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공지

질문있어요

질문있어요

질문있어요

신앙생활 중 생기는 궁금한 점과 신학적 질문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말씀을 통해 지혜와 깨달음을 함께 나누며 서로를 세워가는 대화가 되시기 바랍니다.

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샬롬!

안녕하세요 정보배 목사님.

저는 미국에서 신앙생활 하고있는 OOO입니다.



유튜브에서 진리의 말씀 매일 잘 듣고있습니다.
한 분 하나님, 삼위일체, 믿음, 회개, 행함, 구원론 등 모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데 목사님 말씀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첫째, 저는 예배시간에 사도신경을 외우지 않고 그시간에 베드로와 도마의 위대한 신앙고백으로 대신합니다. 불완전하고 삼신론적이고 천주교적인 사도신경,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의 약속이니 예배시간에 같이 외워야 하는지요?

둘째, 십자가에 관련된 질문이 있습니다.
콘스탄티누스 기독교 공인 이후 태양신을 섬기는 이교도들이 “그리스도교” 를 더 쉽게 받아들이게 하기위해 삼위일체교리, 마리아 외 많은 관습과 절기(부활절, 성탄절), 또한 여러 상징물들 즉 짬뽕 종교가 되어버린 천주교 그리고 종교개혁 이후에도 많은 부분을 버리지 못하고 개신교로 그대로 넘어왔습니다.
그런데 제가 가장 이해하지 못하는 점이 기독교의 대표적 상징물인 십자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십자가”로 번역되는 그리스어는 '스타우로스' 입니다. 이 단어의 기본 의미는 “곧은 말뚝 혹은 기둥” 입니다. 이 단어 역시 이교도들을 위하여 천주교에서 '크로스' 로 교묘히 변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성구에서 성서 필자들은 예수의 사형 도구를 묘사할 때 다른 단어도 사용했습니다. 그것은 그리스어 단어 '크실론' 입니다 (사도행전 5:30; 10:39; 13:29; 갈라디아서 3:13; 베드로전서 2:24) 이 단어는 단지 “목재”나 “막대기, 몽둥이 혹은 나무”를 의미합니다. 구약에서부터 예수그리스도를 예표할 때 나무, 지팡이, 막대기, 놋뱀 등 줄곧 '곧은 나무' 계열로 일괄되어 왔지만 서로 엇갈리게 놓여진 십자가 이교 상징물이 기독교 대표 상징물이 되다니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이교 상징물에 정성을 바치는 것은 성경에서 명백히 정죄합니다.(고린도후서 6:14-18) 또한 성경은 모든 형태의 우상 숭배를 금한다. (출애굽기 20:4, 5; 고린도전서 10:14)
이렇틋 교회를 대표하는 상징물이나 어떠한 로고계열도 없으면 제일 좋겠지만 굳이 필요했다면 곧은 일자 나무나, 박해받던 초대교회 때처럼 물고기 혹은 어린양 등으로 대처하는게 어떠했을까 생각해봅니다.



목사님 설교를 거의 빼놓지 않고 듣고 있습니다. 영상에 보면 목사님 예배당에도 십자가가 걸려있던데 십자가에 대한 목사님의 생각과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OOO드림

 

#정보배목사님 #신앙질문 #사도신경 #십자가 #우상숭배 #기독교상징 #삼위일체 #구원론 #신앙고백 #콘스탄티누스 #스타우로스 #천주교

  • profile
    관리자 2025.10.05 22:26
    감사합니다.

    말씀을 사모하시는 분을 이렇게 만나게 되니 저도 기쁩니다.
    교회와 여러가지 사역을 감당하다보니 답장이 조금 늦었습니다.

    용서바랍니다.
    2가지 질문을 해 오셨는데, 아는 데까지 답변해 올리겠습니다.


    첫째, 불완전하고 삼신론적이고 천주교적인 사도신경,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의 약속이니 예배시간에 같이 외워야 할까요라는 질문을 해 주셨군요.
    저희 교회에서는 사도신경을 신앙고백으로 고백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로마카톨릭의 전통에 속합니다.

    사실 이 신앙고백은 부족한 신앙고백에 속하며 오해할 소지를 가지고 있고 또한 무엇보다도 한 분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이 빠져 있습니다. 그래서 교회가 사용하기에는 매우 아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나라의 거의 대부분의 교회들이 이것을 주일예배 때에 신앙고백으로 사용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신앙고백을 하느냐 안 하느냐에 따라 이단과 정통을 구분하는 용도도 쓰이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만약 주일낮예배시에 이러한 앙고백을 하지 않는다면, 새로 오는 성도들은 색안경을 쓰고 볼 것입니다.

    아무리 진리를 알리고 싶어도, 색안경을 쓰고 교회를 보기 시작하면, 아예 마음의 문을 닫아버릴 수가 있기에,

    오늘날 거의 모든 교회가 공동으로 고백하는 사도신경을 저희 교회에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진짜는 본인이 올바른 신앙을 갖는 있느냐 하는 것이겠죠.

    그래서 우리 교회 성도들에게는 사도신경의 약점과 문제점을 가르쳐줍니다.

    그리고 성경에 기록된 진리의 말씀대로 믿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언젠가는 저희 장로교단에서도 사도신경을 제대로 고쳐서 사용하게 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둘째, 십자가에 관련된 질문에 대한 것이로군요.

    십자가를 어떻게 보느냐 하는 것은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느냐 하는 시각과 본인의 태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사실 어떤 물건이 우상이 되려면 그것을 앞에 두고 어떤 경배하는 의식을 행해야 합니다.

    즉 그 앞에서 기도를 드린다든지, 아니면 거기에 절을 한다든지, 또는 그것 앞에서 무릎을 꿇는다든지,

    그리고 거기에 향을 피운다든지, 혹은 어떤 음식을 차려놓는다든지 해야 합니다.

    그런데 사실 이 세상의 어떤 물건도 그것 자체가 우상은 아닙니다. 그러나 거기에다가 어떤 의식과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면 그것은 우상이 되어버립니다. 즉 단순한 물건인데 거기에 의식을 행하게 되면, 그것에 귀신이 달라붙게 되고 그러면 그때부터 우상숭배행위가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탄과 귀신들은 경배받기에 혈안이 되어있는 존재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 교회에서는 십자가가 교회에 걸어두고 있기는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 성도들의 생각에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하는 도구로 여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거기에 어떤 의식을 전혀 행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장례식장에 가보면, 돌아가신 분의 영정사진을 걸어놓고 어떤 의식을 행하는 기독교인들이 참 많습니다. 이를 테면, 그 영정 사진 앞에서 묵념을 한다든지, 절을 한다든지, 국화꽃을 바치는 것 등을 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엄연한 우상숭배행위에 속합니다. 왜냐하면 그때의 행동들은 어떤 인격을 가진 대상으로 여기고 의식을 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영정사진을 그곳에 갖다 놓았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그것을 우상숭배행위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돌아가신 분이 누구인지, 누가 돌아가셨는지를 알려주는 용도로 쓰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저희 교회에서는 십자가를 교회에 걸어놓고 있는 교회에 속합니다. 그 용도가 우리 교회가 어떤 교회라는 것을 알리는 것 이외에 다른 의도가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언젠가는 십자가도 다 철거해서 우상숭배행위와 관련된 어떤 것도 없기를 기대해보지만 아직까지는 그런 단계까지는 가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우리 교회 성도들 중에 그 누구도 십자가 자체를 경배하거나 우러러보지 않으며, 상징적인 표시용도라고만 행각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정도는 일시적이지만 괜찮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만들어놓은 어떤 조형물에 어떤 의식이나 행위를 행하려 한다면 그것은 우상숭배행위가 되기 때문에 반드시 거부해야 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셨는지요?

    끝까지 경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18년 3월 23일(금)
    정보배목사 올림

List of Articles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타인을 위해 중보기도할 때 내 입에서 귀신이 말하는 것은 양신역사일까요? 1 관리자 2025.10.05 29
조상죄를 회개하는 것이 과연 성경적인가요? 1 관리자 2025.10.05 30
조상 죄 회개에 대해서 몇 가지를 질문합니다 1 관리자 2025.10.05 30
태극기에 경례하는 것은 우상숭배인가요? 1 관리자 2025.10.05 24
천사는 어떤 존재이며 무슨 일을 하나요? 1 관리자 2025.10.05 18
주님은 과연 언제오실까요? 환난전일까요 환난후일까요? 1 관리자 2025.10.05 24
왜 내가 짓지도 않은 조상들의 우상숭배의 죄들을 내가 회개해야 하나요? 1 관리자 2025.10.05 15
그리스도인들은 사주팔자를 보면 안 되나요? 그것이 죄인가요? 1 관리자 2025.10.05 18
목사님 갓난아기가 죽으면 천국 처소는 어떻게 되나요? 상급을 쌓을 시간이 별로 없을 것 같아서요 1 관리자 2025.10.05 11
예수님은 금요일에 돌아가시고 일요일에 부활하신 것인가요? 1 관리자 2025.10.05 11
지금 당장 죽으면 천국 갈 수 있나요? 구원의 확신.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1 관리자 2025.10.05 13
하나님에게 인간은 하나님이 육신을 입고 십자가를 지셔야 할 만큼 필연적인 존재인가? 아니면 하나님의 어떠한 속성(사랑) 때문에 그러한가요? 1 관리자 2025.10.05 8
예수님과 하나님은 서로 다른분인가요? 다른분이라면 각각의 설명좀 해주세요ㅠㅠ 1 관리자 2025.10.05 12
다니엘 선지자는 실제인물이 아니라는데요? 1 관리자 2025.10.05 9
wcc와 장로교 통합교단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관리자 2025.10.05 11
부끄러운 구원이 있나요?천국이 3곳이 있는데, 맞나요? 1 관리자 2025.10.05 12
간음죄와 이혼 재혼 설교 의문 제기 1 관리자 2025.10.05 12
구약시대에도 귀신들이 있지 않았습니까? 삼상 16장에 보면, 하나님이 부리신 악신이 사울을 번뇌케했다고 했습니다.구약시대에도 귀신이 활개치고 다녔다고 봅니다. 그렇지 않나요 1 관리자 2025.10.05 10
하늘에서 예수께서 중보자와 대제사장으로서 일하시는 것은 다른 두 분 하나님에 대한 인격적인 구별이 아닐까요? 1 관리자 2025.10.05 8
목사님, 예배당에 십자가를 걸어두어도 되나요? 1 관리자 2025.10.05 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방문을 환영합니다.