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q3f8_LatVg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천국복음(05) 왜 미련한 다섯 처녀는 천국에 못 들어갔는가?(마25:1~13)_2022-02-25(금)

https://youtu.be/-q3f8_LatVg  [혹은 https://tv.naver.com/v/25388161 ]

 

1. 마25장에 나오는 '열 처녀의 비유'의 주제는 무엇인가?

  마태복음 25장에 나오는 '열 처녀의 비유'의 주제는 언제 주님이 오실른지 모르니 "깨어서 준비하고 있으라"는 것이다. 여기서는 깨어 있는 것은 곧 준비하고 있는 것과 같다(마24:42, 25:13). 그러므로 열 처녀 중에서 슬기로운(지혜로운) 처녀가 될 것인가 아니면 미련한(어리석은) 처녀가 될 것인가는 신랑이 올 때 필요한 것을 준비하고 있는가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2. '열 처녀의 비유' 말씀 중 그동안 잘못 알려져 온 해석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그동안 열 처녀의 비유는 곡해되어 온 것이 몇 가지 있다. 그것들 중의 하나는 '열 처녀'가 바로 '신부의 들러리'였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본문은 이들을 들러리라고 말하지 않는다. 다만 자기들의 등불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처녀'와 같다고 하셨기 때문이다(마25:1). 그리고 이들에게 예수님은 신랑인 것이지 자신의 친구의 남편이 아니다. 자기들과 관계되어 있는 신랑인 것이다. 그리고 이들 처녀는 신랑을 "주여 주여"라고 불렀다(마25:11). 이는 이 신랑이 예수님이라는 것을 알려 준다. 또 하나는 신랑이 닫았던 그 집의 문이 신부집의 문이라는 해석이다. 그러나 이것도 바른 해석이 아니다. 이 혼인 잔치는 신랑과 함께 신랑의 집에서 시작되는 혼인 잔치인 것이다. 왜냐하면 그 문을 열어줄 수 있는 권한은 신부나 신부의 아버지에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신랑이신 예수님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마25:10~12).

 

3. 이 비유는 무엇에 관한 비유인가?

  이 비유 말씀은 천국에 관한 비유다. 이 비유는 마태복음 24장부터 시작된 주의 재림 시에 있을 징조에 관한 말씀의 연장선상에 있는 비유이며, 주님의 재림은 곧이어 혼인 잔치로 이어지는데, 실제 재림하시는 예수께서 혼인 잔치를 배설할 장소는 새 예루살렘 성 안이기 때문이다(계19:9, 21:2). 정확히는 [천국에 가시면 아시게 되겠지만] 새 예루살렘 성 안에 있는 영광의 광장이다. 그러므로 슬기로운 다섯 처녀는 혼인 잔치에 들어갔지만 미련한 다섯 처녀가 혼인 잔치에 들어가지 못한 채 성밖에 남겨졌다는 것은 슬기로운 처녀는 천국에 들어가게 되지만, 미련한 다섯 처녀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한 채 성밖에 남겨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왜 미련한 다섯 처녀는 혼인 잔치에 들어가지 못했는가?

  그렇다면, 왜 미련한 다섯 처녀는 혼인 잔치 곧 천국에 들어가지 못했는가? 그것은 똑같은 말이지만 표현을 달리하면 2가지 때문이다. 첫째는 둘 다 똑같이 자기 자신을 위한 등을 준비하기는 했지만, 미련한 다섯 처녀는 자기 자신에게 속한 기름을 따로 준비해 놓지 않았기 때문이다(마25:10). 둘째는 열 처녀들 중에서 미련한 다섯 처녀는 주님께서 전혀 아신 바 된 자들이 아니었기 때문이다(마25:12). 먼저, 첫째로 이들의 차이는 '여분의 기름'의 준비 여부에 있다. 슬기로운 다섯 처녀는 처음부터 다른 그릇에 기름을 더 준비해 두었다. 이 비유의 주제가 '준비하고 있으라'인 만큼, 슬기로운 다섯 처녀는 등과 함께 기름까지 충분히 준비해 두었던 것이다. 그러나 미련한 다섯 처녀는 기름을 따로 준비하지 않았다. 아니 기름을 따로 준비하는 일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들이 처음부터 어떤 자들이었는지가 2절에 나오는데, 헬라어 원문을 보면, 열 처녀들 중에 다섯 처녀는 미완료 시제로 그들은 처음부터 어리석어 왔고 현재도 어리석은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혜로운 다섯 처녀는 처음부터 지혜로워 왔고 현재도 지혜로운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 이 둘은 처음부터 달랐다. 이것을 요즘 말로 표현해 보면 이렇다. 열 처녀 모두는 다 예수님이 신랑인 것도 알고 있었고, 등('등잔'이나 '횃불')으로 표현된 성령도 받아서 간직한 채 있었으며, 그분이 오시면 혼인 잔치 자리에 들어간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고로 두 종류 다 그리스도인들이라 할 수 있으며, 두 종류 다 재림하신 예수님을 기다리고 있는 성도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슬기로운 처녀는 처음부터 그 준비를 해 오고 있었지만, 미련한 다섯 처녀는 처음부터 그 준비를 해 오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미련한 다섯 처녀는 자기들은 준비하지 않고 있어도 언제든 결혼 잔치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자신이 누리게 될 결혼 잔치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었다. 그러나 결혼 잔치에 참여하려면 신부 단장을 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그들은 간과하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는 열 처녀들 중에서 미련한 다섯 처녀는 주님께서 처음부터 알아온 채 있지 않은 자들이었다는 사실이다(마25:12). 미련한 다섯 처녀가 슬기로운 다섯 처녀에게 기름을 좀 나눠 달라고 했을 때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그들은 그 밤에 어디에서 살 수 있는지 전혀 모른 상태에서 기름을 구하러 가야 했다. 하지만 그녀들이 다시 돌아왔을 때에 그녀들의 손에 기름이 들려져 있었는지를 알 수는 없다. 성경에 기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녀들은 한 사람도 기름을 준비하지 못한 채 돌아왔을 것이다. 그것은 댓가를 지불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의 심각성은 그들의 손에 기름을 갖고 있느냐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감찰하고 계시는 주님의 눈에 그들은 주님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사람들이었다는 데에 있다. 왜냐하면 예수께서 그들에게 최종적으로 "내가 너희를 알아온 채 있지 않다"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마25:12). 이것은 완료 구문으로서 이미 주님에게 있어서 그들은 아무런 의미없는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왜냐하면 이때 '알다'는 말에 사용된 단어는 바로 '오이다'라는 단어이다. '오이다'는 '기노스코'에 비해, 지식적인 앎에다가 친밀한 관계까지 포함된 개념이다. 참고로 '기노스코'는 지식적인 앎에다가 체험적인 앎을 같이 합친 개념이다(마7:23). 그러니까 미련한 다섯 처녀들에게 주님은 형식적인 주님이었을 뿐 주님과 커뮤니케이션(교통)이 되는 관계가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처음부터 자신을 단장하는데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던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5. 슬기로운 처녀가 처음부터 준비해 두었던 '여분의 기름'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그렇다면 슬기로운('프로니모스') 다섯 처녀는 언제부터 등잔(혹은 '횃불')에 태울 기름을 준비하고 있었는가? 그건 놀랍게도 처음부터다. 그럼 슬기로운(정확히는 '지혜로운') 다섯 처녀가 준비했던 '기름'은 대체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가? 그것은 이 비유 이야기 속에서는 무엇이라고 딱히 정의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그것이 어떤 것이 될 수 있을른지에 대해서는 4가지 정보를 제공한다. 첫째, 신랑이 언제 오든지 그 신랑을 맞이할 때에 사용할 충분한 양의 기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마25:3,8). 둘째, 꺼져가는 등불(혹은 횃불)을 밝힐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마25:8). 참고로 여기서 '등'이란 요한계시록 4:5에 나오는 단어로서, 하나님의 보좌 앞에 켜놓은 일곱 등불을 가리킨다. 고로 이 등불은 사도 요한의 해석에 따르면 '하나님의 일곱 영들' 곧 성령이라고 할 수 있다(때로는 그것을 '말씀'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시119:105 참조). 그러므로 여분의 '기름'이란 성령을 활활 타오르게 하는 재료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그냥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대가를 지불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라는 사실이다(마25:9). 파는 자들에게 가서 사서 구입할 수 있는 것이라고 나오기 때문이다(마25:9). 그러므로 '기름'을 성령으로 푸는 해석은 잘못된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성령은 결코 돈 주고 살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더불어 '기름'은 남이 없거나 부족하다고 빌려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고 나온다. 오롯이 자기가 자신을 위해서 뭔가를 희생하여 준비하는 것이라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태복음 13장에 나오는 값진 진주 장수의 비유처럼, 자기의 모든 소유를 다 팔아서 사야 할 만큼 비싼 댓가를 지불해야 비로소 얻을 수 있는 것들이다. 넷째, 이것은 반드시 신랑이 오기 전에 혹은 자기가 죽기 전에 준비해 놓은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마25:5~7, 요11:11~13).

 

 

2022년 02월 25일(금)

정병진목사

[크기변환]20220225_071845.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동영상URL
1825 다니엘은 왜 왕의 음식과 포도주를 먹지 아니하리라고 뜻을 정하지 않고 그것으로 자신을 더럽히지 아니하리라고 뜻을 정했나?(단1:8)_2018-04-30(월) 갈렙 2018.04.30 2426
1824 욥의 자녀는 과연 천국에 갔을까?(욥1:13~19)_2016-06-30 file 갈렙 2016.06.30 1974
1823 욥의 원망,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었나?(욥10:1~10)_2016-07-06 갈렙 2016.07.06 1852
1822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 사태를 우리는 어떻게 볼 것인가?(민14:4~12)_2020-01-28(화) 갈렙 2020.01.28 1696 https://youtu.be/PB5YUARsUwE
1821 사도행전 강해(15) 성전 미문에서 구걸하던 장애인은 어떻게 고침받았는가?(행3:1~10)_2022-06-21(화) file 갈렙 2022.06.21 1376 https://youtu.be/uwUOGYxf3Xo
1820 아론은 금송아지 우상을 만든 장본인이었는데 왜 죽지 않았나?(출32:1~14)-2018-08-07(화) file 갈렙 2018.08.07 1376
1819 우리 인간을 위해 배려하시는 한 분이신 하나님(마3:13~17)(부제: 예수께서 세례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 진짜 이유) 갈렙 2016.06.21 1348
1818 욥은 무슨 죄를 지었으며 무엇을 회개했나?(욥42:1~9)_20160-07-01 갈렙 2016.07.01 1346
1817 성령의 은사(12) 지혜의 말씀의 은사와 지식의 말씀의 은사는 무엇을 가리키는가?(고전12:8)_2020-07-02(화) 갈렙 2020.07.02 1303 https://youtu.be/cD3LAyTy_8w
1816 축사사역, 반드시 필요한 일인가?(막9:14~29) 갈렙 2016.06.17 1300
1815 예수님이 누구시며 예수님과 하나님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비유 3가지는?(계5:1~14)_2018-06-01(금) 갈렙 2018.06.01 1283
1814 현대 동성애자들과 구약의 사울왕의 공통점(대상10:1~14) 갈렙 2016.06.14 1282
1813 욥의 회개를 통해서 본 죄성의 시인과 참된 회개의 상관관계(욥42:1~6)_2016-07-08 갈렙 2016.07.08 1270
1812 회개를 모르고 율법만 아는 욥의 잘못된 판단(오판)(욥33:8~18)_2016-07-05 갈렙 2016.07.05 1254
1811 사마리아교회에 왜 사도들이 방문해야 했을까?(행8:14~25)_2016-06-09 갈렙 2016.06.09 1241
1810 새 영인 성령을 사람의 마음 속에 두시기로 결정하신 하나님(렘31:31~34)_2016-05-27 file 갈렙 2016.06.04 1235
1809 회개하기 전과 회개한 후의 욥이 받은 복의 차이(욥42:7~17)_2016-07-07 갈렙 2016.07.07 1217
1808 욥의 신앙 과연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욥1:1~19)_2016-06-28 갈렙 2016.06.28 1212
1807 이 땅 위에서 성취되어야 할 하나님의 뜻은 무엇인가?(마6:9~10)_2016-06-14 갈렙 2016.06.15 1191
1806 사마리아교회에 사도들이 방문해야 했던 두번째 이유(행8:14~25) 갈렙 2016.06.10 11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 Next
/ 92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