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동영상URL https://youtu.be/-4mdIIVANKA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요한계시록의 기독론(13) 예수께서 주 하나님이신 이유는 무엇인가?(12)(계5:6~14)_예배와 관련하여(01)_2022-05-12(목)

https://youtu.be/-4mdIIVANKA  [혹은 https://tv.naver.com/v/26808816 ]

 

1. 요한계시록 5:6~14에 나타나 있는 예수께서 하나님이신 이유는 무엇인가?

  요한계시록 5:6~14의 말씀은 천상에서 예배하고 있는 장면을 말씀하고 있다. 그런데 이 예배에서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양이, 네 생물과 24장로들 그리고 천천만만의 천사들과 모든 피조물에게서부터 찬양과 경배를 받으시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예수께서 하나님이시라는 가장 강력한 근거가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예배를 받으실 수 있는 분은 오직 하나님 한 분 뿐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초기 교회 성도들이 일찌감치 예수님을 찬양과 경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분으로서 찬양하고 경배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2. 예수께서 찬양과 경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분이라는 사실이 찬송가에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오늘날 우리가 예배 시간에 사용하는 찬송가에는 하나님께 찬송과 경배를 드릴 뿐만 아니라 예수님께도 동일하게 찬양과 경배를 드린다. 예를 들어 보면, 이렇다. 찬송가 26장 구세주를 아는 이들 찬송하고 찬송하세. 찬27장 빛나고 높은 보좌에 그 위에 앉으신 주 예수 얼굴 영광이 해같이 빛나네. 찬30장 전능하고 놀라우신 나의 주님 구세주, 찬31장 찬양하라 복되신 구세주 예수 백성들아 사랑을 전하세. 찬32장 만유의 주재 존귀하신 예수 사람이 되신 하나님. 찬33장 영광스런 주를 보라 고난받는 그 모습. 찬 36장 주 예수 이름 높이어 다 찬양하여라 금 면류관을 드려서 만유의 주 찬양. 찬 37장 주 예수 이름 높이어 다 찬양하여라 다 찬양하여라 금 면류관을 드려서 만유의 주를 찬양하세.... 그렇다. 우리가 예배 시간에 사용하는 찬송가에는 이렇듯 우리 주 예수님께 찬양과 경배를 올리는 찬송가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3. 요한계시록 5장은 천상의 예배를 가리키는가 아니면 지상의 예배를 가리키는가?

  우리는 요한계시록 5장에서 보좌에 앉으신 이와 어린양께 찬양과 경배를 드리고 있는 천상의 존재들을 보게 된다. 이들은 4종류의 존재들로서, 네 생물들, 24장로들, 천천만만의 천사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피조물들'이다. 이 때 피조물들은 이렇게 찬양을 한다. "보좌에 앉으신 이와 어린양에게 찬송과 존귀와 영광 권능(능력)을 세세토록 돌릴지어다(계5:13)" 그렇다면 이때 보좌에 앉으신 이와 어린양에게 찬양과 경배를 올리고 있는 피조물들은 천상에 있는 피조물들인가 아니면 지상에 있는 피조물들인가? 우리말 성경(개역개정)에는 이렇게 되어 있다. "내가 또 들으니 하늘 위에와 땅 위에와 땅 아래와 바다 위에와 또 그 가운데 모든 피조물이 이르되 보좌에 앉으신 이와 어린 양에게 찬송과 존귀와 영광과 권능을 세세토록 돌릴지어다 하니(계5:13)" 우리말 성경에는 처음 시작을 '하늘 위에'라고 시작한다. 하지만 헬라어 원문에는 '하늘 위'가 아니라, '하늘 안'이다. 그래서 다시 요한계시록 5:13의 말씀을 헬라어에서 직역해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하늘 안에 있는, 땅 위에 있는, 땅 아래에 있는, 바다 위에 있는, 그것들 가운데 있는 바, 모든 피조물이 [있다]. 내가 들었다. 그들이 말하고 있기를, 보좌 위에 앉아 있는 이와 어린양에게 찬송과 존귀와 영광과 능력이 세대들의 세대들까지(세세토록) [있을지어다]" 그렇다. 요한계시록 5장 13절에 나오는 모든 피조물은 천상에 있는 피조물들이다. 왜냐하면 천국에서 천상의 존재들이 예배드리는 장소는 제일 높은 하늘이므로, 더 이상 하늘 위에 있는 존재가 없기에 '하늘 위'가 아니라 '하늘 안'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지상에서는 누가 예배를 드릴까? 그것은 모든 피조물들과 예수님을 알고 경배하는 사람들만이 예배를 드리고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이 지상에서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고 있는 것이다. 

 

4. 천상의 예배와 지상의 예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우리는 여기에 천상에서 드리는 예배와 지상에서 드리는 예배에 있어서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발견할 수 있다. 이때 천상에서 드리는 예배의 핵심 사항은 다음 3가지 뿐이다. 첫째는 모든 피조물들이 하나님과 어린양에게 엎드린 후에 경배한다(절한다)는 것이다(계5:8,14). 둘째는 모든 피조물들이 하나님과 어린양에게 찬양을 올린다는 것이다(계5:9~10,12,13). 셋째는 모든 피조물들이 하나님과 어린양에게 기도를 올려드린다는 것이다(계5:8). 그렇지만 맨 마지막에 나오는 '기도'의 요소는 예수께서 재림하시어 심판을 끝내시고 새 하늘과 새 땅이 시작되면 더 이상은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천상에서의 예배의 핵심은 '찬양'에 있다. 거기에 찬양이 있다면 그것을 예배라고 할 수 있고, 찬양이 없다면 그것을 기도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5. 지상에서의 예배의 정의와 구성 요소는 대체 무엇인가?

  오늘날 예배학에서는 대부분 예배를 정의하기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만남'이라고 한다. 그런데 천상의 예배를 보면 '만남'이라는 것이 핵심 사항은 아니다. 왜냐하면 예배의 핵심은 찬양을 올려드리면서 하나님을 경배하는(절하는) 것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이때 천국에서 면류관을 쓰고 있는 성도들은 그냥 절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면류관을 벗은 후 예수님께 절을 한다. 그렇다면 오늘날에 예배를 드리려고 오신 분들이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어떻게 예배하고 어떻게 만났다고 정의할 수 있는가? 그래서 예배학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하나님은 영이시고 보이지 않지만, 그분이 오셔서 우리를 만나주시는데 그때에 3가지를 주신다는 것이다. 첫째는 말씀(말씀 선포=설교)을 주신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복(축도)을 주신다는 것이다. 셋째는 피와 살(성찬)을 주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인간편에서는 무엇을 바치면서 그분과 교제할 수가 있는가? 그것도 역시 3가지다. 첫째는 찬양을 올려드린다. 둘째는 기도를 올려드린다. 셋째는 예물(헌금)을 올려드린다. 그러므로 어떤 곳에서는 예물을 드리지 않는 예배는 더 이상 예배라고 부를 수 없다면서, 예물을 드리지 않는 예배는 예배가 아니라 '기도회'라고 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천상에서 드리는 예배를 보니, 예물을 드리지 않는다고 하여 예배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천상에서의 예배의 요소가 '찬양'과 '기도' 그리고 '엎드리고 절함'이기 때문이다. 

 

2022년 05월 12일(목)

정병진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동영상URL
1825 다니엘은 왜 왕의 음식과 포도주를 먹지 아니하리라고 뜻을 정하지 않고 그것으로 자신을 더럽히지 아니하리라고 뜻을 정했나?(단1:8)_2018-04-30(월) 갈렙 2018.04.30 2428
1824 욥의 자녀는 과연 천국에 갔을까?(욥1:13~19)_2016-06-30 file 갈렙 2016.06.30 1974
1823 욥의 원망,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었나?(욥10:1~10)_2016-07-06 갈렙 2016.07.06 1852
1822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 사태를 우리는 어떻게 볼 것인가?(민14:4~12)_2020-01-28(화) 갈렙 2020.01.28 1696 https://youtu.be/PB5YUARsUwE
1821 사도행전 강해(15) 성전 미문에서 구걸하던 장애인은 어떻게 고침받았는가?(행3:1~10)_2022-06-21(화) file 갈렙 2022.06.21 1377 https://youtu.be/uwUOGYxf3Xo
1820 아론은 금송아지 우상을 만든 장본인이었는데 왜 죽지 않았나?(출32:1~14)-2018-08-07(화) file 갈렙 2018.08.07 1376
1819 우리 인간을 위해 배려하시는 한 분이신 하나님(마3:13~17)(부제: 예수께서 세례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 진짜 이유) 갈렙 2016.06.21 1348
1818 욥은 무슨 죄를 지었으며 무엇을 회개했나?(욥42:1~9)_20160-07-01 갈렙 2016.07.01 1346
1817 성령의 은사(12) 지혜의 말씀의 은사와 지식의 말씀의 은사는 무엇을 가리키는가?(고전12:8)_2020-07-02(화) 갈렙 2020.07.02 1303 https://youtu.be/cD3LAyTy_8w
1816 축사사역, 반드시 필요한 일인가?(막9:14~29) 갈렙 2016.06.17 1300
1815 예수님이 누구시며 예수님과 하나님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비유 3가지는?(계5:1~14)_2018-06-01(금) 갈렙 2018.06.01 1283
1814 현대 동성애자들과 구약의 사울왕의 공통점(대상10:1~14) 갈렙 2016.06.14 1282
1813 욥의 회개를 통해서 본 죄성의 시인과 참된 회개의 상관관계(욥42:1~6)_2016-07-08 갈렙 2016.07.08 1270
1812 회개를 모르고 율법만 아는 욥의 잘못된 판단(오판)(욥33:8~18)_2016-07-05 갈렙 2016.07.05 1254
1811 사마리아교회에 왜 사도들이 방문해야 했을까?(행8:14~25)_2016-06-09 갈렙 2016.06.09 1241
1810 새 영인 성령을 사람의 마음 속에 두시기로 결정하신 하나님(렘31:31~34)_2016-05-27 file 갈렙 2016.06.04 1235
1809 회개하기 전과 회개한 후의 욥이 받은 복의 차이(욥42:7~17)_2016-07-07 갈렙 2016.07.07 1217
1808 욥의 신앙 과연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욥1:1~19)_2016-06-28 갈렙 2016.06.28 1212
1807 이 땅 위에서 성취되어야 할 하나님의 뜻은 무엇인가?(마6:9~10)_2016-06-14 갈렙 2016.06.15 1191
1806 사마리아교회에 사도들이 방문해야 했던 두번째 이유(행8:14~25) 갈렙 2016.06.10 11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 Next
/ 92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