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한복음의 보혜사 성령 이해

 

 
제2부의 목적은 제1부 III장에서 거론한 요한복음서의 “파라클레토스”(보혜사)의 의미를 보다 더 명확하게 파악해 보려는 것이다. “파라클레토스”(παρακλητο?)는 신약 성경의 다른 아무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고 다만 요한 복음서와 요한 일서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말로 요한의 독특한 표현이다. 요한 복음서에 있어서 파라클레토스는 성령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초대 교회가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성령”이라는 표현을 유달리 요한만은 그것을 파라클레토스라고 부른 것이다. 요한은 어떠한 의도에서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라고 말하였는가? 요한의 의도를 묻고자 하는 것이다. 초대 교회의 성령관에 대한 요한의 이해가 어떠한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라고 표현한 요한의 의도에 관해서 학자들은 요한의 사상적 배경 연구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파라클레토스가 초대 교회에 있어서 매우 낯선 낱말이었고 요한 만이 특이하게 이 말을 사용하고 있는 까닭에 이 말을 사용하게 된 요한의 사상적 배경을 추구해 보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요한과 요한이 속해 있던 공동체가 어떠한 문화적인 환경 가운데서 이 말을 이해하고 있었는가 하는 것이 요한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경 연구의 결과는 적지 않는 혼동을 초래하였다. 더러의 학자들은 파라클레토스의 개념이 어떤 영지주의 종교 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하며 또다른 학자들은 그와는 반대로 유대교 사상에 그 유래가 있었던 것으로 보는데 의견을 모으기는 하지마는 서로의 판단이 일치하지 않거나 대립되기도 했다. 더러의 학자들은 사해 사본과 같은 유대의 문헌들을 배경으로 삼고 다방면의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이런 상황 하에서 의견들은 적지 않은 혼선을 가져오기에 이르렀다.
 
참으로 오늘날의 해석들은 구구하여 파라클레토스의 표현의 유래와 배경을 다양하게 설명하기도 한다. 파라클레토스는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회사를 통해 볼 때 이같은 위험이 분명하다. 때때로 요한에 나타난 보혜사 성령을 신약 성경의 다른 곳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카리스마적인 성령과 동일한 것으로 보아 성령에 관한 가장 중요한 본문으로 요한을 인용하기도 하는 때가 있었다. 요한 복음서 자체의 맥락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때로는 가볍게 취급되어 배경 연구나 교리적인 관점에 지배를 받아 요한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그릇된 해석을 하는 일이 없지 않았다. 뒤늦게 발전되어 내려온 삼위일체의 교리의 영향을 받아서 성령을 인격화된 존재로만 해석하는 경향에 이끌리기도 하였다.
 
배경 연구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요한의 맥락이다. 요한의 맥락을 통해서 요한이 파라클레토스라는 표현으로 성령을 말할 때 무엇을 의미하였는가 하는 문제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그는 과연 신약의 다른 모든 기자들이 말하고 있는 성령을 그대로 전하였는가? 아니면 요한은 파라클레토스라고 하는 말을 가지고 성령에 대한 초대 교회의 이해에 대하여 새로운 변화를 주고자 하였던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그런 까닭에 이 글은 궁극적인 해결을 요한 복음서 자체의 맥락에 보다 큰 관심을 기울여 보기로 한다.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요한 복음서의 고별 담화문의 긴 문맥 속에 나타난다. 충분하지는 않지만 그 담화문의 맥락을 통해서 파라클레토스의 성격과 역할을 알아보기로 한다. 그 맥락 속에서 요한은 분명히 파라클레토스를 성령과 동일시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것이 진리의 영이라는 것을 힘주어 말하고 있는데 바로 이 점에 파라클레토스의 의미를 알아내는 열쇠가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요한이 뜻하고 있는 파라클레토스는 성령의 어떤 역할을 가리키는 것이며 또 그 같은 성령을 진리의 영이라고 밝혀 말하는 요한의 뜻하는 바를 알아내 봄으로써 요한의 파라클레토스가 무엇인지를 밝혀 보려는 것이다.
 
 
I. 어휘 및 사상적 배경
 
1. 성령을 뜻하는 용어로서의 파라클레토스(전승과의 관련)
 
파라클레토스는 성령을 가리킨 것이다. 요한 자신이 이것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고별 담화문 가운데서 요한은 예수로 하여금 다음과 같이 보혜사(파라클레토스)에 관해서 말씀하시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이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겠다는 것이다(요 14:26). 고별 담화문 가운데서 파라클레토스가 성령이라는 것을 또 다시 이야기는 하지 않지만 몇 차례에 걸쳐서 파라클레토스가 곧 아버지께서 보내실 진리의 영이시라는 것을 요한의 예수는 거듭 강조하신다. 그때마다 “진리의 영”은 마치도 성령에 대한 요한의 설명처럼 나타난다. 성령의 경우에서와 같이 진리의 영은 아버지께로부터 보냄을 받아 오신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 뿐만이 아니라 진리의 영이 하고 있는 역할에 관해서도 또한 초대 교회가 성령에게 기대하고 있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시게 될 것이라고 한다.
 
요한에 따르면 진리의 영이 그리스도를 위하여 증언해 주실 것이며(요 15:26) 죄와 심판에 관해서 제자들의 마음을 깨우쳐 주시고(요 16:8) 또한 진리 가운데로 그들을 인도해 주실 것이라고 한다(요 16:13). 진리의 영의 이와 같은 역할들은 공관 복음서나 사도 행전 그리고 바울 서신과 같은 같은 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초대 교회 전승이 전하는 성령의 역할과 일치한다.
 
초대 교회 전승에 따르면 성령은 그리스도를 증언해 주실 증언의 역할을 한다(마 10:20, 막 13:11, 눅 12:10-12). 그리스도인들이 법정에 서서 그리스도를 증언해야 할 그때에 성령이 가르쳐 주실 것이다. 또한 성령은 우리가 그리스도인이라는 것을 증언해 주신다(롬 8:16). 성령은 진리의 말씀을 우리에게 알게 해 주신다(고전 2:10). “성령은 모든 것을 아시므로 하나님의 깊은 경륜까지도 아신다”는 것이다(고전 2:11). 성령은 지혜의 말씀을 알게 하고(고전 12:8), 신비한 것을 말할 수 있게 하며(고전 14:2), 신자들에게 지혜와 계시의 영이 되어 주신다(엡 1:17). 그러므로 요한이 말하고 있는 진리의 영은 초대 교회가 말하는 성령과 다른 존재가 아니다. 파라클레토스가 진리의 영과 동일한 것으로 말하는 요한의 말은 곧 파라클레토스가 성령과 동일한 것이라는 말과 다름이 없다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내용에 있어서도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초대 교회가 믿고 있는 성령과 부합되는 점이 많다. 사도 행전에 의하면 예수께서 이 세상을 떠나시고 부활하신 다음 제자들에게 성령을 약속하신다(행 1:5). 그리고 난 다음에 곧 오순절을 맞게 되며 제자들은 모두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성령으로 충만함을 받게 된다(행 2:4). 요한의 경우에도 그와 같은 면이 나타난다. 예수께서 이 세상을 떠나가시게 되면 아버지가 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내려 주시는 파라클레토스를 받게 되리라는 것을 예수께서 약속해 주시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강림하게 될 시기에 관해서도 초대 교회 전승과 요한은 일치한다. 성령의 강림이 예수께서 세상을 떠나신 다음으로부터 멀지 않은 때에 일어날 것으로 초대 교회는 말하고 있으며 요한도 역시 그렇다. 요한은 파라클레토스를 받게 되는 그 시기가 예수께서 세상을 떠나시게 될 때부터 그리 멀지 않은 장래에(?τι μικρ?ν) 있게 될 것이라고 본다(14:19)
 
바울은 성령 안에서 신자들의 공동체가 코이노니아를 누릴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고후 13:13). 요한의 경우의 파라클레토스도 다름이 없다. 파라클레토스?성령이 제자들 사이에 머무르게 될 “그 날”에 대하여 요한의 예수는 말씀하신다. “너희는 내가 내 아버지 안에 있고 너희가 내 안에 있게 될 것이라”고 하신다(요 14:20). 그것은 코이노니아를 의미한 것이다. 그리고 신자들은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지켜야 할 것을 당부하신다(요 14:15). 곧 코이노니아를 강조한 것이다. 마치도 바울이 전하는 성령은 서로의 사랑을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삼고 있는 것과 같이 요한에게 있어서도 파라클레토스를 받게 될 제자들에게는 공동체 안에서의 서로의 사랑을 가장 중요한 계명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초대 교회가 말하는 성령과 성질 상으로 공통된 요소를 드러내 보인다.
 
비단 요한 뿐만이 아니라 보다 이른 시절의 초대 교회에 있어서도 파라클레토스가 전혀 낯선 표현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파라클레토스라고 하는 바로 그 표현이 요한을 제외한 초대 교회 전승 가운데 나타나지는 않지만 파라클레토스와 어원을 같이하는 ‘파라클레시스’나 또는 ‘파라칼레인’과 같은 표현은 초대 교회 전승 속에서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그 말들의 뜻은 평안이라든가 위로나 권면과 같은 듯을 지니고 있다. 평안이나 위로 그리고 격려를 뜻하는 권면의 뜻을 가진 파라클레시스는 초대 교회에 있어서도 성령의 기능의 일면으로도 알려져 있었다는 것이 분명하다. 특히 사도 행전에 의하면 평안이라는 뜻을 가진 파라클레시스는 성령의 도우심의 결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행 9:31). 이와 같이 초대 교회 전승에 있어서도 성령의 역할 중의 하나가 파라클레토스와 어원을 같이하는 같은 파라클레시스로 불리고 있었다는 것이 확실하다.
 
더욱 더 놀라운 사실은 요한의 파라클레토스의 기능적인 역할이 초대 교회의 파라클레시스와 일치한다는 점이다. 초대 교회가 말하는 파라클레시스는 평안이라고 한다. 요한의 예수가 파라클레토스를 약속하시고 난 다음 이렇게 말씀하신다. “내가 평안을 너희에게 남겨 두고 간다. 나는 내 평안을 너희에게 준다. 이것은 세상이 주는 평안과 같은 것이 아니다.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라”(요 14:27). 요한 복음서의 예수는 파라클레토스를 약속하시고 난 다음 또 이렇게 말씀하신다. “내가 진정으로 진정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는 울고 애통하겠으나 세상은 기뻐할 것이다. 그러나 너희가 슬픔에 싸여도 그 슬픔이 기쁨으로 변할 것이다”(요 16:20).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제자들에게 평안을 주며 기쁨을 준다. 그것은 곧 초대 교회 전승이 말하는 성령을 통한 파라클레시스와 일치하는 것이다. 곧 초대 교회는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라고도 부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를 우리는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초대 교회의 일반적인 경향은 성령을 성령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었고 파라클레토스나 파라클레시스라는 이름으로 성령을 개명하지는 않았다. 다만 요한 만이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라는 이름으로 불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오로지 요한 복음서만이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라는 명칭으로 부르려고 하였는가 하는 것이다. 비록 파라클레토스가 성령을 가리키는 용어로 초대 교회가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초대 교회는 성령이라는 명칭만으로 거리낌없이 성령을 불러내려 왔던 반면에 요한 만이 그와 같은 일반적인 관습을 거슬려서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부른 것이다. 요한이 그 새로운 명칭을 선호하고 있다는 데 요한의 특별한 의도가 있지나 않을까 하는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여기에 요한의 성령 이해에 있어서 특이한 점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로 설명하고자 하는 요한의 특별한 의도가 초대 교회의 성령 이해에 관한 요한의 새로운 해석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것과 관련하여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는 파라클레토스가 인격적 존재를 뜻한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로 부르는 요한 복음서의 본문을 가지고 성령이 인격적 존재라고 보아 오는 교리적 관심의 근거로 삼는 위험이 항상 뒤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과연 요한의 의도가 성령을 인격화하려는 것이었는지 아니면 그와는 반대로 인격화하고 있는 초대 교회의 생각을 교정해 보려는 것이었는지에 대하여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2. 어휘
 
요한이 남다른 의도가 있어서 파라클레토스란 말을 선택한 것이라면 대체 파라클레토스는 무엇을 뜻하는 말인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언어 상으로 본 그 말의 뜻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만 요한의 의도를 더 잘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파라클레토스의 어휘를 앎으로써 요한이 성령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파라클레토스는 순수한 헬라어이다. 헬라의 세속 사회에서 사용되었던 용어이다. 성경에서는 흔히 찾아볼 수 없는 말이다. 요한 복음서의 특정한 부분을 제외하고서는 이 말은 신약 성경의 아무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낱말이다. 히브리어의 근원을 갖고 있지도 않는다. 히브리어를 번역한 헬라어의 칠십인 역(LXX)에도 나타나지 않는 낱말이다. 유대 사람들의 랍비 문학 가운데에서 파라클레토스와 발음이 비슷한 히브리어가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헬라어에서 빌어 온 말일 따름이다. 그런 까닭에 이 낱말의 어휘는 순수하게 헬라 사회에서 쓰여지고 있는 그대로의 의미를 먼저 알아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명사로서의 파라클레토스는 동사인 파라클레인으로부터 온 것이다. 파라칼레인은 간청한다는 동사이다. 그 동사의 수동형으로부터 명사 파라클레토스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 명사는 일차적으로 수동적인 의미가 있다. 청함을 받은 사람이라는 뜻을 가졌다. 도움의 필요가 있어서 청탁을 받은 사람이다. 요한네스 베헴(Johannes Behm)은 기원전 4세기로부터 기원후 2세기에 이르는 광범위한 헬라 문학에서 파라클레토스가 사용된 실례들을 들었다. 기원전 4세기의 세속적인 헬라 문학에 나타난 이 말은 도움이 필요해서 불러들여 온 사람을 가리켰다. 법정에 나타나 피고인을 변호해 주거나 역성을 들어주는 사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변호사나 대변인이나 보호자를 뜻하는 말이다. 유대인들의 랍비 문학에 나타난 “??????”의 뜻도 그와 같다.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기는 하였지만 심판대 앞에서 변호해 줄 사람(제물이나 선한 행위 같은 것들도 포함함)을 뜻하였다. 그리고 남을 위해서 하나님 앞에서 간청하는 사람을 가리키기도 하였다. 그런 존재가 대로는 천사도 될 수 있고 또한 예언자들이나 의인들이 될 수도 있다.
 
순수한 헬라인은 아니지만 헬라 문학을 남긴 유대 사람이었던 필로(Philo)는 대변인이나 변호사의 뜻으로 이 말을 사용한다. 그의 경우의 대부분은 능동태적인 뜻으로 이해되고 있다. 법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옹호자나 변호자의 뜻으로 이 말을 쓰고 있다. 라틴어에서 유래한 “advocate”에 해당하는 것이다. “요셉에 관해서” 라는 필로의 글에서 요셉은 자신을 팔아 넘긴 형들을 다시 만났을 때 형들을 용서하며 이야기한다. “변명할 다른 변호인이 필요 없습니다”(메데노스 헤테루 데이세 파라클레투). “형님들이 한 모든 일을 다 잊고 용서합니다.” 악한 정치인 풀라쿠스에 관한 글에서 유대 당한 풀라쿠스의 감형을 위해 중재했던 레피두스를 파라클레토스라 불렀는데 무죄를 변호해 주며 감형을 부탁하는 의미로서의 중재자라는 뜻으로 번역된다. 또다른 곳에서는 종교적인 의미로 하나님 앞에서 죄인의 속죄를 부탁하는 변호사라는 뜻으로 파라클레토스를 사용하였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헬라어에서의 파라클레토스는 수동태적인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능동태적인 의미로도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수동태와 능동태 사이의 의미의 차이가 학자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그리 큰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수동태의 뜻으로도 변호인을 의미하고 능동태의 뜻으로도 변호인을 뜻하기 때문이다. 베헴은 수동태와 능동태의 의미의 차이를 나타나게 구별하지만 그 차이점이 매우 적다는 것을 지적하는 슈나켄버그는 수동태적인 의미를 더 강조한다. 베헴의 구별을 따르고 있는 브라운은 수동태와 함께 능동태적인 의미도 중요하게 여긴다. 능동태의 뜻으로는 남을 위해 간청을 해주는 사람이나 중재자 또는 대변인을 의미한다. 또한 남을 도와주는 사람이나 위로해 주는 사람을 뜻하기도 한다. 파라클레토스는 파라크라레시스와 관련이 있는 낱말이다. 후자를 미루어 볼 때 ‘권면이나 격려를 하여 주는 이’ 라는 뜻도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이 어휘 상으로 볼 때 파라클레토스는 다양한 뜻을 가진 낱말이다. 그리고 그 다양한 의미들이 요한 복음서의 파라클레토스와 어떤 면으로서든지 부합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파라클레토스는 재판을 받고 있는 예수를 변호하는 증인이 되기도 하며 예수와 사별하는 제자들을 위로해 주는 역할도 하며 때로는 제자들을 가르치고 인도하는 이로서의 돕는 자의 역할도 하지만 그 어느 것 하나만으로 통일하여 말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그 다양한 뜻의 어느 하나를 가지고 통일하여 요한이 뜻하고 있는 파라클레토스가 무엇인지를 설명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더욱이나 보혜사라고 하는 낱말 하나로 그 다양한 뜻을 밝히기도 불가능한 것이라고 본다.
 
파라클레토스에 대한 헬라어의 어휘를 알아본다는 것은 요한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어느 정도의 도움은 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한 두 가지의 어려운 문제가 남아 있게 된다. 대체로 어휘가 뜻하고 있는 것은 변호인과 같은 인격적 존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렇다면 요한이 말하고 있는 파라클레토스가 인격적 존재를 뜻한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게 된다. 또한 인격적 존재라면 그는 하늘의 존재인가 아니면 땅 위에 사는 인물로서의 존재인가 하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또다른 하나의 중대한 문제는 요한이 과연 헬라 사람들이 사용하였던 그대로의 단순한 의미로 파라클레토스를 이해하고 있었는지 그렇지 않으면 다른 문화와 종교 사상의 상호간의 영향을 받아 가지고 이 말을 사용하였는지 하는 문제이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파라클레토스라는 용어가 유대교의 랍비들 가운데에서도 알려진 바 있다. 요한 역시 유대교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었는지 하는 것이다. 요한의 주변과 배후에 있는 종교와 문화의 영향을 요한과 요한의 공동체가 받은 일이 있었는지 혹은 없었는지 하는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
 
3. 사상적 배경
 
종교사학파의 경향을 따르는 학자들은 파라클레토스의 단순한 어휘를 밝히는데 그치지 않는다. 그 말의 종교사적인 배경을 연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요한이 이해하고 있는 파라클레토스의 뜻을 올바로 알아낼 수 있다고 본다. 종교사학파들은 요한의 배후에는 다른 종교들의 영향이 있었으리라는 전제 아래에서 여러 가지의 배경 연구를 시도해 본다. 헬라의 영지주의나 유대교의 여러 가지 사상적 영향을 요한이 힘입은 것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알아내고 싶은 중요한 문제는 파라클레토스가 어떤 존재인가 하는 문제이다. 파라클레토스가 단지 영적인 작용을 말하는 것인가 아니면 사람과 하나님 사이를 중재하는 인격적 존재로서의 천사와 같은 신적인 존재를 가리킨 것인가 하는 궁금증을 밝혀 보려는 것이다.
 
(1) 영지주의의 “도와주실 분”
영지주의에 속하는 종교 가운데 만다교가 있다. 만다교의 경전에 불트만이 흥미를 갖게 된 것은 무리가 아니다. 만다교의 성경인 긴자 가운데서 “만다 드하예”(Manda dHaije)는 이렇게 말한다. “내가 가서 있을 곳을 마련하겠다?그리고 나서 곧 너희들에게로 다시 올 것이다”,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라. 나는 반드시 너희들을 찾아올 것이다.”
 
이 말은 요한복음서의 고별 담화문에 있는 말씀과 너무도 같다.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 하나님을 믿고 또 나를 믿으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있을 곳을 마련하러 간다”(요 14:1-3). 고별 담화문에서 요한 복음서의 예수는 파라클레토스를 보내 주시게 될 것을 약속하신다. 만다교의 경전에는 파라클레토스라는 말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렇게 요한과 유사한 대구(對句)가 나타나는 곳에서 요한의 파라클레토스와도 같은 존재가 보냄을 받게 되리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도와주실 분이라는 존재이다. 도와주실 분을 이 땅에 보내어서 근심하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 안정을 주고 가르치며 속량하고 그들을 보호하실 것이라고 한다. 도우실 이가 영지주의 종교의 구세주이다. 긴자 문서에 이렇게 말한다. “나는 와서 모든 사람의 마음을 헤아릴 것이다?” “도우실 이는 영혼을 찾아와서 말씀하실 것이다. ‘그대는 나와 함께 있을 것이다. 그대의 마음 안에 내가 거처를 삼겠노라.’” 도우실 이는 하나만의 존재는 아니지만 구세주의 역할을 담당한다. 만다 드하예(Manda dHaije)는 그 도우실 분의 하나이다. 여러 우드라(Uthra)들도 도우실 분이다. 그 중의 대표적인 존재는 야와르(Yawar), 곧 도우실 분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존재이다. 그들은 하늘의 존재로서 하늘로부터 아래의 세상으로 보냄을 받는 신적인 존재들이다.
 
만다교의 도우실 이의 성격은 여러 가지 면으로 요한의 파라클레토스와 공통되어 보이는 것이 있다. 그런 까닭에 불트만은 요한의 파라클레토스 사상이 만다교와 같은 영지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영지주의의 도우실 분은 요한의 파라클레토스와 같이 위로부터 보내심을 받아 이 세상에 오시고 하늘의 계시를 전달하시며 제자들을 가르치고 권면하며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실을 하도록 일러준다. 그리고 불트만은 만다교와 같은 영지주의적인 종교 사상이 그리스도교가 생기기 이전에 유대인들의 종교 안에 이미 침투해 들어가 있었다고 보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영지주의의 도우실 이로서의 구원자에 대한 사상의 영향을 받아 요한은 파라클레토스를 이해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한 것이었다. 그러한 관점으로 본다면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만다교의 ‘도우실 이’와 같이 하늘에 속한 천사적인 존재였으며 동시에 인격적 존재이었다고 보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불트만의 이론은 많은 비판을 받게 되었고 요한의 파라클레토스가 영지주의의 ‘도우실 이’와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첫째로 불트만이 참고하였던 만다교의 경전은 요한 복음서가 기록된 연대보다도 아주 뒤늦은 사절에 쓰여진 글이었기 때문에 그것으로부터 요한이 영향을 받았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이제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그와 같은 견해를 정설로 시인한다.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만다교의 도우실 이와 요한 복음서의 파라클레토스 사이에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많이 있다는 것이다.
 
차이점들 가운데서 중요한 몇 가지를 열거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1) 만다교의 도우실 이는 하나만의 존재가 아니다. 몇 가지의 다른 이들이 있어서 서로가 서로를 돕는 보조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하나 뿐인 존재이다.
2)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법정에 관계되는 변호인의 뜻을 가졌으나 만다교의 도울 자는 그렇지 않다.
3) 헬라어의 파라클레토스의 우선적인 뜻은 도와주는 이라는 뜻이 아니다.
 
이상과 같은 점들을 참작해 볼 때 파라클레토스를 만다교의 도우실 이와 같은 존재라고 속단할 수가 없다.
 
(2) 구약과 유대교 문헌
구약과 유대교의 문헌 가운데서 더 가까운 유사성이 발견된다. 헬라어의 파라클레토스와 바로 동일한 헬라어를 구약의 칠십인 역(LXX)이나 유대 문헌에서 찾아볼 수는 없지만 파라클레토스에 가까운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i) 욥기
어떤 사본에 의하면 욥기에 파라클레토레스(παρακλ?τορε?) 또는 파라클레토이(παρ?κλητοι)라는 말이 나온다. 별로 도움이 안되는 위로라는 뜻이다(욥 16:2). 엘리바스의 충고에 이어 욥이 말했다. “?자네들이 한다는 위로는 기껏해야 괴로움을 줄 뿐”이다. 이 구절을 토대로 요한이 파라클레토스라는 말을 사용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욥기에는 요한과 비교해 볼 만한 중보자 사상이 있다. 멜릿츠(????)라는 존재이다(욥 33:21-28). 멜릿츠는 죄를 짓고 벌을 받아 앓게 된 사람이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중보자 역의 천사적 존재인 것이다. 이와 같은 추측은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를 천사 중의 하나와 같은 인격적 존재로 해석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가 있다. 그러나 다만 추측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ii) 이사야서
구약 중에서 파라클레토스에 관련 있는 동사가 나타나는 곳은 이사야서이다. 칠십인 역(LXX)의 66장 13절만 하더라도 파라칼레인이란 동사가 세번이나 쓰여지고 있다. 여호와는 이스라엘 백성을 위로하실 것이다(에고 파라칼레쏘 휘마스)라고 한다(LXX 사 66:13). 이사야서 66장은 요한이 즐겨 쓰는 중요한 단어들이 많이 발견되는 곳이다. 주님의 말씀(레마 큐리우, 톤 로곤 아우투우; 66:5), 독싸스데, 포오네(66:6)와 같은 표현들이다. 이런 낱말들이 요한복음서에 있어서는 중요한 용어들이다. 파라클레토스에 대한 말씀이 나타나는 요한복음서의 고별 담화문은 사실 많은 부분에서 구약 성경의 말씀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특히 포도나무의 비유와 같은 것도 좋은 예이다.
 
이사야 66장 5절 이하에는 메시아의 오심에 관한 말씀이 있다. 여호와께서 시온에게 위로의 말씀을 보내신다는 제목이다. “어미가 자식을 위로함같이 내가 너희를 위로할 것인즉 너희가 예루살렘에서 위로를 받으리니 너희가 이를 보고 마음이 기뻐서 너희 뼈가 연한 풀의 무성함 같으리라 여호와의 손은 그 종들에게 나타나겠고 그의 진노는 그 원수에게 더하리라”(66:13-14). 이것은 슬픔을 당하고 있는 이스라엘에게 친히 주께서 찾아오심으로써 그들에게 위로와 기쁨을 주시겠다는 말씀이다.
 
66장 10-12절에 다음과 같은 말씀이 있다. “예루살렘을 사랑하는 자여 다 그와 함께 기뻐하라 다 그와 함께 즐거워하라 그를 위하여 슬퍼하는 자여 다 그의 기쁨을 인하여 그와 함께 기뻐하라 너희가 젖을 빠는 것 같이 그 위로하는 품에서 만족하겠고 젖을 넉넉히 빤 것 같이 그 영광의 풍성함을 인하여 즐거워하리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보라 내가 그에게 평강을 강 같이,그에게 열방의 영광을 넘치는 시내 같이 주리니 너희가 그 젖을 빨 것이며 너희가 옆에 안기며 그 무릎에서 놀 것이라.” 곧 고통을 받고 낙심해 있는 백성에게 기쁨과 평화와 위로를 보내 주시리라는 것이다.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도 슬픔에 잠겨 있게 될 제자들에게 약속하신 위로와 기쁨이 되신다는 것이다.
 
위로의 말씀은 주님의 오심과 직결되어 있다. 위로에 대한 말씀은 이렇게 이어진다. “보라 여호와께서 불에 옹위되어 강림하시리니 그 수레들은 회리 바람 같으리로다 그가 혁혁한 위세로 노를 베푸시며 맹렬한 화염으로 견책하실 것이라”(66:15). 위로는 주님의 강림과 연결된다.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지상의 예수가 떠나가신 다음 기다리는 주님의 오심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초대 교회에 있어서 주님의 오심이란 세상에 이미 오셨던 그 주님이 다시 오실 것으로 풀이되었다. 다른 보혜사를 하나님께서 보내시리라고 말하는 요한은 곧 이어서 예수로 하여금 다시 오겠다고 말씀하시게 한다(14:18). 또한 주님이 오시면 이스라엘에게는 위로를 주시고 기쁨을 주시지만 그들의 원수들에게는 심판을 내리신다(66:16).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도 제자들에게는 기쁨과 위로가 되지만 제자들을 적대시하는 세상에게는 심판을 내리신다. 이처럼 이사야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스라엘에게 내리시는 위로는 요한의 파라클레토스와 전연 무관한 것이 아닌 것처럼 보인다.
 
초대 교회는 이사야서에 말하는 이스라엘의 위로에 대하여 잘 알고 있었던 것이 확실하다. 누가복음의 시메온은 이스라엘의 위로(파라클레시스)를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눅 2:25). 주님이 이 땅에 오시는 날에 경험하게 된 것으로 보았다. 이사야서와 일치한다. 이사야서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위로를 얻게 되는 것은 주님이 오시는 날에 이루어질 것으로 말하고 있다. 사도행전의 성령 강림의 장면도 이사야서에 있는 주님의 강림의 광경과 매우 흡사하다. 폭풍 같은 바람과 불꽃 가운데 나타나신다(행 2:1 이하, 사 66:16).
 
초대 교회 신자들은 주님이 곧 다시 오시리라고 믿고 있었다. 이사야서를 근거로 하여 그날에 메시아는 위안을 주시리라는 것을 이사야의 말씀에 근거하여 확신하고 있었다. 요한 역시 이사야서를 근거하여 메시아의 위로를 기대하던 초대 교회의 전승을 익숙히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주님께서 다시 오시게 되는 날, 곧 파라클레토스가 오시는 그 날에는 지금 수심에 싸여 있는 제자들의 마음이 기쁨으로 변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요 16:22).
 
그렇게 말하는 요한은 이사야서 66장 10-19절에 있는 내용과 같은 것을 마음 속에 생각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아주 높은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것을 참작할 때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천사적인 인격적 존재라기 보다는 메시아의 날에 메시아가 영적으로 가져다주시는 위안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을 것이다. 신약의 다른 곳에서도 파라클레시스가 자주 사용된다. 그렇지만 모든 경우가 다 주님의 강림과 관련된 위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개는 사도들이 증언이나 설교를 통하여 전해 주는 권면이나 격려와 위로를 뜻하는 말이다(살전 3:2, 롬 12:8, 히 13:22).
 
iii) 구약의 고별 담화
파라클레토스는 요한의 고별 담화문 가운데서만 유일하게 나타난다. 요한 복음서 14장으로부터 17장은 고별 담화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고별 담화의 특이한 문학의 유형이 구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요한 복음서의 고별 담화와 구약에 나타나는 고별 담화문 사이에는 내용에 있어서나 문학의 유형에 있어서나 주목할 만한 유사점이 발견된다. 요한이 구약의 형식으로부터 본을 받게 된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
 
먼저 내용에 관한 유사점이다. 구약의 고별 담화 가운데는 세상을 떠나는 선생과 그의 뒤를 잇게 될 후계자의 연속적인 관계를 강조하는 이야기들이 나타난다. 보른캄(Bornkamm)은 특별히 그와 같은 선생과 그 후계자의 관계에 대한 것에 관심을 기울였다. 앞서가는 선구자와 그의 뒤를 따르는 완성자의 관계이다. 할 일을 많이 남겨 두고 세상을 떠나게 되는 지도자와 선생을 볼 때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제자가 있다. 스승의 뒤를 이어 못 다한 일을 완성할 후계자가 있다는 것이다. 모세와 여호수아의 관계가 그렇다. 또 엘리아와 엘리사의 관계도 그러한 것이라고 보았다. 모세는 민족의 위대한 지도자였다. 그가 세상을 떠나게 되었을 때 그를 따르는 백성들의 실망과 낙심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다. 아직도 광복의 날을 실현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때에 모세는 자기의 죽음을 슬퍼하는 백성들에게 마지막 유언을 남긴다(신 32:44 이하). 유언 가운데는 백성들을 위로하는 말이 뒤따른다. 열두 지파의 하나 하나를 위하여 축복하며 위로한다(신 33:1 이하). 위로하는 가운데서 모세는 백성들을 향하여 후계자에 관한 이야기를 남긴다. 모세는 자기와 같은 예언자를 그의 후계자로 하나님께서 세워 주신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후계자는 마침내 가나안을 정복하고 광복의 꿈을 이룬다.
 
열왕기 하서에는 엘리아의 고별에 관한 기사가 있다. 엘리아가 세상을 떠나게 될 무렵 자신의 후계자가 될 엘리사에게 고별의 담화를 남긴다. 담화 가운데서 엘리아는 제자에게 물었다. “내가 무엇을 네게 해주었으면 좋겠느냐?” 그 때 엘리사는 대답한다. “스승님의 능력을 두배나 내게 주시기를 바랍니다.” 엘리사는 스승이 하였던 것과 같은 기적을 행할 수 있기를 바랬던 것이다. 처음에는 실패하였으나 마침내 하나님으로부터 그와 같은 능력을 받게 된다. 보른캄은 요한 복음서의 고별 담화문에서도 유사한 관계를 찾아볼 수 있다고 보았다. 예수와 파라클레토스는 스승과 후계자의 관계이다. 스승으로 오신 예수가 세상을 떠나시게 된다. 그의 뒤를 잇게 되는 후계자는 파라클레토스이다. 예수는 선구자요 파라클레토스는 완성자이다. 예수는 고난을 받고 십자가에 죽임을 당하시나 파라클레토스는 심판주가 되고 승리를 거두는 성취자로서의 선구자의 뒤를 잇게 되는 분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스승과 후계자에 대한 한 구약의 이야기는 요한의 배경 연구로 매우 중요하지만 보른캄의 판단에는 무리가 없지 않다. 첫째 요한의 예수는 선구자로서의 예수가 아니다. 그는 처음부터 그리스도시요 심판주이시며 구세주로 오신 것이다. 파라클레토스도 예수의 일을 완성하실 최종의 재림주는 아닌 것이다. 모세와 여호수아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렇다. 모세는 선구자가 아니다. 모세는 성취 면에 있어서 여호수의 우위에 있다. 엘리아의 경우도 그와 같다. 비교의 초점을 다른 곳으로 돌려야 할 것이다. 스승과 후계자의 관계를 이야기한 것은 옳은 판단이지만 고별 담화의 초점은 언제나 스승에게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후계자는 스승의 영을 이어받았다고 하는 점이다. 모세의 고별 담화의 이야기의 핵심 부분에서 모세는 여호수아에게 안수를 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지혜의 영을 여호수아가 받을 수 있게 하였다(신 34:9). 엘리아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와 같다. 후계자가 될 엘리사는 스승이 가진 영을 얻기를 원했다. 그리고 마침내는 그 영적인 능력을 소유하게 되었다는 것이다(왕하 2:1-15). 요한의 경우도 그런 시각으로 보는 구약의 고별 담화와 비교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고별 담화의 비교는 내용에 못지 않게 그 문학의 유형의 비교가 중요하다. 뮬러(U.B. Mueller)는 구약과 구약 위경에서 그같은 담화의 형식을 수집하여 요한 복음서의 예수의 고별 담화문과 비교하였다. 구약의 정경에 못지 않게 위경에도 많은 고별문들이 있다. 열두 지파 조상들의 유언이나 유빌리서, 에녹1서, 모세의 유언(승천), 그리고 제2 에스드라서에서 조상이나 지도자들의 유언들이 발견된다. 야곱의 마지막 유언이 유빌리서에 기록되어 있다. 아들 요셉에게 남긴 말이다. 야곱은 자녀들을 축복한다. 이집트에서 나그네의 삶을 하고 있는 그의 자녀들에게 위로와 격려의 뜻으로 이집트가 장차 망하게 될 것을 이야기한다. 요셉에게는 특별히 땅을 유산으로 물려주고 야곱은 세상을 떠나 조상들과 함께 묻히게 될 것을 이야기한다. 조상들의 모든 책들은 레위에게 물려주고 대대로 물려줄 것을 당부한다(유빌 45:13-16).
 
에녹은 승천을 앞두고 자녀들에게 올바로 살 것을 당부한다. 현실의 세상에서는 불의한 사람들이 더 잘 살게 되는 것을 보지마는 거기에 유혹되지 말라는 것이다. 마침내 심판을 받고 불의한 사람들이 멸망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에녹 91:4 이하). 세상을 떠나는 모세는 여호수아를 앞에 놓고 유언을 남긴다. 하나님의 나라가 온 천지에 나타나고 사탄의 지배가 종식되며 모든 슬픔이 사라지게 되리라는 위로와 격려의 말을 남긴다. 그리고 여호수아를 위로한다(10-11장). 마지막으로 여호수아에게 계명을 잘 지키라는 부탁을 한다. 에스라가 죽음에 이르렀을 때의 기록이 제4 에스라서(제2 에스드라서)에 나타난다. 에스라는 백성들을 모아 놓고 다음과 같은 내용의 말을 남긴다. 조상들에게 하나님은 계명을 주셨다. 그러나 조상들은 죄를 짓고 유업의 땅에 이르지 못했다. 만일 판단을 바로하여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면 살게 되고 죽은 다음에도 하나님의 긍휼 하심을 입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14장). 에스라는 하나님께 성령을 내려 주실 것을 간구한다. 그리고 불꽃과 같은 색깔의 컵을 받아 마시고 지시대로 몇 명의 동료와 함께 아흔 네 권의 책을 썼다는 것이다(14장).
 
위와 같이 이스라엘의 섬김을 받아 오던 민족의 지도자나 예언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헌들이 정경에 속한 구약 성경 이외에도 위명(僞名)의 형식으로 많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임종에 관한 문헌들을 폭넓게 비교해 본 뮬러는 유대교의 그와 같은 문헌들 가운데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요소들이 요한 복음서의 고별 담화문 가운데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스승이 이제는 세상을 떠나가시게 된다는 것을 예고한다. 불안과 슬픔에 싸여 있는 제자들에게 선생은 위로와 격려의 말을 남긴다. 위안의 근거를 약속한다. 계명을 지키라는 권면이다. 그리고 두려워하지 말하는 당부이다. 그리고 스승이 갖고 있던 성령을 이어받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비교를 통해 볼 때 더 많은 공통점도 찾아볼 수 있다. 창조 때로부터 하나님의 계획하심에 따라 새로운 후계자를 세워 주시리라는 확신이 있다. 그런 시점에서 떠나는 선생은 미래에 일어날 모든 일들을 확실히 알고 제자들에게 계시해 준다. 떠나는 스승은 도덕적 교훈을 남긴다.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라는 것이다. 계명을 지키라는 당부와 아울러 심판에 대한 것을 가르친다. 지금 스승의 죽음을 지켜보는 백성이나 제자들이 세상에서 슬픔을 당하고 있지만 기뻐할 때가 오며 지금 기뻐하는 세상은 죄 때문에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공통점은 떠나는 스승이 가지고 있는 하나님의 영을 후계자에게도 받도록 하여준다고 하는 것이다. 떠나는 선생이 소유하고 있던 것과 같은 영을 하나님께서는 후계자가 될 인물에게도 보내 주시리라는 약속이 고별 담화의 가장 중요한 핵심을 이루고 있다. 그와 같은 점들에 있어서 요한의 고별 담화문은 유대교에 흔히 있는 문학의 유형에 가까운 것이며 유대교의 고별 담화에서와 같이 하나님으로부터 보냄을 받게 될 파라클레토스도 천사와 같은 인격적 존재라기보다는 스승의 영이나 하나님의 영을 말하는 것이다.
 
iv) 쿰란 문서
유대 문헌 가운데서 파라클레토스에 참고가 될 만한 문헌은 쿰란 문서이다. 사해 사본이 발견된 이후로부터 쿰란 문서와 요한 복음서 사이의 공통된 요소에 대한 연구가 많은 관심을 끌어 왔다. 따라서 요한이 쿰란 종파와 같은 유대의 종교와 더 많은 접촉을 가졌고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점차 커지게 되었다. 공통된 점이란 특별히 윤리적인 이원론에 관한 것이다. 쿰란 문서나 요한 문서나 다같이 윤리적인 선과 악을 선한 영?악한 영, 진리의 영?거짓의 영의 두 개의 영으로 표현하며 선악의 대립을 우주론적 차원으로 말하고 있다. 쿰란 문서에는 파라클레토스라는 표현이 전연 나타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쿰란과 요한이 다 함께 가지고 있는 윤리적 이원론에는 진리의 영이 언급되고 있고 요한에 의하면 파라클레토스를 진리의 영이라고 하므로 자연히 쿰란의 사상이 요한의 파라클레토스 사상에 어떤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쿰란의 문서는 진리의 영과 관련하여 천사의 존재를 이야기한다. 빛들의 왕자, 또는 빛의 왕자라는 인격화된 존재이다. 구약의 욥기에서 일찍이 유대교는 하나님과 사람 사이를 중보하는 천사 같은 존재를 믿고 있었다. 그리고 후대의 묵시 문학에 이르러서도 그와 같은 천사의 존재에 대한 사상이 계속 발전해 왔다. 다니엘서에서도 하늘의 일곱 수호신이 있었다는 것과 그 중의 하나가 미가엘이다. 미가엘이 도움을 주려고 세상에 내려왔고(10:13,21, 12:1) 또한 누군가가 하나님으로부터 보냄을 받아 다니엘을 찾아 왔다는 기사가 있다. 쿰란 문서에 있어서도 두 영의 싸움을 미가엘과 빌레알의 천사들의 우주적 싸움인 것으로 인격화해서 말하기도 한다.
 
벳츠(O. Betz)는 요한의 파라클레토스가 쿰란의 미가엘리스 같은 천사에 해당한 것으로 보았다. 요한의 배후에는 쿰란이나 묵시문학의 천사로서의 중보자 신앙이 있었다는 것이다. 파라클레토스도 미가엘리스와 같이 하늘의 천사이며 인격적 존재로서 하늘로부터 보내심을 받아 이 땅에 오실 분이시라는 것이다. 요한의 예수는 이 땅에 오셨다가 높이 들리심을 받고 하늘에 오르신다. 하늘로 오르신 예수는 그 곳에 계시면서 땅에 남아 있는 성도들의 중보자로서의 역할을 하신다. 예수께서 이 땅에 계셨을 때 미가엘은 하늘에 있었다. 예수께서 하늘에 오르시자 하늘의 중보자로서의 역할을 예수에게 양도하고 미가엘은 땅으로 내려와서 성도들을 위하는 땅의 중보자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제자들을 악의 세력으로부터 보호하시고 제자들을 인도하며 하나님의 진리에 대한 증언을 하신다고 보았다. 그렇다고 할지라도 벳츠의 판단으로서는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는 인격적 존재도 되며 하늘에 속하는 비인격적인 힘도 된다. 먼저 오신 파라클레토스 예수는 인격적 존재이고 두 번째의 파라클레토스는 하늘의 권능이시라는 것이다.
 
그밖에도 쿰란과 요한의 사이에는 유사점들이 많이 있다. 그 중의 하나는 “의(義)의 선생”에 관한 것이다. 리이니(Leaney)는 쿰란 문서에서 말하는 의의 선생과 파라클레토스를 비교해 보았다. 의의 선생은 구체적 인물이다. 쿰란 교단의 지도자 한 사람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누구라도 그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구체적인 인물이다. 요한의 파라클레토스와 같이 신자들을 가르치고 지도하고 격려하고 위안한다. 유대교의 선생과 같은 역할이다. 그러면 요한이 말하는 파라클레토스도 인물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점을 너무 지나치게 강조할 수는 없다는 것을 리이니는 시사한다. 참으로 지도와 위안과 중보를 해주시는 이는 그 인물의 배후에 있는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쿰란의 천사적 존재나 의의 선생에 대한 개념에서 요한이 파라클레토스 사상을 받아 온 것이라는 이론에 대해서 반박이 또한 적지 않게 크다. 아무리 유사한 점이 발견된다 하더라도 요한이 직접 쿰란에서 본떠 왔는가 하는 물음에 대해서는 확증할 만한 증거를 제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존스톤의 비교에 따르면 쿰란의 천사적 표현은 인격적 존재로서의 천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적 능력의 힘을 뜻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초대 교회는 그때까지도 유대교에서는 중보하는 천사를 널리 믿고 있었지만 요한은 그런 신앙을 배격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존스톤은 요한이 진리의 영이라고 말하는 파라클레토스가 인격적 존재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적으로 활동하시는 강한 힘이시라고 보았고 존스톤의 판단은 파라클레토스 연구가들의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쿰란에 나타나는 두 가지의 영도 랍비들이 말해 오던 바와 같은 마음 속에 일어나는 선한 충동이나 악한 충동과 같은 것을 뜻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심리학적 이원론이라는 것이다.
 
II. 파라클레토스는 인격적 존재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헬라어의 어휘와 가능한 배경들을 살펴보았다. 어휘와 배경 연구를 거쳐오는 동안에 한 가지의 중요한 문제를 발견하게 되었다. 파라클레토스가 중보자나 법정에서의 변호인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이라는 뜻을 가진 것이라면 그는 하늘에 속하여 있는 천사와 같은 인격적 존재를 말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아니면 영적인 활동을 의미하는 것인가 하는 것이다. 유대교의 배경을 거쳐오는 동안에 두 가지의 경우가 다함께 가능하였던 것을 발견하였다. 이 문제를 바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제 우리는 요한의 본문 전체를 흐르고 있는 맥락에서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배경을 참작하며 요한 복음서 본문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파라클레토스가 언급된 본문은 고별 담화문이다. 이미 알아본 바와 같이 고별 담화문은 유대교 문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문학의 유형이었고 요한의 고별 담화도 그들의 깊은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본다. 요한의 고별 담화문은 요한 복음서의 저자의 표현이라는 것은 거의 모든 학자들이 시인하는 바이다. 그렇지만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본문이 처음부터 하나의 통일된 글로 쓰여진 것이 아니라 몇 단계의 전승들을 모았거나 편집 과정을 거친 것으로 판단하면서 몇 단계의 사상의 발전 과정을 읽어 내는 학자도 있다. 그렇지만 몇 가지의 단계로 나누어져 기록되었다고 하는 확실한 증거가 보편적으로 시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요한의 고별 담화를 하나의 통일된 글로 보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옳을 줄 안다. 고별 담화를 연구한 전문가들의 입장도 그렇다.
 
1. 오실“때”에 관해서
 
파라클레토스가 누구 신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파라클레토스 성령이 언제 임하게 될 것인가를 먼저 알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언제 임하게 될 것인가라고 하는 시간의 문제에 대하여 요한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예수께서 믿는 사람들이 받게 될 성령에 관한 말씀을 하실 때도 요한은 이렇게 설명을 덧붙였다. “예수께서 아직 영광을 받지 못하신 고로 성령이 아직 저희에게 계시지 아니하시더라”(7:39). 예수께서 아직 세상을 떠나시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성령을 받지 않았다는 것이다. 성령이 임하게 될 때란 바로 예수께서 십자가의 죽음을 당하시고 세상을 떠나신 다음이라는 것이다. 요한은 때(헤 호라)에 대하여 여러 차례나 거듭하여 강조한다. 예수께서 영광을 받으시게 될 때를 말한 것이다.
 
고별 담화의 서두에 이것을 분명하게 밝힌다. 예수께서 말씀하시는 “자기의 때”가 이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가야 할 그 때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파라클레토스를 하나님께서 보내시는 것은 바로 그때가 지난 다음이다. 곧 예수께서 세상을 떠나신 다음에 일어날 것이다. 예수께서 세상을 떠나시지 않으면 파라클레토스가 제자들에게 오시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16:7).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성령을 불어 넣어 주신 것도 부활하신 다음이었다(20:22). 성령이신 파라클레토스가 오실 때는 예수께서 부활하신 다음이라는 것이다.
 
이 때와 관련하여 예수는 자신이 다시 오시겠다고 하신다. “내가 너희를 고아와 같이 내버려두지 아니하고 너희에게로 오리라 조금 있으면 세상은 다시 나를 보지 못할 터이로되 너희는 나를 보리니 이는 내가 살았고 너희도 살겠음이라” 라고 하신다(14:18-19). 이것은 예수께서 세상을 떠나신다는 것과 떠나신 다음에 자신이 다시 오신다는 말씀이다. 파라클레토스가 보냄을 받을 때도 그 때이다. 그렇다면 다시 오시는 그 예수와 파라클레토스는 동일한 존재를 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동일한 존재가 아니더라도 최소한 파라클레토스는 다시 오실 그리스도가 임재하여 계시는 동안에 제자들이 체험할 수 있는 존재인 것이다. 다시 오신 그리스도는 살아 계시다(14:19). 그리고 그 날에 제자들 안에 살아 계신다(14:20). 그 날부터 파라클레토스가 임하게 된 것이라면 그 때부터 영원히 파라클레토스는 제자들과 함께 있게 될 것이며(14:16), 그리스도는 또한 제자들 안에 거하시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파라클레토스의 체험은 다시 오신 그리스도와의 공존 가운데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도가 제자들 안에 거하신다는 말씀을 할 때마다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다는 것을 부언 한다.
 
예수께서 세상을 떠나시자 마자 즉시 다시 오신다는 것이 아니다. “조금”이라는 시간이 지난 다음이다(16:18). “조금 있으면”이라는 시간은 숨은 뜻을 가지고 있다. 제자들은 그 뜻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의문을 일으켰다고 한다(16:18). “조금 있으면”이라는 시간에 대한 언급은 파라클레토스의 오심을 암시하는 말도 될 수 있다. 요한의 예수는 그것이 해산의 고통과 같은 것을 가리킨 것이라고 말씀하신다(16:21). 여인은 해산할 때가 되면 얼마 동안 고통을 당한다. 해산의 때가 왔기 때문이다. 해산을 하게 되면 고통이 변하여 기쁨이 되리라는 구약 성경의 비유를 뜻한 것이다. 이사야서에서는 그런 비유가 메시아의 오심을 가리키는 비유로 사용되었다(사 26:17-18). 이스라엘이 임신한 여인처럼 괴로워하고 해산한 여인처럼 몸부림쳤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호와께서 흩어진 백성들을 모아 오시고 그들의 슬픔을 씻어 주실 위로자로 오시는 것이다. 다시 오실 주님은 위로자 곧 파라클레토스가 되신다. 파라클레토스가 오시게 될 때에 관한 증언들은 결국 다시 오시는 예수를 암시한다.
 
2. 예수와 파라클레토스
 
파라클레토스는 예수를 가리켜 말한 것인가? 갑작스러운 물음같이 보인다. 그러나 요한은 오시리라는 파라클레토스를 또 “다른 파라클레토스”라고 불렀다. 마치도 전에 오신 예수를 한 분의 파라클레토스로 여기며 앞으로 오시리라는 파라클레토스를 또다른 하나의 파라클레토스로 말씀하신 것과 같이 말이다.
 
요한이 기록한 고별 담화문 이전의 역사적 예수의 모습과 고별 담화문에 나타나는 파라클레토스의 모습이 너무도 같다. 유사점을 열거한 브라운의 비교에 많은 학자들은 동감한다. 그가 지적한 유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파라클레토스는 하나님으로부터 보냄을 받아 오신다. 예수도 그러하였다. 예수의 이름으로 파라클레토스는 오실 것이다. 예수도 아버지의 이름으로 오셨다(5:43). 파라클레토스는 진리의 영이시다(14:6). 예수도 진리이시다. 파라클레토스는 성령 곧 거룩하신 영이시다. 예수도 하나님의 거룩하신 분이시다(6:69). 제자들은 파라클레토스를 알아볼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 그와 같이 그들은 예수를 알아볼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14:7,9). 파라클레토스는 제자들 안에 머물러 있게 될 것이다. 예수도 그들 안에 머물러 있다(14:20,23, 15:4,5, 17:23). 파라클레토스는 제자들을 가르친다. 예수도 그렇다. 파라클레토스는 예수에 대한 증언을 한다. 예수도 자신에 대한 증언을 하신다. 파라클레토스는 미래에 일어날 일을 이야기한다. 예수도 그렇다(4:25-26). 파라클레토스의 모든 역할들이 예수의 영광을 드러낸다. 예수의 모든 일들도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세상이 대하는 태도도 같다. 세상을 파라클레토스를 받아들이지도 않고 알지도 못하며 인정하지도 않는다. 예수에 대해서도 그렇다.
 
이상과 같은 유사점들을 열거하면서 브라운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요한이 말하는 또다른 파라클레토스는 또다른 예수이다(“another Paraclete is another Jesus”) 세상을 떠나 부재 중이신 예수가 임재하시는 것이 파라클레토스이다(“the Paraclete is the presence of Jesus when Jesus is about”). 전에 오신 예수는 첫 번째의 파라클레토스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예수가 떠나신 다음에 오시리라는 다른 파라클레토스는 다시 오실 예수이시라는 것이다. 먼저 오신 예수와 다시 오실 파라클레토스의 비교를 통해서 확실하게 드러나는 것이 있다. 곧 육신의 예수와 파라클레토스 사이에 근본적인 연속성이 있다는 것이다. 성령은 역사적 예수와 분리할 수 없다. 초대 교회 신자들이 체험하는 성령 체험은 땅 위에 생존해 계시던 그 예수의 성령과 연속된 것이라야만 하며, 또 그분의 임재를 현재적으로 체험하는 것이라야 한다는 것이다. 만일에 그가 인격적 존재이시라면 제자들의 마음 속에 살아 계신 예수로서의 인격적 존재이시다.
 
3. 인격적 존재로서의 하늘의 중보자가 아닌 하나님의 영
 
파라클레토스가 육신의 예수의 뒤를 이어 오시는 분이시라는 것과 그리고 그분은 다시 오시는 주님이시라는 것을 특별한 요한은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면 다시 오시는 주님으로서의 파라클레토스는 인격적 존재를 말하는 것일까? 다시 오실 그리스도와 파라클레토스의 체험에 관해서 요한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 날에는 내가 아버지 안에 너희가 내 안에 내가 너희 안에 있는 것을 너희가 알리라”(14:20). 곧 제자들의 마음 속에 거주하시게 될 그리스도시라면 그분은 영으로 계시는 분이시다. 또한 그와 같은 체험은 그리스도와 하나님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예수는 하나님 안에 계시며 또 하나님은 예수 안에 계시다는 것이다. 예수 안에 계시는 하나님은 하나님의 영이시다. 여기에서 요한의 의도가 드러나 보인다. 곧 크리스천들이 체험해야 하는 성령의 체험은 영적 체험이다. 그리고 영적으로 체험하는 영적 체험은 그리스도와 함께 하는 체험이라야 한다. 성령은 그리스도를 근거로 해서 체험하는 체험이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영을 받으신 분이시다. 그러므로 크리스천들이 그리스도에게 근거를 둔다는 것은 그리스도가 받으신 하나님의 영을 계승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파라클레토스는 인격적 존재라기보다 영이시다. 다만 영을 인격화하였을 따름이다.
 
그러나 초대 교회 신자들 가운데는 영을 인격화할 뿐만 아니라 영을 구체적인 인물로 대치하기도 하고, 또는 하늘에 있는 천사와 같은 인격적 존재로 믿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적어도 요한의 교회 시대에는 그런 사람들이 교회 안에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었던 것 같이 보인다. 따라서 그런 사람들은 자신들이 마치도 특별한 계시라도 받았거나 영계의 인물과도 접촉한 것처럼 행하기도 하고 성령의 특별한 능력을 소유한 듯이 말하며 사람들을 유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와 같이 개인적으로 영적 능력을 내세우는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말씀이나 인격을 통하지 않고 직접 영계의 성령 체험을 내세웠던 모양이다. 그런 까닭에 요한 일서의 저자는 다음과 같은 경고를 한 것이라고 본다. “하나님의 영은 이것으로 알지니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오리라 한 말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이제 벌써 세상에 있느니라”(요일 4:2-3).
 
우리가 요한의 성령을 인격적 존재로만 해석하게 되는 또하나의 원인은 삼위일체 교리의 영향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기독교는 삼위일체의 교리를 통해서 성부 성자 성령 사이의 인격적 구별을 지나치게 강조해 왔다. 삼위의 구별에 있어서나 동질성을 주장할 때에 있어서도 인격적 존재로서의 구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와 같은 결과로 우리는 요한의 보혜사 성령을 인격적 존재로 해석하게 되며 따라서 예수와 독립된 존재로만 보게 되는 경향을 갖게 된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교리는 후대의 산물이다. 요한 복음서가 기록된 것은 교리보다도 아주 이른 시절이었다는 것을 생각해서 우리는 요한의 본래의 심정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요한에게 있어서 파라클레토스, 곧 성령은 예수를 떠나서는 있을 수 없다. 그 성령은 본질상 예수의 행하심과 가르치심과 그리고 그가 물려주시는 영을 이어받아야 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파라클레토스를 곧 하나님께서 예수의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이라고 말한 것이다(14:26).
 
III. 예수의 가르치심과 파라클레토스
 
위에서 우리는 요한의 파라클레토스가 인격적 존재라기보다 성령이시라는 것을 지적하였다. 성령이신 보혜사는 다시 오실 그리스도와 같으시다. 다시 오실 그리스도는 이미 오신 그리스도와 동일하신 그리스도시다. 그분도 보혜사와 같으신 분이시기 때문이다. 다시 오실 그리스도와 함께 한다는 체험은 영적인 체험이다. 영적인 체험, 곧 성령의 체험은 열광적 체험이 아니다. 이미 오신 그리스도의 가르치심과 그의 생애를 통해 나타난 그의 영을 체험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배후에는 하나님의 영이 계시다. 파라클레토스는 그 하나님의 영을 그리스도를 통해서 신자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주신다. 파라클레토스가 영적인 활동이시라는 것은 요한의 고별 담화문에서 더 분명해진다. 요한은 파라클레토스를 진리의 영이라고 부르고 있다. “진리의 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또한 파라클레토스를 그렇게 부르는 의도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1. 진리의 영
더욱 더 빈번하게 요한은 파라클레토스를 진리의 영이라고 부른다. “그는 진리의 영이시다”(14:15).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부터 오시는 진리의 영이 오시면 그가 나를(예수 자신을) 증거 하실 것이다”(15:26). “보혜사 곧 진리의 영이 오시면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실 것이다”(16:13). 이렇게 여러 차례에 걸쳐서 반복하여 가면서 파라클레토스가 진리의 영이시라는 것을 요한은 예수로 하여금 말씀하시게 한다. 이것은 아마도 요한이 강조하고 싶어하는 그의 의도를 예수의 말씀을 통하여 더욱 분명하게 표현한 것이라고 본다.
 
요한의 의지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전에 우리가 먼저 물어야 할 문제가 하나 있다. 곧 진리의 영이 단지 영적인 성격을 가리킨 것인지 혹은 그렇지 않으면 인격적 존재를 가리킨 것인지 하는 문제이다. 진리의 영은 사해 사본(쿰란 문서)에서도 발견되는 명칭이다. 학자들 중에는 그것이 쿰란 문서에서 인격화된 존재로 불려지는 빛의 왕자나 하늘에 속한 천사와 같이 인격적 존재로 풀이되는 경우가 있다는 의견을 가진 이들이 있다. 그러나 영 개념에 있어서 쿰란과 요한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요한에게는 쿰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천사론은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요한이 말하는 진리의 영을 천사론과 결부시켜 인격화해 버린다는 것은 부당한 일이다. 오히려 존슨의 견해와 같이 요한은 당시의 그같은 유대의 풍조를 따라서 천사의 중보 역할을 믿고 있는 사람들을 공박하기 위해서 진리의 영이라는 명칭을 택한 것이라고 볼 수가 있다. 진리의 영은 영이다. 진리는 영이기 때문이다. 요한 일서는 이 점에 있어서 요한 복음서와 의견을 같이한다. 요한 일서는 열은 곧 진리라고 하는 것과 같이 요한 복음서는 영과 진리를 같은 위치에 두고 말한다. 요한 복음서에 의하면 참된 예배를 드리는 사람들이 “영과 진리로” 예배드릴 때가 온다고 하고(4:23), 하나님을 나타내 보이시는 그리스도를 진리라고 부르며(14:6), 또 “하나님은 영이시라”고도 함으로써(4:24) 진리는 영과의 긴밀한 관계를 잘 드러내 보이고 있다.
 
요한에게 있어서 진리는 도덕적 의미를 갖는다. 진리라는 말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요한은 다분히 후기의 유대적인 사고를 따르고 있다. 유대교에 있어서 진리라고 하는 것은 하나님의 계명을 따라 행하는 것과 같은 충성스러운 행위를 의미한다. 그러나 후기의 유대교에 있어서도 도덕적인 의미는 여전하지만 그것도 한 걸음 더 나아가서 하나님의 경륜에 대한 계시와 신비를 동시에 의미한다. 후기 유대교의 사상이란 지혜 문학이나 묵시 문학, 그리고 쿰란 문서에 나타난 사상을 가리킨다. 요한은 그와 같은 후기의 유대 사상에 더 지배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요한의 진리 개념은 헬라적인 이해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헬라 사람들에 있어서 진리는 실체에 관한 객관적인 지식을 의미한다. 불트만이나 다드와 같은 더러의 학자들은 헬라적인 배경을 더 강조하면서 요한의 진리 개념을 풀이하지만 포터리(Potterie)는 의견을 달리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요한은 후기 유대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후기 유대교에서와 같이 요한에게 있어서 진리란 도덕적 의미를 가진 것이다. 도덕의 결과가 심판의 날에 드러나게 된다. 진리는 그와 같은 심판에 관한 계시도 동시에 의미한다. 도덕적 진리의 말씀과 미래 심판에 관한 하나님의 계시를 동시에 의미한다는 것이다.
 
“진리의 영”도 역시 도덕적 의미를 나타낸다. 요한복음을 제외한 신약 성경의 다른 곳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이 표현은 후기 유대교 문헌의 하나인 쿰란 문서의 애용어(愛用語)가 되다시피 하고 있는 표현이다. 요한과 함께 쿰란 문서에서도 이 말을 잘 사용한다. 공통적으로 잘 사용할 뿐만 아니라 진리와 진리의 영은 때때로 ‘행한다는 의미의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윤리적인 행위나 실천 면에 더 가까운 의미를 나타낸다. 행하다, 실천하다(포이에인)이라는 동사와 함께 요한은 진리를 행하는 사람(3:21)이라는 말을 하고 있는데 그때의 진리를 행하는 사람이란 악을 행하는 사람의 반대의 사람을 가리킨다. 같은 경우를 요한일 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요일 1:6). 또한 “인도한다”(오데게세이)와 같은 윤리적인 의미를 암시하는 동사와 함께 진리라는 말을 요한은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요한은 “보헤사 곧 진리의 영이 오시면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실 것이다”라고 한다(16:13).
 
2. 예수의 말씀과 행하심
진리는 예수이다. 그리고 진리의 영은 예수의 생애와 가르치심을 통해 나타내 보이신 예수의 영이시다. 예수를 말미암지 않고서는 참된 의미의 영성 체험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보혜사 성령 곧 진리의 영은 “가르치심”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요한의 예수는 말씀하신다.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시리라”(14:26). 곧 성령을 의미하는 보혜사의 역할은 예수께서 가르쳐 주신 말씀을 다시 기억하게 하여 주신다는 것이다. 보혜사 곧 진리의 영은 그리스도에 대하여 증언해 주실 것이다(15:26). 고별 담화에 뒤이어서 예수의 마지막 기도가 있다. 기도문 가운데서 예수는 이렇게 말씀하신다. “나는 아버지께서 내게 주신 말씀들을 저희에게 주었사오며 저희는 이것을 받고 내가 아버지께로부터 나온 줄을 참으로 아오며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줄도 믿었사옵나이다”(17:8). 보혜사 성령을 보내 주시리라는 약속 끝에 하신 말씀이다. 요한은 여기에서 초대 교회가 체험하는 성령 체험이 그리스도의 가르치심을 근거하지 않고서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을 힘주어 말한 것이라고 본다.
 
진리는 말씀이다. 진리의 영을 따르는 것은 말씀에 근거를 두는 생활을 의미한다. 궁극적으로 성령은 하나님의 영이시고 하나님께로부터 보냄을 받는 것이지만 그리스도의 말씀과 행하심을 통해서 나타나신 것이다. 그리스도의 말씀은 다만 그가 가르치신 말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의 행하심과 그의 모든 생애를 다 포함한 것이다. 곧 그리스도의 존재 자체가 말씀이신 것이다. 진리는 말씀하신다는 동사(레게인, 릴레인)와 함께 자주 사용된다. 예수의 말씀이 진리이기 때문이다. 보혜사를 언급하실 때 예수는 진리를 말씀하신다고 한다(16:7). 예수께서는 하나님께로부터 들은 진리를 사람들에게 말씀하신다(8:40,46). 기도문 가운데서도 예수는 말씀하신다. “아버지의 진리로 그들을 거룩하게 해주옵소서. 아버지의 말씀은 진리이옵니다.” 이렇게 요한은 말씀에다 중점을 두며 성령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리스도가 곧 진리라는 말씀에는 그의 윤리적인 가르치심에 많은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말씀의 뒤를 이어 요한의 예수는 이렇게 말씀하신다. “너희가 나를 알았다면 내 아버지도 알았을 것이다. 이제는 너희가 내 아버지를 알았고 또 보았다.” “?내가 행하는 그 일을 보고 믿으라. 내가 진정으로 진정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를 믿는 사람은 내가 행하는 일을 그도 행할 것이요 이보다 더 큰 일도 행할 것이다”(14:7-12). 크리스천에게 있어서 진리를 말할 때 행함이 있어야 하며 행함의 근거는 하나님과 그리스도와의 합일의 체험에다 두어야 한다. 곧 그리스도를 통하여 나타내 보여주신 일들을 실천하며 또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것과 같은 윤리적인 실천을 통한 하나님과의 합일의 체험이 곧 성령 체험이다. 진리의 영이 오실 때 합일의 체험을 하게 된다는 말씀이 따른다(14:20). 그리고 난 다음에는 반드시 그리스도의 계명을 받아 행하는 사람이 되라는 것과 그리스도의 말씀을 지키라는 윤리적 실천에 관한 교훈을 첨부하신다(14:21,23). 이것은 요한의 특징이다. 요한은 보혜사 성령의 체험에 있어서 열광적인 도취나 어떤 신비적인 환상의 체험보다도 윤리적인 실천을 강조한다.
 
IV. 박해 시대의 공동체와 파라클레토스
 
¤ 위에서 우리는 요한의 성령관의 어떤 특이한 점을 보게 되었다. 초대 교회의 성령 이해와는 무엇인가 색다른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초대 교회에서 강조하던 것과 같은 뜨거운 체험이나 기적의 능력은 강조하지 않는다. 영적이고 윤리적인 삶의 실천을 강조한다. 그리스도의 말씀과 윤리적인 계명을 따르는 생활을 권장하는 분위기로 바뀌어 가고 있다. 교우들 사이의 사랑과, 그리스도와의 영적인 연합이 보혜사 성령 체험의 핵심적인 부분이 된다. 요한의 특수한 사정은 무엇이었을까? 요한의 공동체가 처해 있던 상황은 어떤 것이었을까? 그들의 역사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요한이 말하는 파라클레토스의 성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위기와 박해
고별 담화문에는 위기의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담화문에서 너희라고 불리는 제자들은 세상으로부터 미움을 받고 박해를 당하게 된다고 한다. “세상이 너희를 미워하거든 세상이 너희보다 먼저 나를 미워했다는 것을 알라” ?“사람들이 나를 박해했으면 너희를 또한 박해할 것이요”?“그들은 내 이름 때문에 이런 모든 일을 너희에게 행할 것이다. 그것은 그들이 나를 보내신 이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15:18-21).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이름은 너희로 실족치 않게 하려 함이니 사람들이 너희를 출회할 뿐 아니라 때가 이르면 무릇 너희를 죽이는 자가 생각하기를 이것이 하나님을 섬기는 예라 하리라”(16:1-2). 시련의 정도가 아니다. 죽임을 당하며 생명을 잃게 되는 험악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이 반드시 고별 시대의 상황이라고는 할 수 없다. 후대의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아마도 요한 복음서의 저자의 시대보다도 더 나중의 시대로 보는 학자들이 많이 있다. 곧 고별 담화의 일부를 남겨 놓은 요한의 뒤를 이어 이 부분을 첨가한 편집자의 시대로 보는 것이다. 반드시 편집자의 추가설을 비판 없이 따를 수는 없다. 고별 담화의 처음 부분부터 파라클레토스에 관한 말씀이 일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크거나 작거나 위기를 당하면서 어려움에 빠지게 된 제자들에 관한 말씀이 처음부터 일관되어 있다.
 
요한복음서의 마지막 단계가 기록된 시대가 기원 70년이 지난 다음이라는 것은 더 말할 여지가 없고 다른 복음서들이 기록된 시기보다도 아주 늦은 시대로서 예수의 목격자의 역할을 하던 제자들이 사라져 가던 때였으리라는 데 많은 의견들이 모아진다. 크리스천들은 유대인들의 회당에서 추방되어 유대인들과 대립이 되고 또한 낯선 이방 세계의 우상 숭배와도 맞서게 됨으로써 법정에 끌려가 재판을 받게 되고 죽임을 당하는 위험에 빠지게 된 상황에 처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법정에서 재판을 받게 될 때에 재판 받는 크리스천들을 변호해 주는 이가 있어야 한다. 이미 공관복음의 전승 가운데는 성령이 변호하는 증인이 되어 주신다는 것이다. 크리스천들이 총독들과 왕들 앞에 끌려가서 재판에 넘김을 받게 되리라는 것이다. 그때에 무슨 말을 할까 걱정하지 말라는 것이다. 말하여 주시는 이가 그들 안에 계시다는 것이다. 그들 안에서 말하여 주시는 이는 “하나님의 영” 곧 성령이시라는 것이다. 성령을 파라클레토스라고 표현한 것은 공관복음서 전승의 성령과 잘 부합된다. 그 말이 법정에 해당하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피고인을 도와주는 사람으로서 변호인을 의미한다. 피고인의 증언을 돕는 것이다.
 
공관복음의 전승을 참작하면 성령이 그와 같은 역할을 한다. 성령은 법정에 선 신도들의 마음 속에서 역사 하는 영이시다. 영적인 활동이시다. 인물로 나타나는 인격적 존재가 아니다.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도 이 경우에 있어서 진리의 영이시라고 한다. 물론 법정에서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증인은 구체적인 인물, 제자들이다. 그들이 주님에 대한 실제의 목격자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증인은 하나님으로부터 보냄을 받은 진리의 영이시라고 요한은 말한다. 파라클레토스를 가리킨 것이다. 파라클레토스는 영이시다. 법정에 선 신도들의 마음 속에서 지혜를 주시는 영적인 활동이시다.
 
파라클레토스는 이와 같은 박해와 위기 극복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이다. 이런 상황을 참작함으로써 파라클레토스의 의미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박해 상황은 묵시 문학과 쿰란과 같은 후기 유대교의 종말 사상을 불러일으킨다. 그들의 종말 사상에 따르면 세상은 악한 세력의 지배 아래 있고 선한 성도들은 그들에게 핍박을 받는다. 그리고 불의한 세상의 세력이 현세에서는 더 강하다는 것이다. 요한의 크리스천들도 같은 경우에 처해 있다. 대단히 무서운 세상의 힘의 위협 아래서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같이 무서운 탄압의 힘 아래서 사람은 올바른 길을 선택할 용기를 갖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다.
 
후기 유대교의 묵시 문학 사상의 중점이 여기에 있다. 많은 사람들은 불의의 길을 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후기 묵시 사상은 전리의 영이 성도들의 마음을 바로 인도해 주어서 의로운 길을 택할 수 있는 용기를 갖게 하여 주는 것이라고 믿는다. 참 예언자의 정신을 택하게 되는 것이다. 위기가 닥쳐왔을 때는 거짓 예언자들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거짓 영을 따른 사람들은 거짓 예언자들을 따르게 되며 참된 길을 배반하게 된다. 박해에 직면한 크리스천들의 입장도 이와 다를 바가 없다. 공포에 못 이기고 힘의 세력에 끌려가게 되며 거짓 예언자를 따라서 믿음의 길을 배신하게 되는 것이다. 파라클로토스는 그같은 기로에 서 있는 신자들의 마음을 올바르게 이끄는 영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파라클레토스는 신도들을 바르게 인도하는 “진리의 영”이시다. “보혜사 곧 진리의 영이 오시면?앞으로 올 일을 너희에게 알려 주실 것”이라고 한다(16:13).
 
순교의 위험도 있었다. 박해에 관한 고별 담화문 가운데는 제자들이 최악의 경우에 순교를 당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누구의 도움이 없이는 그럴 때에 신앙을 지키기 어려운 것이다. 그리스도를 증언하지 못하고 믿음을 버리게도 된다. 그럴 때에 굳게 설 수 있는 용기를 가질 수 있게 하는 도움이 필요하다. 파라클레토스가 바로 그런 일을 하여 주신다. 순교의 죽음을 보여 주신 그리스도 자신이 그 파라클레토스의 역할을 하시는 것이다. 그가 죽음을 받아들이며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 보이신 것을 본을 삼아 크리스천들은 마음으로 분발할 수 있게 하시는 정신적인 본보기가 되신 것이다.
 
2. 주님의 강림
초대 교회는 주님의 재림을 기다렸다. 요한 복음서도 다름이 없다. 초대 교회의 전승을 따라 주님은 다시 오실 것이라는 믿음을 받아들이고 있다. 초대 교회의 전승에 따르면 예수가 주님이시다. 주님은 인자의 모습으로 강림하신다. 오셔서 심판하신다. 불의한 사람들을 벌하시고 성도들을 자기와 함께 있게 하신다. 그 날이 종말의 날이다. 그리고 그 종말의 날은 멀지 않은 미래에 오리라고 믿었다. 요한이 그런 미래의 종말 사상을 버리지는 않았으리라고 본다. 그러나 요한이 복음서를 완성하였을 때까지도 그 종말의 날은 아직 오지 않았던 것만은 확실한 사실이다. 아직도 요한에게는 재림이 미래의 가능성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머지 않아 다시 오시리라는 주님의 강림이 이렇게 지연된 것이 요한의 공동체에 있어서는 난처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었으리라는 것이 브라운의 추측이다.
 
재림의 지연이 가져다주는 문제에 대해서 전승의 자료에 근거를 가지고 브라운은 그 때의 역사를 재 구상해 보았다. 기원 70년이 지나간 다음까지도 주님은 오시지 않았다. 하나님의 심판이 나타나서 예루살렘은 멸망하였지만 주님은 오시지 않았다. 분명히 주님이 오실 때는 제자들 가운데 더러는 살아남아 있으리라고 말씀하셨는데(막 13:30, 마 10:23) 그리고 요한 공동체에 있어서 최소한 예수님이 사랑하시던 그 제자가 죽기 전에 오시리라고 믿었는데(21:23) 주님은 오시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제 그 제자마저도 머지 않아 세상을 떠나던지 혹은 그렇지 않으면 이미 떠나 버렸던지 하였으리라는 것이다. 주님에게는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 같다는 말을 하면서 교회의 일각에서는 재림이 지연되는 까닭을 그런 대로 적당하게 설명하기도 하였지만 요한의 공동체는 더 만족스러운 해석을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요한 복음서를 쓰신 분은 미래의 재림을 포기하지는 않으면서 이미 재림의 사건이 파라클레토스의 오심으로 실현되고 있다는 설명을 하였다는 것이다.
 
재림의 때에 있게 될 심판이나 인자의 나타나심이나 또한 영원한 생명을 누리는 일들이 예수와 함께 그의 생존 시에 나타나셨을 뿐만 아니라 파라클레토스 안에 나타나 계시며 그를 통하여 이미 활동하고 계신 것이라고 말하였다는 것이다. 크리스천들이 하늘만 바라보며 다시 오실 인자를 기다릴 것이 아니다. 요한의 해석에 따르면 파라클레토스의 오심을 통하여 예수는 모든 신자들의 마음 속에 현존해 계신 것이라는 것이 브라운의 판단이다.
 
고별 담화문을 살펴볼 때 브라운의 판단은 옳은 판단이다. 제자들을 남겨 놓고 떠나시는 예수의 떠나심이 제자들에 있어서는 심각한 문제이다. 그들의 마음 속에 슬픔이 가득했다고 한다(16:5-6). 그 때의 예수는 제자들을 위로하시며 말씀하신다. “내가 너희에게 실상을 말하노니 내가 떠나가는 것이 너희에게 유익이라 내가 떠나가지 아니하면 보혜사가 너희에게로 오시지 아니할 것이요 가면 내가 그를 너희에게로 보내리니”(16:7). 부재 중의 예수는 곧 보혜사의 오심으로 대치가 된다. 보혜사의 오심으로 곧 예수의 부재의 문제는 해소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바로 그 무렵에 제자들은 예수를 다시 보게 될 것이라는 말씀을 첨부하신다(16:16). 예수를 다시 보게 되는 때는 이별의 때로부터 먼 훗날이 아니다. “조금 있으면”이라는 짧은 시간이 지난 다음이다. 곧 사흘만에 부활하신 부활의 주님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 때의 보혜사 곧 진리의 영이 오신다는 것이다. 곧 보혜사가 오시면 예수의 부재로 말미암아 슬픔에 쌓여 있던 제자들의 슬픔이 기쁨으로 변할 것이라고 하신다. 곧 부재 중의 예수가 보혜사의 오심으로 임재 중의 예수가 되신다는 뜻이다.
 
결국 요한에 의하면 주임의 오심과 파라클레토스의 오심은 동일한 때가 된다. 요한복음서 기록 당시의 시점에서 볼 때 이미 과거가 되어 버린 현재이다. 곧 오시리라고 약속하신 주님은 파라클레토스 성령을 통하여 이미 제자들 마음 가운데 들어와 계신다. 파라클레토스는 요한 식(式)의 파루시아(來臨)이다. 파루시아의 주님은 부활의 주님이시다. 파라클레토스는 동시에 요한의 오순절인 것이다. 주님의 재림은 요한의 방식의 오순절로 앞당겨진 것이다. 보혜사 성령 곧 진리의 영이 오시면 이미 주님은 제자들의 마음 속에 임재해 계시게 되며 제자들은 동시에 예수 안에 거하게 되고 하나님은 또한 예수 안에 거하신다는 것이다.
 
파라클레토스가 오실 때 심판은 이미 현재의 사건이 된다. 심판이란 주님이 재림하실 때 일어나리라고 기대되었던 사건이다. 다시 말하면 재림의 때에 일어날 일들이 이미 과거에 이 땅에 오신 예수를 통해서 이루어졌거나 현재의 사건이라는 것을 파라클레토스가 깨닫게 하여 주시리라는 것이다. 보혜사(파라클레토스)가 오시면 “세상 사람들이 죄에 대하여, 의에 대하여, 심판에 대하여 잘못 생각하고 있음을 깨우쳐 주실 것”(16:8)이라고 한다. 죄는 과거의 죄를 가리킨다. 세상이 예수를 믿지 않았다고 하는 예수 당시의 일들을 말한다. 의에 대해서라는 것은 예수가 하나님의 의를 위하여 목숨을 바치셨다는 과거의 사건을 가리킨다. 심판도 역시 세상 통치자가 이미 심판을 받은 완료된 사건으로 보고 있다(16:9-11). 파라클레토스를 통하여 신자들은 재림하시는 주님을 현재적으로 체험한 셈이 되는 것이다. 요한에게 있어서 성령 체험은 곧 그리스도의 현존하심을 체험하는 것이다. 파라클레토스 성령이 약속해 주는 것은 과거에 오셨던 그리스도와 앞으로 오실 그리스도를 동시에 만나게 되는 일이다. 기억을 통하여 과거의 그리스도와 그의 가르치심을 되새기며 아울러 미래에 오시는 재림의 주님의 심판도 이미 이루어진 현실로 신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보혜사가 하는 일은 신자들이 생활 속에서 다시 오시는 그리스도를 만나게도 되며 이미 세상에 오셨다 떠나가신 육신의 예수와도 기억이나 증언을 통해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험은 영적인 체험이다. 영적인 체험을 말하는 것이지, 결코 육체적인 경험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재림하시는 주님을 만나는 일도 영적인 체험이다. 또한 과거의 주님을 만나게 되는 것도 영적으로 체험하는 체험이다. 다른 보혜사가 올 때 “세상은 그를 볼 수도 없고 알 수도 없기 때문에 그를 맞아들일 수가 없지”마는, 신자들은 “그를 알고” 있는 까닭에 그가 신자들과 “함께 계시고” 또 “그들이 그 안에 있게 될 것”이라고 요한은 말한다(14:17). 이것은 영적인 만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가 너희와 함께 계시고 또 너희가 그 안에 있는 것”이라고 한다.
 
요한복음서가 기록될 당시의 요한 공동체의 특수한 상황을 알아보지 않고서는 이와 같은 재림의 현재적이고도 영적인 체험을 쉽게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요한이 이 글을 기록하였을 무렵에는 예수를 목격했던 사도들은 하나 둘 세상을 떠나게 되었으며 살아 있는 증인들이 끊어지게 되었고 마지막 목격자의 구실을 하여 오던 요한 공동체의 지도자마저도 죽음을 당했거나 죽음이 임박했던 때였으리라는 것이다. 그때의 요한 공동체의 신자들이 당면하게 된 문제는 예수와의 단절이다. 더이상 실제의 예수를 증언해 주는, 살아 있는 증인들의 음성을 들을 수 없게 되면서 역사적인 예수와의 거리가 멀어져 가게 되었으리라는 것이 그 당시의 특수한 상황이다. 박해와 위기에 처해 있던 신자들에게 용기와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하는 것이 새로운 문제가 된다.
 
파라클레토스의 역할은 바로 그런 것이다. 법정에 나선 그들을 변호해 주며 희망과 용기를 주는 것이 보혜사가 하는 일이다. 죽음의 위험 앞에서 승리를 거두신 그리스도만이 그들에게는 유일한 힘이 되신다. 보혜사 곧 파라클레토스는 이미 사도들을 통하여 그와 같은 그리스도를 증언하셨다. 사도들이 떠나감으로써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이 더욱 더 절실해졌을 것이다. 때로는 사도들을 계승한 교회의 지도자들을 통해서 또는 신자들의 마음 속에 보혜사 성령은 예수와의 만남을 되찾아 주신다. 요한 공동체의 존재 의식은 바로 그리스도 신앙에 바탕을 두는 성령의 역사에 둔 것이다. 요한은 누구보다도 이것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었다는 것이다. 슈낙켄버그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은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 요한에게 있어서 성령은 그 어떤 열정적인 체험보다도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되찾는 일에 힘을 기울였으며 진리의 영으로써 신자들의 마음 속으로 다가오며 영적 체험과 형제 사랑을 높이는 방향으로 성령은 신자들의 마음을 이끌어 간 것이라고 보았다. 요한의 성령은 믿는 성도들의 마음 속에서 활동하시는 영적인 활동이시며 영적인 활동은 신자들의 마음 속에서의 그리스도의 현존하심을 체험케 하고 항상 그리스도의 가르치심을 일깨워 주시는 것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것이 요한의 파라클레토스로서의 성령의 특징적인 점이다.
 
V. 맺는 말
 
파라클레토스에 대한 다각도의 관찰을 통해서 요한의 독특한 성령 이해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요한은 성령에 관해서 새로운 해석을 보이고 있다. 신약 성경 가운데서 유일하게 요한 만이 파라클레토스라는 이름으로 성령을 말한다. 초대 교회의 널리 알려진 성령관과 비교해 볼 때 새로운 면을 보이고 있다. 초대 교회의 성령 이해를 수정하면서 새로운 해석을 요한은 제공한 셈이다. 요한 복음서가 기록된 시절은 초대 교회가 창립된 이후로부터 많은 세월이 흘러간 다음이었다. 그 동안에 교회는 선교를 위하여 보다 넓고 새로운 세계로 진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초대 교회의 성령 체험의 상태에 있어서도 그 새로운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였을 것이다. 또한 요한의 교회가 그 새로운 세계에서 인정을 받고 용납되기에 충분하도록 요한은 건전한 성령관을 정립한 것이다. 성령 운동은 건전하고도 확실한 바탕 위에서야 한다는 것이 요한의 의견이다. 성령의 근거는 성경과 그리스도에게 있다. 고별 담화문 가운데에서의 요한은 성경적 근거를 중요하게 여긴다. 담화문의 구조나 사상이 구약의 유형을 따르고 있다.
 
요한에게 있어서 성경은 구약 성경을 가리킨다. 구약에는 성령은 하나님의 영이시다. 메시아나 또는 모세나 엘리아와 같은 민족의 지도자나 예언자들은 하나님의 영을 받아 위대한 업적을 나타냈던 것이다. 그들이 세상을 떠날 때에도 같은 영을 후계자들에게 물려준다. 후계자들은 스승이 가졌던 그 하나님의 영을 물려받는 것이다. 요한의 예수도 구약 성경과 부합된다. 하늘로부터 보내 주시는 하나님의 영을 받으시고 그 영을 따라 예수는 말씀을 가르치시고 행하신다. 예수께서 세상을 떠나실 때에 그 하나님의 영을 제자들에게 물려주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령은 그리스도를 떠나서 있을 수도 없으며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이다. 성령은 그리스도의 영을 근거로 해야 한다. 그리스도 안에서 역사 하시던 하나님의 영을 계승해야 한다. 크리스천의 그리스도를 근거로 한 성령인 것이다. 때때로 초대 교회 안에서는 그리스도의 가르치심에 근거를 두는 것과는 상관없이 성령 충만의 체험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이를테면 하나님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은사를 주장하며 은사의 능력을 과시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적과 기사를 보이며 방언을 하는 카리스마의 능력 과시에 치중하였고 그리스도의 말씀과 행적에 나타난 윤리와 도덕을 이차적인 것으로 미루어 놓는 경향을 보였다.
 
요한은 눈길을 예수에게로 향하게 한다. 파라클레토스라는 용어가 적절한 표현이다. 파라클레토스는 중보자라는 의미도 되며 변호인, 증인, 그리고 권면 하는 이라는 뜻을 가진 이름으로서 요한이 묘사하는 그리스도상에 부합하는 적절한 표현이 된다. 파라클레토스의 역할은 항상 그리스도를 가리키고 있다. 그리스도를 증언하며 그의 가르치심을 기억나게 하며 그가 명하신 계명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당부한다. 파라클레토스 성령이 오시면 신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것은 신자들의 마음 속에 그리스도가 항상 함께 계시리라는 것이다. 요한에게 있어서 파라클레토스는 예수께서 육신으로는 제자들을 떠나 계시지만 영으로 함께 하심을 뜻하는 것이다. 파라클레토스는 그리스도를 대신해 주는 존재가 된다. 이미 세상에 오셨던 예수가 파라클레토스이셨던 것처럼 앞으로 오시는 보혜사 성령도 또다른 예수이시다. 성령 체험은 예수의 임재하심을 체험하는 것이다.
 
초대 교회 신자들은 떠나시는 예수를 멀리서 바라보며 다시 오시는 그 날만을 기다렸다. 성령은 받아도 예수는 부재 중이신 것으로 알았던 것이다. 요한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다시 오실 미래의 그리스도마저도 파라클레토스의 오심을 통하여 그리스도를 이미 맞이하게 된 만남이 기정 사실이 된다. 이렇듯 파라클레토스 체험 곧 성령 체험은 그리스도 체험이어야만 하고 그리스도를 근거하는 체험이라야 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리스도를 근거로 한 요한의 성령은 윤리적 교훈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성령 체험과 영성 생활에 있어서 윤리적 실천을 무엇보다도 중요시한 것이다. 성령은 그리스도의 가르치심을 기억하고 실천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긴다. 서로의 사랑을 실천하라는 그리스도의 계명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그리스도께서 몸소 실천하신 일들을 본받아 행할 것을 일러주신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자신의 목숨을 내어 주신 그리스도를 본받아 박해와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을 일러주신다. 실현된 종말론과 결부되었을 때도 윤리적인 문제에 민감하다. 죄에 대하여, 또는 의에 대하여 심판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보혜사 성령은 영이시다. 하늘의 천사와 같은 인격적 존재를 의미하지 않았다. 초대 교회 시대에는 그같은 천사의 존재를 믿었던 것이 사실이다. 보혜사 곧 파라클레토스나 중보자로서의 성령을 인격적 존재로 보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요한은 이런 풍조를 배격한다.
 
성령은 하나님의 영이시다. 그리스도의 생애와 교훈을 통해 나타나신 하나님의 영이시다. 신자들의 마음 속에 활동하시는 영이시다. 파라클레토스는 믿음의 안내자이다. 파라클레토스로서의 성령은 세상을 유혹을 경계한다. 특별히 믿음의 길을 택함으로써 일시적인 역경을 헤매게 되는 성도들에게 다가오는 유혹이다. 신앙을 버리고 일시적인 영광을 택하는 유혹이 많다. 성령은 이와 같은 성도들의 마음 속에 올바른 판단을 갖게 한다. 보혜사 성령을 진리의 영으로 불렀다. 진리의 영은 예언자들이나 믿는 성도들의 마음 속에 바른 판단을 하게 하는 하나님의 영이시다. 진리의 영은 환상적인 묵시 문학적인 종말 사상을 교정한다. 묵시적인 종말 사상을 따라 많은 거짓 예언자들이 범람하였다. 그들은 성도들을 당혹하게 한다. 진리의 영으로서의 성령은 거짓 예언자들을 식별하는 것이다. 거짓 예언자들의 영을 분간한다. 성령은 바르고 정통적인 신앙적인 신앙을 택하게 하는 인도자의 역할을 한다. 정통적인 신앙은 육신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고백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스도의 생애와 가르치심에 기초한 신앙을 말한 것이다. 그리스도가 최후의 승리자시라는 것을 믿게 하는 믿음의 안내이다.
 
이상과 같이 요한이 말하는 보혜사 성령은 강조점에 있어서 수정된 것이 많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서 요한은 수정할 것을 수정하였다. 초대 교회의 원시성을 벗어버리고 변화와 개혁을 통하여 성령의 올바른 이해를 정리하였다. 올바른 이해란 근거를 찾는 일이다. 성령은 어디에 근거를 두어야 올바른 성령 이해가 되는 것인가? 그리스도의 생애와 가르치심에 근거를 두어야만 올바른 성령 체험이 될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의 계명을 실천하는 윤리가 뒤따르는 것이 성령 체험의 올바른 길이다. 이것이 요한의 견해인 것이다. 이것이 마땅히 자리를 굳혀 가는 성숙한 단계에 이른 교회가 가져야 할 단계인 것이다.
 
VI. 참고 문헌
 
¤ Barrett, C.K., “The Holy Spirit in the Fourth Gospel”, JTS, 1, 1950. 
¤ 󰠏���󰠏���󰠏���󰠏���󰠏���󰠏���󰠏���󰠏���, The Holy Spirit in the Gospel Tradition, London, SPCK, 1966. 
¤ Beasley-Murray, George R. John,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36), Waco, Word Books, 1987. 
¤ Behm, J., “παρακλητο?”,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5, Grand Rapids, Eerdmans, 1957. 
¤ Bornkamm, G., “Der Paraklet im Johannesevangelium”Geschichte und Glaube, 3 vols, Muechen, Kaiser, 1968. 
¤ Breck, John, The Spirit of Truth, Crestwood,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1. 
¤ Brown, Raymond, Gospel According to St. John, Vol. 2, New York, Doubleday, 1970. 
¤ 󰠏���󰠏���󰠏���󰠏���󰠏���󰠏���󰠏���󰠏���󰠏���󰠏���, “The Paraclete in the Fourth Gospel”, NTS, 13, 1966-67. 
¤ Bultmann, Rudolf, The Gospel of John, tr. G.R. Beasley-Murray, Oxford, Blackwell, 1971. 
¤ Burge, Gary M., The Annointed Community, Grand Rapids, Eerdmans, 1987. 
¤ Carson, D.A.,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Grand Rapids, Eerdmans, 1991. 
¤ 󰠏���󰠏���󰠏���󰠏���󰠏���󰠏���󰠏���󰠏���󰠏���󰠏���, The Farewell Discourse and the Final Prayer of Jesus. An Expostion of John 14-17, Grand Rapids, Becker, 1980. 
¤ 󰠏���󰠏���󰠏���󰠏���󰠏���󰠏���󰠏���󰠏���󰠏���󰠏���, “The Function of Paraclete in John 16:7-11”, JBL 98, 1979. 
¤ Charlesworth, James H., “A Critical Comparision of the Dualism in 1 QS 3:13-4:26 and the Dualism contained in the Gospel of John”, John and the Dead Sea Scrolls, ed., J.H. Charlesworth, Crossroad, Christian Origins Library, 1990. 
¤ Davies, G., “The Primary Meaning of Paracletos”, JTS 4, 1953. 
¤ Dodd, C.H.,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th Gospel, Cambridge, The University Press, 1954. 
¤ Dunn, J.D.G. Jesus and the Spirit, London, SCM, 1975. 
¤ 󰠏���󰠏���󰠏���󰠏���󰠏���󰠏���󰠏���󰠏���󰠏���󰠏���, Baptism in the Holy Spirit, PhiladelphiaThe Westminster Press, 1970. 
¤ Forstell J.T., “Jesus and the Paraclete in the Gospel of John”, Word and Spirit, ed. J. Plevnik Willowdale, ontario, Regis College Press, 1975. 
¤ Johansson, N., Parakletoi, Vorstellungen von Fursprechen fuer die Menschen vor Gott in der altestamentlichen Religion, in Spatjudentum, und Urchristentum, Lund, Gleerup, 1940. 
¤ Johnston, G., The Spirit Paraclete in the Gospel of Joh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 Kysar, Robert, The Fourth Evangelist and His Gospel, Mi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75. 
¤ Kuemmel, Werner G., The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tr. by E. Steely, 1973. 
¤ Kurz S.J., William S., Farewell Addresses in the New Testament, Collegeville, The Liturgical Press, 1990. 
¤ La Potterie, Ignace, De, “The Truth in St. John”, The Interpretation of 1 John, ed. John Asht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6.
¤ Leaney, A.R.C., “The Johannine Paraclete and the Qumran Scrolls”, John and the Dead Sea Scrolls, ed. Charlesworth, Crossroad, Christian Origins Library, 1990. 
¤ Porsch, Felix, Pneuma und Wort, Frankfurter Theologische Studien, 16, Frankfurt, Knecht, 1974. 
¤ Richardson, Alan, Introduction to the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London, SCM, 1958. 
¤ Schnackenburg, Rudolf,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Vol. III, tr. David Smith & G.A. Kon, New York, Crossroad, 1990. 
¤ Schweizer, E., The Holy Spirit, tr. R.H. Fuller & I. Fuller, London, SCM, 1980. 
¤ Segovia, Fernando F., The Farewell of the Word, Mineapolis, Fortress Press, 1991. 
¤ Snaith, H.H., “The Meaning of the Paraclete”, Expository Times, 57, 1945-6. 
¤ Turner, M.M.B., “The Concept of Receiving the Spirit in John's Gospel”, Vox Evangelia 10, 1976. 
¤ Windisch, H., “The Spirit-Paraclete in the Fourth Gospel”, tr. J.W. Cox,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8.

 

이상호 교수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 요한복음강해_류호준교수(백석대) 갈렙 2021.11.18 365
» 요한복음의 보혜사 성령 이해_이상호교수 갈렙 2021.11.18 321
56 요한복음에 나타난 '영생'의 의미 갈렙 2021.11.18 438
55 요한복음 서론 갈렙 2021.11.18 582
54 루돌프 불트만의 성서의 실존론적 이해 갈렙 2021.11.11 424
53 [주석추천] 백석대 류호준 교수가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을 위해 추천하는 "한글"로 된 성경 주석 목록 갈렙 2021.09.29 1161
52 [신학] 이레네우스 신학의 이해_유정우교수(평택대) file 갈렙 2021.09.12 212
51 [법궤] A.D.70년 티투스(디도)장군이 쳐들어 왔을 때에 지성소에는 법궤가 없었다. 갈렙 2021.08.30 354
50 [성전의기구] 요세푸스가 알려주는 성소의 일곱금촛대와 분향단과 떡상에 대한 완전한 새로운 해석 갈렙 2021.08.30 299
49 [신학자]] 무천년설을 주장하는 샘 스톰스_"환난전휴거(세대주의)는 왜 비성경적인가?" file 갈렙 2021.08.19 452
48 [개혁신학] 개혁신학의 방대한 자료 갈렙 2021.08.19 297
47 [이집트 신들] 이집트 신들과 신들의 계보 file 갈렙 2021.08.19 644
46 [성경] 베들레헴 성경- 안드로이드(1.8.7), 윈도우(4.3.6), 아이폰(1.2.5) file 갈렙 2021.08.03 2184
45 성경프로그램 및 어플(PC, 안드로이드, 아이폰, 아이패드) 갈렙 2021.08.02 2009
44 7명의 천사장에 대해서 갈렙 2021.06.28 914
43 신학생 필수 참고 서적 목록 갈렙 2021.04.19 894
42 [기독교대백과사전] 전승비평, 신약 傳承批評, 新約 (영) Tradition Criticism, NT 갈렙 2021.04.19 447
41 [성경] marvel interliner bible 갈렙 2021.03.23 309
40 [성경] Mysword bible(앱용) 갈렙 2021.03.23 735
39 [성경] 어코던스 바이블(13.0) 갈렙 2021.03.15 82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