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유투브 주소 http://youtu.be/Qzt_SIEB2C8
날짜 2015-02-15
본문말씀 눅17:16~19, 계2:21~23, 갈5:19~21
설교자 정병진목사
주제어 감사하라, 회개하라, 성품을 바꾸어가라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나면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일까? 예배를 잘 드려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나도 누군가를 위해 중보기도를 시작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이젠 예수님을 믿게 되었으니 체계적으로 성경을 공부해야 하는 것인가? 그것도 아니라면 아직 주변에 불신자들이 많이 있으니 그들을 전도해야 하는 일에 치중해야 하는 것일까? 사실 예수님을 믿고 나면 이것들 중에 필요없는 것은 하나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예수님을 믿고 난 후에 반드시 해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이 있지 않겠는가? 그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적어도 우리가 종국에 가서 얻게 될 구원과 관계된 것이라면 더욱 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아마도 이러한 항목들은 어쩌면 필수적인 것일지도 모른다. 결론적으로 하나님께서는 구원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들에 대해 무관심한 자에게는 결코 천국을 기업으로 물려주지 않을 것 같아 보인다. 그렇다면,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난 후에 해야 할 것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이것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것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인간이 구원받는 과정이다. 인간의 구원은 대체로 3단계로 이루어진다. 애굽에서의 탈출, 광야생활, 가나안땅의 정복과정. 그런데 이런 과정들을 우리가 구원을 얻는 과정과 비교해보면 참 재미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로, 애굽에서 탈출하는 과정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서 얻는 이신칭의의 과정과 똑같다는 것이. 그리고 둘째로, 구름기둥과 불기둥의 안내를 받으며 만나와 생수를 먹고 살아야 하는 광야생활은 성도가 성령의 인도함을 받으며 하나님의 말씀을 먹고 마시는 교회생활과 똑같다. 마지막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최종적으로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땅을 정복하는 과정은 곧 성도가 자신의 육체를 벗고 천국에 입성하는 것과 똑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비록 애굽에서 탈출하여 광야로 나왔다 하더라도 안도의 한숨을 쉬어서는 아니 된다. 우리 모두는 반드시 광야의 시험을 통과해야 완전한 구원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광야로 나온 우리들은 무엇을 꼭 해야 하는 것일까? 첫째, 우리는 감사를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사실 애굽에서 탈출하여 광야에 들어오게 된 것은 순전히 하나님의 은혜가 아닌가? 이 세상의 어떤 능력자라 할지라도 죄와 죽음과 사탄으로부터 스스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은 오직 전능하신 하나님만이 하실 수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다만 하나님께서 하신 행하신 초자연적인 역사를 믿고 반응함으로서 그분이 입혀주는 의의 옷을 입게 된다. 이것을 신학적인 용어로 '이신칭의'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도는 항상 우리를 구원의 여정으로 초청해주시고 구원의 여정을 시작하도록 배려해주신 하나님께 감사해야 한다. 그분은 우리의 어떤 조건을 보고 구원의 여정으로 초청하지 않으셨다. 하나님께서는 아무런 조건없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하나로 우리를 불러주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구원을 위해 모든 것을 다 해 놓으신 하나님께 항 감사를 잃어버리지 말아야 한다.

  눅17장에 나오는 열 명의 문둥병의 경우를 보라. 10명의 문둥병자가 다 나음을 받았지만 그중에 단 한 사람, 사마리아 문둥병자만이 예수께 와서 엎드리어 사례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다. 그렇다면 주님께서는 왜 이러한 비유를 들려주셨을까? 그것은 구원으로 우리를 불러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구약시대에 히스기야왕의 경우를 보라. 그가 병들어 죽게 되었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의 기도를 들으시고 그의 생명을 15년이나 연장해주셨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받은 은혜에 보답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역대기서의 기자는 히스기야가 그 은혜에 보답하지 아니함으로 하나님의 진노가 다시 유다와 예루살렘에 떨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대하32:24~26). 성도들이여, 우리가 애굽을 탈출한 것에 대한 감사에 인색한 사람이 되지 말자. 마음으로, 찬양으로, 물질로, 헌신으로 감사하는 삶을 잊지 말자. 여러분도 한 번 생각해 보라. 당시 애굽에서 탈출한 이스라엘 백성들 중에서 과연 누가 하나님께 감사를 표현했던가? 그들은 한 사람도 감사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광야생활이 좋지 않다고 원망하고 불평했었다. 결국 하나님께서는 감사치도 않고 원망과 불평을 일삼았던 출애굽1세대들을 가나안땅에 불러들이지 아니했다.

  둘째,  날마다 회개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착각하는 것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광야로 나왔으면 모든 것이 다 잘 되리라는 생각을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힘입어 광야로 나왔다 하더라도 불평의 요소가 하나도 없는 천국생활이 주어진 것은 아니다. 광야에는 언제나 불편함과 위험의 요소가 기다리고 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 있을 때에는 자기의 맘 내키는대로 텐트를 치지 못했다. 구름기둥과 불기둥이 자리를 옮겨 멈추어야 그곳에 장막을 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때에 마실 물도 없어서 고생해야 했으며, 고기를 먹지 못해 힘이 빠지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광야에서는 언제나 동서남북이 열려 있으니 적이 언제 어디서 공격해 들어올지 알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육신의 불편함과 사방에 있는 적의 공격에 노출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예수그리스도를 믿고 믿음생활을 시작했다 해서 육신의 모든 문제가 다 해결된 것이 아니며, 또 다른 종류의 사탄마귀와 귀신들의 공격이 중단된 것도 아님을 알라. 지금도 사탄은 호시탐탐 믿는 자들을 노리고 있다. 최근에 들어와서는 사탄도 공격기술을 바꾸어 서 육신의 약함을 틈타 죄의 유혹에 빠지게 하는 전략을 더 많이 쓰는 것 같다. 그러므로 광야로 나온 성도들에게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자신이 지은 죄를 회개하는 회개생활이다. 적의 모든 공격과 유혹을 다 이겨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언제라도 자신이 잘못했다고 고백하기만 하면 용서해 주시겠다고 약속해주셨다(요일1:9). 잘못한 일이 있는가? 지금이라도 당장 회개하라.

  셋째, 우리는 또한 우리의 성품을 바꾸기 위해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성품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해서 그냥 자동적으로 바꾸어지는 것이 아니다. 만약 우리의 나쁜 품성을 그대로 둔다면 사탄은 그것을 이용하여 우리를 계속해서 넘어뜨릴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난 후에 해야 할 세번째의 일은 우리의 나쁜 품성을 바꾸어가는 것이다.

  사실 사람에게는 2가지 성품이 있다. 하나는 창조주 하나님을 따라 우리에게 주어진 선한 성품이 있고 또 하나는 사탄의 성품이 있다. 사탄의 성품은 창조시에 인간에게 들어왔었을 수도 있고, 인류의 시조인 아담의 타락으로 인하여 인간 내면 속에 들어온 것일 수도 있다.

  사실 창조시에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지음 받았다고 알고 있을 것이다(창1:26~27).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우리의 형상대로 우리의 모양을 따라" 인간을 지을 것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라는 1인칭 복수는 창조주 하나님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때 자유의지를 가진 인격적인 존재가 하나님 곁에 있었다. 그들은 보이지 않는 영물인 천사들이었다(시103:20~22, 욥38:7). 그러므로 "우리의 형상"이란 하나님의 형상과 천사의 형상을 더한 것일 수도 있다(메튜헨리주석참조). 다시 말해 만약 인간이 창조주 하나님만의 성품으로 지어졌다면 인간은 악한 성품을 물려받지는 아니했을 것이다. 하지만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으나 피조된 성품으로서 천사의 성품은 얼마든지 타락할 수 있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천사들 중의 우두머리의 하나였던 루시엘의 경우를 보라. 그는 자신에게 주어진 자유의지를 사용하여 나쁜 성품을 만들어냈다. 그는 스스로 교만해졌고 강포해졌던 것이다. 하지만 우리 하나님의 성품은 어떠한가? 특히 우리 주 예수께서는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마11:29)"라고 말씀하셨다. 결국 구원으로 초청받은 인간은 어찌하든지 사탄의 성품을 몰아내고 하나님의 성품으로 자신을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비록 예수그리스도를 믿어 구원의 여정에 들어섰다고 하지만 우리는 날마다 사탄의 품성을 죽음에 넘기우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날마다 하나님의 품성을 우리 가운데 채워나가는 것이 필요하. 사도바울은 말한다. 사탄의 성품에 따라 움직이는 옛사람을 십자가에 못박아버리고, 하나님의 성품을 따라 새로 지음을 받은 새사람을 옷입으라고 말이다. 사실 성품은 타고난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날마다 기도하면서 성령의 충만함을 받는다면 어느 정도 바꾸어나갈 수 있다. 선천적인 성품이지만 후천적으로 바꾸어갈 수도 있다는 말이다. 만약 먼저 믿은 우리가 사탄의 성품을 내보내고 하나님의 성품으로 바꾸어가지 않는다면, 우리는 더 많은 사탄의 공격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가진 좋지 않은 성품 때문에 갓 믿은 형제들이 교회를 떠나갈 수도 있다. 특히 불신가족을 구원하는 데에 있어서 성품의 변화는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성도들이여, 그러니 이제는 우리 자신의 심보를 좀 바꾸어보자. 그래야 우리의 구원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주님과 가까워질 수 있으니까.

800_2015-02-15 주일오후찬양예배.ts_000189542.jpg




  1. 2015-05-17 부모가 자녀들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 4가지(삼상2:22~36)

    자녀는 자기를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부모님을 공경함이 마땅하다. 하지만 부모가 자식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도 있음을 알라. 과연 부모가 자식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사실 이 세상의 부모치고 부모교육을 제대로 받고 부모가 된 사람...
    Date2015.05.17 By갈렙 Views1230
    Read More
  2. 2015-07-12 자살하면 정말 100% 지옥에 가는가(마27:3~10)

    지난 7월 6일, 한국 음식계를 발칵 뒤집는 뉴스가 하나 있었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떡볶이와 떡국떡의 대명사로 알려진 송학식품에서 지난 2년동안 대장균이 검출된 떡볶이 떡을 포장지만 바꾸어 납품해서 무려 150억원어치나 시중에 유통시켰다는 기사였다. ...
    Date2015.07.12 By갈렙 Views1214
    Read More
  3. 2015-05-31 하나님은 한 분인가 세 분인가?(2)(사45:5~7)

    1. 삼위일체인가 아니면 삼신론인가? 하나님은 한 분인가 아니면 세 분인가? 삼위일체를 주장하는 자들은 비록 그들 속으로는 하나님을 세 분으로 알고 있지만 그렇게 이야기하면 성경에서 하나님이 한 분이라고 하는 말씀과 상충되다보니, 셋이지만 그것은 곧...
    Date2015.05.31 By갈렙 Views1214
    Read More
  4. 예수님을 믿은 후에 꼭 해야할 3가지 것들(눅17:16~19, 계2:21~23, 갈5:19~21)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나면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일까? 예배를 잘 드려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나도 누군가를 위해 중보기도를 시작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이젠 예수님을 믿게 되었으니 체계적으로 성경을 공부해야 하는 것인가? 그것도 아니라면 아직...
    Date2015.02.15 By갈렙 Views1203
    Read More
  5. 오늘날에도 십일조를 바쳐야 하는가?(마23:23)

    오늘날에 들어와서도 십일조헌금 만큼은 의무적으로 바쳐야 하는가? 그동안 십일조 헌금설교를 많이 들었던 자는 어찌 하든지 십일조만큼은 반드시 교회에 바쳐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혹시라고 십일조 헌금을 빼먹었다면 과거의 것까지 다 계산해서 ...
    Date2015.11.08 By갈렙 Views1201
    Read More
  6. 깨어진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방법(마4:17, 히3:18~4:1)_2016-07-17

    최초의 사람이었던 아담이 가지고 있었으나 잃어버린 하나님의 형상은 대체 무엇일까? 그렇지만 인간은 그 형상을 아주 잃어버린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에 단지 흠이 생겼기 때문이다. 아담의 불순종으로 말미암아 아담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형상이 어느...
    Date2016.07.17 By갈렙 Views1194
    Read More
  7. 진짜 회개기도, 어떻게 할 것인가?(계2:18~23)_2020-11-01(주일)

    1. 들어가며 회개를 하되 진짜로 회개했다는 것을 우리는 과연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사실 우리는 우리가 지은 죄들을 회개할 때면 우리의 죄들을 다 용서받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요일1:9). 하지만 진짜 나의 죄가 용서되어졌는지를 우리는 어떻게 알 수 ...
    Date2020.11.01 By갈렙 Views1180
    Read More
  8.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은 무엇인가?(골1:18~29)

    골1:24을 읽어보면,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이라는 말씀이 있다. 예수께서는 분명히 십자가상에서 "다 이루었다"고 선언하셨는데, 과연 그분께서 감당하지 못하고 남겨두신 고난이 있다는 말인가? 이어서 사도바울은 그 고난을 그의 몸된 교회를 위하여 그것을...
    Date2015.12.06 By갈렙 Views1172
    Read More
  9. 빈야드와 신사도운동을 경계하라(고후11:1~15)

    1970년대 후반에 생겨난 빈야드운동과 1990년경에 시작된 신사도운동은 과연 하나님께서 기빠하시는 성령운동일까? 우리나라에서 빈야드운동은 일반적으로는 G12의 엔카운터수양회나 알파코스의 성령수양회 등으로 쉽게 접해볼 수 있다. 그리고 신사도운동은 ...
    Date2015.08.02 By갈렙 Views1141
    Read More
  10. 베들레헴의 구속사적인 의미(마2:1~6)

    베들레헴, 성지순례를 가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들려보고 싶어하는 코스다. 그곳에서 메시야께서 태어나셨기 때문이다. 그런데 베들레헴은 결코 유명한 동네가 아니었으며, 아주 작은 시골 동네에 불과했다. 그런데 그러한 동네가 오늘날에게는 전세계의 순례...
    Date2015.12.13 By갈렙 Views1141
    Read More
  11. 2015-03-29 주께서 말씀하신 마지막 심판의 기준(마25:31~46)

    누구든지 언젠가 한 번은 주님 앞에 서게 될 것이다.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한 번 죽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며, 그 후에는 하나님 앞에서 심판을 받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히9:27). 그런데 그때 주님께서는 과연 어떤 기준으로 사람을 심판하실지...
    Date2015.03.29 By갈렙 Views1140
    Read More
  12. 이스라엘의 회복과 복음전파의 비밀(행1:6~8)_2016-03-20

    성경에 보면 유사한 단어이지만 쓰이는 용례가 다른 단어가 있다. 예를 들어, '히브리인'과 '이스라엘사람'과 '유대인'이라는 단어다. 그런데 부활후 승천직전에 있던 예수님에게 11제자들이 물어보았다. 그것은 이스라엘의 회복이 언제 있느냐 하는 것이었다....
    Date2016.03.20 By갈렙 Views1137
    Read More
  13. 이미 롯의 시대가 시작되었다(눅17:22~37)

    우리는 지금 마지막 시대에 살고 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노아의 때가 지금의 시기요, 롯의 때가 지금의 시대와 흡사하기 때문이다. 아니 이미 롯의 시대에 접어들어서고 말았다. 그러므로 지금이야말로 더 깨어서 기도하고, 회개하고, 맡겨진 ...
    Date2016.02.14 By갈렙 Views1131
    Read More
  14. 바른종말신앙(05) 7년 대환난은 과연 성경적이며 또 그것은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마24:15~28)_2021-08-22(주일)

    과연 성경에 '7년 대환난'이라는 말이 나오는가? 혹시 나온다면 어디에 있는 것을 가져온 것인가? 예수님께서도 그러한 용어를 사용하신 적이 있었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가운데 '7년 대환난'이라는 용어가 아주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
    Date2021.08.22 By갈렙 Views1129
    Read More
  15. 죄와 벌(고전5:1~13)

    사람이 죄를 지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 그냥 묻어두면 되는 것일까? 그건 아니다. 묻어둔다고 해서 불꽃같은 눈으로 지켜보고 계시는 하나님을 속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사람이 죄를 지었으면 2가지 것을 해야 한다. 하나는 하...
    Date2016.02.21 By갈렙 Views1128
    Read More
  16. 회개하는 자들이 '회개기도문'으로 기도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행3:19)_2021-05-23(주일)

    영의 세계는 특별하다. 사람 속에 들어오는 귀신이 뱀이며, 그것도 실뱀의 모습을 하고 있고 들어온 뱀들이 서로 뭉쳐 굵어진다는 것을 아는 이가 얼마나 될까? 그러므로 사람 몸 속에는 수천마리 이상의 뱀들이 들어있을 수 있다(막5:13). 그렇다면 이러한 귀...
    Date2021.05.23 By갈렙 Views1124
    Read More
  17. 주의 영광이 나의 것이 되게 하려면(요12:27~36)

    영광이란 어떤 것을 가리키는 것일까? '영광' 곧 헬라어로 '독사'라는 단어를 문자적으로만 본다면 그것은 "빛남, 광채"라는 의미다. 하나님은 사실 영광스러운 존재이시다. "하나님이여 주는 하늘 위에 높이 들리시며 주의 영광이 온 세계 위에 높아지기를 원...
    Date2015.12.27 By갈렙 Views1121
    Read More
  18. 예수님의 직계조상들의 신앙의 유산(마1:1~16)

    예수님의 직계조상들 중 누가 과연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을까? 마태복음 기자는 두 사람을 천거하고 있는데 한 사람은 아브라함이고, 한 사람은 다윗이다(마1:1). 한편 예수님의 조상들 중에 여자의 이름들도 언급되고 있는데, 그들은 가나안여인이었던 다말과...
    Date2015.12.20 By갈렙 Views1118
    Read More
  19. 어떻게 하면 말씀을 잘 암송할 수 있을까?(시119:97~99)_2017-09-10

    우리가 어떻게 하면 성경말씀을 좀 더 쉽게 암송할 수 있을까? 누구나 다 성경말씀을 암송한다면 그것이 유익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것은 우리가 암송하지 않는 말씀을 가지고 성령께서 우리를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지 않으실...
    Date2017.09.10 By갈렙 Views1117
    Read More
  20. 안식일 계명은 지금도 유효한가?(2)(골2:16~17, 롬14:5~6)

    오늘날 그리스도인들도 안식일을 지켜야 하는가? 그렇다고 믿고서 오늘날에 들어와서도 예수님을 믿는 자들 가운에서도 안식일을 지키는 무리들이 있다. 그러한 분파에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안식교)와 여호와닉교회와 참예수교회 등이 있다. 그렇다면 그...
    Date2015.08.30 By갈렙 Views11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