5. 장례식장에 가서 꽃을 바치는 행위는 괜찮은가요?

  아닙니다. 장례식장에 가서 흰 국화꽃을 바치는 행위는 과거에 불신자들이 향을 피우는 것을 대신해 행하던 일본식 장례문화로서 이것도 역시 우상숭배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옛날에는 사실 죽은 사람을 병풍 뒤에다 갖다 놓았습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시체가 썩으면서 냄새가 나기 때문에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향을 피운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달라졌습니다. 사람이 죽으면 즉시 영안실에 시신을 넣어둡니다. 그리고 장레식장에서는 영정사진만 내 걸어놓은 상태에서 조문을 받기에, 이제는 대부분 향을 거의 피우지 않으며, 국화꽃만을 바치게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이러한 행위는 죽은 자에게 예의를 갖추는 행위이므로 우상숭배행위가 됩니다. 그러므로 자신은 그것을 우상숭배행위라고 생각하지 않을지라도 그것은 죽은 자를 섬기는 의식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도들이 혹 장례식장에 가더라도 절대 국화꽃을 바치거나 영정 사진 앞에 절을 해서는 아니 됩니다. 그리고 갔다왔으나 자신의 몸과 영혼이 더럽혀진 상태가 되므로 꼭 회개하시기를 바랍니다. 

 

2020년 12월 10일(목)

정병진목사

[크기변환]20201210_07131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동영상URL
550 창세기강해(66) 태양신 종교의 본산지가 된 바벨탑과 니므롯(창11:1~9)_2022-10-21(금) file 갈렙 2022.10.20 69 https://youtu.be/FYyqBFyLc18
549 창세기강해(24) 아담을 만든 재료와 하와를 건축한 재료는 같은 것이었을까?(창1:26~27)_2022-08-17(수) file 갈렙 2022.08.16 67 https://youtu.be/fY4FD45qTnE
548 [기도의 비밀(6)] 기도의 응답시 응답 방식의 차이는 무엇인가?(롬8:26~27)_2023-05-04(목) 1 file 갈렙 2023.05.04 118 https://youtu.be/FWCXxTVgx-Q
547 하나님께서 우리의 앞 길을 인도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무엇인가?(딤후3:14~17)_2019-04-03(수) 갈렙 2019.04.03 183 https://youtu.be/fvsaZfTQvFs
546 바울의 동역자였던 데마는 왜 감옥에 갇혀있던 바울을 버리고 떠나갔을까?(몬1:23~25)_2020-01-07(화) 갈렙 2020.01.07 835 https://youtu.be/fUrtZFsvAZU
545 [은사와 사명(3)] 성도는 왜 자신의 은사를 알아야 하고, 그것을 활성화시켜야 하는가?(딤후1:3~6)_2023-08-15(화) 1 file 갈렙 2023.08.15 97 https://youtu.be/FSwo_lqcunw
544 [요한계시록강해보완(3)] 마지막 때에 출현하게 될 짐승(적그리스도)의 표(666)는 무엇인가?(계13:15~18)_2023-10-18(수) 1 file 갈렙 2023.10.18 88 https://youtu.be/fSNfjBW1uVU
543 왜 조상숭배(제사나 추도예배)를 해서는 안 되는지를 아는 것이 그렇게 중요한가?(고전11:23~26)_2019-11-19(화) 갈렙 2019.11.19 192 https://youtu.be/FSfMGwG4TRU
542 [바른 구원(01)] 사람이 구원을 얻는 시점과 구원을 잃어버리는 시점은 언제인가?(히10:26~31)_2024-05-22(수) file 갈렙 2024.05.22 67 https://youtu.be/fR9DwrYBuvw
541 회개했다면 어떻게 귀신을 쫓아낼 것인가?(막16:17~18)_2020-10-12(월) file 갈렙 2020.10.12 174 https://youtu.be/FR4SuCTkzkI
540 성령은 누구신가(05) 경륜의 영(03) 유일한 창조주 하나님 곧 여호와의 영이신 성령(행16:6~7)_2020-05-21(목) 갈렙 2020.05.21 210 https://youtu.be/fqNV1AuLRHg
539 창세기강해(40) 가인이 두려워했던 "나를 만나는 자"는 대체 누구였을까?(창4:8~15)_2021-03-11(목) file 갈렙 2021.03.11 208 https://youtu.be/fps__4keQB8
538 사무엘상강해(26) 사울을 버리신 하나님께서 선택한 새로운 왕의 기준은?(삼상16:1~13)_2021-12-16(목) file 갈렙 2021.12.16 125 https://youtu.be/fpdo9raTzpY
537 회개하지 않아도 예수만 믿고 있다면 그는 구원을 받을까?(엡2:1~10)_2019-01-17(목) 갈렙 2019.01.17 177 https://youtu.be/fo_Og3H31T8
536 창세기강해(104) 한 분 하나님의 벗(친구)이 되는 자들이 받을 신약의 축복(요15:15~16)_2023-02-06(주일) file 갈렙 2023.02.05 54 https://youtu.be/fOzCss01qOg
535 창세기강해(35) 옛 뱀 곧 큰 용이자 마귀 사탄은 어떻게 이길 수 있는가?(계12:7~12)_2021-03-05(금) file 갈렙 2021.03.05 180 https://youtu.be/FOwaDKmCPu4
534 [메시야 탄생의 비밀(1)] 태어난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인가 마리아의 아들인가?(마1:16)_2023-12-18(월) 1 file 갈렙 2023.12.18 57 https://youtu.be/FneHAuor5t8
533 [요한계시록강해보완(40)] 요한계시록에서 예수그리스도는 두번째 신인가 한 분 하나님이신가?(계1:4~6)_2023-12-01(금) 1 file 갈렙 2023.12.01 49 https://youtu.be/fn9jqHs9clY
532 회개와 천국복음(27) 구원얻는 믿음이란 무엇인가(15) 예수님은 무소부재하신 하나님이시다(1)(마28;16~20)_2020-08-17(월) file 갈렙 2020.08.17 168 https://youtu.be/fmdSCUTzlOk
531 사무엘하강해(10) 다윗 언약에 나타난 하나님이 주시는 복의 4가지 특징(삼하7:8~16 )_2022-01-14(금) file 갈렙 2022.01.14 230 https://youtu.be/FlqVJ7j0J6k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72 Next
/ 72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