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CvLBJBeMl8?si=q5TgONrb1LqSWLAu
이 영상은 신학자들이 요한복음 5장 7절과 8절(요한의 콤마), 즉 삼위일체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구절이 어떻게 성경에 추가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설명을 제공합니다. 16세기 학자인 에라스무스가 그리스어 신약성서 초판을 제작했을 때, 그는 자신이 가진 몇 안 되는 후기 사본들을 근거로 이 구절을 제외했지만, 이로 인해 신학자들의 격렬한 반발을 샀습니다. 결국 에라스무스는 반대자들이 위조된 그리스어 사본을 제작하여 제시하자, 약속대로 이 구절을 자신의 후속 판본에 포함시켰으며, 이 판본은 킹 제임스 성경을 포함한 초기 영어 번역본들의 기초가 된 **공인 본문(Textus Receptus)**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가장 오래되고 우수한 그리스어 사본들에는 없지만, 역사적 우연과 후대 제작된 사본의 영향으로 수세기 동안 성경에 포함되어 온 것으로 결론지어집니다.
i want to tell you the fascinating story about when the trinity verse was added to the bible and this is a very well documented historical fact and for our guide i want to quote from whose word is it the story behind who changed the new testament and why by professor bart ehrman who is an expert on textual criticism on biblical manuscripts and uh he tells us this story which i would want to share with you now we need to go back in time to the 16th century and we need to look at a guy called erasmus erasmus was an enterprising scholar from holland a dutch scholar who produced the very first printed edition of the greek new testament now the new testament itself was written in greek in the centuries afterwards it got translated into latin and the church tends to use the latin translation so erasmus produced a text in the original greek which we which he hoped would be a critical scholarly addition and this is called the first published edition now for the most part uh by ehrman says he relied on a handful of late medieval manuscripts in fact on just one twelfth century manuscript of the gospels and another also from the 12th century for the book of acts and the epistles and as we shall see he says it's this edition that he produced of the greek new testament that was used by the later translators of the king james bible a century later and virtually all translation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um and he tells a very interesting story then about this trinity verse and he says indeed as it turns out these manuscripts that erasmus used were not of the best quality they were after all produced some eleven hundred years after the originals for example the main manuscript that erasmus used for the gospels contained both the story of the woman taken in adultery in john's gospel and the last verses in mark's gospel which tell the story of the resurrection in the earliest gospel passages that did not originally form part of the gospels as we learned in the preceding chapter and he rightly shows that the earliest manuscripts the codex sinaiticus for example does not contain any resurrection appearances in the earliest gospel in the new testament the gospel of mark there was one key passage of scripture that erasmus sources manuscripts did not contain however this is the account of 1 john 5 verse 7 and 8. and this is the first letter of john in the new testament chapter 5 verses 7 to 8 which scholars have called the johannine comma the johannine comment johanna means john and the comma is just these sentences now they are found in the manuscripts of the latin vulgate so these are the later translations made into latin as i said before but not in the vast majority of greek manuscripts a passage that has long been a favorite among christian theologians of course since it's the only passage in the entire bible that explicitly delineate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nd that there are three persons in the godhead but that these three all constitute just one god so in the uh the vulgate which is found in our king james version i just want to read the passage so this is the uh the king james version the holy bible it says for there are three that bear witness in heaven the father the word and the holy spirit and these three are one and these are three that bear witness on earth the spirit the water and the blood and these three agree as one so this is from the king james version and bart ehrman says this is a mysterious passage but unequivocal in its support of the traditional teachings of the church on the triune god who is one without this verse the doctrine of the trinity must be inferred from a range of passages combined together to show that christ is god as is the spirit and the father and that there is nonetheless only one god this passage in contrast states the doctrine directly and succinctly but erasmus did not find it in his greek manuscripts now this is the this is the point he used the best manuscripts that he had around in his city which were actually not very good manuscripts by our standards today the greek manuscripts that he read simply said there are three that bear witness the spirit the water and the blood and these three are one so where did the father the word and the spirit go they were not in erasmus primary manuscript or in any of the others that he consulted and so naturally he left them out of his first edition of the greek text as a good scholar would do because there's no evidence that this verse is in the greek manuscripts more than anything else it is this this leaving out of this verse that outraged christian theologians of his day who accused erasmus of tampering with the text in an attempt to eliminate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nd to devalue its corollary the doctrine of the full divinity of christ as the story goes erasmus possibly in an unguarded moment agreed that he would insert the verse in a future edition of his greek new testament on one condition that his opponents produce a greek manuscript in which the verse could be found finding it in latin manuscripts was not enough there were late medieval manuscripts that had it and so a greek manuscript was produced in fact it was produced for the occasion it appears that someone copied out the greek text of the epistles and when he came to the passage in question he translated the latin greek latin text into greek giving the johannine comma in its familiar theologically useful form the manuscript provided to erasmus in other words was a 16th century production made to order so erasmus demanded i want to see this in a greek manuscript his opponents say okay and they went away and they made one literally made one up in the 16th century in erasmus day roti out included the verse the johannine comma about the trinity stuck it in and gave it to him so there you are there's your greek manuscript go ahead and produce your uh your good critical scholarly text despite his misgivings erasmus was true to his word and included the johannine comma this is the trinity verse in his next edition and in all his subsequent editions these editions as i've already noted became the basis for the editions of the greek new testament that were later reproduced time and time again by translators over the centuries these editions provided the form of the text that the translators of the king james bible eventually used and so familiar passages to readers of the english bible from the king james in 1611 onward up to modern editions in the 20th century include the woman taken in adultery the last 12 verses of mark which mentioned the resurrection and the jahanine comma even though none of these passages can be found in the oldest and superior greek new testament manuscripts they entered into the english stream of consciousness merely by a chance of history based on manuscripts that erasmus happened just happened to have handy to him and one that was manufactured for his benefit the various greek editions of the 16th and 17th century were so much alike that eventually printers could claim that they were the text that was universally accepted by all scholars and readers of the greek new testament as indeed they were since there were no competitors the most quoted claim is found in addition produced in 1633 by abraham and bonaventure elsia who were uncle and nephew in which they told their readers in words that have become famous since among scholars that you now have the text that is received by all in which we have given nothing changed or corrupted the phrasing of this line especially the words text that is received by all provides us with the common phrase textus receptors or abbreviated as tr this is what it's known as today the textures receptors a term used by textual critics to refer to that form of the greek text that is based not on the oldest or the best manuscripts but on the form of the text published by erasmus and handed down to printers for more than 300 years until textual scholars recently began insisting that the greek new testament should be based on scientific principles on based on our oldest and best manuscripts not simply reprinted again and again according to custom it was the inferior textual form of the textus receptus that stood at the base of the earliest english translations including the king james bible and other edition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o there we have the story of the textus receptus which is still venerated by fundamentalist christians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the king james version only movement say this is the pure unadulterated word of god but of course it's based on late medieval manuscripts we have manuscripts now that go back even to the fourth century a.d the codex santiaticus famously which of course does not have the johannine comet it doesn't have the story that women caught in adultery it doesn't have uh the resurrection appearances in the earliest gospel and there's a whole bunch of other things which i won't go into as well so this is the story of how the famous trinity verse which openly explicitly states that god is three persons in one is in fact a verse a fake verse added in later by scribes it was probably a a marginal note on annotation at the bottom and it got incorporated into the text that's one theory anyway but it's not part of the original greek manuscript and this is very difficult for uh for christians to accept because it means their most solid witness for the trinity has been taken away and they have to now uh construct the doctrine out of a complicated like a christmas tree all mangled up together to try and create this doctrine out of different texts in different places and that is very unpersuasive to most people certainly to me anyway but even though we most modern translations now do not contain the text the what the johanna and comma i mean for example in my preferred version the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does not have the trinity verse because this is a good critical edition the new the new uh king james version this is it here so this so they know the facts but they still have the verse in it it's still in i've highlighted it in yellow for these are three that bear witness in heaven the father the word and the holy spirit and these three are one even though we know that it's not in any of the early greek manuscripts and it wasn't there in the original bible they still insist on keeping it in the bible some people may say that this is a fraud and it lacks integrity that they're still trying to pass this off as god's word when they know for well it's not so um i found that a very interesting story i hope you found it interesting too until next time.
저는 삼위일체 구절이 성경에 추가되었을 때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드리고 싶습니다.
이것은 매우 잘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며, 저희 가이드를 위해 신약성서를 누가 왜 바꾸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누구의 말에서 인용하고 싶습니다. 성경 사본에 대한 본문 비평 전문가인 바트 에르만 교수가 우리에게 들려준 이야기입니다. 저는 지금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은 이야기입니다.
16세기로 돌아가서 에라스무스라는 사람을 살펴봐야 합니다. 에라스무스는 네덜란드 출신의 진취적인 학자였습니다. 그는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최초의 인쇄판을 만들었습니다. 신약성서 자체는 그 후 수 세기 동안 그리스어로 기록되었고 라틴어로 번역되었으며 교회는 라틴어 번역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에라스무스는 원래 그리스어로 된 본문을 만들었습니다. 그는 이것이 비평적인 학문적 추가물이 되기를 바랐고 이것이 초판이라고 불립니다.
에르만은 대부분 중세 후기의 소수의 사본에 의존했다고 말합니다. 사실 복음서의 12세기 사본 하나와 사도행전과 서신서의 12세기 사본 하나가 있는데, 우리가 볼 수 있듯이 그는 이 판본으로 헬라어 신약성경을 만들어냈고, 이 사본은 1세기 후에 킹 제임스 성경의 번역가들이 사용했으며 19세기 말까지 거의 모든 번역본에 사용되었습니다.
그는 이 삼위일체 구절에 대해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를 합니다. 그는 에라스무스가 사용한 이 사본들이 최상의 품질이 아니었던 것으로 밝혀졌고, 결국 원본보다 약 1,100년 후에 만들어졌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에라스무스가 복음서에 사용한 주요 사본에는 요한 복음의 간음한 여인 이야기와 마가 복음의 마지막 구절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데, 이 구절들은 이전 장에서 배웠듯이 원래 복음서의 일부가 아니었던 가장 초기 복음서 구절에서 부활 이야기를 전합니다. 그는 가장 초기 사본인 시나이 사본에는 부활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다는 것을 올바르게 보여줍니다.
신약성서의 가장 초기 복음서인 마가복음에는 에라스무스 사본에는 없는 중요한 성경 구절이 하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요한일서 5장 7절과 8절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신약성서의 요한의 첫째 편지 5장 7절에서 8절입니다. 학자들은 이것을 요한 쉼표라고 부릅니다. 요한 주석 요한은 요한을 의미하고 쉼표는 바로 이 문장들입니다. 이제 이것들은 라틴어 불가타 사본에서 발견되므로 앞서 말했듯이 이것들은 라틴어로 번역된 후기 번역본이지만 대다수의 그리스어 사본에는 없습니다.
이 구절은 오랫동안 기독교 신학자들 사이에서 선호되어 왔습니다. 물론 이것은 성경 전체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명확하게 묘사하고 신격에는 세 인격이 있지만 이 세 인격이 모두 하나의 신을 구성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유일한 구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킹 제임스 버전에서 발견되는 불가타에서 저는 그냥 이 구절을 읽고 싶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킹 제임스 버전입니다. 버전 성경은 하늘에 증거하는 이가 셋 있으니 곧 아버지와 말씀과 성령이시요 이 셋은 하나이시며 땅에 증거하는 이가 셋이니 영과 물과 피라 이 셋은 하나로 합하여졌으니 이것은 킹 제임스 버전에서 나온 것이고 바트 에르만은 이것이 신비한 구절이지만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을 명백히 뒷받침한다고 말합니다. 이 구절 없이는 삼위일체 교리는 그리스도가 영과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이시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오직 한 분뿐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결합된 다양한 구절에서 추론해야 합니다. 대조적으로 이 구절은 교리를 직접적이고 간결하게 진술하지만 에라스무스는 그의 그리스어 사본에서 그것을 찾지 못했습니다. 지금 이것이 요점입니다. 그는 자신의 도시에 있는 최고의 사본을 사용했는데, 오늘날 우리의 기준으로는 실제로 그다지 좋지 않은 사본입니다. 그가 읽은 그리스어 사본은 단순히 영을 증거하는 이가 셋 있으니 물과 피라 이 셋은 하나이니 아버지, 말씀, 성령은 어디로 갔습니까? 이 구절은 에라스무스의 기본 사본이나 그가 참조한 다른 사본에는 없었으므로 당연히 그는 훌륭한 학자가 할 것처럼 그리스어 본문의 첫 번째 판에서 이 구절을 제외했습니다. 이 구절이 다른 어떤 것보다 그리스어 사본에 더 많이 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 구절을 생략한 것이 당시의 기독교 신학자들을 분노하게 했습니다. 그들은 에라스무스가 삼위일체 교리를 없애고 그에 따른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 교리를 평가절하하려고 본문을 조작했다고 비난했습니다. 에라스무스는 아마도 경계하지 않은 순간에 반대자들이 제시하는 한 가지 조건 하에 그리스어 신약의 미래 판에 이 구절을 삽입하기로 동의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당연히 훌륭한 학자가 할 것처럼 그리스어 본문의 첫 번째 판에서 이 구절을 빼버렸습니다.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이 구절이 그리스어 사본에 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입니다.이 구절을 빼버린 것이 당시의 기독교 신학자들을 분노하게 했는데, 그들은 에라스무스가 삼위일체 교리를 없애고 그에 따르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 교리를 평가절하하려 시도하면서 본문을 조작했다고 비난했습니다.이야기에 따르면의 에라스무스는 아마도 경계하지 않은 순간에 반대자들이 이 구절을 찾을 수 있는 그리스어 사본을 제출한다는 조건 하에 그리스어 신약의 미래 판에 이 구절을 삽입하기로 동의했을 것입니다.라틴어 사본에서 이 구절을 찾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습니다.이 구절이 있는 후기 중세 사본이 있었기 때문에 그리스어 사본이 만들어졌습니다.사실 그것은 그 경우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누군가가 서신의 그리스어 본문을 베껴 쓴 것 같고 문제의 구절에 도달했을 때 그는 라틴어 그리스어 라틴어 본문을 그리스어로 번역하여 요한 복음을 썼습니다. 쉼표는 친숙한 신학적으로 유용한 형태로 에라스무스에게 제공된 원고는 다른 말로 하면 16세기에 주문 제작한 것이었기 때문에 에라스무스는 이것을 그리스어 원고에서 보고 싶다고 요구했고 그의 반대자들은 알았다고 했고 그들은 떠나서 문자 그대로 하나를 만들었습니다. 16세기에 에라스무스 시대에 로티에 삼위일체에 대한 요한 쉼표 구절을 포함시켰습니다. 그것을 꽂아 그에게 주었습니다. 그래서 거기에 당신의 그리스어 원고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당신의 훌륭한 비평적 학술 텍스트를 만들어 보세요. 그의 의심에도 불구하고 에라스무스는 그의 약속을 지켰고 요한 쉼표가 그의 다음 판과 그의 모든 후속 판에서 삼위일체 구절입니다. 이미 언급했듯이 이러한 판은 나중에 수세기 동안 번역가들에 의해 계속해서 재생산된 그리스어 신약 성경의 판본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판본은 결국 킹 제임스 성경의 번역자들이 사용한 텍스트 형식을 제공했으며 킹 제임스에서 영어 성경 독자들에게 매우 친숙한 구절입니다.
1611년부터 20세기 현대판까지 간음한 여인, 부활을 언급한 마가복음의 마지막 12절, 자하니네 쉼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절들은 가장 오래되고 우수한 그리스 신약 사본에서 찾을 수 없지만, 에라스무스가 우연히 가지고 있던 사본과 그의 이익을 위해 제작된 사본을 기반으로 한 역사의 우연에 의해 영어 의식의 흐름에 들어갔습니다.
16세기와 17세기의 다양한 그리스어 판은 너무나 비슷해서 결국 인쇄업자들은 그리스 신약의 모든 학자와 독자가 보편적으로 수용한 텍스트라고 주장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경쟁자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가장 많이 인용된 주장은 1633년에 아브라함과 보나벤투라 엘시아가 삼촌과 조카로 독자들에게 유명해진 말로 독자들에게 말했습니다. 이 줄의 구문, 특히 모든 사람이 받는 텍스트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일반적인 문구인 textus receptors 또는 tr로 약칭되는 것을 제공합니다. 이것은 오늘날 텍스터스 리셉투스로 알려져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텍스트 비평가들이 가장 오래되거나 가장 좋은 사본이 아닌 에라스무스가 출판하고 300년 이상 인쇄업자에게 전해진 텍스트 형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최근에 텍스트 학자들이 그리스어 신약 성경이 관습에 따라 단순히 반복해서 재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오래되고 가장 좋은 사본을 기반으로 과학적 원리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할 때까지 인쇄업자에게 전해졌습니다.
19세기 말까지 킹 제임스 성경과 다른 판을 포함한 가장 초기 영어 번역의 기초가 된 것은 textus receptus의 열등한 텍스트 형식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여전히 근본주의 기독교인, 특히 미국에서 존경받는 textus receptus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킹 제임스 버전 유일한 운동은 이것이 순수하고 변질되지 않은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말합니다. 물론 그것은 중세 후기 사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는 지금 서기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본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명한 산티아티쿠스 사본에는 물론 요한 혜성이 없고, 간통죄로 잡힌 여성에 대한 이야기도 없고, 가장 초기 복음서에 나오는 부활의 모습도 없으며, 제가 다루지 않을 다른 많은 것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한 분 안에 세 인격이라고 공개적으로 명시적으로 말하는 유명한 삼위일체 구절이 실제로는 구절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나중에 서기관들이 추가한 가짜 구절입니다. 아마도 하단 주석의 여백 주석이었을 것이고, 그것이 텍스트에 통합되었을 것입니다. 어쨌든 하나의 이론이지만 원래 그리스어의 일부가 아닙니다.아마도 하단 주석에 있는 여백 주석이었을 것이고 그것이 본문에 통합되었을 것입니다. 어쨌든 그것은 하나의 이론이지만 그것은 원래 그리스어 사본의 일부가 아니며 이것은 기독교인들이 받아들이기 매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삼위일체에 대한 가장 확실한 증거가 제거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들은 이제 크리스마스 트리처럼 복잡하게 엉켜진 교리를 구성하여 다른 곳의 다른 본문에서 이 교리를 만들려고 시도해야 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설득력이 없습니다. 적어도 저에게는 그렇습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현대 번역본에는 요한복음과 쉼표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가 선호하는 버전에는 삼위일체 구절이 없습니다. 이것은 좋은 비평판이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킹 제임스 버전은 여기에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그들이 사실을 알도록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그 구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노란색으로 강조했습니다. 이것은 하늘에서 증거하는 셋, 즉 아버지, 말씀, 성령이며 이 셋은 하나입니다. 비록 우리가 그것을 알고 있지만 그것은 초기 그리스어 사본 어디에도 없고 원래 성경에도 없었습니다. 그들은 여전히 그것을 성경에 보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사기이고 정직성이 부족하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그것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여전히 이것을 신의 말씀으로 내세우려고 합니다. 음, 저는 그것이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라고 생각했습니다. 여러분도 흥미롭게 읽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 또 만나요.
#삼위일체 #요한의콤마 #성경 #신학 #에라스무스 #공인본문 #텍스투스레셉투스 #킹제임스성경 #성경번역 #본문비평 #성경비평 #기독교 #바트에르만 #요한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