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님 안녕하십니까 ?
유튜브를 통해서 목사님 설교를 접한 후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부산에서 살고 있는 42세이자 두아이의 아버지입니다..
방언에 대하여 몇 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1. 귀신 방언은 어떻게 구분 하는지요 ? 제가 통화를 통해서 방언을 하면 목사님께서는 구분이 가능 하신지요 ?2. 방언은 재수시절 교회에서 방언에 대하여 사모 한다고 하여 목사님의 안수를 받은 후 1주일 지나서 학원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중에 갑자기 혀가 꼬이면서 시작 되었었습니다.
최근에 유기성 목사님 설교를 듣던 중 설교 내용 중 방언을 1시간 이상 하면 영이 강해지고 유익이 있을 것이라고 하여 하루에 1시간 이상 할려고 지금 집에서 열심히 훈련 아닌 훈련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손기철 장로님도 이렇게 성령의 인도함을 받는 기도를 가능하면 크고 속의 것을 끄집어 내듯이 하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목사님도 같은 의견 이신가요 ? 3. 방언에 대하여 목사님 설교를 듣다 보면 반드시 회개 기도는 기도자가 알아 듣는 한국어로 하라고 하셔서 나름 하고 있는데, 항상 이렇게 의식하며 기도를 해야 되는지요 ?
바쁘신 목사님 붙잡고 질문을 드린 것 같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바쁘시더라도 한 번 목사님의 명쾌한 답을 부탁합니다
#방언 #방언기도 #귀신방언 #영분별 #방언분별 #회개기도 #방언훈련 #신앙상담 #성령의은사 #유기성목사 #손기철장로
다만,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로 기도하는 일반적인 기도와 방언기도의 비중을 어떻게 맞추어 나가느냐 하는 것이 문제인데요, 그때에는 먼저는 자신의 말로서 충분히 기도한 다음 그리고 더이상 간구할 기도제목이 생각나지 않을 때에 방언기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방언기도를 시작했는데, 방언으로 기도하다가도 또 기도할 제목이 생각나게 되면 기도제목을 가지고 일반적인 기도를 하시고, 그리고 또 방언기도를 하시시 바랍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것은 방언기도는 내 영이 드리는 기도이기는 하지만, 정말 내 영이 드리는 기도 뿐이므로 그것으로 인하여 자신이 천국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불신자들도 자기 안에 영이 있기에 그 영으로 어떤 말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영혼이나 삶은 자신의 영이 말하는 소원대로 되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사실니다. 그것이 정말 소원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과 의지를 사용하여, 그것을 입술로 고백하며 드리는 기도가 항상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내 영이 드리는 기도 곧 방언기도를 번갈아가시면서 하시기 바랍니다.
셋째, 회개기도는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기도하라고 하라는 것에 대한 질문인데요. 좋은 질문입니다. 그것은 방금 위에서 잠깐 설명을 했습니다만, 방언기도는 만능기도가 아닙니다. 그것으로 회개를 대신할 수 없으며, 그것으로 천국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사실 기도할 때에는 제일 처음으로 해야 할 일은 하나님께 대한 감사와 찬양입니다. 그 다음에 자신의 죄를 고백하여 용서를 비는 회개기도를 해야 합니다. 이것은 반드시 자신이 알아듣는 자신의 언어로 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회개에 대한 용서와 구원은 우리의 마음의 신앙고백으로 얻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알아듣지도 못하는 방언기도에 맨날 빠져있어서 그것만 계속 기도하고 있으면 안 됩니다. 우선적으로 회개기도를 드리고 이어서 우리의 필요를 간구하는 기도를 먼저 드려야 합니다. 간구하는 기도에는 대부분 나라와 민족을 위하는 기도, 자신의 지역을 위하는 기도, 자신의 교회를 위한 기도, 자신의 가정을 위하는 기도, 이웃과 친구의 전도를 위한 기도일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자신과 자신의 영혼을 위하는 기도를 드릴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도들은 전부 다 분명히 자신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한국말)로 기도해야 합니다. 영으로 드리는 기도는 영이 강건해지게 하므로 귀신과의 싸움에 조금은 유익이 되지만, 우리가 회개기도를 드리거나 나의 필요를 얻는 데에는 별로 소용이 안 됩니다. 그러므로 조금 귀찮거나 힘드시더라도 반드시 우리말로 회개기도와 자신의 간구의 기도를 드리시기 바랍니다. 그리고나서 더 이상 기도할 것이 생각나지 않을 때에 방언기도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는 방언기도부터 먼저 터쳐 나오는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에는 방언기도를 굳이 막지는 마시고 방언기도를 한 다음에 이어서 우리말로 드리는 기도를 드리셔도 되겠습니다. 성령께서 무슨 급한 일로 기도를 하게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되도록이면 우리말로 드리는 기도를 먼저 드리고 그리고 나서 방언기도를 드리시기 바랍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방언기도는 내 기도를 보안하는 기도이며, 내 영을 강건하게 준비시켜주는 기도라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말로 기도하는 것은 하나도 하지 않고 오로지 방언기도 계속 하는 것은 결코 좋은 기도가 아닙니다. 만약 방언기도가 그렇게 좋은 것이라고 한다면, 왜 예수님께서는 방언기도를 지속하라는 말씀을 하지 않았겠습니까? 그리고 믿는 자에게 방언기도를 다 할 수 있도록 방언의 은사를 주시지 방언기도를 사모하는 자에게만 따르는 표적으로 방언을 주셨겠습니까? 그리고 사도바울도 고전 12장에서 "다 방언 말하는 자겠느냐?"고 언급했겠습니까? 방언을 못한다고 해서 천국에 못 들어가는 것은 아닙니다. 천국은 오직 회개하고 믿음으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막1:15).
그렇지만 방언은 유익합니다. 내 영이 비밀을 하나님께만 말하는 기도이기 때문에 귀신도 알아들을 수 없는 기도를 드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반기도에 보완하여 계속해서 오랫동안 기도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내 영이 강건해지게 하여 귀신들과의 싸움에서도 상당히 유익을 얻게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다른 모든 은사의 첫출발의 은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방언은사를 하기 시작했다면 다른 은사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방언의 은사를 받은 적이 없는 자가 다른 은사를 받을 수는 없다는 것이 거의 정설입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하구요.
결론입니다.
하루에 1시간씩 드리는 방언기도, 할 수 있으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먼저 회개기도와 간구하는 기도를 드린 다음에 번갈아가면서 보완기도로서 방언기도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정말 영에 매우 유익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내가 섬기는 교회가 방언기도를 못하게 하거나 방언기도를 드리는 것이 이상하게여겨지는 곳이라면 방언기도를 너무 큰 소리로 하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큰 소리로 기도해도 옆사람이 알아듣기 어려운 장소라면 무난하게 방언기도를 하셔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2017.01.11(수)
동탄명성교회 정보배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