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W9sKjBGzGVI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171) 야곱의 삶과 그의 죽음이 남기고 간 위대한 영적 교훈(창49:28~50:14)_2021-08-06(금)

https://youtu.be/W9sKjBGzGVI

 

1. 야곱은 누구였고 어떤 인생을 살았나요?

  야곱은 이삭의 쌍둥이 아들 중에서 차남으로 태어났습니다. 형의 발꿈치를 잡고 태어났다고 해서 "야곱"이라고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그런데 형은 들사람이 되었고 야곱은 장막 안에 거했습니다. 그래서 조부 아브라함과 15년을 살면서 하나님의 언약에 대해 듣고 자랐습니다. 조부가 돌아가시자 그는 즉시 장자의 권리를 얻기 위해 작업에 들어갔으니, 16살 때에 팥죽으로 형의 장자권을 샀습니다. 그리고 60년이 지났을 때에 아버지 이삭이 유언과 축복을 하려고 했습니다. 그때 야곱은 어머니의 도움으로 장자의 축복까지 받았습니다. 그러자 형은 야곱을 죽이려고 하였고, 외삼촌 라반의 집으로 도망쳤습니다. 20년동안 그 집에 살면서 야곱은 외삼촌의 딸 라헬을 사랑하여 그녀를 아내로 얻고자 14년을 봉사했으며, 그때에 4명의 아내로부터 7년간 11명의 아들들과 1명의 딸을 낳았습니다. 그리고 외삼촌을 위해 6년을 봉사하여 살림을 장만하여 고향으로 돌아오는데, 자신의 형 에서가 자신을 죽이려고 400명의 군사를 거느니라고 온다는 이야기에 얍복강에서 목숨을 내거는 기도를 한 끝에 하나님으로부터 "이긴 자"라는 개명과 함께 보호를 약속받았습니다. 형 에서와 재회한 야곱은 이제 가나안 땅으로 돌아오지만, 세겜에서 10년을 보내다가 딸 디나의 강간사건을 겪어야했고, 아버지의 집에 오는 길에 라헬이 난산후 잃게 되었으나 12번째의 아들 베냐민을 얻게 되었습니다. 다시 10년후 아버지집을 방문하고, 4년 뒤에 아버지를 잃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10년후, 그의 나이 130세에 기근으로 애굽으로 이주하여, 17년을 살고, 147세의 일기로 조상들의 품에 안기게 됩니다. 

 

2. 야곱은 어떻게 임종을 맞이했나요?

  야곱은 죽을 무렵이 가까이 오자, 요셉을 불러 자신의 시체를 애굽 땅에 묻지 말고 가나안 땅 조상의 묘지에 묻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리고 요셉의 두 아들들인 에브라임과 므낫세를 양자로 입양한 뒤에 그들을 축복해 주었으며, 이어서 자신의 12아들들을 불러다가 침상에 앉아서 지팡이를 짚고 유언했습니다. 그리고 축복이 끝나자 침상을 누웠고 두 다리를 나란히 모은 뒤에 조용히 눈을 감았습니다. 그러자 하나님의 말씀과 야곱의 유언대로 요셉이 그의 눈을 감겨주었습니다. 왜냐하면 야곱에게 장자의 권리는 요셉에게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파란만장한 야곱도 안식에 들어갔습니다. 

 

3. 야곱의 장례는 어떻게 치러졌나요?

  요셉은 자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자신의 수종드는 의사들에게 명하여 아버지를 향으로 처리하게 했습니다. 일종의 미이라로 만든 것입니다. 이는 장례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아버지의 시체가 부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래서 향재료로 처리하는데 40일이 걸렸고, 애도는 70일간 했습니다. 애굽 왕 바로의 장례 기간이 72일인 걸 보면, 거의 왕족에 준하는 장례(=국장)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직접 발인을 할 때에는 바로의 모든 신하들과 바로의 궁의 원로들과 애굽 땅의 모든 원로들이 그 대열에 참여하였고, 요셉의 온 집과 그의 형제들과 그의 아버지의 아들들도 다같이 참여하였습니다. 그리고 병거들과 기병들이 장례행렬을 보이콧해 주었습니다. 그야말로 엄숙하고 웅대한 장례식이었습니다. 장례행렬이 아닷의 타작마장에서 멈추고 7일동안 애곡하자, 가나안 사람들이 그것을 보더니 "애굽의 슬픔"이라고 불렀습니다. 그야말로 장례는 엄숙하고 거대하였던 것입니다. 이윽고 고센 땅으로부터 480Km를 떠나온 야곱의 시신은 야곱이 가나안 땅에 있을 때에 미리 파놓은 막벨라 굴에 장사되었고, 장사한 후에 요셉은 자기의 형제들과 그리고 장사하러 올라간 모든 사람과 함께 애굽으로 돌아왔습니다. 

 

4. 야곱은 왜 유언으로 자신의 시체를 가나안 땅 조상의 묘지에 묻어달라고 했던 것일까요?

  야곱은 유언으로 자신의 재산(부동산과 동산)의 분배를 명하지 않았습니다. 오로지 한 가지, 자신의 시신을 막벨라굴에 묻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것은 1차적으로는 요셉에게 하였고(창47:29~30), 2차적으로는 12아들들에게 했습니다(창49:29). 그렇다면 야곱은 왜 유언으로 이러한 부탁을 한 것일까요? 그것은 자신과 자신의 가문이 꼭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곧 꿈에도 잊지 말아야 할 소원은 오직 한 가지, 그것은 약속의 땅을 기업으로 얻는 것임을 자식들 마음 속에 깊이 새겨주고자 함이었습니다. 그러자 요셉도 자신이 죽을 때 자신의 뼈를 가지고 가나안 땅으로 갈 것을 후손들에게 명하고 유언으로 남겼습니다(창50:25). 그렇습니다. 야곱이 바라본 약속의 땅은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서는 "천국"입니다. 우리도 늙어 죽을 때까지 명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오직 한 가지 어찌하든지 천국에 들어가는 사람이 되고 또한 거기에서 땅을 기업으로 얻는 것에 있습니다. 여러분은 과연 이것에 목숨을 걸 수 있나요? 

 

5. 야곱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의 엄숙한 죽음이 가르쳐주는 영적 교훈은 무엇인가요?

   야곱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의 엄숙한 죽음이 가르쳐주는 영적 교훈은 대체 무엇일까요? 그것은 3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 하늘의 축복은 사모하고 사모하는 자의 것이 된다는 것입니다. 야곱은 영적인 축복에 대해서 처음에는 그의 조부 아브라함에게 들었을 것입니다. 15년을 함께 살았으니까요. 그리고 그것을 사모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그것을 자기의 것으로 취했습니다. 둘째, 아무리 영적인 축복을 사모한다 할지라도 그것이 자신에게 거져 주어지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야곱은 영적인 장자권을 얻기 위하여 수고와 노력을 아끼지 않았으며 또한 그것을 얻음으로 인하여 받게 될 고난도 기꺼이 받아들였습니다. 그것이 바로 20년의 타향살이였습니다. 셋째, 이미 얻은 장자의 축복이라도 그것을 지켜내기 위해서는 기도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야곱의 생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전반부는 '야곱('형의' 뒷발꿈치를 잡은 자)'이라는 삶이었고, 후반부는 '이스라엘('하나님과 겨루어' 이긴 자)'이라는 삶이었습니다. 그의 인생의 전반부는 형의 장자권을 얻는 데에 모든 관심의 촛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얻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인생의 후반부는 그것을 지키기 위해서 댓가를 지불해야 했습니다. 그것은 목숨을 건 철야기도였습니다. 힘이 약했던 야곱에게 기도야말로 이미 받은 축복을 지켜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차자의 설움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고생고생해서 얻은 장자의 축복을 이제는 자기의 모든 아들들에게 주고 싶었습니다. 그들이 그것을 다 누리게 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자기의 힘만으로는 자식들을 지켜낼 방도가 없었습니다. 에서 형이 4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죽이러 오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때에 그가 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하나님께 기도함으로 매달리는 것 뿐이었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교만한 자가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그것은 기도하지 않는 자라고 생각합니다. 하나님께 엎드리지 않는 자가 가장 교만한 자입니다. 그러나 야곱은 기꺼이 자신을 하나님 앞에 엎드렸습니다. 그리고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밤이 새는 줄도 모를 정도로, 자신의 환도뼈가 위골되는 줄도 모를 정도로 그는 기도에 전념했습니다. 그래서 아침 해가 떠오를 무렵 그는 하나님으로부터 "이긴 자"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죽은 후에 야곱은 천국에 가보시면 알겠지만, 하늘에 있는 24보좌에 앉는 24장로 중의 한 사람이 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면류관(적어도 '소망', '사모함', '열정', 꿈을 이름', '승리'의 면류관)을 쓸 수 있게 되었으며, 천국에 엄청난 규모의 천국집을 얻는 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그의 인생은 참으로 고달프고 힘겨운 삶이었지만 그것을 얻기 위해서라면 기꺼이 자신의 모든 것을 투자할 만한 가치있는 삶을 살다가 간 것입니다. 

 

2021년 08월 06일(금)

정병진목사

20210806_071552[크기변환].jpg

  • ?
    동탄명성교회 2021.08.06 10:57

    1. 야곱은 누구였고 어떤 인생을 살았나요?

      야곱은 이삭의 쌍둥이 아들 중에서 차남으로 태어났습니다. 형의 발꿈치를 잡고 태어났다고 해서 "야곱"이라고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그런데 형은 들사람이 되었고 야곱은 장막 안에 거했습니다. 그래서 조부 아브라함과 15년을 살면서 하나님의 언약에 대해 듣고 자랐습니다. 조부가 돌아가시자 그는 즉시 장자의 권리를 얻기 위해 작업에 들어갔으니, 16살 때에 팥죽으로 형의 장자권을 샀습니다. 그리고 60년이 지났을 때에 아버지 이삭이 유언과 축복을 하려고 했습니다. 그때 야곱은 어머니의 도움으로 장자의 축복까지 받았습니다. 그러자 형은 야곱을 죽이려고 하였고, 외삼촌 라반의 집으로 도망쳤습니다. 20년 동안 그 집에 살면서 야곱은 외삼촌의 딸 라헬을 사랑하여 그녀를 아내로 얻고자 14년을 봉사했으며, 그때에 4명의 아내로부터 7년간 11명의 아들들과 1명의 딸을 낳았습니다. 그리고 외삼촌을 위해 6년을 봉사하여 살림을 장만하여 고향으로 돌아오는데, 자신의 형 에서가 자신을 죽이려고 4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온다는 이야기에 얍복강에서 목숨을 내거는 기도를 한 끝에 하나님으로부터 "이긴 자"라는 개명과 함께 보호를 약속받았습니다. 형 에서와 재회한 야곱은 이제 가나안 땅으로 돌아오지만, 세겜에서 10년을 보내다가 딸 디나의 강간사건을 겪어야했고, 아버지의 집에 오는 길에 라헬이 난산후 잃게 되었으나 12번째의 아들 베냐민을 얻게 되었습니다. 다시 10년 후 아버지 집을 방문하고, 4년 뒤에 아버지를 잃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10년 후, 그의 나이 130세에 기근으로 애굽으로 이주하여, 17년을 살고, 147세의 일기로 조상들의 품에 안기게 됩니다. 

     

    2. 야곱은 어떻게 임종을 맞이했나요?

      야곱은 죽을 무렵이 가까이 오자, 요셉을 불러 자신의 시체를 애굽 땅에 묻지 말고 가나안 땅 조상의 묘지에 묻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리고 요셉의 두 아들들인 에브라임과 므낫세를 양자로 입양한 뒤에 그들을 축복해 주었으며, 이어서 자신의 12아들들을 불러다가 침상에 앉아서 지팡이를 짚고 유언했습니다. 그리고 축복이 끝나자 침상 누웠고 두 다리를 나란히 모은 뒤에 조용히 눈을 감았습니다. 그러자 하나님의 말씀과 야곱의 유언대로 요셉이 그의 눈을 감겨주었습니다. 왜냐하면 야곱에게 장자의 권리는 요셉에게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파란만장한 야곱도 안식에 들어갔습니다. 

     

    3. 야곱의 장례는 어떻게 치러졌나요?

      요셉은 자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자신의 수종드는 의사들에게 명하여 아버지를 향으로 처리하게 했습니다. 일종의 미이라로 만든 것입니다. 이는 장례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아버지의 시체가 부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래서 향재료로 처리하는데 40일이 걸렸고, 애도는 70일간 했습니다. 애굽 왕 바로의 장례 기간이 72일인 걸 보면, 거의 왕족에 준하는 장례(=국장)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직접 발인을 할 때에는 바로의 모든 신하들과 바로의 궁의 원로들과 애굽 땅의 모든 원로들이 그 대열에 참여하였고, 요셉의 온 집과 그의 형제들과 그의 아버지의 아들들도 다같이 참여하였습니다. 그리고 병거들과 기병들이 장례행렬을 보이콧해 주었습니다. 그야말로 엄숙하고 웅대한 장례식이었습니다. 장례행렬이 아닷의 타작마장에서 멈추고 7일동안 애곡하자, 가나안 사람들이 그것을 보더니 "애굽의 슬픔"이라고 불렀습니다. 그야말로 장례는 엄숙하고 거대하였던 것입니다. 이윽고 고센 땅으로부터 480Km를 떠나온 야곱의 시신은 야곱이 가나안 땅에 있을 때에 미리 파놓은 막벨라 굴에 장사되었고, 장사한 후에 요셉은 자기의 형제들과 그리고 장사하러 올라간 모든 사람과 함께 애굽으로 돌아왔습니다. 

     

    4. 야곱은 왜 유언으로 자신의 시체를 가나안 땅 조상의 묘지에 묻어달라고 했던 것일까요?

      야곱은 유언으로 자신의 재산(부동산과 동산)의 분배를 명하지 않았습니다. 오로지 한 가지, 자신의 시신을 막벨라굴에 묻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것은 1차적으로는 요셉에게 하였고(창47:29~30), 2차적으로는 12아들들에게 했습니다(창49:29). 그렇다면 야곱은 왜 유언으로 이러한 부탁을 한 것일까요? 그것은 자신과 자신의 가문이 꼭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곧 꿈에도 잊지 말아야 할 소원은 오직 한 가지, 그것은 약속의 땅을 기업으로 얻는 것임을 자식들 마음 속에 깊이 새겨주고자 함이었습니다. 그러자 요셉도 자신이 죽을 때 자신의 뼈를 가지고 가나안 땅으로 갈 것을 후손들에게 명하고 유언으로 남겼습니다(창50:25). 그렇습니다. 야곱이 바라본 약속의 땅은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서는 "천국"입니다. 우리도 늙어 죽을 때까지 명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오직 한 가지 어찌하든지 천국에 들어가는 사람이 되고 또한 거기에서 땅을 기업으로 얻는 것에 있습니다. 여러분은 과연 이것에 목숨을 걸 수 있나요? 

     

    5. 야곱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의 엄숙한 죽음이 가르쳐주는 영적 교훈은 무엇인가요?

       야곱의 파란만장한 삶과 그의 엄숙한 죽음이 가르쳐주는 영적 교훈은 대체 무엇일까요? 그것은 3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 하늘의 축복은 사모하고 사모하는 자의 것이 된다는 것입니다. 야곱은 영적인 축복에 대해서 처음에는 그의 조부 아브라함에게 들었을 것입니다. 15년을 함께 살았으니까요. 그리고 그것을 사모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그것을 자기의 것으로 취했습니다. 둘째, 아무리 영적인 축복을 사모한다 할지라도 그것이 자신에게 거져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야곱은 영적인 장자권을 얻기 위하여 수고와 노력을 아끼지 않았으며 또한 그것을 얻음으로 인하여 받게 될 고난도 기꺼이 받아들였습니다. 그것이 바로 20년의 타향살이였습니다. 셋째, 이미 얻은 장자의 축복이라도 그것을 지켜내기 위해서는 기도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야곱의 생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전반부는 '야곱('형의' 뒷발꿈치를 잡은 자)'이라는 삶이었고, 후반부는 '이스라엘('하나님과 겨루어' 이긴 자)'이라는 삶이었습니다. 그의 인생의 전반부는 형의 장자권을 얻는 데에 모든 관심의 촛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얻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인생의 후반부는 그것을 지키기 위해서 댓가를 지불해야 했습니다. 그것은 목숨을 건 철야기도였습니다. 힘이 약했던 야곱에게 기도야말로 이미 받은 축복을 지켜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차자의 설움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고생 고생해서 얻은 장자의 축복을 이제는 자기의 모든 아들들에게 주고 싶었습니다. 그들이 그것을 다 누리게 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자기의 힘만으로는 자식들을 지켜낼 방도가 없었습니다. 에서 형이 4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죽이러 오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때에 그가 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하나님께 기도함으로 매달리는 것 뿐이었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교만한 자가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그것은 기도하지 않는 자라고 생각합니다. 하나님께 엎드리지 않는 자가 가장 교만한 자입니다. 그러나 야곱은 기꺼이 자신을 하나님 앞에 엎드렸습니다. 그리고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밤이 새는 줄도 모를 정도로, 자신의 환도뼈가 위골되는 줄도 모를 정도로 그는 기도에 전념했습니다. 그래서 아침 해가 떠오를 무렵 그는 하나님으로부터 "이긴 자"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죽은 후에 야곱은 천국에 가보시면 알겠지만, 하늘에 있는 24보좌에 앉는 24장로 중의 한 사람이 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면류관(적어도 '소망', '사모함', '열정', 꿈을 이', '승리'의 면류관)을 쓸 수 있게 되었으며, 천국에 엄청난 규모의 천국집을 얻는 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그의 인생은 참으로 고달프고 힘겨운 삶이었지만 그것을 얻기 위해서라면 기꺼이 자신의 모든 것을 투자할 만한 가치있는 삶을 살다가 간 것입니다. 

     

    2021년 08월 06일(금)

    정병진목사


  1. 사도행전강해(84) 바울이 두란노서원에서 전했던 하나님의 나라는 어떤 것이었나?(행19:8~12)_2022-12-20(화)

  2. 창세기강해(15) 첫째날 하나님이 지으신 빛은 어떤 것이었나?(창1:3~5)_2022-08-01(월)

  3. No Image 13Dec
    by 갈렙
    2019/12/13 by 갈렙
    Views 124 

    하나님이 사람을 회개하도록 쓰시는 2가지 방법은 무엇인가?(삼하12:1~6)_2019-12-13(금)

  4. 사무엘상강해(34) 놉 땅의 제사장 학살사건이 들려주는 영적인 교훈(삼상22:1~23)_2021-12-24(금)

  5. No Image 30Jun
    by 갈렙
    2020/06/30 by 갈렙
    Views 560 

    성령의 은사(10) 영들분별의 은사는 어떻게 해야 받을 수 있나?(고전12:10)_2020-06-30(화)

  6. 이스라엘백성들이 먹었던 만나는 지금도 먹을 수 있는가?(요6:30~35)_2023-06-21(수)

  7. [환상의 은사(5)] 환상, 대체 어떻게 보는가?(행2:38~39)_2023-07-27(목)

  8. No Image 03Dec
    by 갈렙
    2018/12/03 by 갈렙
    Views 245 

    이단과 정통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계22:18~19)_2018-12-03(월)

  9. 룻기서강해(04) 우연 그것은 하나님이 역사하시는 가장 위대한 섭리의 시간(룻1:22~2:7)_2021-11-12(금)

  10. 천국복음(50) 곧 속히 오시겠다고 하신 분은 예수님인가 주 하나님인가?(계22:6~21)_2022-04-21(목)

  11. 창세기강해(171) 야곱의 삶과 그의 죽음이 남기고 간 위대한 영적 교훈(창49:28~50:14)_2021-08-06(금)

  12. 창세기강해(103) 한 분 하나님의 벗(친구)이 되는 자들이 받게 될 축복(창22:1~19)_2023-01-30(월)

  13. 사무엘하강해플러스(39) 모두가 성전을 건축하는데 헌신하자 하나님이 주신 복은(대상29:1~9)_2022-02-18(금)

  14. 창세기강해(90) 아브라함 앞에 나타난 세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은 누구였나?(창18:10~20)_2023-01-02(월)

  15. 창세기강해(124) 벧엘의 약속이 말하고 있는 또 하나의 중대한 선언(창28:1~15)_2021-06-17(목)

  16. No Image 27Feb
    by 갈렙
    2019/02/27 by 갈렙
    Views 181 

    더 큰 힘과 능력을 가진 귀신들이라도 절대 흉내낼 수 없는 성령의 역사는 무엇인가?(요14:26)_2019-02-27(수)

  17. No Image 19Mar
    by 갈렙
    2020/03/19 by 갈렙
    Views 257 

    히브리서기자는 예수님을 왜 아론의 반차가 아니라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이라고 해석하였을까?(히7:1~28)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18. 예레미야강해(24) 끝났다고 해서 다 끝난 것으로 알 것인가?(렘24:1~10)_2023-03-07(화)

  19. [요한계시록강해보완(19)] 심판 때에 사용되는 행위책과 생명책은 과연 어떤 책인가?(계20:11~15)_2023-11-06(월)

  20. No Image 11Jun
    by 갈렙
    2020/06/11 by 갈렙
    Views 209 

    성령은 누구신가(20) 성령세례란 무엇인가?(행1:4~8)_2020-06-11(목)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72 Next
/ 72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