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공지

칼빈의예정론과바른구원관

칼빈의예정론과바른구원관
조회 수 15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30525_234306.jpg

"칼뱅은 이단 학살을 주도했다" (제네바 신정통치 사역의 오류)
2015.11.11 12:21:09
신성남 [email protected]
 


그 동안 칼뱅의 이단 학살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다. 그리고 이런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칼뱅의 무고를 지지하는 신학자들이 펼치던 대표적인 논리가 있다.

우선 '카스텔로(Sebastian Castellio, 1515-1563)'나 '슈테판 츠바이크(Stefan Zweig, 1881-1942)' 등 '반칼뱅적 저서'들은 모두 믿을 수 없는 책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칼뱅은 사람들을 학살할 만한 정치적 권력이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매우 궁색한 변명에 불과하다.

카스텔로는 무명인이 아니다. 그는 칼뱅의 동료로서 제네바 신학교의 교장이었으며 당대에 이미 베스트셀러 책을 내기도 한 유명한 신학자이다. 따라서 칼뱅에 대한 글을 허위 조작하여 '공상소설'을 쓸 정도로 몰지각한 사람이라고 일방적으로 매도할 근거가 없다. 백보 양보하여 그가 신학 이론이나 논조에 있어서는 적대적이고 감정적으로 서술할 수는 있겠으나, 칼뱅의 폭력과 관련한 여러 사실(Fact)들을 실명까지 동원하며 전체 내용을 소설처럼 조작했다고 '단정'하는 것은 오히려 그게 더 무리한 주장이다.

츠바이크 역시 수십 권의 책을 쓴 유명 작가로 그렇게 무책임하고 몰상식한 사람이 결코 아니다. 더구나 칼뱅에 대한 서술 내용이 한두 개가 아니고 아주 구체적으로 많은데 그것을 모두 일방적으로 무시하는 것이 더 몰상식하다. 다른 자료들도 마찬가지이다. 특정 사안에 관련된 책들에 대해 그렇게 "모 아니면, 도"로 묵살하는 것은 옳지 않다.

더구나 당시 제네바에는 분명히 가톨릭의 이단심문소와 유사한 '종교재판국(종교법원 또는 장로치리회)'이 설치 되어 있었고, 그들의 행위는 온 유럽에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같은 기간 제네바 외에 스위스의 다른 도시들에서도 수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방법으로 죽었다. 그런데 근 25년간 그곳의 실제적 지도자였던 칼뱅이 그런 마녀사냥 재판과 만행에 별로 책임이 없다고 주장한다면, 아마 제네바 시의 강아지들도 비웃을 것이다.

칼뱅은 분명히 이단 학살의 반대자가 아니었고, 방관자나 동조자는 더욱 아니었다. 그는 이단 학살을 주도했다. 이는 필자의 개인적 주장이 아니다. 그런 사실을 직접 확인하여 주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바로 칼뱅 자신의 발언이기 때문이다.

칼뱅은 자신을 반대하던 학자 '세르베투스'가 화형을 당한 다음 해에 자기 신학을 방어하기 위해 '정통신앙옹호론'이란 책을 썼다. 원전의 제목은 'Defensio orthodoxae fidei in Calvini ' 또는 'Defensio'라고 되어 있다. 필자는 원문을 해독할 능력이 없기에 대신 그 책 속에 있는 칼뱅의 발언을 직접 인용한 다른 영문 자료를 여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칼뱅은 '이단 처형'에 대해 방어했다. 칼뱅은 1554년 발간한 '정통신앙옹호론'에서 그를 영원히 더럽힐 만한 소름끼치는 발언을 했다.

"많은 사람들은 내가 파괴한 사람을 내가 '다시' 죽이고 싶어하는 잔학성에 대해 나를 비난하고 있다. 나는 그들의 말에 관심이 없을 뿐만이 아니라, 나는 그들이 내 얼굴에 침을 뱉는 사실에 기뻐한다."

Calvin now defended 'death to heretics'. In a horrifying quote that forever will tarnish Calvin, he wrote in 'Defensio' of 1554:

"Many people have accused me of such ferocious cruelty that I would like to kill 'again' the man I have destroyed. Not only am I indifferent to their comments, but I rejoice in the fact that they spit in my face. (출처1: T.H. Dyer, "The Life of John Calvin", Harper 1855, citing 'Defensio' Calvini Opera Vol.8, at 516.A. / 출처2: Stanford Rives, "Did Calvin Murder Servetus?", p87-88, 2008.)

이를 보면, 칼뱅이 이단을 학살할 의지나 책임이 없었다는 일부의 주장은 지극히 일방적이고 애절한 희망일 뿐임을 잘 알 수 있다.

게다가 칼뱅은 노골적으로 포악한 말을 했다. "우리는 개들의 입을 막고, 사람들이 즐겁게 말하도록 그냥 놔둘 것인가? 칼뱅은 '아니다'라고 했다. 우리는 잔인해져야 하고, "인간적 애정을 모두 발꿈치 아래에 부셔야 한다."고 말했다.

Calvin similarily spoke with blatant viciouseness: "But we muzzle dogs, and shall we leave men free to open their mouths as they please?" Calvin said no, and we must be cruel, and "crush beneath our heel all affections of nature."(출처: Reynolds, et al, Religious Liberty in Western Thought, p111-12, 1996.)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할까. 칼뱅의 이단 학살은 우발적인 것도 아니었고, 결코 부득이한 것도 아니었다. 1542년 2월 16일자 당시 종교법원의 회의록이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다. 그 내용을 보면 이렇다.

"한 여인은 카톨릭의 책 「성자들의 생애」라는 책자를 소지하고 있다가 적발되어서 출두했고 어느 이발사는 사제에게 삭발식을 해 주었다고 고소되었다. 어느 금속공은 미사에 쓸 잔을 만들어 주었다고 적발되었고 어떤 이는 교황을 좋은 사람이라고 했다가 적발되었으며 이러한 사소한 것들까지도 모두 재판을 하였다."(출처: 정수영, '새교회사', 1991)

이런 사소한 것들까지 기소되었으니 당시 제네바의 교회가 얼마나 신정정치, 탄압정치, 그리고 공포정치를 행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만일 오늘날 교회의 당회나 노회가 이런 종류의 심사를 했다면, 아마 미쳤다는 소리를 들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종교적 폭력을 당시의 '시대적 상황'으로 변명하지는 말기 바란다. 만일 누구라도 "그게 그 시대에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핑계를 댄다면, 역으로 그런 옹색한 변명은 그 시대 제네바에서는 다른 학살들도 얼마든지 가능했다는 보다 강력한 증거가 될 뿐이다.

아무튼 필자는 카스텔로나 츠바이크가 얼마나 진실을 기록했는지 정확히 모른다. 그러나 그들을 마치 동네 건달이라도 되는 것처럼 일방적으로 매도하고, 따라서 그들의 책은 '사료'에서 반드시 제외되어야 한다는 주장에는 결단코 동의할 수 없다.

제네바 교회는 영혼이 자유로웠던 한 신학자 세르베투스를 억울하게 죽게한 것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큰 죄를 지었다. 그런데 그런 억울한 목록에 굳이 카스텔로와 츠바이크까지 추가할 권리는 우리에게 없다고 본다.

따라서 카스텔로와 츠바이크의 입을 막지 말고 그들이 계속 말하도록 놔두자는 것이다. 그리고 조찬선 교수나 정수영 교수나 심상용 목사의 견해도 경청하자는 것이다. 서로 시각이 다른 다양한 자료와 함께 그들의 말도 중시하며 종교개혁사를 더욱 깊히 연구하고 검증하자는 것이다.

다만 칼뱅 사역의 오류를 여기에 지적했다고 해서 그의 신학을 전체적으로 폄하하는 것은 이 글의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 필자는 칼뱅의 신학을 지지하는 개혁주의 신앙의 품에서 장성했다. 지금까지도 가장 아끼는 책 중에 하나가 칼뱅의 '기독교강요'이고 아브라함 카이퍼의 'Lectures on Calvinism'이다. 그래서 사실 이 글을 쓰는 심정은 슬프고 아프기만 하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장로교단의 문제만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다른 모든 교단들도 마찬가지로 조심해야 한다. 앞으로 자기 신학에 너무 자만하지 말고 늘 자신을 살피며 그 사역에 있어서 늘 겸허하게 처신해야함이 마땅할 것이다.

"Soli Deo Gloria!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신성남 / 집사·<어쩔까나 한국교회> 저자


Copyright ⓒnewsm.com all rights reserved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604


  1. 믿음은 가졌으나 결국 구원받을 수 없게 만드는 잘못된 8가지 가르침들(히3:7~4:1)_2019-01-09(수)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믿음은 가졌으나 결국 구원받을 수 없게 만드는 잘못된 8가지 가르침들(히3:7~4:1) https://youtu.be/_sjpZWCplPo 1. 주님이 다시 오실 때가 가까울수록 성도들은 무엇을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인가요?(마24:11,24, 계13:1~18) 2. 주님...
    Date2019.01.24 By갈렙 Views974
    Read More
  2. 예수믿으면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죄를 다 용서받는가?(행3:19)_2018-10-21

    사람은 자신이 지은 죄를 어떻게 할 때에 용서받을 수 있는가? 예수님만 믿고 있으면 그것으로 다 용서되는 것인가? 아니 예수님을 믿을 때에 그때에 과거의 죄와 현재의 죄와 미래의 죄까지 다 용서받은 상태에 놓이게 되는가? 많은 이들은 그렇게 생각할 것...
    Date2019.01.24 By갈렙 Views1430
    Read More
  3. [퍼옴]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_미국 사랑과 진리교회 벤자민 오목사

    1.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01) 2.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02) 3.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03)
    Date2018.12.06 By갈렙 Views785
    Read More
  4. [퍼옴] 칭의론에 대한 한국최고 신학박사 토론, 김영한·최덕성박사, ‘김세윤 칭의론’ 놓고 대담.

    칭의론에 대한 한국최고 신학박사 토론, 김영한·최덕성박사, ‘김세윤 칭의론’ 놓고 대담. 이대웅 기자 입력 : 2016.06.08 09:45 “현재적 단계로 본다면 오해의 소지” “구원 확신과 전도 열정 앗아가” 리포르만다 칭의론 대화 기독교사상연구원 리포르만다 제5...
    Date2018.10.13 By갈렙 Views761
    Read More
  5. [퍼옴] [김영한 칼럼] 성화 없는 칭의는 죄인의 칭의 아닌 죄의 칭의 (III)

    [김영한 칼럼] 성화 없는 칭의는 죄인의 칭의 아닌 죄의 칭의 (III) 입력 : 2016.06.09 14:11 More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대한 역동적 이해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 샬롬나비 상임대표, 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 설립원장). IX. 칭의론 논쟁이 오늘날 한...
    Date2018.10.13 By갈렙 Views618
    Read More
  6. [퍼옴] [김영한 칼럼] 성화 없는 칭의는 죄인의 칭의 아닌 죄의 칭의 (II)

    [김영한 칼럼] 성화 없는 칭의는 죄인의 칭의 아닌 죄의 칭의 (II) 기독일보 편집부 기자 ([email protected]) 입력 2016. 05. 23 03:15 | 수정 2016. 05. 23 03:15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대한 역동적 이해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장·샬롬나비 상임대표·숭실...
    Date2018.10.13 By갈렙 Views604
    Read More
  7. [퍼옴] [김영한 칼럼] 성화 없는 칭의는 죄인의 칭의 아닌 죄의 칭의 (I)

    [김영한 칼럼] 성화 없는 칭의는 죄인의 칭의 아닌 죄의 칭의 (I) 입력 : 2016.05.11 07:27 More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대한 역동적 이해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 샬롬나비 상임대표, 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 설립원장). 머리말 미국 풀러신대원 교수 ...
    Date2018.10.13 By갈렙 Views600
    Read More
  8. [퍼옴] 칼빈주의 예정론 과연 성경적인가?_참복음

    칼빈주의 예정론 과연 성경적인가? 작성일 2006.10.25 14:00작성자 참복음 칼빈주의 예정론 과연 성경적인가? 아르미니우스와 그의 가르침 성서적인 입장 성경은,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데 이르기를 원하(딤전 2:4)”신다고 분명히 ...
    Date2018.07.20 By갈렙 Views1043
    Read More
  9.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빈은 바른 구원론에서 점점 더 무엇을 빠뜨렸는가?(계3:1~6)_2018-07-10(화)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빈은 바른 구원론에서 점점 더 무엇을 빠뜨렸는가?(계3:1~6) https://youtu.be/CIOtMBEgzSk 1. 부활승천하셔서 하나님의 일곱영이자 당신의 눈에 해당하는 성령을 보내주신 예수님께서는 무엇을 붙들어 주시고 계실...
    Date2018.07.12 By갈렙 Views679
    Read More
  10. 이미 생명책에 그 이름이 기록된 자라도 지옥에 갈 수 있는가?(계3:5)_2018-07-12(목)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이미 생명책에 그 이름이 기록된 자라도 지옥에 갈 수 있는가?(계3:5) https://youtu.be/YsZvdDd7HcQ 1. 성도들이 믿음으로 얻은 구원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을까요? 2. 성도들이 믿음으로 얻은 구원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
    Date2018.07.12 By갈렙 Views778
    Read More
  11. 예정론에 기대지 말고 주님의 본을 따라가자(요6:35~40)_2018-05-20

    오늘날에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장로교의 예정론은 성경에서 많이 빗나가 있다. 하지만 이미 익숙히 들어왔던 터라, 하나님의 예정에 의한 인간의 구원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에 의한 신본주의적인 구원론이라고 철썩같이 믿고 있다. 하지만 장로교에서 말하는 ...
    Date2018.05.21 By갈렙 Views798
    Read More
  12. 요나서는 칼빈주의의 만세전예정을 지지하고 증거하는가(요6:33~40)_2018-05-18(금)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강조하는 이들은 구원의 예표로서 요나의 경우를 든다. 요나가 바다에 빠졌는데 하나님의 손길이 아니었다면 어찌 자신의 능력으로 살아나왔겠느냐면서, 오직 하나님의 절대적인 은혜에 따라 구원받은 것임을 강조한다. 그...
    Date2018.05.21 By갈렙 Views702
    Read More
  13. 예정론, 과연 성경으로부터 나왔을까?(롬9:10~13)-2017-10-20

    1. 들어가며 사람의 구원은 하나님의 만세전 예정에 따른 것일까? 아니면 하나님께서 베푸시는 은혜에 대한 인간의 응답에서인가? 장로교에 속한 분들은 우리의 구원은 만세전 하나님의 예정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수정 아르미니우스...
    Date2017.10.21 By갈렙 Views762
    Read More
  14. 믿는 자들도 타락할 수 있는가?(히6:4~8)_2017-10-15

    믿는 자들도 과연 타락할 수 있는가? 하나님의 절대 작정이나 만세전 예정론을 믿는 이들은 믿는 자들은 결코 스스로 믿은 것이 아니며 하나님의 만세전의 예정에 따라 믿게 된 것이기에, 절대 타락할 수도 없으며 구원의 노정에서 탈락될 수도 없다고 주장한...
    Date2017.10.15 By갈렙 Views791
    Read More
  15. 구원은 상실되지 아니한다는 주장은 과연 성경적인가?(요3:16~21)_2017-10-13

    한 번 얻은 구원은 영원히 안전한가? 아니면 최소되거나 상실될 수 있는가? 그것은 자신이 누구로부터 들었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다면, 보다 더 성경에 입각한 말씀을 따라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럴려면 3...
    Date2017.10.15 By갈렙 Views783
    Read More
  16. [퍼옴] 이 시대의 면죄부로 전락한 이신칭의 경고_김세윤 박영돈 비교분석

    김세윤 박영돈 비교분석: 이 시대의 면죄부로 전락한 이신칭의 경고! - 2016 미포, “이신칭의,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quot;(3) “이신칭의,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quot; 2016년 미래교회포럼(대표 박은조 목사) 준비위원들은 이 주제를 정하기 위해서 10개월에 걸쳐 5번...
    Date2017.07.28 By갈렙 Views717
    Read More
  17. [퍼옴] 순종과 회개의 열매 없이 믿음으로만 구원받지 못한다_박영돈교수

    박영돈 교수, 순종과 회개의 열매 없이 믿음으로만 구원받지 못한다 - 2016미포 이신칭의, 이시대의 면죄부인가?(1) 5 차례의 준비 모임 끝에 드디어 2016 미래교회포럼(이하 미포)이 “이신칭의,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를 주제로 연동교회(담임 이성희 목사)...
    Date2017.07.28 By갈렙 Views735
    Read More
  18. [퍼옴] 칭의와 성화 분리 될 수 없다_김세윤 교수

    김세윤 교수, 칭의와 성화 분리 될 수 없다 (출처) http://m.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30 - 2016 미포: 이신칭의,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2) 이신칭의,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 2016미래교회 포럼이 5일과 6일 서울 종로5가에 위치한 연...
    Date2017.07.28 By갈렙 Views746
    Read More
  19. [퍼옴]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빌2:12)_데이빗 파슨목사

    ▶&lt;한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gt;라는, 저의 책에 대해 말하고자합니다. &lt;한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이다&gt; 라는 동일한 출판사의 책이 있습니다. 저의 좋은 친구 R.T.켄덜 박사님이 쓴 책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있어서, 견해가 다릅니다. 많은 사람들이 물어봅...
    Date2017.07.28 By갈렙 Views1059
    Read More
  20. [퍼옴] 칭의론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_고신대대학원 교의학 박영돈교수

    제목: 칭의론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 고신대 박영돈교수 칭의론은 이 시대의 면죄부인가? 박영돈교수(고려신학대학원) 16세기에 면죄부(면벌부)를 타파한 칭의론이 21세기 한국교회에서는 죄의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면죄부라는 오명이 붙었다. 중세교회를 개혁...
    Date2017.04.06 By갈렙 Views8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방문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