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s://youtu.be/xrHP-fmIJTo
날짜 2015-11-18
본문말씀 로마서 3:9~31(신약 243면)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인간의 심각한 타락과 무능, 의인은 없다, 율법의 기능과 목적, 율법 외에 나타난 또 다른 하나님의 의,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 차별이 없음, 율법과 믿음의 상관관계

  로마서는 참으로 놀랍다. 그가 유대인이건 이방인이건 사람을 다 확실히 죄인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의 두 손을 들게 만든다. 그러면 어찌할꼬라는 탄식이 절로 나오게 한다. 오늘 사도바울은 롬3장 9절에서 20절까지의 말씀을 통해, 모든 사람은 심각한 타락한 상태에 있으며 그래서 하나님의 심판을 면할 수 없게 되었음을 분명히 말한다. 그리고 롬3장 21절부터 31절의 말씀에서는 율법 외에 나타난 또 다른 하나님의 의에 관하여 말한다. 그것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통하여 얻게 되는 새로운 의의 길이다.

   과연 인간은 얼마나 타락한 상태에 있는 것일까? 칼빈주의자들 즉 이중예정론과 성도의 견인교리를 절대적으로 믿는 자들은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한 상태에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아무것도 행할 수 없는 전적 무능상태에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오해다. 인간은 전적인 타락상태나 전적인 무능상태에 있지 않다. 가만히 자연 상태에 놔둔다면 인간은 틀림없이 멸망으로 들어갈 것이다. 하지만, 하나님의 은혜가 그에게 부어지고 하나님의 성령이 그에게 역사한다면 그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존재임에 분명하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인간의 상태를 진달하여 말씀하실 때에, 인간은 "상한 갈대"요, "꺼져가는 등불"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마12:20). 그렇다. 인간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인간은 결국 꺾여지고 말 것이다. 또한 인간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결국에는 불이 꺼지듯 꺼져버릴 것이다. 하지만 그가 육체적인 죽음을 맞이하기 전까지 하나님은 그를 그대로 방치하지 않으신다고 했다. 그에게 되살아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신다고 하셨다(요3:16, 7:37~38). 멸망으로 들어갈 심각한 상태에 있는 인간이라도 그가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예수님에 대한 믿음을 갖게 되고 자신의 죄를 회개를 할 수만 있다면, 그도 구원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만약 그에게 지금이라도 하나님의 말씀이 들려지게 되고 성령이 역사하시게 되었을 때 그가 반응하기만 하면 구원의 기회는 그에게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 할지라도 구원으로 부르시는 하나님의 초청에 인간은 자신의 자유의지로서 그것을 거부할 수도 있으며 또한 반응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마음을 강퍅하게 갖지 말라. 언제라도 그분의 초청에 반응하는 성도가 되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죄 아래에 있는 인간의 상태는 어떠한가? 사도바울은 하나님을 이해하는 자도 없고 하나님을 추구하는 자도 없고 하나님을 두려워하지도 않는다고 했다(롬3:10~18). 왜냐하면 죄에 심각하게 물들어 있기 때문이다. 아담의 타락이후 모든 인간은 심각하게 죄에게 오염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만히 놔두면 그의 마음과 입술과 손과 발은 죄를 지을 것임에 틀림없다.  여기서 우리가 한 가지 기억해야 할 것은 율법은 사람이 마음으로 짓는 죄와 입술로 짓는 죄를 죄라고 명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율법으로만 자신이 죄인이라고 판단하려고 하지 말라. 마5~7장에 나오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따라 자신이 죄인인지 아닌지를 분별해야 한다. 예수께서는 마음으로 간음해도 간음한 것이라고 하셨고, 말로 형제에게 욕하는 자는 살인한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율법을 파괴하러 오신 것이 아니며 오히려 율법을 더 굳건이 서 있게 하려고 오신 것이다. 율법을 강화시켜 죄인으로 하여금 더 죄인되게 하시기 위해서 오셨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신 이유와 목적은 무엇인가? 그것은 그가 유대인이건 이방인이건 다 율법을 통해 서 자신이 죄인인 것을 인식하고 죄를 짓고 있음을 깨닫는 데에 있다(롬3:20). 왜냐하면 율법에 비추어보아 율법 앞에서 자신이 의인이라고 할 만한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에를 들어보자. 율법에 보면 가난한 이웃들 즉 객과 고아와 과부들을 구제하라고 명령하셨다(신14:29). 그런데 얼마만큼 언제까지 구제해야 구제한 것인지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자신을 율법에 비추어보아 자신은 구제생활을 잘 감당하고있다고 말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므로 우리가 주님의 은혜가 무엇인가를 알려면 율법을 더욱 공부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그리스도를 더 붙잡게 되기 때문이다. 율법은 사람을 다 죄인으로 만들어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몽학선생의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율법 앞에 모두가 죄인인 우리에게는 소망이 없는 것인가?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율법의 의가 아닌 새로운 의를 준비해놓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율법으로 말미암은 의가 아니라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이다(롬3:21~22). 율법을 지켜서 의롭다여김을 받는 것을 구약의 의라고 한다면, 신약의 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으로 말미암아 그분의 의가 우리에게 전가되어 주어지는 의를 가리킨다. 하나님께서는 두 가지 속성을 동시에 갖고 계신다. 하나는 공의라는 속성이요, 또 하나는 사랑이라는 속성이다. 그런데 하나님의 공의로 비추어보면, 인간은 죄인인지라 심판받아 지옥형벌을 면할 수가 없다. 그런데 하나님의 사랑으로 비추어보면, 당신의 형상과 모양대로 지어진 사랑스러운 존재다. 그렇다고 죄인인 인간을 무조건을 용서해주고 구원하실 수가 없으시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대속의 방법을 사용하셨다. 하나님께서 인간의 죄를 대신하여 죽고, 대신 죄인인 인간을 구원하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십자가는 하나님의 공의와 하나님의 사랑이 동시에 나타난 장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대신 아들을 죄값으로 죽이시고 우리를 대신 살려내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죄인들은 모든 인류를 위해 대신 속죄의 죽음을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여김을 받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것을 일컬어,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 내지는 "전가된 의"라고 말한다.

  그런데 이렇게 해서 모든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 의는 3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는 이러한 의를 가진 자는 아무도 자랑할 데가 없다는 것이다(롬3:27~28). 오직 은혜로 값없이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주어졌기 때문이다. 둘째는 이러한 의는 차별이 없다는 것이다(롬3:29~30). 율법의 의는 차별이 존재했다.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별이 있었다. 그래서 율법을 가지고 있는 유대인들은 이방인들을 지옥의 땔감이라고 무시했다. 하지만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주어지는 의는 유대인이라고 해도 특별한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 다 똑같이 하나님의 새로운 의를 전가해주신다. 그러므로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를 가진 자는 똑같이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칭함을 받을 수가 있다. 셋째는 이러한 의는 율법으로 말미암은 의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굳게 세워준다는 것이다(롬3:31). 율법의 의를 통해 사람은 죄인인 것을 알게 된다. 그리하여 율법의 의는 그런 사람을 믿음의 의로 안내해준다. 그리하여 사람이 구원을 받게 도와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믿음의 의는 율법의 의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보안하여 하나님의 의를 얻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나님을 찬양하라.

2015-11-18 로마서강해(08).ts_000042100.jpg


 


  1. 로마서강해(27) 성도의 교회생활의 실제(6) 서로 용납하는 성도(롬15:1~13)_2016-04-27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에는 결코 정죄함이 없다. 어디 그것 뿐인가? 율법의 의식법 등의 제 규정으로부터도 자유함을 얻고 살 수 있다. 그런데 그리스도인이 갖는 자유는 일반적인 자유와는 좀 다른 측면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
    Date2016.04.27 By갈렙 Views1058
    Read More
  2. 로마서강해(28) 바울의 제사장적 직무와 로마방문계획(롬15:14~33)_2016-05-04

    성도들은 어떤 존재인가? 죄인의 신분인가 아니면 구원받은 하나님의 자녀의 신분인가? 그리고 이미 구원받았으니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하나님께 대신 해 주는 존재인가 아니면 이미 구원의 여정 안으로 들어왔으니 보다 적극적으로 하나님의 사...
    Date2016.05.04 By갈렙 Views1205
    Read More
  3. 로마서강해(25) 성도의 교회생활의 실제(4) 음식과 절기준수문제(1)(롬14:1~12)

    오늘 말씀은 그리스도인들이 자유를 사용하는데 어떤 것에 주의해야 하는지에 관한 말씀이다. 여기에서 사도바울은 롬14장에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자유를 주셨는데 그것을 사용할 때에 무엇에 주의해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말씀한다. 그리스도인들은 예수 그...
    Date2016.04.13 By갈렙 Views1213
    Read More
  4. 로마서강해(22) 성도의 교회생활의 실제(1)(롬12:1~21)_2016-03-23

    로마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하나는 교리요 하나는 생활이다. 로마서에서 교리부분은 롬1:18~11:36까지다. 그리고 생활부분은 12:1~15:13까지다. 물론 그 전에 도입부(1:1~17)가 있고, 그 후에 종결부(15:14~16:17)가 있다. 오늘은 로마서의 두번째 부...
    Date2016.03.23 By갈렙 Views1243
    Read More
  5. 로마서강해(26) 성도의 교회생활의 실제(5) 자유의 절제와 그 책임(롬14:13~23)_2016-04-20

    오늘은 지난주에 이어 그리스도인들이 과연 고기나 우상의 제물을 먹을 수 있는지 혹은 술은 마실 수 있는지 등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과연 우상에게 바쳐진 제물이나 혹은 율법말씀에 먹지 말라고 규정되어있는 고기를 먹을 수 있을까? ...
    Date2016.04.20 By갈렙 Views1258
    Read More
  6. 로마서강해(30) 거짓교사 경계와 참된 복음에 대한 감사(롬16:17~27)_2016-05-18

    로마서가 오늘로 종결된다. 장장 7개월의 여정이었다. 로마서는 교리서신이자 생활서신에 해당한다. 우리는 로마서에서 칭의과 성화가 무엇인지를 발견하게 되고(롬3:21~8:39),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구원경륜을 발견하게 된다(롬9:1~11:36). 그리고 이어서 성...
    Date2016.05.18 By갈렙 Views1298
    Read More
  7. 로마서강해(24) 성도의 교회생활의 실제(3)(롬13:1~14)_2016-04-06

    성도는 과연 국가의 권세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 것일까? 그리고 국가의 권력을 잡고 있는 통치자들에게 대해서 또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 것일까? 더불어 우리의 이웃에게는 어떤 마음자세를 갖는 것이 필요하며, 말세를 살아가는 성도는 어디에 ...
    Date2016.04.06 By갈렙 Views1298
    Read More
  8. 로마서강해(09)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받은 아브라함의 실례(2)(롬4;1~25)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받는다는 말씀은 처음부터 기록된 성경말씀으로 남아 있었다. 하지만 종교개혁자 루터에 의해 칭의는 다시 발견되어졌고 그것은 중세로마카톨릭으로부터 성도들을 바른 진리로 회복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하지만 오늘에 와서 칭의는 마치 ...
    Date2015.12.02 By갈렙 Views1322
    Read More
  9. 로마서강해(16) 하나님의 자녀들과 이들의 소망(롬8:14~25)_2016-01-27

    로마서 8장은 성화에서 영화로 넘어가는 장이다. 사람의 구원은 칭의에서 시작하여, 성화를 거쳐, 영화로 마무리된다. 성도의 구원의 여정은 이처럼 3단계다. 첫번째 단계인 칭의의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그리스도의 피를 통한 속죄가 믿는 자들에게 전가된다...
    Date2016.01.27 By갈렙 Views1326
    Read More
  10. 로마서강해(29) 그리스도 안에 있는 참된 지체들에 대한 인사(롬16:1~16)_2016-05-11

    교회란 무엇인가? 교회공동체는 세상공동체와는 과연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그리고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는 사람은 과연 어떤 사람일까? 오늘 이 시간에는 바울이 로마교회의 성도들에게 문안인사를 하는 장면을 통해서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하나씩 하나씩 ...
    Date2016.05.11 By갈렙 Views1329
    Read More
  11. 로마서강해(20)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섭리(3)(롬11:1~24)_2016-03-09

    현재 이스라엘의 미래는 어떠할까?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낙관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도 이스라엘사람들은 오실 메시야를 기다리고 있고, 다시 옛날의 성전을 재건하겠다고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구원의 경륜은 거꾸로 흘러가지 않는다. ...
    Date2016.03.09 By갈렙 Views1374
    Read More
  12. 로마서강해(19)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섭리(2)(롬9:30~10:21)

    사람은 과연 어떻게 구원을 받게 되는 것일까? 행함인가 믿음인가? 어떻게 되었길래 하나님의 선민이었던 이스라엘 민족마저 구원에서 떨어져버리게 되었을까? 사람이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과연 무엇이 필요한가? 오늘날 모든 사람이 구원받도록 하기 위해 우...
    Date2016.02.24 By갈렙 Views1375
    Read More
  13. 로마서강해(07) 인간의 타락과 구원에 관한 새로운 길(롬3:9~31)

    로마서는 참으로 놀랍다. 그가 유대인이건 이방인이건 사람을 다 확실히 죄인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의 두 손을 들게 만든다. 그러면 어찌할꼬라는 탄식이 절로 나오게 한다. 오늘 사도바울은 롬3장 9절에서 20절까지의 말씀을 통해, 모든 사람...
    Date2015.11.18 By갈렙 Views1396
    Read More
  14. 로마서강해(12) 성화의 첫 단계 - 여김과 드림의 법칙(롬6:1~23)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회개하여 성도된 사람은 죄를 안 짓고 살 수 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일 것이다. 즉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해도 여전이 죄된 본성을 자신의 육체 안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죄를 짓게 된다고 말...
    Date2015.12.23 By갈렙 Views1432
    Read More
  15. 로마서강해(13) 율법과 육신의 속박 안에 있는 인간의 가여운 인생(롬7:1~25)

    로마서의 대주제는 복음이다. 이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에게 주는 구원의 놀라운 소식이다. 이 놀라운 소식이란 모든 사람들이 죄들로부터 사함받게 되었다는 소식이며, 죄 자체로부터 벗어나게 해준다는 소식이다. 특별히 사람들을 죄들로부터 벗...
    Date2016.01.06 By갈렙 Views1439
    Read More
  16. 로마서강해(23) 성도의 교회생활의 실제(2)(롬12:1~21)_2016-03-30

    은사와 달란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은사들 중에서 자연적인 은사와 초자연적인 은사들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또한 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은사들에는 과연 어떤 것들이 있을까? 그리고 믿지 않는 자들에 대해, 성도들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가?...
    Date2016.03.30 By갈렙 Views1465
    Read More
  17. 로마서강해(11) 아담의 범죄보다 큰 그리스도의 은혜(롬5;12~21)

    로마서에서 분수령은 과연 어디일까? 그것은 그리스도의 피에서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전환되는 롬5장 안에 있을 것이다. 롬1:18~5:11에서는 죄와 칭의에 관한 부분으로서 그리스도의 구속하는 피를 다루고 있다 한다면, 이어지는 롬5:12~8:39까지는 성화에 관...
    Date2015.12.16 By갈렙 Views1472
    Read More
  18. 로마서강해(03) 로마방문계획과 복음의 능력(롬1:8~17)

    사람마다 복음 복음 하지만 복음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잘 모르는 이들도 있다. 잘 아는 단어인 것 같지만 설명하려면 조금 어려운 단어가 바로 이 복음이라는 단어가 아닐까 한다. 그런데 사도바울은 바로 이 복음을 로마교회 성도들에게 전하기 위해 로...
    Date2015.10.21 By갈렙 Views1486
    Read More
  19. 로마서강해(17) 성화의 셋째단계와 놀라운 하나님의 사랑(롬8:26~39)

    그리스도인들의 성화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들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성령과 기도와 말씀이다. 칭의를 받은 성도들이 영화에 참여하려면 이렇듯 3가지 요소가 필요한 것이다. 그렇다. 칭의를 받은 성도가 회개한 이후에는 3가지 성화의 과정을 밟...
    Date2016.02.03 By갈렙 Views1508
    Read More
  20. 로마서강해(04) 타락한 이방인들의 범죄와 하나님의 내버려두심(롬1;18~32)

    로마서는 어떤 죄인이라도 복음을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놀라운 진리를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을 유대인들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생각에, 어떻게 할례도 받지 않은 자가 구원을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안식일도...
    Date2015.10.28 By갈렙 Views15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