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  욥은 왜 고통을 당해야 했을까?

  우리는 욥기를 통해서 참으로 많은 질문을 하게 된다. 그 중에 하나는 욥은 왜 죄를 짓지도 아니했는데도 불구하고 고난을 당해야 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생각해 볼 것은 하나님께서는 우리 인생에 당하는 모든 일에 다 찾아오셔서 그 뜻과 의미와 계획을 설명해주어야 할 의무가 있느냐 하는 것이다. 사실 창조주께서 우리 피조물들에게 양해를 구해야 할 의무는 없는 것 같다.

 

2. 하나님은 우리 인생의 문제를 다 설명해주어야 할 의무가 있는가?

  욥에 대한 시험이 끝날 무렵에 꼭 있어야 할 내용들이 욥기서에는 왜 기록되지 않았을까?  예를 들어 보자. 먼저는 하나님 편에서 볼 때, 하나님께서는 욥에게 이렇게 말했어야 하지 않았을까 싶다. "욥아, 내가 사탄에게 너를 시험하도록 허락한 것에 대해 미안하구나. 그동안 고생이 참 많았지? 그것은 다 너를 위한 것이었으니, 나를 너그럽게 이해해 다오." 한편 욥의 편에서 볼 때에도 욥은 하나님께 이렇게 말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하나님, 내가 알지도 못하고 아는 체 말했습니다. 그동안 내가 하나님께 쏟아내었던 불평과 원망했던 죄를 다 용서해주옵소서" 그러나 하나님도 사과하지 않으셨고, 욥도 용서를 빌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문제는 깨끗히 마무리되었다. 하나님과 욥 사이에 대체 무엇이 오고간 것일까?

 

3. 욥은 진정 회개한 자였는가?

  그런데 욥기서 40장과 42장에는 욥이 무엇을 회개했는지 우리에게 그가 남긴 말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때 하나님께서는 욥에게 두 번 나타나서 말씀하셨다. 그것도 둘 다 폭풍 가운데서 말이다. 이때 하나님께서 폭풍 가운데 나타나셔서 말씀하셨다는 것은 아무래도 하나님께서 욥을 책망하시는 듯이 보인다. 그때 욥은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하신 말씀을 듣고 처음에는 이렇게 대답했다. "보소서 나는 비천하오니 무엇이라 주께 대답하리이까 손으로 내 입을 가릴 뿐이로소이다. 내가 한 번 말하였사온즉 다시는 더 대답하지 아니하겠나이다(욥40:4-5)" 그후 하나님께서는 한 번 더 욥에게 말씀하셨다. 그러자 욥은 이렇게 대답했다. 처음에는 회개한다는 말은 없었지만 두번째는 확실하게 그가 회개했음을 말해준다.

욥42:2-6 주께서는 못 하실 일이 없사오며 무슨 계획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아오니 3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는 자가 누구니이까 나는 깨닫지도 못한 일을 말하였고 스스로 알 수도 없고 헤아리기도 어려운 일을 말하였나이다 4 내가 말하겠사오니 주는 들으시고 내가 주께 묻겠사오니 주여 내게 알게 하옵소서 5 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사오나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 6 그러므로 내가 스스로 거두어들이고 티끌과 재 가운데에서 회개하나이다

  여기서 욥은 분명 회개하노라고 대답했다.

 

4. 욥은 대체 무슨 죄를 지었는가?

  우선 그가 지은 죄들을 살펴보면 그가 사탄의 시험을 받기 전까지는 죄를 짓지 아니한 듯 하다. 하지만 사탄에게 시험을 받으면서 그는 그만 죄를 짓고 말았다첫째, 그는 자기의 생일을 저주함으로 자기를 창조하신 하나님을 간접적으로 저주했기 때문이다(욥3;1). 둘째, 자기는 의로운데 하나님께서 자기를 지목하여 화살을 과녁에 쏘듯이 자기에게 엄청난 고통을 허락하신 것은 매우 부당한 것이라고 항변했기 때문이다. 그 자신의 말을 빌리지만 원망과 불평을 한 것이다. 셋째, 그는 자기는 의로운데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선하지 않는 방법으로 자신을 대하신다고 따졌기 때문이다. 아니 자기는 의로운데 하나님께서 불의하신 것이 아니냐고 대들었다. 이것이 그가 짓은 죄들이다.

 

5. 욥은 대체 무엇을 회개했던 것일까?

  하지만 욥은 하나님을 저주한 죄나 원망불평한 죄, 따지고 들었던 죄를 회개하지 않았다. 욥은 자기의 무지와 교만함을 회개했기 때문이다(욥40:4~5, 42:2~6). 결국 욥은 하나님을 만나고 나서는 자신이 지은 자범죄를 회개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죄인인 것을 회개한 것이다.

  그렇다. 사람이 죄인인지 아닌지는 하나님을 만나보면 금방 알게 되어있다. 자신이 얼마나 더럽고 추한 죄인이며, 얼마나 무식한 자였는데 용감했는지를 알게 되는 것이다. 굳이 하나님께서 죄를 죄목마다 지목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죄인은 다 아는 것이다.

 

6. 진정한 회개란 무엇인가?

  결국 사람이 회개한다는 낱낱의 자범죄를 잘못했다고 용서를 구하는 기도를 드린다기보다는 자신이 얼마나 교만했으며, 자신이 무식했는지를 고백하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이 지은 죄로 인하여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어떤 조치를 취한다 하더라도 그 댓가를 지불함이 마땅한 일인 것을 시인하는 것이다. 그 고백이 바로 "주여,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주여, 제가 회개하나이다. 나를 불쌍히 여겨주소서"라는 고백이다.

 

7. 신약성경에 나오는 진정한 회개의 사례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제 예를 들어보자. 예를 들기 전에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4복음서 가운데 누가복음서가 바로 회개복음서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누가복음에는 죄를 지었던 사람이 직접 자신이 죄인인 것을 시인하는 것들이 5회나 걸쳐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번째는 눅5장의 베드로의 회개다. 이 때 베드로는 얼핏 보기에 죄를 지은 것이 없어보인다. 그래도 직접 하나님을 만나니 즉시 그 자리에 앞으려서 이렇게 말했다. '주여, 나를 떠나소서, 왜냐하면 나는 죄인이기 때문입니다(눅5:8)" 두번째는 눅15장의 돌아온 탕자의 회개다. 이 때 돌아온 탕자는 뭐라고 회개했을까? "내가 하늘과 아버지에게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당신)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눅15:18~19)" 이 말은 무슨 뜻인가? 나는 죄인이니 무슨 처벌을 내게 내리신다고 해도 달게 받겠다는 각오이며, 심지어 그것이 자신을 아들로 받아주지 않고 품꾼(날품팔이)로 받아준다 해도 감사할 따름이라는 고백이 아닌가? 셋째로, 눅18장의 세리의 회개다. 그는 멀리 서서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쳐다보지도 못하고 다만 가슴을 치며 말했다. "하나님이여, 죄있는 나를 불쌍히 여겨주소서(눅18:13)" 여기서도 세리는 구체적으로 낱낱의 자신의 죄를 고백하지 않았다. 다만, 자신이 행한 것을 볼 때 어떤 처벌을 받아도 마땅한 죄인이니, 다만 불쌍히 여겨달라고 하는 기도였다. 넷째로, 눅19장의 삭개오의 회개다. 삭개오의 회개는 남의 것을 도둑질한 것이나 속여 빼앗은 죄를 용서해달라고 하지 않았다. 다만, 그동안 자신이 하나님 대신에 돈을 하나님처럼 알고 섬겨살았던 것을 회개하는 뜻에서 자신의 재산의 절반을 내놓겠다고 말했다(눅19:8). 다섯째로, 눅 23장의 한 편 강도의 회개다. 그는 살인죄와 강도죄를 회개하지 않았다. 자신이 지은 죄로 말미암아 자신이 지금 십자가형의 처벌을 받는 것은 마땅하지만, 예수님은 죄가 없으신 분인데 왜 이 형벌을 받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그분의 나라에 들어가실 때에 자신을 생각해달라고 요청했다. 이것이 한편 강도의 회개다.

 

8. 나오며

  그렇다. 우리는 누가복음에 나오는 5가지 회개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 사람들은 다 자기의 낱낱의 죄를 고백하여 용서해달라고 빌지 않았다. 다만, 자신이 하나님의 은총을 받기에 전혀 합당치 않은 죄인인 것을 시인했을 뿐이다. 그리고 육신을 입으신 하나님께서 직접 자신을 찾아주신 것에 몸둘 바를 몰라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다만 자신을 불쌍히 여겨달라는 것이었다. 이것이 회개의 본질이다. 이것이 참된 회개인 것이다. 회개란 입술로 자신의 죄목을 나열하고 용서해달라고 비는 것이 아니라 진정 자신이 죄인인 것을 시인하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처벌이라면 어떠한 처벌도 달게 받겠다는 마음자세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다만 자신을 불쌍히 여겨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그 사람의 지은 낱낱의 죄를 용서해주시고 그를 회복시켜주는 것이다. 그런 다음에는 자신은 용서받은 자로서 하나님께 대한 감사의 마음을 잊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다. 평생 죄용서에 받은 자답게 보답하는 자세로 살아가는 것이다. 이것이 진정 회개인 것이다. 오늘은 나는 과연 어떤 회개를 드리고 있던 사람이었나를 한 번 돌아보라. 그리고 진정한 회개를 드리는 자가 되기를 바란다.   

 

 

2017년 07월 07일

정병진목사


  1. No Image

    구원을 받으려면 귀신을 쫓아내라(막6:9~13)_2016-06-16

    사람이 구원을 받는 데에는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회개와 믿음이다(막1:15). 어떤 사람은 믿음만이라고 이야기하는 데 그것이 아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들어보라. 믿음과 더불어 회개는 필수적이다(마4:17, 눅13:3,5). 하지만 이것과 관련하여 사람이 ...
    Date2016.06.16 By갈렙 Views1171
    Read More
  2. No Image

    오순절 이후에 성령이 오신 것은 어떤 유익이 있는가?(행2:1~21)_2016-05-25

    성령님은 누구신가요? 제3위의 하나님 즉 하나님과 예수님과는 다른 별개의 하나님이 아닙니다. 또한 하나님으로서 같은 분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성령님은 독립된 세번째 개체의 영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성령님은 어떤 사역을 위...
    Date2016.06.02 By갈렙 Views1174
    Read More
  3. No Image

    순전함을 지켜오던 욥은 왜 넘어졌을까?(욥2:1~13)_2016-07-04

    욥이 사탄으로부터 1차시험을 받을 때까지만해도 그는 자신의 순전함을 지켰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또다시 욥을 추겨 세음으로 사탄으로 하여금 그를 참소하도록 이끄셨습니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는 왜 사탄으로 하여금 욥을 왜 또 참소하도록 이끄셨...
    Date2016.07.04 By갈렙 Views1188
    Read More
  4. No Image

    겟세마네동안의 기도, 과연 두 분 하나님에 대한 묘사인가?(마26:36~46)_2016-06-22

    겟세마네동산에서 기도하시는 예수님과 그 기도를 들으시는 아버지 하나님, 과연 우리는 이 묘사가 두 분 하나님에 대한 것일까요? 아니면 한 분 하나님의 기도인 것일까요? 그러나 우리는 오래전부터 이 본문에 대해 어떻게 들어왔습니까? "하나님은 성부와 ...
    Date2016.06.22 By갈렙 Views1190
    Read More
  5. No Image

    사마리아교회에 사도들이 방문해야 했던 두번째 이유(행8:14~25)

    빌립집사에 의해서 세워진 사마리아교회를 왜 사도들이 굳이 방문해야 했던 것일까요? 그 이유는 크게 2가지입니다. 한 가지는 권위와 출처 때문입니다. 사마리아에는 일찍이 귀신의 힘을 빌어 기적을 행하고 예언사역을 해 온 마술사 시몬이 있었습니다. 그는...
    Date2016.06.10 By갈렙 Views1195
    Read More
  6. No Image

    이 땅 위에서 성취되어야 할 하나님의 뜻은 무엇인가?(마6:9~10)_2016-06-14

    이 땅 위에서 성취되어야 할 하나님의 뜻은 무엇일까요? 모든 사람에게는 저마다의 소원이 있습니다. 하나님에게도 소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소원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이 땅 위에 육신을 입고 오셨던 하나님을 통해서 하나님의 소원이 무엇인지를...
    Date2016.06.15 By갈렙 Views1195
    Read More
  7. No Image

    성령님은 한 분 하나님의 영이시다(고전2:10~13)_2016-06-02

    성령님은 어떤 분이실까? 성령님은 성부 하나님과 다른 단독적인 세 번째 위이신 하나님이실까? 그런데 하나님으로서는 성부와 같은 분이실까?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성령님을 성부 하나님과는 다른 하나님으로 알고 있다. 세번째 하나님이신데, 하나님...
    Date2016.06.02 By갈렙 Views1208
    Read More
  8. No Image

    욥의 신앙 과연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욥1:1~19)_2016-06-28

    욥의 신앙, 과연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요? 우리가 욥하면 생각나는 것은 고난을 잘 견녀낸 인물이라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욥의 키워드는 '고난'이나 '인내'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인내에 그 초점이 더 맞춰져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욥이 고난을 잘 인내하...
    Date2016.06.28 By갈렙 Views1216
    Read More
  9. No Image

    회개하기 전과 회개한 후의 욥이 받은 복의 차이(욥42:7~17)_2016-07-07

    욥은 참 복을 많이 받은 사람입니다. 그런데 그가 회개하기 전과 회개한 후에 받은 복에는 엄청나게 큰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욥이 회개하기 전에 받은 복 먼저 그가 회개하기 전에 가지고 있었던 복을 살펴보겠습니다. 그가 회개하기 전에 받았던 복은 ...
    Date2016.07.07 By갈렙 Views1221
    Read More
  10. 새 영인 성령을 사람의 마음 속에 두시기로 결정하신 하나님(렘31:31~34)_2016-05-27

    오늘 아침에는 오순절이후 성령께서 역사하시는 방식에 대한 하나님의 예언기록을 통해서, 사람들 속에 들어와서 역사하시는 성령님에 대해 알아봅니다. -------------------- 제목: 새 영인 성령을 사람의 마음 속에 두시기로 결정하신 하나님(렘31:31~34) 하...
    Date2016.06.04 By갈렙 Views1235
    Read More
  11. No Image

    사마리아교회에 왜 사도들이 방문해야 했을까?(행8:14~25)_2016-06-09

    사마리아교회는 예루살렘교회에 시작된 핍박으로 인하여 흩어진 일곱집사 중의 한 사람이었던 빌립집사에 의해 세워진 교회입니다. 그런데 얼마후 사도들이 그곳으로 가서 성령받기를 위해 안수기도하여, 성령의 선물을 받게 했습니다. 그렇다면, 빌립집사가 ...
    Date2016.06.09 By갈렙 Views1242
    Read More
  12. No Image

    회개를 모르고 율법만 아는 욥의 잘못된 판단(오판)(욥33:8~18)_2016-07-05

    욥에게 불어닥친 고난은 과연 무엇 때문이었을까요? 우리는 이미 욥기서 1~2장의 기록을 통해 욥이 고난받았던 이유가 어떤 목적을 위해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특별한 사건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일종의 사탄의 시험이었습니다. 하지만 영적인 ...
    Date2016.07.05 By갈렙 Views1258
    Read More
  13. No Image

    욥의 회개를 통해서 본 죄성의 시인과 참된 회개의 상관관계(욥42:1~6)_2016-07-08

    1. 욥은 왜 고통을 당해야 했을까? 우리는 욥기를 통해서 참으로 많은 질문을 하게 된다. 그 중에 하나는 욥은 왜 죄를 짓지도 아니했는데도 불구하고 고난을 당해야 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생각해 볼 것은 하나님께서는 우리 인생에 당하는 모든 ...
    Date2016.07.08 By갈렙 Views1275
    Read More
  14. No Image

    현대 동성애자들과 구약의 사울왕의 공통점(대상10:1~14)

    현대 동성애자들과 구약의 사울왕은 어떤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어제는 미국의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게이바(남성 동성애자들의 클럽)에서 총기난사사건이 발생하여, 50명이 죽고 53명이 부상당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 ...
    Date2016.06.14 By갈렙 Views1286
    Read More
  15. No Image

    예수님이 누구시며 예수님과 하나님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비유 3가지는?(계5:1~14)_2018-06-01(금)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예수님이 누구시며 예수님과 하나님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비유 3가지는?(계5:1~14) https://youtu.be/YWD-10tusP8 1.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실까요 아니면 하나님이실까요? 그런데 둘 다가 맞습니다. 예수님은 원래 하나님이셨으나 ...
    Date2018.06.01 By갈렙 Views1299
    Read More
  16. No Image

    축사사역, 반드시 필요한 일인가?(막9:14~29)

    축사사역(귀신을 쫓는 사역), 반드시 필요한 것일까요? 그리고 축사사역은 은사받은 자나 목회자만 하는 것일까요? 먼저 우리가 알 것은 귀신들은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엄연한 영계의 법칙입니다. 만약 귀신들이 보이는 사람이 있다...
    Date2016.06.17 By갈렙 Views1304
    Read More
  17. No Image

    성령의 은사(12) 지혜의 말씀의 은사와 지식의 말씀의 은사는 무엇을 가리키는가?(고전12:8)_2020-07-02(화)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성령의 은사(12) 지혜의 말씀의 은사와 지식의 말씀의 은사는 무엇을 가리키는가?(고전12:8)_2020-07-02(화) https://youtu.be/cD3LAyTy_8w 1. 성령의 9가지 특별은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고전12:8~10) 성령의 9가지 특별은사에는 ...
    Date2020.07.02 By갈렙 Views1318
    Read More
  18. No Image

    욥은 무슨 죄를 지었으며 무엇을 회개했나?(욥42:1~9)_20160-07-01

    욥은 분명 우스 땅에 살던 이방인이었지만 하나님의 율법의 말씀을 어느 정도 알고 있었고, 그 가르침에 따라 인생을 열심히 살았던 인물입니다. 그렇다면, 욥이 지은 죄는 무엇이었을까요? 차근차근 욥기서를 읽다보면, 그가 무슨 죄를 지었는지를 알 수가 있...
    Date2016.07.01 By갈렙 Views1350
    Read More
  19. No Image

    우리 인간을 위해 배려하시는 한 분이신 하나님(마3:13~17)(부제: 예수께서 세례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 진짜 이유)

    예수께서는 죄인이 아니신데 왜 세례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셔야 했을까요? 오늘 우리는 예수께서 왜 세례를 받으셨는지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우리 인간을 위해 얼마나 배려하시는가를 살펴보고 우리도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는 사람이 되기를 바랍니다. 예수께서...
    Date2016.06.21 By갈렙 Views1353
    Read More
  20. 아론은 금송아지 우상을 만든 장본인이었는데 왜 죽지 않았나?(출32:1~14)-2018-08-07(화)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아론은 금송아지 우상을 만든 장본인이었는데 왜 죽지 않았나?(출32:1~14) https://youtu.be/Gj9Myc8yX-Y 1. 아론은 언제 어디에서 금송아지우상을 만들게 되었나요?(출19:1, 32:1~6) 2. 이스라엘백성들은 출애굽후 3개월이 지난 B.C.14...
    Date2018.08.07 By갈렙 Views13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Next
/ 93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