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묵상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Y0Va-0XFa9Q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사무엘상강해(42) 위기를 극복한 다윗에게서 왕으로서 기품이 배어나오다(삼상30:1~31)_2022-01-03(월)

https://youtu.be/Y0Va-0XFa9Q  [혹은 https://tv.naver.com/v/24416893 ]

 

1. 이스라엘과 블레셋 전투에서 빠지게 된 다윗과 그의 600명의 사람들이 마주하게 된 쓰라린 사건은 무엇이었는가?

  하마터면 블레셋 다섯 방백이 이스라엘과 일으킨 전쟁에 참여할 뻔 했던 다윗은 하나님의 은혜로 전쟁에서 빠지게 된다. 그리하여 그들은 자기들이 살던 시글락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그 사이에 기가 막힌 일이 발생한 상태였다. 즉 다윗과 그의 군사들이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자리를 비운 사이, 아말렉이 쳐들어온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은 유다 남부를 침노하였고 그 마을들 중에는 시글락도 포함되었는데, 그들은 시글락을 불살랐고 그들의 아내와 자녀들을 사로 잡아갔다. 이에 불타고 있는 성읍을 바라보았던 다윗의 그의 사람들은 그만 주저 앉아 목놓아 울 수밖에 없었다. 그때에 주군이었던 다윗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2. 최대의 시험거리에 직면한 다윗은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갔는가?

  너무나 고통스러운 현실에 직면한 백성들은 그만 다윗을 돌로 치려고까지 한다. 그러자 다윗은 모든 책임을 통감함으로 아무 말을 하지 못한다. 이 일이 터진 것이 원수의 나라인 블레셋에 망명한 것 때문이 아닌가 하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엄중한 현실을 보고 그저 주저 앉아 있을 수만은 없었다. 왜냐하면 한 가닥의 희망은 아직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렇더라도 처자식들은 아직 죽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다윗은 즉시 하나님의 뜻을 묻는다. 그래서 제사장 아비아달에게 에봇을 가져오게 한 뒤 하나님의 뜻을 구한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도 아말렉을 쫓아가라고 하시고 잡혀간 것들을 도로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해주신다. 이에 다윗은 자신의 600명의 군사와 더불어 어딘지는 모르지만 그 대적을 향하여 출발한다. 그런데 어찌나 힘이 들었던지 200명의 군사는 그만 지쳐서 브솔시내를 건너지 못하고 주저앉는다. 그러자 다윗은 그들에게 짐을 맡기고는 400명의 군사만 거느리고 적을 행햐 떠나는데, 문제는 적이 어디로 갔는지를 알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다윗에게 또다시 긍휼을 베풀어주신다. 가다가 아말렉 사람들로부터 버려진 한 노예를 만나게 된 것이다. 그 소년에게 음식을 주어 정성껏 돌보자 그가 기운을 차리게 되는데, 그는 애굽의 소년으로서 아말렉 사람의 종이 되었던 소년이었다. 그런데 병이 들자 주인이 그를 버리고 그만 가버린 것이다. 그러자 다윗은 의 신변안전을 보장해주기로 하고 그의 뒤를 따라간다. 그는 정확히 아말렉 족속이 있는 곳을 가르쳐주었는데, 그들은 잔치를 벌이고 있었다. 그러자 다윗과 400명의 군사는 적진을 일격에 습격하여 새벽부터 이튿날 해가 저물 때까지 아말렉을 친다. 그리하여 낙타를 타고 도망친 400명의 청년을 제외하고 아말렉인들은 전부 죽게 된다. 그리고 잃어버린 모든 처자식들을 하나도 잃어버리지 않고 되찾게 되고, 무엇보다도 엄청난 양의 전리품을 얻게 된다. 그것은 아말렉 사람들이 블레셋 사람들의 땅과 유다 땅에서 약탈한 것들이다. 

 

3. 전리품을 나눌 때에 다윗이 세운 규례는 무엇이었는가?

  이제 다윗과 그의 부하들은 자신의 처자식은 도로찾게 되었고 엄청난 양의 전리품을 가지고 돌아오게 된다. 그러다가 브솔시내에 이르게 되는데, 그때였다. 거기에는 지쳐서 남아있던 200명의 군사들이 있었다. 그러자 좀 불량한 사람 곧 전쟁에 참여했한 자들 중에 악한 자가 다윗에게 말했다. "주군, 저들은 우리와 함께 가지 않은 자들이기 때문에, 우리가 얻은 전리품은 저들에게 주지 말고, 오직 저들은 각자의 처자식만을 데리고 가게 합시다." 그러자 다윗이 그들에게 말한다. "나의 형제들이여, 이번 전쟁은 우리가 잘 해서 전쟁에서 이긴 것이 아니라, 오직 여호와께서 우리를 보호하시고 그들을 우리 손에 넘겨준 것이므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전리품을 우리들만 차지한다는 것은 아니 될 말이오. 전쟁터에 나갔던 자들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러서 짐을 지키던 자들이나 분깃은 다 똑같이 나누도록 하시오." 그런데 다윗의 이 말 한 마디는 200명이 군사들이 평생 자기의 목숨을 바쳐 다윗을 지킨 이유와 연결된다. 그랬다. 다윗은 관용을 베풀 줄 아는 넉넉한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아말렉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게 된 것은 자기와 자기의 부하 400명이 전쟁을 잘 수해서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도와주셨기에 가능한 것이었다고 선포한 것이다. 저는 전쟁승리의 공을 자기에도 돌리지 않고, 하나님께 돌림으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4. 다윗은 전리품들을 누구에게도 보냈는가?

  그런데 다윗의 덕망과 미래를 내다보는 지혜로움은 이 다음의 일에서 더욱 더 빛이 난다. 왜냐하면 다윗은 자기가 이 전쟁에서 승리하게 된 것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을 같이 나눌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는 남방 주변에 있는 유다지파의 장로들과 성읍들에게 전리품을 보내게 한다. 먼저는 유다의 장로들에게 선물을 보낸다(삼상30:26).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유다의 각 성읍에까지 전리품을 나누어 준 것이다(삼상30:27~31). 그런데 시실 유다 성읍의 주민들 중에 다윗을 밀고한 자들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그들에게까지 선처를 베풀어 준 것이다. 이처럼  다윗은 유다백성의 잘못을 하나도 묻지 않았을 뿐더러 그들에게 많은 긍휼을 베풀어준 것이다. 그러자 훗날 사울이 죽고 다윗이 왕이 되어야 할 때가 이르게 되었을 때에, 제일 먼저 유다 지파의 사람들이 일어나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던 것이다. 

 

5. 끝내는 천국에서 왕노릇할 자리에서 떨어진 사울 왕과 그 자리의 최고 꼭대기에 올라간 다윗, 이 두 사람의 차이는 무엇인가?

  성경에는 이 땅에서도 왕이었지만 천국에 들어가서도 왕노릇하는 한 사람을 소개하고 있다. 그는 바로 '다윗'이라는 인물이다. 그런데 이 땅에서는 왕이었지만 천국에서는 왕이 되지 못한 사람도 있다. 그는 바로 이스라엘의 초대왕 사울이었다. 왜 그랬던 것일까? 그런데 이 둘은 서로 반대의 길을 걸어갔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에 그들은 과연 어떻게 처리했을까? 그때 사울왕은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에 혹시 자신의 체면을 잃지 않을까 하고 걱정했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다윗은 달랐다. 그는 처음부터 무슨 일을 만나든지 기도부터 시작했기 때문이다(삼상30:7~8). 사실 사울의 모습을 보면 하나님은 그의 안중에 없었다. 전쟁에 승리했을 때에도 그는 자기의 이름을 높이는데에 관심을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하나님께서 들려주신 말씀에 어떻게 반응했을까? 사울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찌하든지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에만 늘 관심을 집중하였다. 그러나 다윗은 그와는 정반대였다. 그는 철저히 하님의 말씀에 순종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가라 하고 갔고 멈추라 하면 멈추었던 것이다. 셋째, 전쟁에서 승리하게 된 이유를 어떻게 말했는가? 다윗은 전쟁에서 승리할 때에도 그것을 자기가 잘 한 것 때문이라고 말하지 않고 그것은 하나님께서 인도하셨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윗은 하나님의 주권을 철저히 믿고 의지하였다. 그러나 사울은 그 반대의 삶을 살았다. 모든 영광은 자신이 받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그러니 다윗은 전리품도 자기가 취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를 기뻐하였다. 그러자 훗날 사울이 죽었을 때에 유다지파의 사람들은 이내 다윗을 유다족속의 왕으로 삼았던 것이다. 

 

2022년 01월 03일(월)

정병진목사

20220103_071603[크기변환].jpg

  • ?
    동탄명성교회 2022.01.04 20:36

    1. 이스라엘과 블레셋 전투에서 빠지게 된 다윗과 그의 600명의 사람들이 마주하게 된 쓰라린 사건은 무엇이었는가?

      하마터면 블레셋 다섯 방백이 이스라엘과 일으킨 전쟁에 참여할 뻔 했던 다윗은 하나님의 은혜로 전쟁에서 빠지게 된다. 그리하여 그들은 자기들이 살던 시글락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그 사이에 기가 막힌 일이 발생한 상태였다. 즉 다윗과 그의 군사들이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자리를 비운 사이, 아말렉이 쳐들어온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은 유다 남부를 침노하였고 그 마을들 중에는 시글락도 포함되었는데, 그들은 시글락을 불살랐고 그들의 아내와 자녀들을 사로잡아 갔다. 이에 불타고 있는 성읍을 바라보았던 다윗 그의 사람들은 그만 주저 앉아 목놓아 울 수밖에 없었다. 그때에 주군이었던 다윗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2. 최대의 시험거리에 직면한 다윗은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 갔는가?

      너무나 고통스러운 현실에 직면한 백성들은 그만 다윗을 돌로 치려고까지 한다. 그러자 다윗은 모든 책임을 통감함으로 아무 말을 하지 못한다. 이 일이 터진 것이 원수의 나라인 블레셋에 망명한 것 때문이 아닌가 하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엄중한 현실을 보고 그저 주저 앉아 있을 수만은 없었다. 왜냐하면 한 가닥의 희망은 아직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렇더라도 처자식들은 아직 죽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다윗은 즉시 하나님의 뜻을 묻는다. 그래서 제사장 아비아달에게 에봇을 가져오게 한 뒤 하나님의 뜻을 구한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도 아말렉을 쫓아가라고 하시고 잡혀간 것들을 도로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해 주신다. 이에 다윗은 자신의 600명의 군사와 더불어 어딘지는 모르지만 그 대적을 향하여 출발한다. 그런데 어찌나 힘이 들었던지 200명의 군사는 그만 지쳐서 브솔 시내를 건너지 못하고 주저앉는다. 그러자 다윗은 그들에게 짐을 맡기고는 400명의 군사만 거느리고 적을 향해 떠나는데, 문제는 적이 어디로 갔는지를 알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다윗에게 또다시 긍휼을 베풀어 주신다. 가다가 아말렉 사람들로부터 버려진 한 노예를 만나게 된 것이다. 그 소년에게 음식을 주어 정성껏 돌보자 그가 기운을 차리게 되는데, 그는 애굽의 소년으로서 아말렉 사람의 종이 되었던 소년이었다. 그런데 병이 들자 주인이 그를 버리고 그만 가버린 것이다. 그러자 다윗은 의 신변 안전을 보장해 주기로 하고 그의 뒤를 따라간다. 그는 정확히 아말렉 족속이 있는 곳을 가르쳐 주었는데, 그들은 잔치를 벌이고 있었다. 그러자 다윗과 400명의 군사는 적진을 일격에 습격하여 새벽부터 이튿날 해가 저물 때까지 아말렉을 친다. 그리하여 낙타를 타고 도망친 400명의 청년을 제외하고 아말렉인들은 전부 죽게 된다. 그리고 잃어버린 모든 처자식들을 하나도 잃어버리지 않고 되찾게 되고, 무엇보다도 엄청난 양의 전리품을 얻게 된다. 그것은 아말렉 사람들이 블레셋 사람들의 땅과 유다 땅에서 약탈한 것들이다. 

     

    3. 전리품을 나눌 때에 다윗이 세운 규례는 무엇이었는가?

      이제 다윗과 그의 부하들은 자신의 처자식은 도로 찾게 되었고 엄청난 양의 전리품을 가지고 돌아오게 된다. 그러다가 브솔 시내에 이르게 되는데, 그때였다. 거기에는 지쳐서 남아 있던 200명의 군사들이 있었다. 그러자 좀 불량한 사람 곧 전쟁에 참여했 자들 중에 악한 자가 다윗에게 말했다. "주군, 저들은 우리와 함께 가지 않은 자들이기 때문에, 우리가 얻은 전리품은 저들에게 주지 말고, 오직 저들은 각자의 처자식만을 데리고 가게 합시다." 그러자 다윗이 그들에게 말한다. "나의 형제들이여, 이번 전쟁은 우리가 잘해서 전쟁에서 이긴 것이 아니라, 오직 여호와께서 우리를 보호하시고 그들을 우리 손에 넘겨준 것이므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전리품을 우리들만 차지한다는 것은 아니 될 말이오. 전쟁터에 나갔던 자들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러서 짐을 지키던 자들이나 분깃은 다 똑같이 나누도록 하시오." 그런데 다윗의 이 말 한 마디는 200명 군사들이 평생 자기의 목숨을 바쳐 다윗을 지킨 이유와 연결된다. 그랬다. 다윗은 관용을 베풀 줄 아는 넉넉한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아말렉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게 된 것은 자기와 자기의 부하 400명이 전쟁을 잘 수해서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도와주셨기에 가능한 것이었다고 선포한 것이다. 다윗은 전쟁 승리의 공을 자기에게로 돌리지 않고, 하나님께 돌림으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4. 다윗은 전리품들을 누구에게도 보냈는가?

      그런데 다윗의 덕망과 미래를 내다보는 지혜로움은 이 다음의 일에서 더욱더 빛이 난다. 왜냐하면 다윗은 자기가 이 전쟁에서 승리하게 된 것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을 같이 나눌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는 남방 주변에 있는 유다 지파의 장로들과 성읍들에게 전리품을 보내게 한다. 먼저는 유다의 장로들에게 선물을 보낸다(삼상30:26).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유다의 각 성읍에까지 전리품을 나누어 준 것이다(삼상30:27~31). 그런데 실 유다 성읍의 주민들 중에 다윗을 밀고한 자들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그들에게까지 선처를 베풀어 준 것이다. 이처럼 다윗은 유다 백성의 잘못을 하나도 묻지 않았을 뿐더러 그들에게 많은 긍휼을 베풀어 준 것이다. 그러자 훗날 사울이 죽고 다윗이 왕이 되어야 할 때가 이르게 되었을 때에, 제일 먼저 유다 지파의 사람들이 일어나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던 것이다. 

     

    5. 끝내는 천국에서 왕 노릇할 자리에서 떨어진 사울 왕과 그 자리의 최고 꼭대기에 올라간 다윗, 이 두 사람의 차이는 무엇인가?

      성경에는 이 땅에서도 왕이었지만 천국에 들어가서도 왕 노릇하는 한 사람을 소개하고 있다. 그는 바로 '다윗'이라는 인물이다. 그런데 이 땅에서는 왕이었지만 천국에서는 왕이 되지 못한 사람도 있다. 그는 바로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이었다. 왜 그랬던 것일까? 그런데 이 둘은 서로 반대의 길을 걸어갔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에 그들은 과연 어떻게 처리했을까? 그때 사울왕은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에 혹시 자신의 체면을 잃지 않을까 하고 걱정했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다윗은 달랐다. 그는 처음부터 무슨 일을 만나든지 기도부터 시작했기 때문이다(삼상30:7~8). 사실 사울의 모습을 보면 하나님은 그의 안중에 없었다. 전쟁에 승리했을 때에도 그는 자기의 이름을 높이는 데에 관심을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하나님께서 들려주신 말씀에 어떻게 반응했을까? 사울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찌하든지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에만 늘 관심을 집중하였다. 그러나 다윗은 그와는 정반대였다. 그는 철저히 하님의 말씀에 순종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가라 하 갔고 멈추라 하면 멈추었던 것이다. 셋째, 전쟁에서 승리하게 된 이유를 어떻게 말했는가? 다윗은 전쟁에서 승리할 때에도 그것을 자기가 잘한 것 때문이라고 말하지 않고 그것은 하나님께서 인도하셨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윗은 하나님의 주권을 철저히 믿고 의지하였다. 그러나 사울은 그 반대의 삶을 살았다. 모든 영광은 자신이 받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그러 다윗은 전리품도 자기가 취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를 기뻐하였다. 그러자 훗날 사울이 죽었을 때에 유다 지파의 사람들은 이내 다윗을 유다 족속의 왕으로 삼았던 것이다. 

     

    2022년 01월 03일(월)

    정병진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동영상URL
253 아니 이럴 수가! 종교개혁자들의 칭의론도 잘못되다니!(갈2:16)_2017-12-13(수) 갈렙 2017.12.13 1751
252 바울이 말하려 하였던 저주받을 것이라는 다른 복음이란 무엇인가?(갈1:6~10)_2017-12-12(화)_이것 만큼은 꼭 한 번 들어보십시오. 갈렙 2017.12.12 1835
251 행위로 구원얻는다고 외치면 저주받는가?(갈1:6~10)_2017-12-11(월) 갈렙 2017.12.11 1051
250 신앙의 경주가운데 고난과 멸시천대를 이겨낸 자들이 받는 복은 무엇인가?(계3:7~13)_2017-12-08(금) 갈렙 2017.12.08 1730
249 신앙의 경주에서 승리하는 자가 받을 상(하나님 우편에 앉으심)은 무엇인가?(히12:1~2)_2017-12-07(목) 갈렙 2017.12.07 2328
248 신앙의 경주에서 승리하기 위한 두번째 방법(히12:1~2): 고난받음과 멸시받음_2017-12-06(수) 갈렙 2017.12.06 1760
247 신앙의 경주에서 승리하기 위한 첫번째 방법(히12:1~2)_2017-12-05(화) 갈렙 2017.12.05 2331
246 신앙은 경주와 같다 어디서 그렇게 증거하고 있나?(히12:1~2)_2017-12-04(월) 갈렙 2017.12.04 1858
245 구원얻는 것과 상급을 얻는 것은 다른 것인가 같은 것인가?(마25:14~23)_2017-12-01(금) 갈렙 2017.12.01 1428
244 어떤 자가 약하고 게으른 종이며 한 달란트받았던 종의 죄 3가지는 무엇이었나?(마25:24~30)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갈렙 2017.11.30 1954
243 달란트비유의 요점은 무엇이며 어떤 자가 착하고 충성된 종인가(마25;24~30)_2017-11-29(수) 갈렙 2017.11.29 1669
242 믿는 자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 자녀이지만 왜 종처럼 살아야 하는가?(마24:44~51)_2017-11-28(화) 갈렙 2017.11.28 1371
241 그리스도인들이 갖는 2가지 신분은 무엇이며, 그것을 감당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9마24:44~51)_2017-11-27(월) 갈렙 2017.11.27 958
240 목자가 아닌 자들 곧 절도요 강도 그리고 삯군목자는 누구며, 누가 주님의 양인가?(요10:1~18)_2017-11-24(금) 갈렙 2017.11.24 1788
239 기적적인 치유사건이 제3자에게는 무슨 이유로 알려지고 들려지는 것일까?(요9:24~41)_2017-11-23(목) file 갈렙 2017.11.23 2342
238 왜 예수님은 초막절의 안식일에 맹인을 고쳐주셨는가?(요9:4~17)_2017-11-22(수) 갈렙 2017.11.22 1408
237 인간이 생각하는 불행은 사실 무엇 때문에 존재하는가?(요일9:1~12)_2017-11-21(화) 갈렙 2017.11.21 1593
236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장애를 딛고 일어서게 해 주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무엇인가?(요9:1~3)_2017-11-20(월) 갈렙 2017.11.20 2234
235 신약의 예수께서는 어떤 것들을 무엇으로 맹세하셨을까요?(요3:1~8)_2017-11-17(금) 갈렙 2017.11.17 2679
234 하나님의 맹세에 대한 인간의 무엇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는가?(민14:11~38)_2017-11-16(목) 갈렙 2017.11.16 1397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108 Next
/ 108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